KR20100069461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461A
KR20100069461A KR1020080128150A KR20080128150A KR20100069461A KR 20100069461 A KR20100069461 A KR 20100069461A KR 1020080128150 A KR1020080128150 A KR 1020080128150A KR 20080128150 A KR20080128150 A KR 20080128150A KR 20100069461 A KR20100069461 A KR 2010006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region
substrate
lower substrate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163B1 (ko
Inventor
오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2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이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액정셀이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상에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에 합착되며,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드라이버 IC가 없는 영역과 일부 중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넘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사무자동화 기기, 모바일 기기, TV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는 액정패널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상부에는 상기 액정패널을 보호하고 수납하기 위한 상부 수납부재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이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액정셀이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상에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에 합착되며,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드라이버 IC가 없는 영역과 일부 중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기판에 합착된 상부 기판 중 액정셀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서 드라이버 IC가 없는 영역과 일부 중첩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한 액정패널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액정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패널은 드라이버 IC(30)가 실장된 하부 기판(20) 및 상기 하부 기판에 합착되는 상부 기판(1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판(20)은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된 기판으로서,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화소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화소 영역 내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미도시)을 포함하는 투광성의 절연 기판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 기판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기판을 사용한다.
이 때, 상기 하부 기판(20)은 상부 기판(10)과 중첩되며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액정셀이 배치되는 제1영역(60)과 상기 상부 기판(10)과 합착될 때 외부로 노출되며 제1영역(60)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인가 라인이 형성된 제2영역(7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일 방향으로 뻗은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게이트 단자는 일 방향과 직교하는 타 방향으로 뻗은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다. 드레인 단자는 상기 화소 영역의 일부에 마련된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화소 전극과 접속된다. 이 때, 투명 도전성 재질로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 기판(20)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되어 데이터 라인의 전기적 신호 즉,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화소 전극에 인가하며, 이를 위해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기판(10)은 하부 기판(20)과 대응하는 화소 영역이 정의되고, 화소 영역 내에 마련된 컬러 필터(미도시)와 공통 전극(미도시)을 포함하는 투광성의 절연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러 필터와 공통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복수의 화소 영역 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상부 기판(10)의 전면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기 상부 기판(10)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패턴(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전극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한편, 상술한 하부 기판(20)과 상부 기판(10)은 각각의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서로 대향되도록 하부 기판(20)의 제1영역(60)에 상부 기판(10)을 가압하여 합착된다. 이 때, 두 기판(10, 20) 사이 외곽영역에 두 기판의 합착 및 액정 주입을 위한 실링제(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으며, 두 기판 사이의 셀 갭을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액정패널은 하부 기판(20)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부를 연결하기 위한 공간인 제2영역(70)이 필요하며, 하부 기판(20)은 상부 기판(10)보다 크게 제작된다.
이로 인해 하부 기판(20)과 상부 기판(10)의 합착 시 하부 기판(20)의 일부 가장자리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영역은 액정패널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 또는 손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20)의 노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상부 기판(10)에 돌출부(12, 14)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을 보호한다.
상기 돌출부(12, 14)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에 취약한 액정패널의 제2영역(7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셀이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70) 중 드라이버 IC(30)가 없는 영역의 상부 기판(10)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12, 14)는 상기 제2영역(70)의 드라이버 IC(30) 실장영역 및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은 상부 기판(10) 상에 돌출부(12, 14)를 형성하여 액정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액정패널의 파손 또는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패널의 구성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은 드라이버 IC(30)가 실장되고,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20) 및 상기 하부 기판에 합착되고, 일측에 돌출부(12, 14)가 형성된 상부 기판(1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하부 기판(20)은 상부 기판(10)과 중첩되며 상기 두 기판(10, 20) 사이에 액정층이 개재되는 제1영역(60)과 상기 상부 기판(10)과 합착될 때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영역(60)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인가 라인이 형성 된 제2영역(7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액정패널은 하부 기판(20)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부를 연결하기 위한 공간인 제2영역(70)이 필요하므로, 하부 기판(20)은 상부 기판(10)보다 크게 제작된다.
이로 인해 하부 기판(20)과 상부 기판(10)의 합착 시 하부 기판(20)의 일부 가장자리 즉, 제2영역(70)이 노출되며, 노출된 제2영역(70)은 액정패널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 또는 손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은 상기 하부 기판(20)의 제2영역(70)에 해당하는 상부 기판(10)에 돌출부(12, 14)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을 보호한다.
상기 돌출부(12, 14)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에 취약한 액정패널의 제2영역(7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영역(70)의 상부 기판(10)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12, 14)는 제2영역(70)의 드라이버 IC(30) 실장영역 및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2, 14)는 하부 기판(20) 상에 실장된 드라이버 IC(30)와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 기판(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 14)는 상기 드라이버 IC(30)의 좌, 우측 양단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2, 14)의 형상은 사다 리꼴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을 각각 A-A', B-B', C-C'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드라이버 IC(30)가 실장된 하부 기판(20) 상에 상부 기판(10)이 합착되며, 드라이버 IC(3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는 종래 액정패널의 단면도와 동일하다.
반면,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부 기판(10) 상에 형성된 돌출부(12, 14)는 제2영역(70)에서 드라이버 IC(30)와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을 외부로 노출시켜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범위 외에서는 제2영역(70)에서도 상부 기판(10)이 하부 기판(20) 상에 합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패널의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20) 사이에 실링제(50)가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드라이버 IC(30)가 실장되고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20) 및 상기 하부 기판(20)에 합착되고, 일측에 돌출부(12, 14)가 형성된 상부 기판(1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판(20)과 상부 기판(10)은 각각의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서로 대향되도록 하부 기판(20)의 표시 영역(40)에 상부 기판(10)을 가압하여 합착된다.
이 때, 실링제(50)가 도포되는 영역은 표시 영역(40) 이외의 영역이며, 특히 본 발명의 액정패널의 경우에는 상기 하부 기판(20)과 상기 상부 기판(10)의 돌출부(12, 14) 사이의 공간에 도포된다.
상기 실링제(50)는 액정층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 기판(10)과 하부 기판(20)이 서로 합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제(50)는 하부 기판(20)과 상부 기판(10)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하부 기판(20)의 제2영역(70) 중 드라이버 IC(30) 및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 그리고 표시영역(40)을 제외한 일부분 또는 모든 부분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링제(50)는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 기능과 실링 역할을 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구성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기판(10)에 형성된 돌출부(12, 14)는 사각형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 14)는 제2영역(70)의 드라이버 IC(30) 실장영역 및 연결기판(미도시)의 접속영역(8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2, 14)는 도면에서는 직선 형태로 커팅하여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액정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패널의 구성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을 각각 A-A', B-B', C-C'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정패널에 실링제를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구성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Claims (4)

  1. 액정셀이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액정셀이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상에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하부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에 합착되며,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드라이버 IC가 없는 영역과 일부 중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기판;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드라이버 IC의 좌, 우측 양단에 각각 존재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인 액정표시장치.
KR20080128150A 2008-12-16 2008-12-16 액정표시장치 KR10149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8150A KR101491163B1 (ko) 2008-12-16 2008-12-16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8150A KR101491163B1 (ko) 2008-12-16 2008-12-16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461A true KR20100069461A (ko) 2010-06-24
KR101491163B1 KR101491163B1 (ko) 2015-02-06

Family

ID=4236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8150A KR101491163B1 (ko) 2008-12-16 2008-12-16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139A (en) * 1995-07-05 1997-12-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pressure relief structure
JP4347766B2 (ja) 2004-07-23 2009-10-21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101320892B1 (ko) * 2006-12-29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360405B2 (ja) 2007-01-05 2009-11-1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163B1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5773B2 (en) Liquid crystal panel having low-resistance common electrode layer
JP5208259B2 (ja) 液晶表示装置
US7969537B2 (en) Liquid crystal panel with static electricity damage prevention
US69067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5475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GB2542503A (en) Display device
KR10164135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05071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101791578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526085B2 (ja) 液晶表示装置
JP5410024B2 (ja) アレイ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パネル
CN111290182A (zh) 液晶显示面板
CN110554530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08225473A5 (ko)
US201102220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16887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3028633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9056664A1 (zh) 触控显示装置
WO2019056665A1 (zh) 内嵌式触控显示装置
WO2019056663A1 (zh) 触控显示装置
TW202044215A (zh) 顯示裝置及薄膜電晶體陣列基板
KR20130102864A (ko) 네로우 베젤 타입 액정표시장치
KR101491163B1 (ko) 액정표시장치
JP4986307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9069725A (ja) 液晶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