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054A -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054A
KR20100069054A KR1020080127612A KR20080127612A KR20100069054A KR 20100069054 A KR20100069054 A KR 20100069054A KR 1020080127612 A KR1020080127612 A KR 1020080127612A KR 20080127612 A KR20080127612 A KR 20080127612A KR 20100069054 A KR20100069054 A KR 2010006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ident
vehicle
insuran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297B1 (ko
Inventor
최병채
Original Assignee
최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채 filed Critical 최병채
Priority to KR102008012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2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8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PSTN, GSM, PO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보험 가입자에 대한 사고 접수 및 사고 처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상황을 접수하고, 이를 근거로 긴급구난을 수행하는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보험 가입에 따른 차량 정보 및 가입자에 대한 가입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시,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로 사고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실시간 자동조회하며, 조회 결과에 따라 사고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 정보 및 보험 가입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험사 정보에 대응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구난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자의 가입 보험사에 대한 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보험사 검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보험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보험 서비스의 틈새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127612
차량, 보험, 긴급구난, 긴급출동, 사고, CVB, 텔레매틱스,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EMERGENCY RESCUE SERVICE SYSTEM OF DIRVER}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긴급구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운전자에 대한 보험정보 자동 검색 및 이를 근거로 운전자의 긴급 구난을 실행하기 위한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사고현장을 보존하고, 가해자 또는 피해자의 신원을 확보한 후 사고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경찰에 신고하거나 보험회사에 연락을 하게 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사고 현장을 보존하거나 필요한 증거자료들을 남겨두어야 하는데 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진술이 없는 경우 피해자의 주장만이 민, 형사상 재판의 근거가 되어 사고를 일으킨 가해자의 입장일 경우에는 사건처리 과정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사고 현장을 보존하거나 증거를 남기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카메라, 스프레이 등을 차량에 구비하고 다니다가 사고 발생시 이를 이용하여 사고 차량의 위치, 교통 사고가 발생한 위치, 차량 파손 부분, 사고 발생시 신호상태, 가해자의 음주 여부 등을 확인하여 증거자료로 남겨두게 된다. 그리고, 이후에 교통 사고 발생 당시 촬영한 정황사진 등의 물적증거자료들은 고객이 직접 보관하고 있다가 보험회사 직원의 방문시에 전달하여 사고 처리, 지급보험 금액, 구비서류 등을 준비하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인 절차였다.
따라서, 사고 후에 증거자료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보험회사 직원이 고객을 직접 방문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고객이 증거자료 등을 보관 중에 유실한다든지 낯선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곳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경우 등으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시에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교통사고 처리가 어렵거나 증거 자료의 미비로 인해 피해자 또는 가해자에게 억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텔레매틱스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고객 관리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텔레매틱스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고객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셀룰라폰, PCS, IMT-200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하는 차량용 텔레매틱스 기기(10)와, 무선 네트워크(20)에 접속되어 차량용 텔레매틱스 기기(10)에서 전송된 주행 정보, 사고 정보, 차량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각 차량별 해당 가입자별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보험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험서버(30)는 저장된 차량별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 사실을 실시간으로 접수하는 등의 적극적인 고객 관리를 통해 보험금 지급 사유 및 보험금 지급을 최소화하고 사고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도난 시 GPS 위성 시스템을 이용 추적 가능하여 보험금 지급 사유 감소시키며, 차량의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등 고객과 양방향을 통신을 통하여 고객의 접점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차량용 텔레매틱스 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적정 위치에 설치 되는 ECU(111)로부터 차속 등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일시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저장된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출력하여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토록 구성요소로 갖추고 있다.
차량용 텔레매틱스 기기(10)는 ECU(111)로부터 제공되는 차속 등에 대한 신호를 변환하며, 또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1초 단위의 속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112)와, 실시간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113)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112) 및 타이머(113)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메모리부(114)에 저장하며 또한 미리 설정된 적절한 주기로 상기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주행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5)와, 상기 제어부(115)의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주행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4)와,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하에 외부 무선 단말기와 접속하며 이와 인터페이스 하는 무선단말 인터페이스부(116)와,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하에 외부 PC(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기와 접속하며 이와 인터페이스하는 PC 인터페이스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 보험 고객 관리 시스템은, 차량별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차 보험 고객의 접점관리가 가능하고, 사고 사실을 실시간으로 접수하여 보험금 지급 사유 및 보험금 지급을 최소화하고 사고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험 고객 관리는 고객과의 접점 관리를 토대로 보험사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운전자는 해당 보험사로 가입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텔레매틱스를 이용하여 사고 정보를 실시간 접수하고, 보험 가입 내용을 기반으로 보험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해당 보험사로 가입되지 않은 운전자는 서비스 혜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가입한 해당 보험사를 검색하고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 상황 통지 및 긴급 조치를 지시할 수 있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 차량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접수한 후 각 보험사의 서버로부터 사고 차량에 대한 보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해당 보험사로 사고접수를 대행할 수 있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상황을 접수하고, 이를 근거로 긴급구난을 수행하는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보험 가입에 따른 차량 정보 및 가입자에 대한 가입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시,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로 사고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며, 조회 결과에 따라 사고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 정보 및 보험 가입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험사 정보에 대응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구난관리 서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난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사고접수 모듈; 상기 사고접수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위치, 시간, 손상상태 및 차량번호 정보를 분리하여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등록 관리하는 정보분석 모듈; 및 상기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등록된 사고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각 보험사별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며, 조회 결과에 따른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정보를 접수한 후, 보험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보험가입 정보 및 개인정보를 축적하고 상기 보험가입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한 사고접수를 요청하는 운용 모듈; 및 상기 운용 모듈로부터 제공된 상기 쿼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보험사별 보험사 서버와 온라인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가입한 보험사에 관계없이,
운전자의 가입 보험사를 인리 또는 미인리 여부에 관계없이 보험사 검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보험 처리 및 사고 처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운전자의 가입 보험에 관계없이 보험사 검색을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보험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보험 서비스의 틈새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의 전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보험 가입에 따른 차량 정보 및 가입자에 대한 가입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303)와, 차량의 운행상태 또는 사고현황을 감지하는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시,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303)로 사고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며, 조회 결과에 따라 사고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 정보 및 보험 가입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험사 정보에 대응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로 상기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구난관리 서버(301)를 포함한다.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는 사고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와 관련된 서비스 서버로 총칭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임의의 재난관리 서버 즉, 경찰청 서버, 소방방재청 서버, 소방재난 관리본부 서버, 재난관리 지원센터 서버 등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고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보험 가입정보를 검색한 결과, 무보험 차량이거나, 무면허 차량일 경우 해당 보험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재난관리 서버로 긴급출동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된 구난관리 서버(301)는 상기 보험사 서버(303)로부터 제공되는 보험가입 정보를 토대로 사고차량 운전자의 가정, 가족 등으로 사고를 통지할 수 있도록 사고통지 시스템(305)과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사고통지 서버(305)는 패킷 통신망, 종합정보 통신망, 고속 통신망, 광대역 ISDN, 이동통신망 PSTN 망 등과 접속 가능한 서버로써, 구난관리 서버(301)로부터 제공되는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현황을 통지토록 한다.
상기 개인정보는 보험가입 정보에 포함되는 운전자의 성명, 가정 전화번호, 가족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구난관리 서버(301)는 이러한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사고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 및 사고 위치를 음성신호로 통지하기 위한 ARS 시스템을 포함 또는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정보 및 차량정보를 접수함에 있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인프라로서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는 CVB(Connected Vehicle Black Box) 단말기, 텔레매틱스, Stand-alone 네비게이션, 이동통신사와 연계되는 AM(Nate drive/K-ways/ez-Drive) 서비스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텔레매틱스가 장착된 차량은 긴급구난 센터에 의해 차량정보, 사고정보가 접수된 후, 상기 구난관리 서버(301)로 통지될 것이며, 상기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차량은 별도의 무선통신 장치를 거치고, 상기 AM 서비스 차량은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난관리 서버(301)로 사고정보가 접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난관리 서버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사고접수 모듈(405)과, 상기 사고접수 모듈(405)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위치, 시간, 손상상태 및 차량번호 정보를 분리하여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 등록 관리하는 정보분석 모듈(407)과, 상기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 등록된 사고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각 보험사별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며, 조회 결과에 따른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정보를 접수한 후, 보험정보 데이터베이스(415)로 보험가입 정보 및 개인정보를 축적하고 상기 보험가입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한 사고접수를 요청하는 운용 모듈(401)과, 상기 운용 모듈(401)로부터 제공된 상기 쿼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보험사별 보험사 서버(303)와 온라인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모듈(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쿼리 데이터는 기 설정된 보험사별 접속정보 예컨대, 각 보험사 서버에 대한 URL 정보과, 각 보험사 서버로 임의의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보험가입 쿼리정보 및 사고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화된 정보이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난관리 서버(301)의 통신모듈(413)은 다수의 보험사 서버(303)로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요청하는데, 기 등록된 보험사정보 중 어느 하나의 보험사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와, 해당 보험사 서버로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정보 및 쿼리에 따른 사고차량의 차량번호 정보를 전송하되, 각 보험사 서버로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순차적인 전송이라 함은 데이터 전송에 관한 시간차 개념으로 사실 상 다수의 보험사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일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용모듈(401)은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각 보험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각 보험사 서버는 보험사 서버 정보, 조회한 차량번호 정보 및 해당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의 보험 가입 여부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한다.
사고차량이 하나의 보험사로 보험 가입함을 전제로 할 경우, 상기 수신 데이터는 사고차량이 가입한 어느 하나의 보험사를 포함할 것이며, 상기 운용모듈(401)은 이러한 해당 보험사를 검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운용모듈(401)은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접수와 더불어 사고차량 운전자의 거주장소 또는 주변인물에게 사고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통지를 안내하기 위한 상황별 안내 멘트를 등록관리하는 메시지 생성모듈(403)과 연동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모듈(403)은 운용모듈(401)의 지시하에 따라 차량의 손상상태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사고 상황을 단순히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저장한다.
전술된 안내 메시지는 사고차량에 대한 운전자 성명, 사고위치, 시간, 차량번호, 차량의 손상상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ARS 시스템(411)을 구성하여, 상기 통신모듈(413)과 접속되는 서비스 서버 예컨대,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 또는 사고통지 시스템(305)으로 음성화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를 구비한 임의의 차량으로부터 사고 정보를 접수한다. 상기 사고정보는 중계기 또는 위성을 통해 접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는 CVB 단말기, 무선통신장치, 휴대폰 등을 포함하여 텔레매틱스와 연동되는 긴급구난 센터의 통신장비이다. 상기 사고접수 모듈(405)은 전술된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상황을 제공받는다.
사고상황은 각각의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사고정보이며, 차량정보는 차량의 번호, 차종 등을 포함하고, 상기 사고정보는 차량의 사고지점, 사고시간, 손상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는 차량의 ECU와 연동하여 사고 발생 시 손상 정도를 데이터화하고, 기 설정된 사고접수 지역 또는 단말기로 해당 사고 현황을 통지한다. 통지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시간, 좌표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고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는 공지된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난관리 서버(301)는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직접 사고상황을 접수하거나, 전술된 긴급구난 센터로부터 통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사고접수 모듈(405)은 사고차량에 대한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고정보는 사고차량에 대한 위치정보, 시간정보 및 손상 정도는 나타내는 손상정보를 갖는다. 상기 사고접수 모듈(405)은 이러한 사고정보 접수에 따른 사고접수 현황을 상기 운용모듈(401)로 제공한다. 운용모듈(401)은 상기 정보분석 모듈(407)로 사고정보에 대한 분석을 지시하며, 상기 정보분석 모듈(407)은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 정보분석에 따른 차량정보, 사고 지점을 나타내는 위 치정보, 사고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및 차량의 손상정보를 각각으로 분류하여 등록 관리한다.
이후, 상기 정보분석 모듈(407)은 사고정보의 분석 완료를 운용모듈(401)로 통지하고, 운용모듈(401)은 이에 응답하여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 저장된 차량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차량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 차종 등의 정보로서 필요에 따라 생산년도, 배기량 정보 등을 일괄적으로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운용모듈(401)은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부터 기 저장된 보험사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보험사 정보는 임의의 보험사 서버와 접속 가능한 URL 정보를 포함하며, 관리자에 의해 상기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 등록 설정된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보험사 정보는 추가 또는 삭제가 가능하며, 상기 운용모듈(401)은 이러한 보험사 정보를 기반으로 각 보험사 서버(303)로 전송할 쿼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쿼리 데이터는 전술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험사 서버(303)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정보, 사고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쿼리 데이터는 포멧화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넷 통신을 위한 데이터 규격에 준하여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쿼리 데이터는 다수의 보험사 서버(303)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 규격을 갖고 있으며, 이는 사고 차량에 대한 가입 보험사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쿼리 데이터는 접속해야 할 보험사 서버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데이터 구조를 보유하며, 상기 통신모듈(413)은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을 기반으로 해당 쿼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쿼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URL 정보는 인터넷 망을 통해 해당 보험사 서버(303)로 제공되며, 쿼리 데이터의 보험가입 쿼리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 가입 여부를 조회한다. 상기 보험가입 쿼리정보는 보험사별로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보험사별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조회 데이터 구조가 달리 될 수 있으나, 상기 보험가입 쿼리정보는 이에 대응하도록 데이터 구조로 설정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통신모듈(413)은 다수의 보험사 서버(303)로 일괄 전송된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조회결과를 수신하는데, 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보험사 서버의 고유정보 예컨대, IP정보와, 검색된 차량의 차량번호 정보 및 해당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413)은 이러한 수신데이터를 상기 운용모듈(401)로 제공하며, 운용모듈(401)은 각 보험사 서버(303)로부터 수신된 보험가입에 따른 응답정보를 토대로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사를 검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운용모듈(401)로부터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사가 검출되면, 상기 운용모듈(401)은 현재 검출된 해당 보험사의 보험가입 정보 즉, 사고 차량이 가입한 보험가입 정보를 해당 보험사 서버(303)로 요청 및 수신한다. 상기 보험가입 정보는 운전자의 성명, 가정 내 유선전화번호, 가족 정보(부인의 휴대폰 정보 등)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운용모듈(401)은 보험가입 정보를 상기 보험정보 데 이터베이스(415)로 등록한다.
이후, 상기 운용모듈(401)은 보험정보 데이터베이스(415) 및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409)로부터 보험가입 정보와, 사고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해당 보험사에서 운용하는 보험사 서버로 상정될 수 있으며, 재난관리 서버, 경찰청 서버, 소방방재청 서버, 재난관리 지원센터의 관리 서버, 소방재난 관리본부의 관리 서버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운용모듈(401)은 이러한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로 사고접수를 수행하며, 사고접수에 필요한 정보로서 차량정보, 사고위치 정보, 사고시간 정보, 손상 정보를 통신모듈(413)을 통해 제공한다.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는 구난관리 서버(301)의 통지 내용에 따라 사고지역으로 긴급출동 한다. 또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는 사고차량에 대한 손상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긴급 구난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구난관리 서버(301)에서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사 검색에 실패하거나 사고차량이 무보험 차량으로써 가입된 보험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운용모듈(401)은 이미 접수된 사고차량의 차량정보, 사고정보를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로 제공한다. 여기서,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307)는 보험사 서버가 아닌 경찰청 서버, 소방방재청 서버, 재난관리지원 센터의 관리 서버로 상정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고통지 시스템(305)과 연동하여 구난관리 서버(301) 로부터 사고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주변인물로 사고를 통지하도록 한다. 이는 사고차량이 보험에 가입된 경우에 한정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경찰청 서버 또는 소방방재청 서버 등과의 연동하에 미 보험 차량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연락 가능한 주변 인물로 사고현황을 통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생략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포함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운용모듈(401)은 보험가입 정보로부터 추출된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운전자의 가정 내 전화번호 정보 또는 이동통신 번호 정보를 상기 사고통지 시스템(305)으로 전송한다. 상기 사고통지 시스템(305)은 이동통신망 또는 PSTN 공중전화망과 접속 가능한 시스템으로, 필요에 따라 패킷 통신망, 종합정보 통신망, 고속 통신망, 광대역 ISDN과 접속 가능한 통신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운용모듈(401)은 사고통지 시스템(305)으로 사고통지를 위한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메시지 생성모듈(403)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모듈(403)은 텍스트화된 메시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사고차량의 손상정보에 대응하도록 기 정의된 안내 메시지이거나, 일괄적으로 규정화된 안내 메시지일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메시지는 상기 ARS 시스템(411)으로 제공되어 운전자의 주변 인물에게 사고 상황 정보를 통지한다. 사고 상황 정보는 운전자의 성명, 사고 위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되, 필요에 따라 손상정보를 더 포함하여 통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사고차량이 가입한 보험사에 관계없이 또는 가입된 보험사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사고접수와 더불어, 해당 보험사 또는 재난관리청으로 사고현황을 통지함으로써, 유비쿼터스의 인프라 구축을 도모할 수 있어 산업적 이용 가치가 극히 높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사고차량에 대한 긴급구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난관리 서버를 나타낸 주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험사별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 구조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구난관리 서버 303 : 보험사 서버
305 : 사고통지 시스템 307 :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
401 : 운용모듈 403 : 메시지 생성모듈
405 : 사고접수 모듈 407 : 정보분석 모듈
409 :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 411 : ARS 시스템
413 : 통신모듈 415 : 보험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상황을 접수하고, 이를 근거로 긴급구난을 수행하는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보험 가입에 따른 차량 정보 및 가입자에 대한 가입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시,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로 사고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실시간 조회하며, 조회 결과에 따라 사고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 정보 및 보험 가입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보험사 정보에 대응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구난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서버는 사고 차량에 대한 해당 보험사와 관련된 서비스 서버이거나, 경찰청 서버, 소방방재청 서버, 소방재난 관리본부 서버, 재난관리 지원센터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관리 서버는 상기 보험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보험가입 정보를 토대로 사고차량 운전자의 주변 인물로 사고현황을 통지할 수 있도록 사고통지 시스템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통지 서버는 패킷 통신망, 종합정보 통신망, 고속 통신망, 광대역 ISDN, 이동통신망 PSTN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서버로써, 상기 구난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보험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현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가입 정보는 운전자의 개인정보 및 보험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보험가입 정보에 포함되는 운전자의 성명, 가정 전화번호, 가족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관리 서버는 이러한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사고 안내를 위한 안내 메시지 및 사고 위치를 음성신호로 통지하기 위한 ARS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는 CVB(Connected Vehicle Black Box) 단말기, 텔레매틱스, Stand-alone 네비게이션, 이동통신사와 연계되는 AM(Nate drive/K-ways/ez-Drive) 서비스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상태정보 전송장치로부터 사고 차량의 차량정보 및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사고접수 모듈;
    상기 사고접수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위치, 시간, 손상상태 및 차량번호 정보를 분리하여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등록 관리하는 정보분석 모듈;
    상기 사고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등록된 사고차량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각 보험사별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며, 조회 결과에 따른 해당 사고차량에 대한 보험가입정보를 접수한 후, 보험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보험가입 정보 및 개인정보를 축적하고 상기 보험가입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한 사고접수를 요청하는 운용 모듈; 및
    상기 운용 모듈로부터 제공된 상기 쿼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보험사별 보험사 서버와 온라인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 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 데이터는 기 설정된 보험사별 접속정보와, 각 보험사 서버로 임의의 차량에 대한 보험가입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보험가입 쿼리정보 및 사고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화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모듈은 사고차량에 대한 사고접수와 더불어 사고차량 운전자의 거주장소 또는 주변인물에게 사고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통지를 안내하기 위한 상황별 안내 멘트를 등록관리하는 메시지 생성모듈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사고차량에 대한 운전자 성명, 사고위치, 시간, 차량번호, 차량의 손상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ARS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KR1020080127612A 2008-12-16 2008-12-16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KR10100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612A KR101008297B1 (ko) 2008-12-16 2008-12-16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612A KR101008297B1 (ko) 2008-12-16 2008-12-16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054A true KR20100069054A (ko) 2010-06-24
KR101008297B1 KR101008297B1 (ko) 2011-01-13

Family

ID=4236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612A KR101008297B1 (ko) 2008-12-16 2008-12-16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429A1 (ko) * 2020-12-07 2022-06-16 주식회사 마이렌 사고 판단 알고리즘 적용 실시간 긴급구난체계 (e-call)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516A (ko) * 2004-10-22 2006-04-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차 사고 실시간 접수 및 보상 서비스 방법
KR20050014782A (ko) * 2004-12-31 2005-02-07 김응수 고객의 보험사고 접수 전 보험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95000A (ko) * 2005-02-25 2006-08-30 유니온정보시스템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사고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0892973B1 (ko) * 2007-02-05 200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단말기에서의 차량 사고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297B1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4585A1 (en) Automatic Claim Generation
US10686687B2 (en) Integrated personal safety and equipment monitoring system
US1162204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call routing
US9412130B2 (en) Assistance on the go
US8624727B2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80361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call routing
US20030028536A1 (en) Proactive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100305806A1 (en) Portable Multi-Modal Emergency Situation Anomaly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JP4665814B2 (ja) マナー違反管理システム
CN102323816A (zh) 一种车载智能安全控制系统与监控方法
KR20110049391A (ko) 차량 사고시 보험사 자동 연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05646A (ja) 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CN202141936U (zh) 一种车载智能安全控制系统
WO2016126421A1 (en) Assistance on the go
US11279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vehicle use
JP2017046125A (ja) 事故発生時における顧客サービスに関連する情報処理技術
KR20160141984A (ko) 스마트 단말 장치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관리 장치
RU105776U1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 перемещения объекта на основе инфо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и навиг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KR101008297B1 (ko) 운전자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KR102093650B1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092B1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383583B1 (ko) 사건 현장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원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원격 감시 구현 방법
CN101783744A (zh) 网络型警消连线告警通报系统
JP2001343446A (ja) 位置情報監視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提供方法
JP2006185066A (ja) 保守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