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104A -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104A
KR20100068104A KR1020080126821A KR20080126821A KR20100068104A KR 20100068104 A KR20100068104 A KR 20100068104A KR 1020080126821 A KR1020080126821 A KR 1020080126821A KR 20080126821 A KR20080126821 A KR 20080126821A KR 20100068104 A KR20100068104 A KR 20100068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alcohol
raw material
producing
gel
low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997B1 (ko
Inventor
유학철
서영범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주)페가서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가서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페가서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08012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97B1/ko
Priority to PCT/KR2009/007413 priority patent/WO2010068054A2/ko
Publication of KR2010006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B01J13/0065Preparation of gels containing an organic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30Organic compounds compounds not mentioned before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은 홍조류를 티오우레아 또는 안트라퀴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에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침지하여 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은 추출된 젤을 열분해 하는 단계 또는 추출된 젤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 물질을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알코올 발효 미생물로 발효시켜 바이오알코올, 특히 바이오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는 알코올 발효 미생물의 독성 물질인 푸르푸랄(Furfural) 또는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농도가 매우 낮아서 바이오알코올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수 있고, 추출된 젤은 추출 과정에서 100℃ 이상의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열분해 단계를 거치는 경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추출된 젤을 저분자화 시킬 수 있다.
홍조류, 바이오알코올, 티오우레아, 안트라퀴논, 열분해, 바이오에탄올, 푸르푸랄, Furfural

Description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Method fod preparing bioalcohol raw material with low concentration of toxic substance from Rhodophyta and method for preparing bioalcohol}
본 발명은 홍조류로부터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발효시켜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와 에너지안보, 온실가스 규제강화를 배경으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전지구적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차세대 연료로서 바이오에탄올(Bioethanol)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2017년까지 석유소비를 20% 줄이는 대신 바이오에탄올 등 대체에너지 이용을 확대하겠다고 천명했으며, 일본·중국·아세안 국가도 바이오에탄올 생산확대 정책을 추진 중이다.
바이오에탄올은 사탕수수, 옥수수 등 식물에서 추출한 연료로, 휘발유와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자동차연료로 투입될 수 있어 바이오디젤과 더불어 대표적인 재 생자원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바이오에탄올은 수입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주는 것은 물론, 에탄올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한 온실가스 계산에서 예외 적용을 받아 온실가스 감축효과도 올릴 수 있다. 또한 보급에 별도의 인프라(충전소 등) 구축이 필요한 다른 청정연료와는 달리 기존 인프라(주유소)에서 보급이 가능해 조기 상용화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바이오에탄올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에탄올의 생산량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에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하여 주로 옥수수, 밀, 감자, 고구마와 같은 전분질계 물질과 왕겨, 옥수수대, 폐목재 같은 목질계 물질을 사용하였다.
전분질계 물질을 구성하는 전분은 여러개의 당 성분이 사슬처럼 엮여 있는 다당류로서, 여기에 효소나 산성 화학물질을 넣으면 사슬이 끊어져 단당류가 되고, 이렇게 얻은 단당류에 미생물을 넣고 발효시키면 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바이오에탄올이 대체에너지로 부상하면서 원료가 되는 옥수수, 사탕수수, 밀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 곡물가격 급등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브라질, 미국, 캐나다의 에탄올 생산업체들은 주로 옥수수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고 있어서, 바이오연료의 생산확대는 옥수수 수요의 증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옥수수 수요의 증대는 축산·양계 농가 및 곡물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음·식료품업체 등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결과적으로 식품, 축산품 전반의 소비자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저개발국에서는 식량으로 쓸 농작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먹는 농작물을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로 쓰는 것을 윤리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목질계 물질을 구성하는 섬유소, 즉 셀룰로오스 또한 여러개의 글루코오스가 사슬처럼 엮여있는 다당류로서, 여기에 효소를 넣으면 사슬이 끊어져 단당류인 글루코오스가 되고, 이렇게 얻은 글루코오스에 미생물을 넣고 발효시키면 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목질계 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리그닌 성분은 단당류로 쪼갤 수 없어서 불순물로 남게 되고, 리그닌을 제거하기 위해 화학약품을 넣거나 열을 가하는 경우 공정이 복잡해지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조류을 원료로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이 현재 연구되고 있다. 해조류는 다시마와 같은 거대조류와 클로렐라와 같은 미세조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성장속도가 빠르고 육상식물과 달리 수심 10~20m 까지 성장하기 때문에 같은 면적에서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양도 월등히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해조류는 식량부족 문제와 경작지의 한계 등에 의해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로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전분질계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디젤은 미세조류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알코올과 산 또는 염기와 혼합하고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생산하고, 바이오에탄올은 거대조류의 다당류를 단당류로 전환하고 효모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로 발효시켜 생산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분질계 물질 또는 목질계 물질을 원료로 이용하여 바이오알코올을 생산하는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조류 중 특히 탄수화물 성분 함량이 높은 홍조류로부터 알코올 발효 미생물에 대한 독성 물질의 농도가 낮은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을 이용하여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홍조류를 티오우레아 또는 안트라퀴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에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침지하여 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은 추출된 젤을 열분해 하는 단계 또는 추출된 젤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 물질을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에서 추출용매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티오우레아의 경우 1.0~10.0 %(w/w)이거나, 안트라퀴논의 경우 0.1~1.0 %(w/w)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젤을 추출하는 단계의 농도는 120~180℃ 의 범위에서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130~16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분해 단계의 온도는 180~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분해에 단계에 의해 추출된 젤은 저분자화 된다. 효소 처리 단계에서 효소는 한천분해효 소(Agarase)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에서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젤은 잔사와 분리되고, 추출된 젤은 열분해 단계 또는 효소 처리 단계를 거친 후 알코올 발효 미생물에 의해 바이오알코올로 전환된다. 또한, 추출된 젤과 분리된 잔사는 표백제로 표백처리 하는 단계, 특히 이산화염소 처리 및 과산화수소 처리를 거쳐 제지 생산을 위한 펄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알코올 발효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는 독성 물질인 푸르푸랄(Furfural) 또는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알코올 발효 미생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바이오알코올, 특히 바이오에탄올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는 알코올 발효 미생물의 독성 물질인 푸르푸랄(Furfural) 또는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농도가 매우 낮아서 바이오알코올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수 있고, 추출된 젤은 추출 과정에서 100℃ 이상의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열분해 단계를 거치는 경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추출된 젤을 저분자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은 젤의 추출과정이 120℃ 이상의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잔사가 검은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잔사를 표백처리 하는 단계에서의 표백제 사용량을 최소화 시킬수 있고, 추출용매로 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잔사의 강도가 유지되어 잔사로부터 제조된 펄프의 수율을 높일수 있다.
본 발명은 홍조류로부터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발효시켜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홍조류로부터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로서,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젤 추출 단계
젤을 추출하는 단계는 홍조류를 티오우레아[Thiourea, CS(NH2)2] 또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C14H8O2]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에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침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홍조류는 바람직하게는 물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치는데, 홍조류의 특성에 따라 물로 세척하기 전에 알칼리 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시키거나, 산성용액에 일정시간 침지시키는 단계를 더 거칠수 있다. 사용되는 홍조류의 종류로는 꼬시래기, 우뭇가사리, 코토니, 스피노섬 등이 있고, 특히 우뭇가사리는 20~30%의 섬 유소와 65~68%의 우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우무는 본 발명의 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젤을 형성하는 성분이다.
젤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용매로 티오우레아 또는 안트라퀴논을 사용하는 경우, 젤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알코올 발효 미생물의 독성 물질인 푸르푸랄(Furfural) 또는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농도가 매우 낮아서, 미생물의 알코올 발효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푸르푸랄(Furfural)은 나일론합성에 사용되거나 살충제로 사용되는 헤테로고리알데히드의 한 종류로서, 귀리의 겉껍질이나 보릿짚 등을 가압하여 수증기로 처리하거나, 묽은 황산 또는 염산으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또한 티오우레아 또는 안트라퀴논은 젤의 추출과정이 120℃ 이상의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잔사가 검은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잔사를 표백처리 하는 단계에서의 표백제 사용량을 최소화 시킬수 있고, 산성이 아니기 때문에 추출된 젤과 분리된 잔사의 강도가 유지되어 잔사로부터 제조된 펄프의 수율을 높일수 있다.
추출용매의 농도는 추출된 젤의 수율과 경제성을 고려할때 바람직하게는 티오우레아의 경우 1.0~10.0 %(w/w)이거나, 안트라퀴논의 경우 0.1~1.0 %(w/w)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용매의 농도에서 젤을 추출하는 단계의 농도는 120~180℃ 의 범위에서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130~16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시간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대략 2시간 내외가 적당하다.
열분해 단계
티오우레아 또는 안트라퀴논 추출용매을 사용하여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젤은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당 성분이 사슬처럼 엮여 있는 다당류로 존재하고, 구체적으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된 젤은 갈락탄이라는 다당류로 존재한다. 이러한 다당류가 알코올 발효 미생물에 직접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단당류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당류를 단당류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는 산 분해 방법, 효소 분해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홍조류로부터 젤을 추출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130~160℃에서 이루어지고, 젤 추출액의 온도는 대략 100℃ 이상이다. 상기의 젤 추출액에 내포된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추출된 젤을 열분해하여 저분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된 젤은 열분해 단계에 의해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저분자 물질로 변환되고, 단당류의 종류로는 갈락토오스, 퓨코오스등이 있다.
열분해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젤 추출 단계로부터 얻어진 젤 추출액은 잔사와 분리되고 고압펌프에 의해 코일 형태의 열 교환 파이프를 가진 반응기를 통과하게 된다. 열분해 단계의 온도는 180~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분해 시간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1~20분이 적당하다.
효소 분해 단계
추출된 젤이 열분해 단계에 의해 모두 단당류로 전환되는 경우 효소 분해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나, 일부만이 단당류로 전환되고 나머지가 이당류 내지 올리고당으로 존재하는 경우 효소 분해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 부분의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젤은 한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되는 효소로는 한천분해효소(Agarase)가 바람직하다.
알코올 발효 단계
알코올 발효 단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알코올 발효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단계로서, 사용되는 발효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알코올의 종류로는 에탄올, 부탄올 등이 있으나, 알코올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할 때 에탄올인 것을 바람직하다. 에탄올 발효 미생물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브레타노마이세스(Brettanomyces) 등이 있다.
잔사 처리 공정
본 발명의 바이오알코올 원료 제조방법에서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젤은 잔사와 분리되고, 추출된 젤은 열분해 단계 또는 효소 처리 단계를 거친 후 알코올 발효 미생물에 의해 바이오알코올로 전환된다. 또한, 추출된 젤과 분리된 잔사는 표백제로 표백처리 하는 단계, 특히 이산화염소 처리 및 과산화수소 처리를 거쳐 제지 생산을 위한 펄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산화염소를 사용하여 표백하는 ECF(Element Chlorine Free) 공정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과산화수소에 의한 표백을 거치면 제지에 사용될 수 있는 백색도를 가진 펄프가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젤 추출액의 제조
우뭇가사리를 특정 추출용매에 침지하고 특정 온도에서 2시간동안 젤을 추출하였다. 표 1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추출용매, 추출온도 및 그에 따른 추출액 수율, 추출액 형태, 추출액 농도, 환원당 농도를 나타내었고, 표2에 그에 따른 푸르푸랄(Furfural) 농도,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 농도, 잔사의 이산화 염소 및 과산화수소 표백 용이도, 비교예 1을 기준으로 한 펄프의 수율 증가도, 펄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구분 추출용매
(농도,w/w %)
추출온도
(℃)
추출액 수율
(%)
추출액 형태
(20℃ 기준)
추출액 농도
(w/w %)
환원당 농도
(w/w %)
실시예1 안트라퀴논, 0.3% 140 53.5 액체 6.06 2.23
실시예2 안트라퀴논, 0.5% 140 53.4 액체 7.61 2.52
실시예3 티오우레아, 3% 140 52.3 액체 7.5 2.05
실시예4 티오우레아, 5% 140 60.2 액체 7.79 2.53
비교예1 청수 120 41.5 3.82 0.53
비교예2 청수 140 52.3 액체 5.54 1.25
비교예3 청수 160 62.3 액체 8.71 2.23
비교예4 청수 180 66.4 액체 12.2 2.58
비교예5 티오황산나트륨, 3% 140 55.3 액체 7.78 2.22
비교예6 티오황산나트륨, 5% 140 57.2 액체 8.04 2.66
비교예7 황산 0.2% 120 58.8 액체 8.04 1.22
비교예8 황산 0.5% 120 62.2 액체 8.85 1.05
비교예9 황산 0.2% 140 67.3 액체 8.24 2.35
비교예10 황산 0.5% 140 66.5 액체 8.59 2.2
구분 푸르푸랄 농도, ppm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농도, ppm 표백 용이도 펄프 수율 증가도(%) 펄프 특성(백색도, 인장강도 기준)
실시예1 7.34 188.6 용이 27.2 우수
실시예2 7.48 184.6 용이 29.5 우수
실시예3 14 325 용이 28.9 우수
실시예4 16 483 용이 32.3 우수
비교예1 237 1225 용이 0 우수
비교예2 335 1056 어려움 - -
비교예3 289 1128 어려움 - -
비교예4 423 1536 어려움 - -
비교예5 24 878 용이 22.1 우수
비교예6 27 945 용이 24.1 우수
비교예7 283 983 용이 -8.7 우수
비교예8 225 1058 용이 -9.2 우수
비교예9 351 1354 어려움 - -
비교예10 480 1398 어려움 - -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안트라퀴논과 티오우레아를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추출용매에 비해 푸르푸랄(Furfural)이나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발생이 적고 펄프 수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표 2에서 "-"으로 표시된 부분은 젤 추출 단계에서 잔사가 검게 변하고 그에 따른 표백이 어려워 펄프로 제조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안트라퀴논과 티오우레아는 젤 추출 단계의 추출온도가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잔사가 검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표백이 용이하고 잔사가 보호되므로 펄프의 백색도 및 인장강도 특성이 우수하고 푸르푸랄(Furfural)이나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홍조류로부터 연료용알코올 원료를 제조하고 동시에 잔사로부터 펄프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티오황산나트륨의 경우 120℃를 초과하는 추출온도에서 잔사가 검게 변하는 것을 억제하는 특징을 가지나 푸르푸랄(Furfural)이나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이 다소 높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청수나 황산은 120℃를 초과하는 추출온도에서 잔사가 검게 변하여 잔사가 보호되지 못하고 푸르푸랄(Furfural)이나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의 농도도 현저하게 높아 홍조류로부터 연료용알코올 원료를 제조하고 동시에 잔사로부터 펄프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젤 추출액의 열분해
젤 추출액을 205℃에서 15분간 열분해 하였다. 열분해 된 젤 추출액의 환원당 농도, 푸르푸랄(Furfural) 농도,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 농도는 열분해 되기 전에 비해 모두 증가하였으나, 실시예와 비교예의 상대적은 값은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열분해 된 젤 추출액의 에탄올 발효
열분해된 젤 추출액에 한천분해효소(Agarase)를 첨가하여 추가로 분해하고, 추가로 분해된 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발효시켰다. 가스크래마토 그래피를 이용하여 발효액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홍조류로부터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바이오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Claims (13)

  1. 홍조류를 티오우레아 또는 안트라퀴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에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침지하여 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된 젤을 열분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티오우레아의 농도가 1.0~10.0 %(w/w) 이거나, 상기 안트라퀴논의 농도가 0.1~1.0 %(w/w)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젤을 추출하는 단계의 온도는 130~1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단계의 온도는 180~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독성물질은 푸르푸랄(Furfural) 또는 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 Methyl Furfur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젤은 열분해 단계에 의해 저분자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추출된 젤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 물질을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한천분해효소(Agar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된 젤을 잔사와 분리하고, 상기 잔사를 표백제로 표백처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백처리 하는 단계는 이산화염소 처리 및 과산화수소 처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12. 제 2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알코올 원료를 알코올 발효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20080126821A 2008-12-12 2008-12-12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03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21A KR101032997B1 (ko) 2008-12-12 2008-12-12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PCT/KR2009/007413 WO2010068054A2 (ko) 2008-12-12 2009-12-11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21A KR101032997B1 (ko) 2008-12-12 2008-12-12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104A true KR20100068104A (ko) 2010-06-22
KR101032997B1 KR101032997B1 (ko) 2011-05-09

Family

ID=4224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821A KR101032997B1 (ko) 2008-12-12 2008-12-12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2997B1 (ko)
WO (1) WO201006805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86B1 (ko) * 2012-03-12 2013-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천 및 카라기난 분해능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985B (zh) * 2012-06-29 2016-05-11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以红藻生物质为原料生产糠醛和/或5-羟甲基糠醛的方法
CN107189827A (zh) * 2017-06-30 2017-09-22 合肥慧明瀚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生产液体燃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5761A (ko) 1972-02-14 1973-11-13
KR100811193B1 (ko) 2005-10-12 2008-03-17 (주)페가서스인터내셔널 홍조류로 제조된 펄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1196B1 (ko) * 2005-10-12 2008-03-17 (주)페가서스인터내셔널 외피가 두꺼운 홍조류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
KR100811194B1 (ko) * 2005-10-12 2008-03-17 (주)페가서스인터내셔널 홍조류로부터 내부 젤 추출물 함량이 높은 펄프를 제조하는방법
KR100811184B1 (ko) 2005-10-21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우터 인코더 및 그 방법
TW200836755A (en) 2007-03-14 2008-09-16 Univ Nat Taiwan Ocean Marine algae extract comprising low degree of polymerization marine algae polysaccharide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86B1 (ko) * 2012-03-12 2013-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천 및 카라기난 분해능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8054A3 (ko) 2010-09-10
WO2010068054A2 (ko) 2010-06-17
KR101032997B1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426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 방법
KR100908425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제조용 고압 액화 추출물 및이의 제조방법
Hughes et al. Utilization of inulin-containing waste in industrial fermentations to produce biofuels and bio-based chemicals
KR100866032B1 (ko) 맥주발효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
Singh et al. Assessment of different pretreatment technologies for efficient bioconversion of lignocellulose to ethanol
KR100965851B1 (ko) 팝핑법을 이용한 리그노셀룰로스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당화합물 및 바이오에탄올의생산방법
Eixenberger et al. Tropical agroindustrial biowaste revalorization through integrative biorefineries—review part II: pineapple, sugarcane and banana by-products in Costa Rica
CN109112172B (zh) 一种微生物酶解糖化秸秆的方法
KR101083608B1 (ko)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해조류로부터 바이오 연료의 제조방법
KR101438549B1 (ko) 산성 이온성 액체를 촉매로 이용한 해조류 유래 당화액의 제조 방법
CN101942485B (zh) 一种汽爆秸秆木糖发酵丙酮丁醇及提取剩余物的方法
KR101032997B1 (ko) 홍조류로부터 저농도의 독성 물질을 가진 바이오알코올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알코올의 제조방법
Mishra et al.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fruit waste
CN109182418B (zh) 一种微生物酶解糖化秸秆的方法
Deshavath et al. Curtailing citrate buffer inhibition effect on S. cerevisiae to enhance the fermentability of cellulosic hydrolysate
JP2009291154A (ja) バイオエタノールの製造方法
KR101010183B1 (ko) 홍조류를 이용한 당화합물 및 바이오에탄올의 생산방법
Salih et al.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pineapple rinds by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using Saccharomycescerevisiae
Vázquez et al. Characteriz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and Processing for Second‐Generation Sugars Production
KR101511370B1 (ko) 식물성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 방법
Bedő Utilisation of agro-industrial residues to produce value-added products in sugar-platform biorefinery approach
CN105420294A (zh) 一种混醇汽油及其生产方法
Prado et al. Integrated Production of Ethanol from Starch and Sucrose
Firsty et al. Screening of Ligninolytic Fungi and Optimization of Pretreatment Process for Bioethanol Production from Empty Palm Oil Bunches (OPEFB)
KR101361146B1 (ko) 그물말 과 조류로부터의 바이오에탄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