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796A -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796A
KR20100068796A KR1020080127274A KR20080127274A KR20100068796A KR 20100068796 A KR20100068796 A KR 20100068796A KR 1020080127274 A KR1020080127274 A KR 1020080127274A KR 20080127274 A KR20080127274 A KR 20080127274A KR 20100068796 A KR20100068796 A KR 20100068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ocial media
soci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문진영
이종훈
이훈기
백의현
박광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796A/ko
Publication of KR2010006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즉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추론 엔진; 상기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셜 네트워크, 소셜 미디어, 추론 엔진, 온톨로지, 장소적 관계정보

Description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ocial media services based on the locality and sociality relations}
본 발명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즉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2008-F-043-01, 과제명: 장소/사회적 관계 인지형 Social 미디어 서비스 기술 개발].
인터넷의 보급화와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 사이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온라인을 통하여 해당 사이트 또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들에 대해서만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관련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장소적 관계에 기인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나 즉시적 으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위치한 현재 장소와 관련되어 소셜 미디어를 형성할 수 없으며, 또한 장소적 환경에 기인한 요청(예컨대, 동일 지역에 한정되는 소셜 미디어의 구성원 간의 정보 전파 등)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사회적 정보 뿐만 아니라 장소적 정보를 이용하여 동적인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그 형성된 소셜 커뮤니티에 대하여 질의 처리, 상황 인식, 정보 교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추론 엔진; 상기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 및 사회적 관계 모델을 구성하고, 추론 엔진과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검색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회적 정보 및 장소적 정보를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동적으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성 뿐만 아니라 장소적 관계성에 기인한 문제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 또는 공동체의 지식과 경험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자 공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전자 공간은, 사용자 공간(User Space), 사회/ 장소적 공간(Cool Space) 및 지능형 공간(Intelligent Space)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공간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공간은 Social 미디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웹 서비스 등) 를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수집하기 위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earable Gadget등의 센서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사회/ 장소적 공간은 공개된 커뮤니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사회적 관계의 공동체에 뿐만 아니라 장소적 관계의 공동체를 연동함으로써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을 하나로 연결해줄 수 있다.
지능형 공간는 5개의 관리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각 관리부들은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과 온톨로지(Ontology)에 기반한 시멘틱 검색(Semantic Search)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 환경에 대하여 장소적 정보 및 사회적 정보를 검색 또는 분류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하여 문제 해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은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 콘텐츠 관리부(110), 사용자 관리부(120), 추론 엔진(130), 커뮤니티 관리부(140),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접속 수단(200)을 통하여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근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110)는, 추론 엔진(130)에서 구성된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부(110)는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요청하면, 추론 엔진(130)으로부터 제공된 그 사용자의 성향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그 사용자의 성향을 반영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로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 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경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에 대하여 성향 패턴을 적용하여 각 사용자에 대하여 추천 상품, 추천 서비스, 추천 경험 정보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정보 및 사용자의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추론 엔진(130)으로부터 구성된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를 통하여 로그인을 할 때, 사용자 관리부(120)는 이러한 정보들을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그 사용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에 제공할 수 있다.
추론 엔진(13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하여, 사이코그래픽스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상황 또는 성향에 따라 성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추론 엔진(130)은 사용자로부터 그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예컨대, 드라마, 영화, 음식, 음악 등)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 받거나 또는 그 사용자의 사용 이력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고, 그와 같이 입력 또는 추출된 콘텐츠에 대한 선호 정보를 기초로 그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추론 엔진(130)은 사용자의 장소에 따라 성향 패턴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추천 조건 정보를 더 이용하여 성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추론 엔진(130)은 콘텐츠에 대한 선호 정보로부터 성향 패턴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들에 대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모델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이코 그래픽스 기반의 분석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성향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상황 또는 개인적 성향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커뮤니티 관리부(140)는 사용자에 대하여 동적 네트워크인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로그인을 할 때 사용자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현재 장소에 관련된 정보를 더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장소적 정보와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뮤니티 관리부(140)는 사용자 식별정보 등으로부터 그 사용자에 대한 사회적 관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그 사용자와 장소적으로 관련성을 가지는 사람들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사회적 관계 정보 또는 장소적 관련성을 기반으로 그 사용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사회적 관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으로부터 구성된 그 사용자와의 관계 친밀도, 사회적 연관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50)는 소셜 네트워크의 각 사용자들에 대하여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커뮤니티 관리부(140)에 의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소셜 네트워크가 구성되면,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50)는 그 사용자와 해당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들에 대하여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50)는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들에 대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영상 통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는 휴대전화 단말기 뿐만 아니라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중 사용자의 취향에 대한 정보는 추론 엔진(13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성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성향 패턴으로부터 콘텐츠 관리부(110)가 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면 그 구성된 맞춤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추천 조건 정보를 입력 받으면 이를 추론 엔진(130)에 제공하여 성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에 대하여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으로의 로그인 및 기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로그인을 요청하면, 그 요청에 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또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관리부(120)에 저장된 인증 정보 또는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그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예컨대, 장소적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요청 장소의 유효성을 판단하거나, 로그인 요청시 수반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음). 또한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그에 대한 경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콘텐츠 관리부(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접속 수단(200)은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의미하며, RFID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나 사용자의 휴대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접속 수단(200) 및 그에 따른 접속 환경에 대해서는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도 2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사용자 접속 수단(200)은 사용자의 휴대 단발(210), RFID 시스템(220)과 같이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관리를 위한 관리용 모니터링 단말(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적인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RFID 시스템(220)을 이용하여 동적인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백화점, 공항, 영화관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구비된 RFID 리더(22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RFID 리더(220)를 통한 로그인 요청을 수행하면, 사용자가 로그인 절 차 수행을 위한 식별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각 RFID 리더(220)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서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보안성이 더 필요한 장소에 구비된 RFID 리더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음성인식 모듈, 영상인식 모듈,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등을 구비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리더(2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구비한 휴대 단말(21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예컨대, 웹 인터페이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사용자 관리부(120)의 인증 정보 또는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칠 수 있다. 또한, 관리용 모니터링 단말(230)을 더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하면,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이면, 콘텐츠 관리부(110)에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용자의 요청 서비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사용자에 대하여 성향 패턴이 추론 엔진(130)에 의하여 구성된 경우라면 그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부(110)는 상품,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 및 그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경험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또는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관리부(110)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려하는 경우라면, 커뮤니티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 정보 또는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50)는 그러한 소셜 네트워크와 사용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커뮤니케이션 관리부(150)는 사용자 및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이 구비한 휴대 단말(210)과 통신망을 형성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셜 네트워크 및 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장소/사회적 관계의 디지털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정보 공유 또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10)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서비스 화면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상품 전체 리스트(301)는 사용자가 요청한, 또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와 관련성이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리스트(예컨대, 전체 상영 영화, 상품 브랜 드, 맛집 리스트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 셋(302)는 메타 데이터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구성된 태그 셋 들이 표시될 수 있다.
추천 성향 변경(303)은 사용자의 성향 등을 장소에 맞게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추천 성향 변경(303)을 통하여 입력된 추천 조건 정보와 사용자 관리부(120)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 엔진(130)은 성향 패턴를 재설정 또는 임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설정 또는 임시 구성된 성향 패턴를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부(110)는 추천 콘텐츠 정보를 재구성하여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에 제공하며,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100)는 이러한 추천 콘텐츠 정보를 추천 상품 리스트(304)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상품 리스트(304)는 상품 전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의 성향 패턴에 따라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다.
검색 입력란(305)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품 전체 리스트(301) 또는 추천 상품 리스트(304)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결과는 상품/추천/검색 결과란(306)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상품/추천/검색 결과란(306)에는 사용자가 검색한 또는 시스템의 추천에 따른 상품, 서비스 또는 경함에 대한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란(307)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의 시스템 로그인 또는 로그 아웃 상태, 기타 상태 등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장소/사회적 관계 메신저란(308)을 통하여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 간에 메시징 서비스 또는 영상 통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경험 업로드란(309)을 통하여 사용자는 경험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경험 정보(예컨대, 제품 후기, 영화 후기 등)를 업로드 할 수 있다.
경험 리스트란(310)은 이미 구성되어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경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경험 정보는 사용자의 성향 정보 등을 반영하여 순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와, 그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소 관련 정보 및 사회적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콘텐츠 정보는, 서비스 정보, 상품 정보 및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경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성향 패턴 또는 장소 관련 정보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추천 조건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사회적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그 추천 조건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사회적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 여 그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한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자 공간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는 도 2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

Claims (10)

  1.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추론 엔진;
    상기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
    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천 조건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추론 엔진은 상기 추천 조건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것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패턴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 인증 정보 및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는 상기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장소 정보를 이용 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소 관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장소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커뮤니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의 구성원 간에 메시징 서비스 또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티케이션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에이전트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경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경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7.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성향 패턴을 이용하여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천 조건 정보, 장소 관련 정보 및 사회적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추천 조건 정보, 상기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사회적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관련 정보 및 상기 사회적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콘텐츠 정보는,
    서비스 정보, 상품 정보 및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경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성향 패턴 또는 상기 장소 관련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것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20080127274A 2008-12-15 2008-12-15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8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74A KR20100068796A (ko) 2008-12-15 2008-12-15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74A KR20100068796A (ko) 2008-12-15 2008-12-15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796A true KR20100068796A (ko) 2010-06-24

Family

ID=4236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274A KR20100068796A (ko) 2008-12-15 2008-12-15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7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287A (ko) * 2010-12-28 2012-08-07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WO2013086050A1 (en) * 2011-12-05 2013-06-13 Zoosk,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nearby, compatible users
KR20190029132A (ko) * 2017-09-12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287A (ko) * 2010-12-28 2012-08-07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WO2013086050A1 (en) * 2011-12-05 2013-06-13 Zoosk,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nearby, compatible users
KR20190029132A (ko) * 2017-09-12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호출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6928A1 (en) Collaborative personal assistant system for delegating provision of services by third party task providers and method therefor
CN108886487B (zh) 一种用于处理对话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0762299B1 (en) Conversational understanding
US9589149B2 (en) Combining personalization and privacy locally on devices
CA2898048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selection of contextual dashboards
EP3111357B1 (en) Accelerated training of personal daemons
US107268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ding to inquiries based on social graph information
US11263208B2 (en) Context-sensitive cross-lingual searches
Afrouz The nature, patterns and consequences of technology-facilitated domestic abuse: A scoping review
EP35061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40143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Personal Assistant In An Electronic Network
US9344518B2 (en) Facilitation of social interactions
JP2017534130A (ja) モバイルオファーをターゲティングおよび通信するための技術
Loeb et al. Information filtering and personalization: Context, serendipity and group profile effects
CN106133767A (zh) 提供共享用户体验以支持通信
US2022035797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implement microapps in digital workspaces
Khazraee et al. Evolving repertoires: Digital media use in contentious politics
KR20100068796A (ko) 장소 및 사회적 관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소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81407B2 (ja) 推薦者選定システム、推薦者選定方法および推薦者選定プログラム
CN113241070A (zh) 热词召回及更新方法、装置、存储介质和热词系统
Daraghmi et al. Pmr: Personalized mobile restaurant system
US11494440B1 (en) Proactive and reactive suggestions for a messaging system
US20220261448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device, information recommendation system,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mmendation program
Castro Garrido et al. OBCAS: an agent-based system and ontology for mobile context aware interactions
Chen et al.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Human-Internet of Things (IoT) Interaction in the Era of Ambient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