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739A -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739A
KR20100068739A KR1020080127196A KR20080127196A KR20100068739A KR 20100068739 A KR20100068739 A KR 20100068739A KR 1020080127196 A KR1020080127196 A KR 1020080127196A KR 20080127196 A KR20080127196 A KR 20080127196A KR 20100068739 A KR20100068739 A KR 2010006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ssembly
signal
port
unit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739A/ko
Publication of KR2010006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된 포선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부품 조립체와 결합하는 보드 형상의 부품 조립체 장착부; 논리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논리 신호를 이용하여 부품 조립체 장착부에 구비되는 제1 포트와 스위칭 연결되는 신호 발생부; 및 부품 조립체 내부에 단락 또는 단선이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신호 발생부와 스위칭 연결되지 않은 부품 조립체 장착부의 나머지 포트와 스위칭 연결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하고 밀집도가 높은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단선 여부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자동 점검에 따라 점검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단락/단선 위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검색함으로써 신뢰성 확보도 가능하다.
포선, 단락 점검, 단선 점검, 포선표,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 부품 조립체, 커넥터 조립체, 케이블 조립체

Description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condition of conductive line of component assembly}
본 발명은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조립체에 구비되는 부품들 간에 배선된 포선의 도선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는 도선 상태 점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100)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커넥터(110)를 구비하며, 도 1의 (b)에 도시된 포선표에 따라 커넥터들 간에 와이어(wire)로 포선(wrapping) 작업하여 구성한다. 방산이나 민수(民需)에 적용되는 여러 개의 하부 장치를 가지는 일반적인 시스템의 경우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100)로 연결되어 신호 라인을 연동한다.
그런데, 각각의 커넥터가 수십~수백개의 핀을 가지며 구비된 핀들을 통해 많은 다른 커넥터들과 연결될 경우, 매우 복잡하게 포선되어 있는 와이어들로 인해 커넥터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육안으로 판별하기란 불가능하다.
이에, 종래에는 점검 요원이 테스터(tester)를 사용하여 포선의 단락이나 단선을 일일이 점검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였다. 그러나, 이러 한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일례를 들어 이를 설명한다.
점검 요원이 도 1의 (b)와 같은 포선표를 이용하여 1번 커넥터-1번 핀의 도통/절연 테스트를 수행한다고 가정하자. 커넥터 조립체에는 모두 26개의 커넥터가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가 104개의 핀을 구성하고 있다고 하면, 1번 커넥터-1번 핀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점검 요원이 아래 계산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703번의 테스트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계산식 1]
Pin P1-1(1번 커넥터-1번 핀)에 대해 테스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횟수 = 103(Pin P1-2 ~ Pin P1-104의 개수) + 25 x 104(Pin P2-1 ~ Pin P26-104의 개수) = 2703
상기에서, Pin Px-y에서 x는 커넥터 넘버, y는 각 커넥터의 핀 넘버이다.
따라서, 점검 요원이 커넥터 조립체에 단락되거나 단선된 포선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67575(=25x2703)번의 테스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게다가, 점검하는 데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며, 반복 작업으로 인한 체크 누락 가능성도 매우 높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는 포선 상태를 정확히 점검하기 어려워 불량 여부를 찾는 것이 쉽지 않고 점검에 대한 신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시스템 단계의 시험시 예상치 않은 오류로 장치의 손상 또는 개발 기간의 지연으로 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부를 부품 조립체(ex. 커넥터 조립체)의 특정 포트에 연결시키고 신호 검출부를 부품 조립체의 나머지 포트에 연결시켜 상기 특정 포트와 상기 나머지 포트 간의 단락/단선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 조립체와 결합하는 보드 형상의 부품 조립체 장착부; 논리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논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에 구비되는 제1 포트와 스위칭 연결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부품 조립체 내부에 단락 또는 단선이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신호 발생부와 스위칭 연결되지 않은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의 나머지 포트와 스위칭 연결되는 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 장치는 상기 신호 발생부가 발생시킨 신호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신호를 미리 저장한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나머지 포트 간의 단락 또는 단선을 판별하는 도선 상태 판별부 또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의 접속을 허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 장치는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및 메모리 기능을 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와 연동하여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가 판별한 결과 또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를 통해 검색한 상기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 또는 단선의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가 판별시 이용하는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나 웹을 통해 상기 테이블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와 결합하는 부품 조립체는 적어도 두개의 커넥터를 연결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또는 적어도 두 가닥의 케이블이 내설된 케이블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논리 신호로 TTL 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는 상기 부품 조립체의 포트들과 일대일 결합하게 동수의 포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에 구비되는 컴포넌트들은 상호 내선 연결되며 일표면으로부터 상방 돌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일대일 포트 결합을 통해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 장치에 상기 부품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신호 발생부가 논리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논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발생부를 상기 부품 조립체의 제1 포트와 스위칭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신호 발생부와 스위칭 연결되지 않은 상기 부품 조립체의 나머지 포트를 신호 검출부에 스위칭 연결 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미리 저장한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나머지 포트 간의 단락 또는 단선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 장치는 외부 기기의 접속을 허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가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검 장치는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및 메모리 기능을 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판별 결과 또는 상기 판별을 통해 검색한 상기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 또는 단선의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나 웹을 통해 상기 테이블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부를 부품 조립체(ex. 커넥터 조립체)의 특정 포트에 연결시키고 신호 검출부를 부품 조립체의 나머지 포트에 연결시켜 상기 특정 포트와 상기 나머지 포트 간의 단락/단선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복잡하고 밀집도가 높은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단선 여부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점검에 따라 점검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인력의 투입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단락/단선 위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검색함으로써 신뢰성 확보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선 상태 점검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선 상태 점검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는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 스위칭부(220), 신호 발생부(230), 신호 검출부(240), 도선 상태 판별부(250), 표시부(260), 메모리부(270), 전원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는 부품 조립체의 각 부품들을 연결시키도록 배선된 포선들의 도선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는 장치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커넥터 조립체를 부품 조립체의 예로 들어 설명한다. 부품 조립체의 예로는 케이블 조립체도 가능하다.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는 부품 조립체와 체결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장착판 또는 보드(board) 형태로 구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0)를 부 품 조립체 장착부(210)에 장착시키면 커넥터 조립체(100)의 커넥터들과 모든 핀들은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각 포트들과 연결된다.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모든 포트들은 도면부호 300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부(220)를 통해 상호 내선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310은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에 구비되는 포트(port)를 의미한다. 포트(310)는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위칭부(220)는 스위칭(switching) 기능을 통해 상호 내선 연결된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각 포트들을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연결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부(220)의 이러한 스위칭 기능은 신호 발생부(230)가 발생시킨 신호에 의해 일어난다.
신호 발생부(230)는 스위칭 구성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신호 발생부(230)가 발생시키는 신호는 논리 신호인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이다. TTL 신호는 통상 0V~5V 사이의 전압을 의미한다. 이러한 TTL 신호에 따라 회로는 0V를 "0" 또는 "LOW"로 해석하며, 5V를 "1" 또는 "HIGH"로 해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신호 발생부(230)가 발생시킨 TTL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220)가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위칭부(220)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스위칭부(220)가 스위치 없이 구현된다면 스위칭부(220)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스위칭부(220)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위칭 회로로써 구현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230)는 TTL 회로와 같은 신호 모의 회로로써 구현할 수 있다.
신호 검출부(240)는 신호 발생부(230)와 마찬가지로 스위칭부(220)에 연결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신호 검출부(240)는 신호 발생부(230)에 연결되지 않은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포트에 연결된다. 신호 검출부(240)는 이를 통해 포선의 단락 또는 단선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선 상태 판별부(250)는 신호 발생부(230), 신호 검출부(240) 등과 연동한다. 신호 발생부(230)가 스위칭 구성을 통해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특정 포트와 연결되고 소정의 시간경과 후 신호 발생부(230)가 발생시킨 신호가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를 통과하여 신호 검출부(240)에서 검출되면 도선 상태 판별부(250)는 검출된 신호를 토대로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즉, 부품 조립체 내부에 단락 또는 단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도선 상태 판별부(250)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포선표를 이용한다.
도선 상태 판별부(250)의 도선 상태 판별 방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선표에 따르면 Pin P1-1이 Pin 1-2, Pin P1-5, Pin P1-10, …, Pin P1-104 등에 연결된다. 신호 발생부(230)가 TTL 신호를 이용하여 Pin P1-1하고만 연결되고 Pin P1-1로 계속 신호를 보낸다. 이후, Pin P1-1을 제외한 나머지(즉, Pin P1-2 ~ Pin P1-104)와 연결된 신호 검출부(240)가 Pin P1-2, Pin P1-10, …, Pin P1-104 등에서 검출한다. 이상의 과정에 따라, 도선 상태 판별부(250)는 Pin P1-5가 단선 또는 단락된 것으로 판별한다.
표시부(260)는 도선 상태 판별부(250)가 판별한 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60)의 표시 방법은 화면 디스플레이(ex. LCD)가 일반이나, 음성 등을 통해 표시(ex. 스피커)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260)는 도선 상태 판별부(250)를 통해 검색한 부품 조립체(100) 내부의 단락 또는 단선의 위치도 표시한다.
메모리부(270)가 포선표(또는 포선 테이블)를 저장함은 이미 언급하였다. 메모리부(270)는 이외에도 도선 상태 판별부(250)가 판별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부(280)는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가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들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외부 시스템(3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일측에 인터페이스 모듈(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시스템(330)이 부품 조립체(100)의 도선 상태 판별, 판별 결과의 표시, 판별을 위한 데이터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는 도선 상태 판별부(250), 표시부(260), 메모리부(270)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가 인터페이스 모듈(320)을 구비할 경우, 메모리부(270)는 인터페이스 모듈(320)을 통해 접속하는 외부 시스템(330)이나 웹(web)을 통해 포선표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선 상태 점검 장치(200)를 이용한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조립체의 도 선 상태 점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4를 참조한다.
먼저, 부품 조립체(100)를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에 장착시킨다(S400). 이후, 신호 발생부(230)가 스위칭 구성을 위한 TTL 신호를 발생시키며, 스위칭부(220)를 통해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특정 포트와 연결된다(S410). 이때, 신호 검출부(240)는 신호 발생부(230)와 연결된 포트를 제외한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의 나머지 포트들과 연결된다(S420).
소정 시간 경과후, 신호 발생부(230)가 발생시킨 신호가 부품 조립체 장착부(210)를 통과하면 신호 검출부(240)는 이 신호를 검출한다(S430). 그러면, 도선 상태 판별부(250)는 검출된 신호를 포선표와 비교하여 부품 조립체(100)의 도선 상태를 판별한다(S440). 판별 결과는 표시부(260)에 표시되며, 메모리부(270)에 저장된다(S4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하고 밀집도가 높은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단선 여부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자동 점검에 따라 점검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단락/단선 위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검색함으로써 신뢰성 확보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장치는 시스템 별로 개발 단계에서 최적화하여 설계, 시스템 개발 주기 단축, 개발된 시스템 양산시 적용되는 포선/케이블 시험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장치는 포선 도통 절연 점검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와 포선표에 대한 일실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선 상태 점검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선 상태 점검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도선 상태 점검 장치 210 : 부품 조립체 장착부
220 : 스위칭부 230 : 신호 발생부
240 : 신호 검출부 250 : 도선 상태 판별부
260 : 표시부 270 : 메모리부
280 : 전원부 290 : 제어부
310 : 포트 320 : 인터페이스 모듈
330 : 외부 시스템

Claims (10)

  1. 부품 조립체와 결합하는 보드 형상의 부품 조립체 장착부;
    논리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논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에 구비되는 제1 포트와 스위칭 연결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부품 조립체 내부에 단락 또는 단선이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신호 발생부와 스위칭 연결되지 않은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의 나머지 포트와 스위칭 연결되는 신호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가 발생시킨 신호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신호를 미리 저장한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나머지 포트 간의 단락 또는 단선을 판별하는 도선 상태 판별부
    또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의 접속을 허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와 결합하는 부품 조립체는 적어도 두개의 커넥터를 연결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또는 적어도 두 가닥의 케이블이 내설된 케이블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논리 신호로 TTL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는 상기 부품 조립체의 포트들과 일대일 결합하게 동수의 포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부품 조립체 장착부에 구비되는 컴포넌트들은 상호 내선 연결되며 일표면으로부터 상방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및
    메모리 기능을 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와 연동하여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가 판별한 결과 또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를 통해 검색한 상기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 또는 단선의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도선 상태 판별부가 판별시 이용하는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나 웹을 통해 상기 테이블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장치.
  7. (a) 일대일 포트 결합을 통해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 장치에 상기 부품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신호 발생부가 논리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논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발생부를 상기 부품 조립체의 제1 포트와 스위칭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신호 발생부와 스위칭 연결되지 않은 상기 부품 조립체의 나머지 포트를 신호 검출부에 스위칭 연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미리 저장한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나머지 포트 간의 단락 또는 단선을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장치는 외부 기기의 접속을 허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논리 신호로 TTL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장치는,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및
    메모리 기능을 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판별 결과 또는 상기 판별을 통해 검색한 상기 부품 조립체 내부의 단락 또는 단선의 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나 웹을 통해 상기 테이블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 점검 방법.
KR1020080127196A 2008-12-15 2008-12-15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68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196A KR20100068739A (ko) 2008-12-15 2008-12-15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196A KR20100068739A (ko) 2008-12-15 2008-12-15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739A true KR20100068739A (ko) 2010-06-24

Family

ID=4236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196A KR20100068739A (ko) 2008-12-15 2008-12-15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7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5859B (zh) 手机单板的测试系统及方法
US8395393B2 (en) Cable test method
CN103983884A (zh) 多芯线缆测试系统及方法
JP2009003587A (ja) 試験装置、試験カード、試験システム
KR101803438B1 (ko) 멀티 기능 케이블 시험장비
CN112067970A (zh) 一种带校验功能的板件智能测试系统
JP4930705B2 (ja) 構造化配線システムおよびパッチング方法
US7439870B2 (en) Apparatus for testing cables
CN101963641B (zh) 一种导线束检测系统
CN107271854B (zh) 一种双冗余等电位电缆网混线测试装置及测试方法
JP6317917B2 (ja) 導通検査ユニット
CN106033093A (zh) 测试辅助装置
CN208421123U (zh) 一种高密度电气接插件装配短路测试装置
KR20100068739A (ko) 부품 조립체의 도선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203479945U (zh) 航插接口测试装置
KR101950011B1 (ko) 자동시험장비 내 스위칭 장치 검증 시스템
CN104422844A (zh) 航插接口测试装置
TWI334029B (en) A tester for open or short of cable
KR102601061B1 (ko) 브레이크 아웃 박스
CN113341295B (zh) 一种测试治具和测试系统
KR20150062744A (ko) 차량 및 엔진 점검 방법 및 장치
CN214201561U (zh) 一种用于计量自动测试设备的可移动测量装置
US11435400B1 (en) Test coverage rate improvement system for pins of tested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of
CN112816804B (zh) 一种高集成度的脉冲测试装置
CN110489280B (zh) Usb连接端口测试系统及动态测试usb连接端口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