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077A - 전동 잭 - Google Patents

전동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077A
KR20100068077A KR1020080126771A KR20080126771A KR20100068077A KR 20100068077 A KR20100068077 A KR 20100068077A KR 1020080126771 A KR1020080126771 A KR 1020080126771A KR 20080126771 A KR20080126771 A KR 20080126771A KR 20100068077 A KR20100068077 A KR 2010006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tor
electric jack
pillar
ou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관
Original Assignee
이은관
(주)케이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관, (주)케이비시스템 filed Critical 이은관
Priority to KR102008012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077A/ko
Publication of KR2010006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2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multiple or change-speed 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잭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을 정비함에 있어 차량의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한 전동 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잭은 내부가 빈 구조의 외측유닛과, 상기 외측유닛의 안쪽에 위치하며 외주면은 상기 외측유닛의 내주면과 나사체결된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유닛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동 잭, 차량, 외측유닛, 내측유닛, 모터

Description

전동 잭{Electric Jack}
본 발명은 전동 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을 들어올려 정비함에 있어 차량의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차량을 점검하거나 특히 타이어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 차량을 들어올린 후에 차량 저면의 각종 부품을 점검하거나 또는 타이어를 교체한다. 정비소에서는 차량을 전동식 리프터로 들어올릴 수 있으나, 정비소를 갈 수 없는 상태에서 타이어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차량에 비치된 잭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린다.
하지만, 종래의 잭은 수동식으로서 차량을 들어올리기 위해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잭의 손잡이를 수동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힘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한 전동 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잭은 내부가 빈 구조의 외측유닛과, 상기 외측유닛의 안쪽에 위치하며 외주면은 상기 외측유닛의 내주면과 나사체결된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유닛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내측부재는, 내부가 빈 구조인 내측유닛과, 상기 내측유닛의 안쪽에 위치하는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유닛의 내주면이 나사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유닛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구조로서, 개방된 상단에는 너트가 고정되고, 상기 내측유닛의 외주면에는 수나사 가공되어 상기 너트와 나사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유닛의 하단에는 상기 너트와 간섭되는 걸림턱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하우징에 감싸인 상태로, 상기 외측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외측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외측유닛의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에 위치한 내부유닛의 상단에는 차량 받침대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에서 연장된 케이블에는 시거잭이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잭은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장치로서, 어디에서든 전동잭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려 바로 정비 및 타이어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잭은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잭은 나사체결방식으로서, 작은 동력의 모터로도 중량의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잭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잭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 시된 전동 잭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동 잭이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 잭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잭(100)은 하부에 모터(120)를 수용한 하우징(110)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외측유닛(13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유닛(130)의 내부에는 상기 외측유닛(130)의 상부로 돌출되어 나오거나 들어가는 내측부재가 위치하는데, 상기 내측부재는 내측유닛(140)과 상기 내측유닛(1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둥(150)으로서, 상기 기둥(150)의 상단에 받침대(151)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내측유닛(140) 및 상기 기둥(150)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전동 잭(100)의 스트로크가 신장되거나 또는 신장된 상태에서 내측유닛(140) 및 기둥(150)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전동 잭(100)의 스트로크가 수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 잭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안쪽에는 모터(120)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은 하우징(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120)의 전압은 DC12V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차량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배터리의 전압이 DC12V이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전압으로 작동될 수 있는 DC12V전압의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외측유닛(130)이 위치하며, 상기 외측유닛(130)과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11)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이 상기 외측유닛(130)의 바닥 중심에 고정되어 모터(120) 에 의해 외측유닛(130)이 회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에는 감속기어박스가 장착되는데, 통상적인 감속기어에 대한 구체적 설명 및 도면에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외측에는 상기 모터(120)의 전원스위치(113)와 회전방향 및 정지를 방향전환스위치(115)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외측유닛(130)은 바닥이 폐쇄된 원통구조로서, 개방된 상단에는 너트(131)가 고정된다. 상기 너트(131)를 대신하여 외측유닛(130)의 상단에는 플랜지가 외측유닛(130)의 상단 안쪽으로 고정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131)를 관통해 위치하는 내측유닛(140)은 외측유닛(130)과 유사한 형태로 원통형 구조이고, 개방된 상단에는 너트(141)가 고정된다. 상기 내측유닛(140)의 너트(141) 또한 앞에서 설명한 외측유닛(130)의 너트(131)와 같은 형태이고, 상기 내측유닛(140)의 너트(141)를 대신하여 플랜지가 내측유닛(140)의 상단 안쪽에 고정되고, 플랜지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측유닛(14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43)가 가공된다. 상기 내측유닛(140)에 가공된 수나사(143)는 외측유닛(130)의 너트(131)에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유닛(140)의 너트(141)에는 기둥(150)이 관통해 위치하며 기둥(15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153)가 가공되어 내측유닛(140)의 너트(141)와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기둥(150)의 상단에는 차량 받침대(151)가 수평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내측유닛(140)이 상기 외측유닛(130)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내측유닛(140)의 하단 외측으로 걸림턱(145)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50)의 하단에도 걸림턱(155)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150)이 내측유닛(140)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모터(120)에는 케이블(121)이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121)의 단부에는 시거잭(123)이 장착된다. 따라서 시거잭(123)을 차량의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여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하우징(110)에 장착된 전원스위치(113)를 온모드로 전환한 후에 방향전환스위치(115)를 눌러 모터(120)의 회전방향을 설정한다. 상기 방향전환스위치(115)의 설정모드는 업모드, 다운모드, 정지모드가 있으며, 업모드를 설정하면 전동 잭(110)의 스트로크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모터(120)가 회전하고, 다운모드를 설정하면 전동 잭(110)의 스트로크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모터(120)가 회전하며, 정지모드를 설정하면 모터(120)는 정지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 잭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동 잭(100)의 시거잭(123)을 전원콘센트에 삽입한다. 그리고 전동 잭(100)을 차량의 저면에 위치하고 전원스위치(113)를 온모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방향전환스위치(115)를 업모드로 전환하면, 모터(120)는 정회전한다.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외측유닛(130)이 회전하고, 내측유닛(140)은 외측유닛(130)과 내측유닛(140)의 나사체결에 따른 마찰에 의해 외측유닛(130)을 따라 회전한다. 이는 기둥(150) 또한 마찬가지이다. 만약 외측유닛(130)과 내측유 닛(140)의 마찰과 상기 내측유닛(140)과 기둥(150)의 마찰이 모터(120)의 회전력에 비해 작다면 나사체결된 부위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내측유닛(140) 및 기둥(150)은 서서히 상승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는 기둥(150) 상단에 고정된 받침대(151)를 손으로 파지하여 기둥(15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기둥(150)은 외측유닛(130) 및 내측유닛(14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기둥(150)이 상승하여 받침대(151)가 차량의 저면에 접하게 되면, 차량의 중량에 의해 받침대(151)는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외측유닛(130)의 회전에 의해 기둥(150) 및 내측유닛(140)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둥(150) 및 내측유닛(140)이 상승하면서 전동 잭(100)이 차량을 들어올린다. 적정한 높이까지 차량이 올려지면 방향전환스위치(115)를 정지모드로 전환하여 모터(120)를 정지시킨다.
한편, 차량이 전동 잭(10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차량을 정비하거나 또는 타이어를 교체하고, 방향전환스위치(115)를 다운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모터(120)는 역회전하게 되고, 모터(120)의 회전축에 고정된 외측유닛(130) 또한 역회전한다. 이때 기둥(150)과 내측유닛(140)은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외측유닛(130)의 역회전에 의해 내측유닛(140)이 외측유닛(130) 내부로 내려오게 된다. 내측유닛(140)이 외측유닛(130) 안쪽 바닥까지 내려가면 외측유닛(130)의 역회전은 내측유닛(140)로 전달되어 기둥(150)이 내측유닛(140) 안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타이어가 지면에 닿아 전동 잭(100)에 가해지던 차량의 중량이 해제되면 작업자는 받침대(151)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 기둥(150) 이 완전하게 내측유닛(140) 안쪽을 들어가도록 한다.
한편, 전동 잭(100)의 스트로크가 최대로 신장되면 기둥(15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55)은 내측유닛(140)의 너트(141) 저면에 접하게 되고, 내측유닛(14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55)은 외측유닛(130)의 너트(131) 저면에 접한다. 이 상태가 전동 잭(100)이 최대로 신장된 상태이다.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측유닛(130), 내측유닛(140), 기둥(150)이 상하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측유닛(140)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전동 잭(100)의 최대 신장길이를 늘릴 수 있으며, 앞에서는 기둥으로 설명하였으나 내측유닛(140)과 닮은 형태의 유닛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잭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잭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동 잭이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 잭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동 잭 110 : 하우징
111 : 스러스트 베어링 113 : 전원스위치
115 : 방향전환스위치 120 : 모터
121 : 케이블 123 : 시거잭
130 : 외측유닛 131 : 너트
140 : 내측유닛 141 : 너트
143 : 수나사 145 : 걸림턱
150 : 기둥 151 : 받침대
153 : 수나사 155 : 걸림턱

Claims (7)

  1. 내부가 빈 구조의 외측유닛(130)과,
    상기 외측유닛(130)의 안쪽에 위치하며 외주면은 상기 외측유닛(130)의 내주면과 나사체결된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유닛(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는,
    내부가 빈 구조인 내측유닛(140)과, 상기 내측유닛(140)의 안쪽에 위치하는 기둥(150)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150)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유닛(140)의 내주면이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유닛(130)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구조로서, 개방된 상단에는 너트(131)가 고정되고, 상기 내측유닛(14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43) 가공되어 상기 너트(131)와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닛(140)의 하단에는 상기 너트(131)와 간섭되는 걸림턱(145)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20)는 하우징(110)에 감싸인 상태로, 상기 외측유닛(13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은 상기 외측유닛(13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외측유닛(130)의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11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50)의 상단에는 받침대(151)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20)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에서 연장된 케이블(121)에는 시거잭(12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잭.
KR1020080126771A 2008-12-12 2008-12-12 전동 잭 KR2010006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771A KR20100068077A (ko) 2008-12-12 2008-12-12 전동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771A KR20100068077A (ko) 2008-12-12 2008-12-12 전동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077A true KR20100068077A (ko) 2010-06-22

Family

ID=4236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771A KR20100068077A (ko) 2008-12-12 2008-12-12 전동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0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3044A (zh) * 2013-12-17 2014-03-0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多级螺旋传动大行程自动顶撑工具
CN104803319A (zh) * 2014-01-29 2015-07-29 孙世梁 螺管套装式伸缩机构
CN109019392A (zh) * 2018-05-31 2018-12-18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螺纹扁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3044A (zh) * 2013-12-17 2014-03-0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多级螺旋传动大行程自动顶撑工具
CN104803319A (zh) * 2014-01-29 2015-07-29 孙世梁 螺管套装式伸缩机构
CN109019392A (zh) * 2018-05-31 2018-12-18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螺纹扁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169B2 (en) Motor operated jack for vehicles
AU2011100614A4 (en) Snap spring assembling device for disc spring
CN101214645A (zh) 单滑道套筒机械手
KR20100068077A (ko) 전동 잭
CN111114657A (zh) 驾驶室翻转机械缸
CN206029330U (zh) 一种可调式钢结构加工卡具
CN205837983U (zh) 一种升降旋转上料机构
CN200940082Y (zh) 电动千斤顶
CN217598239U (zh) 一种升降移动机构、支撑座、可升降平移设备和安检门
CN204376649U (zh) 三相异步电动机轴承分离装置
JP2000198685A (ja) 自動車用のジャッキ装置
CN115031105A (zh) 一种升降移动机构、支撑座、可升降平移设备和安检门
CN212247978U (zh) 一种电动升降地柱的手动升降装置及电动升降地柱
CN210565272U (zh) 一种离心风机用升降支撑装置
GB2427396A (en) Screw jack
CN111390834B (zh) 电动顶杆装置
CN204179062U (zh) 高空换灯器
CN107364405A (zh) 一种机动车辆摄像云台装置
CN110723676A (zh) 一种螺旋升降机
CN111250366A (zh) 一种汽车内饰打蜡设备
KR20060032277A (ko) 높낮이 조절용 액추에이터
CN220149175U (zh) 一种市政施工用井盖起吊装置
CN219484831U (zh) 一种油箱的传感器总成装配装置
CN213834445U (zh) 一种新能源汽车维修用维修辅助装置
CN109318141B (zh) 一种用于紧固件生产用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