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024A -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024A
KR20100068024A KR1020080126672A KR20080126672A KR20100068024A KR 20100068024 A KR20100068024 A KR 20100068024A KR 1020080126672 A KR1020080126672 A KR 1020080126672A KR 20080126672 A KR20080126672 A KR 20080126672A KR 20100068024 A KR20100068024 A KR 2010006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string
row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5545B1 (en
Inventor
김호연
김영원
김두식
최창열
엄보윤
박정현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545B1/en
Publication of KR2010006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input device, device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are provided to assign numbers to a plurality of keys which a plurality of vowels is respectively assigned in a keyboard to reduce moving distance of a hand of a user, thereby improving input speed. CONSTITUTION: A plurality of consonants is respectively assigned to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is formed on a plurality of the first areas from left areas among a plurality of areas of each row in a keyboard(10). A plurality of vowels is respectively assigned to a plurality of vowel keys. A plurality or vowel keys is formed on a plurality of the second areas from right areas among a plurality of areas of each row. The number is assigned to a part of a plurality of vowel keys.

Description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Input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of input characters using same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본 발명은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우정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X-001-03, 과제명: 실시간 우편물류 요소기술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postal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number: 2006-X-001-03, Task name: Real-time postal logistics element technology development].

우편물의 주소와 같은 정형화된 한글 문자열을 입력할 때 한글과 숫자가 따로 할당된 두벌식 자판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두벌식 자판은 우편물의 한글 주소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기 않다.When inputting a standardized Korean character string such as an address of a mail, a double type keyboard having separate Korean characters and numbers is used. However, the two-bolt type keyboard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ddress of the mail.

한편, 정형화된 한글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입력되는 문자열과 가장 가까운 문자열들을 후보로 보여주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방향키나 마우스 등을 사용하거나, 후보에 순차적인 번호를 부여하고 후보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후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방향키나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후보를 선택하는 방법은 원하는 문자열이 하위 후보에 있을 경우 방향키의 반복적인 입력 이 필요하거나 스크롤을 움직여야 한다. 또한, 후보에 번호를 부여하고 후보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입력하는 문자열인지 후보를 선택하기 위한 번호인지 구별하기 위해 특수키 등을 이용하여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fficiently input a standardized Korean character string, a method of showing the character strings closest to the input character string as a candidate has been proposed. This method selects a candidate by using a direction key, a mouse, or the like, or assigning a sequential number to the candidate and inputting the candidate number. In this case, the method of selecting a candidate using a direction key or a mouse requires repetitive input of a direction key or moves a scroll when a desired character string is in a lower candidate. In addition, the method of assigning a number to a candidate and inputting a candidate number has a hassle of switching to a candidate selection mode using a special key or the like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a character string to be input or a number for selecting a candida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소 등과 같은 정형화된 한글 문자열을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that can easily input a standardized Hangul string, such as an address.

또한, 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자의 키 입력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n input character which can minimize the number of key inputs of an inputter using the input device.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행과 각 행에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입력 장치는 복수의 자음 글쇠, 그리고 복수의 모음 글쇠를 포함한다. 복수의 자음 글쇠는 복수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왼쪽 영역 중 복수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모음 글쇠는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오른쪽 영역 중 복수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모음 글쇠 중 일부에 숫자가 할당되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keyboard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in each row are provided. The inpu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consonants,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of the left regions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A plurality of vowels are assigned with a plurality of vowels,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econd regions of the righ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At this time, a number is assigned to some of the vowel keys.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입력 문자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는 오토마타 처리부, 문자열 검색부, 그리고 문자열 출력부를 포함한다. 오토마타 처리부는 복수의 행과 각 행의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자음과 상기 복수의 모음 및 상기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글쇠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입력 문자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입력 문자를 분석하여 초성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후보 선택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 중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문자열 검색부는 상기 오토마타 처리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검색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검색한다. 그리고 문자열 출력부는 검색한 상기 문자열을 출력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n input charact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s, and numbers is provided. The automatic input character converting apparatus includes an automata processing unit, a string search unit, and a string output unit.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input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the plurality of consonants, the plurality of vowels, and the number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The received input character is analyzed and a m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is selected among the initial input mode, the Hangul input mod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the numeric input mode. The string search unit switches to a search mode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and searches for a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The string output unit outputs the searched st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입력 문자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입력 문자 자동 변환 방법은 복수의 행과 각 행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 및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글쇠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입력 문자를 분석하여 초성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후보 입력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 중 상기 수신한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검색한 상기 문자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n input charact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s, and a number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s may include receiving input characters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a plurality of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s, and numbers assigned to a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Selecting a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put character from among the initial input mode, the Hangul input mode, the candidate input mode, and the numeric input mode by analyzing the received input character; and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Searching for and outputting the searched str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자판에서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된 복수의 글쇠에 숫자를 할당하여 입력자의 손의 이동 거리를 줄임으로써 입력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peed may be improved by allocating a number to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a plurality of vowels assigned to the keyboard, thereby reduc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putter's hand.

또한, 사용자의 입력 모드의 변환 없이 자동으로 입력 모드가 변환됨으로써, 한글과 숫자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모드의 변환을 위한 키 입력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입력 속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ode is automatically converted without changing the user's input mode, so that Korean characters and numbers can be input efficiently at the same time, and the number of key inputs for converting the input mode can be minimiz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input speed. Can b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 이를 이용한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tex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0)는 3행으로 이루어진 34개의 영역 중에서 각 행의 맨 가장 자리 영역을 제외한 28개의 영역에 자음과 모음이 할당된다. 한글은 모두 19개의 자음과 14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쌍자음 5개(ㅃ, ㄸ, ㅌ, ㅌ, ㄲ)를 제외한 자음 글쇠 14개는 28개의 영역 중 왼쪽 14개의 영역에 할당되고 모음 글쇠 12개는 오른쪽 14개의 영역에 할당된다. 이때, 두벌식 한글 자판에서 자음과 모음이 할당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왼쪽 14개의 영역과 오른쪽 14개의 영역에 각각 자음과 모음에 자음이 할당된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and vowels are allocated to 28 regions except for the edge region of each row among 34 regions consisting of three rows. Hangeul consists of 19 consonants and 14 vowels. At this time, 14 consonant keys except for 5 consonants (ㅃ, ㄸ, ㅌ, ㅌ, ㄲ) are assigned to the left 14 of the 28 areas, 12 vowels are assigned to the right 14 areas. At this time,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left 14 regions and the right 14 regions,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allocated in the two-bulk Korean keyboard.

구체적으로, 첫 번째 행의 가장 자리를 제외한 10개의 영역 중 왼쪽 5개의 영역에는 왼쪽부터 차례로 'ㅂ', 'ㅈ', 'ㄷ', 'ㄱ' 및 'ㅅ'이 할당되고, 오른쪽 5개의 영역에는 오른쪽부터 차례로 'ㅔ', 'ㅐ', 'ㅑ', 'ㅕ' 및 'ㅛ'가 할당된다. 이때, 쌍자음은 모두 5개(ㅃ, ㄸ, ㅌ, ㅌ, ㄲ)이며 해당 자음과 'shift'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중 모음 중 'ㅒ'와 'ㅖ'는 각각 'ㅐ'와 'ㅔ' 키와 'shift' 키를 조합하여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left 5 of the 10 areas except the edge of the first row are assigned 'ㅂ', 'ㅈ', 'ㄷ', 'ㄱ' and 'ㅅ' in order from the left, and the right 5 areas Are assigned 'ㅔ', 'ㅐ', 'ㅑ', 'ㅕ' and 'ㅛ' in order from the right. In this case, all five consonants (ㅃ, ㄸ, ㅌ, ㅌ, ㄲ) are inputted by combin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shift' key, and 'ㅒ' and 'ㅖ' of the double vowels are respectively 'ㅐ' And the combination of 'ㅔ' and 'shift' key.

두 번째 행의 가장 자리를 제외한 9개의 영역 중 왼쪽 5개의 영역에는 왼쪽부터 'ㅁ', 'ㄴ', 'ㅇ', 'ㄹ' 및 'ㅎ'이 할당되고, 오른쪽 4개의 영역에는 오른쪽부터 차례로 'l', 'ㅏ', 'ㅓ' 및 'ㅗ'가 할당된다. Of the nine areas except the edge of the second row, the left five areas are assigned 'ㅁ', 'ㄴ', 'ㅇ', 'ㄹ' and 'ㅎ' from the left, and the right four areas from the right 'l', 'ㅏ', 'ㅓ' and 'ㅗ' are assigned.

마지막 세 번째 행의 가장 자리를 제외한 9개의 영역 중 왼쪽 4개의 영역에는 왼쪽부터 'ㅋ', 'ㅌ', 'ㅊ' 및 'ㅍ'이 할당되고, 오른쪽 5개의 영역 중 왼쪽부터 차례로 'ㅠ', 'ㅜ' 및 'ㅡ'가 할당된다. 이때, 오른쪽 나머지 2개의 영역에는 '-' 등의 문장 부호가 할당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첫 번째 행의 가장 자리를 제외 한 오른쪽 2개의 영역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다.Of the nine areas except the edge of the last third row, the four left areas are assigned 'ㅋ', 'ㅌ', 'ㅊ' and 'ㄷ' from the left, and 'ㅠ' in order from the left of the five right areas. , 'TT' and 'ㅡ' are assigned. In this case, punctuation marks such as '-' may be allocated to the two remaining areas to the right. In FIG. 1, the right two regions except the edge of the first row are not used.

그리고 첫 번째 행의 왼쪽 가장 자리 영역에는 '기각' 키가 할당되고, 오른쪽 가장 자리 영역에는 '백스페이스(Backspace)' 키가 할당되며, 두 번째 행의 왼쪽 가장 자리 영역에는 '모드 변환' 키가 할당되고, 오른쪽 가장 자리 영역에는 '확정' 키가 할당되며, 세 번째 행의 왼쪽 및 오른쪽 가장 자리에는 '시프트(shift)' 키가 할당된다. 이때, '기각' 키는 입력 문자열의 취소 또는 폐기 등에 사용되며, '확정' 키는 입력 문자열을 확정할 때 사용된다. 또한, '모드 변환' 키는 한글 뒤에 의미 있는 숫자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The left edge of the first row is assigned the 'Reject' key, the right edge is assigned the 'Backspace' key, and the left row of the second row has the 'Mode Switch' key. The "edge" key is assigned to the right edge area and the "shift" key is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third row. At this time, the 'dismiss' key is used to cancel or discard the input string, and the 'confirm' key is used to confirm the input string. Also, 'Mode Switch' key is used to input meaningful numbers after Hangu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0)는 모음이 할당되는 오른쪽 14개의 영역 중 일부에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할당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행의 오른쪽 영역에서 가장 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오른쪽부터 4개의 영역 즉, 'ㅜ', 'ㅡ'가 할당된 영역과 2개의 빈 영역에 각각 '0', '1', '2' 및 '3'을 할당하고, 두 번째 행의 오른쪽 영역에서 가장 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오른쪽부터 3개의 영역 즉, 'ㅓ', 'ㅏ' 및 "l"가 할당된 영역에 각각 '4', '5' 및 '6'을 할당하며, 세 번째 행의 오른쪽 영역에서 가장 자리 두 개의 영역을 제외하고 오른쪽부터 3개의 영역 즉, 'ㅕ', 'ㅑ' 및 'ㅐ'가 할당된 영역에 각각 '7', '8' 및 '9'가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당된 숫자는 'shift' 키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이다.The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 number from 0 to 9 to a part of the 14 areas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For example, except for the edge area in the right area of the first row, four areas from the right, that is, 'TT', 'ㅡ' are allocated, and '0', '1', '2' and '3' are assigned, and '4' is assigned to three areas from the right, ie 'ㅓ', 'ㅏ' and 'l', except for the edge area in the right area of the second row. Assigns', '5' and '6', and has three areas from the right, ie 'ㅕ', 'ㅑ' and 'ㅐ', except for the two edges in the right area of the third row. '7', '8' and '9' may b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numbers assigned in this way do not use the 'shift' key.

이렇게 하면, 주소 등과 같은 정형화된 한글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에 손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숫자 입력을 빠르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hand movement distance can be reduced when inputting a standardized Korean character string such as an address, so that the number can be entered quick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input charact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input charact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100)는 오토마타 처리부(110), 문자열 검색부(120), 문자열 출력부(130) 및 사전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input character convert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a string search unit 120, a string output unit 130, and a dictionary database 140.

도 3을 보면,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10)를 이용하여 연속으로 입력하는 입력 문자의 키 값을 분석하고(S310), 초성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후보 선택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 중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한다(S320). 이때,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입력 문자가 연속적인 자음으로 이루어진 경우 초성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입력 문자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한글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입력 문자가 연속적인 숫자로 이루어진 경우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analyzes key values of input characters continuously input by a user using the input device 10 (S310), initial entry mode, Korean input mod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numbers. A m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is selected among the input modes (S320). In this case,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initial consonant input mode when the input character is composed of consonants, selects the Korean input mode when the input character is composed of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 input character is composed of consecutive numbers. Select the numeric input mode.

문자열 검색부(120)는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2),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4) 및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6)를 포함하며, 오토마타 처리부(110)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2),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4) 및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6) 중 해당 문자열 사전 검색부가 동작하며, 해당 문자열 사전 검색부(122, 124, 126)는 사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열 사전(142, 144, 146)을 검색하여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검색한다(S330). The string search unit 120 includes a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2, a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4, and a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6, and includes a mode selected by the automata processor 110.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among the initial-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2, the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4, and 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6 operates, and the corresponding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2, 124, and 126 are operated. ) Searches for the string dictionary 142, 144, and 146 stored in the dictionary database 140 to search for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S330).

문자열 출력부(130)는 검색한 문자열을 출력한다(S340).The string output unit 130 outputs the searched string (S340).

사전 데이터베이스(140)에는 각 모드에 대응하는 문자열 사전이 저장되어 있 다. 즉, 사전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초성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142), 한글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144) 및 숫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146)이 저장되어 있으며,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146)에는 우편 번호 및 번지가 저장되어 있다.The dictionary database 140 stores a string dictionary corresponding to each mode. That is, the dictionary database 140 includes a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142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input mode, a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144 corresponding to a Hangul input mode, and a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146 corresponding to a numeric input mode. 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146 stores postal codes and addresses.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토마타 처리부의 동작 상태도이다.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2.

도 4를 참고하면,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자음이 입력된 후(S401), 연속하여 자음이 입력되면(S402-S403), 초성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초성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2)가 동작하여 초성 기반 검색 모드로 전환된다. Referring to FIG. 4, after the consonant is input by the user (S401), when the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S402-S403),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initial input mode and switches to the initial input mode. Then, the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2 operates to switch to the consonant-based search mode.

초성 입력 모드로 전환된 후, 사용자에 의해 모음 또는 숫자가 입력되면(S404), 연속하여 입력된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열에 대한 후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후보 선택 모드를 선택하고,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확정' 키가 입력되면(S405),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후보의 유효 문자열이 출력된다.After switching to the initial input mode, if a vowel or number is input by the user (S404),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because it is for selecting candidates for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consecutively input consonants. And switch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t this time, if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S405), the valid character string of the candidate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is output.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된 후에 모음 또는 숫자가 연속하여 입력되거나(S406-S407), 모음 또는 숫자가 연속하여 입력되면(S408-S409, S407), 이는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하는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6)가 동작하여 숫자 기반 검색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확정' 키가 입력되면(S410),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유효 문자열이 출력된다.If the vowels or numbers are continuously input after switching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S406-S407), or if the vowels or numbers are continuously input (S408-S409, S407), this is because the user inputs a number, so that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 Selects the numeric input mode and switches to the numeric input mode. Then, 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6 operates to switch to the number-based search mode. At this time,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S410), a valid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by the user is output.

사용자에 의해 자음이 입력된 후 모음 또는 숫자가 입력되면(S411), 이는 자음과 모음이 합쳐진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한글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4)가 동작하여 한글 기반 검색 모드로 전환한다.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4)는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검색하고, 이때, 사용자에 의해 '확정' 키가 입력되면(S41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유효 문자열이 출력된다.If a vowel or number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is input by the user (S411), since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combined,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Korean input mode and switches to the Korean input mode. Then, the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4 operates to switch to the Hangul-based search mode. The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4 searches for a string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input by the user in the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and in this case,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by the user (S412), The valid strin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printed.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모음 또는 숫자가 입력되면(S413), 자음과 모음이 합쳐진 문자열에 대한 후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후보 선택 모드를 선택하고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한다.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된 후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If a vowel or number is input by the user after switching to the Hangul input mode (S413),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selects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because it is for selecting a candidate for the consonant and the vowel string. Switch to The operation after switching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한편,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모드 변경' 키가 입력되면(S414), 이는 의미 있는 숫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후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hange mode' key is input by the user after switching to the Hangul input mode (S414), since it is used when entering a meaningful number,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number input mode, the number Switch to input mode. The operation after switching to the numeric input mode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또한, 한글 입력 모드, 후보 선택 모드 또는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후, 자음이 연속하여 입력되면(S415-S417),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초성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초성 입력 모드로 전환된 후의 동작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In addition, after switching to the Hangul input mod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or the numeric input mode, if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S415-S417),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witches to the initial input mode and then switches to the initial input mode. The operation is also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또한, 숫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 변경' 키가 입력되면(S418), 이는 우편번호 후보나 주소 후보들에서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한다. 그런 후에, 사용자에 의해 모음 또는 숫자가 입력되면, 우편번호 후보나 주소 후보들에서 해당 숫자에 대응하는 우편번호 또는 주소가 선택된다.In addition, when the 'mode change' key is input by the user in the numeric input mode (S418), since this means selecting from a postal code candidate or address candidates,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witches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Then, when a vowel or number is entered by the user, the zip code or address corresponding to that number in the zip code candidate or address candidates is selected.

예를 들어, 'ㅅ'과 'ㄱ'이 차례로 입력되면(S401, S402), 자음이 연속하여 입력된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초성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초성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2)가 동작하며,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2)는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에서 초성이 'ㅅ'과 '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검색하고 문자열 출력부(130)는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문자열 출력부(130)는 '1. 사간', '2. 상계', '3. 세곡' 등의 후보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s' and 'a' are sequentially input (S401 and S402), since consonants are continuously input,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elects the initial input mode and switches to the initial input mode. Then, the initial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2 operates, and the initial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2 searches the initial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consisting of 'ㅅ' and 'ㄱ' and outputs the string 130. ) Prints the search results. At this time, the string output unit 130 is' 1. Private life ',' 2. Offsetting, '3. Can be outputted as a candidate of three songs.

이와 같이, 문자열 출력부(130)에 의해 후보가 출력되고 난 후, 사용자가 모음 또는 숫자를 입력하면(S404), 문자열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된 후보 중 하나의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후보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사용자가 '확정' 키를 입력하면(S405), 문자열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유효 문자열로 출력한다.As such, after the candidate is output by the string output unit 130, when a user inputs a vowel or a number (S404), the candidate is selected from the candidates output by the string output unit 130.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switches to the candidate input mode.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the 'confirmation' key (S405), the string output unit 130 outputs a strin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by the user as a valid string.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ㅏ', 'ㅓ' 및 'ㅣ'를 차례로 입력하면(S408-S409, S407), 오토마타 처리부(110)는 입력되는 'ㅏ', 'ㅓ' 및 'ㅣ'가 한글이 될 수 없으므로, 이는 숫자 입력 모드로 판단하고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문자열 출력부(130)는 'ㅏ', 'ㅓ' 및 'ㅣ'에 해당하는 숫자 '456'을 출력한다. 이때,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6)가 동작하며,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 검색부(126)는 우편 번호나 번지 주소를 검색한다. 그러면, 문자열 출력부(130)는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검색 결과에 후보가 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모드 변경' 키가 입력되면, 후보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확정' 키를 입력하면(S410), 문자열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에 해당하는 우편 번호나 번지를 출력한다.For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s 'ㅏ', 'ㅓ' and 'ㅣ' in sequence (S408-S409, S407),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110 inputs 'ㅏ', 'ㅓ' and 'ㅣ'. Since it cannot be Hangul, it is judged as the number input mode and switches to the number input mode. Then, the string output unit 130 outputs the number '456' corresponding to 'ㅏ', 'ㅓ' and 'ㅣ'. At this time, 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6 operates, and 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search unit 126 searches for a postal code or address. Then, the string output unit 130 outputs a search result. If there is a candidate in the search result, when the 'change mode' key is input by the user,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ndidate is output,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confirm' key (S410), the string output unit 130 may display the user. Prints the postal code or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ndidat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2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input charact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tomatic input charact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토마타 처리부의 동작 상태도이다.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2.

Claims (14)

복수의 행과 각 행에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자판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An inpu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keyboard having a plurality of regions in each row, 복수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왼쪽 영역 중 복수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자음 글쇠, 그리고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respectively assigned, and a plurality of consonant pad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of the lef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row, and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오른쪽 영역 중 복수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모음 글쇠A plurality of vowels are assign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formed in a plurality of second regions of the righ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복수의 모음 글쇠 중 일부에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장치.An input device to which numbers are assigned to some of the vowel key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기각', '모드 변환', '백스페이스' 및 '확정' 중 2개와 '시프트'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각 행의 가장 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글쇠, 그리고Two of 'reject', 'mode change', 'backspace' and 'confirm' and 'shift' are allocated, and are formed at the edge of each row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areas. A plurality of first keys, and '기각', '모드 변환', '백스페이스' 및 '확정' 중 나머지 2개와 상기 '시프트'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 중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각 행의 가장 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글쇠The remaining two of 'Reject', 'Mode change', 'Backspace' and 'Confirm' and 'Shift' are allocated, and are formed in the edge region of each row in the remaining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regions. Plural second key 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In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의 행은 3행인 입력 장치. And the plurality of rows are three row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복수의 자음과 상기 복수의 모음 및 상기 숫자의 조합에 의해 우편 주소가 생성되는 입력 장치.And a postal address is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s, the plurality of vowels, and the numbers.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입력 문자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n input charact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s, and numbers, 복수의 행과 각 행의 복수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자음과 상기 복수의 모음 및 상기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글쇠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입력 문자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입력 문자를 분석하여 초성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후보 선택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 중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오토마타 처리부,Receives and receives the input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the plurality of consonants, the plurality of vowels, and the number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An automata processing unit for selecting a m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from among the initial input mode, the Hangul input mod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the number input mode by analyzing the input text; 상기 오토마타 처리부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검색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검색하는 문자열 검색부, 그리고A string search unit for switching to a search mode corresponding to a mode selected by the automata processing unit to search for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and 검색한 상기 문자열을 출력하는 문자열 출력부String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earched string 를 포함하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Input character automatic conversion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초성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상기 한글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 및 숫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이 저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베이스Dictionary database that stores the entry-based string dictionary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entry mode, the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corresponding to the Hangul input mode, and 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entry mode 를 더 포함하며,More, 상기 문자열 검색부는 전환한 상기 검색 모드에 따라 대응하는 문자열 사전에서 상기 문자열을 검색하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And the string search unit searches for the string in a corresponding string dictionary according to the switched search mo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은 우편 번호 및 번지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is an input character automatic conversion device that stores the postal code and addres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오토마타 처리부는,The automata processing unit, 상기 입력 문자가 연속적인 자음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초성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문자가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경우 한글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문자가 연속적인 숫자로 이루어진 경우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If the input character consists of consecutive consonants, the initial input mode is selected; if the input character consists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the Korean input mode is selected; and if the input character consists of consecutive numbers, numbers Input character automatic conversion device to choose input mode.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상기 복수의 글쇠는,The plurality of keys, 상기 복수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왼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자음 글쇠, 그리고A plurality of consonants, each of which is assigned a plurality of consonant pads formed in a lef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and 상기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모음 글쇠The plurality of vowels are respectively assigned,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form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복수의 모음 글쇠 중 일부에 상기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장치.The input character automatic converting device in which the number is assigned to some of the vowel keys.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입력 문자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an input charact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sonan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vowels and numbers, 복수의 행과 각 행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자음과 복수의 모음 및 숫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글쇠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input characters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keys each having a plurality of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s, and number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rows and areas of each row, 수신한 상기 입력 문자를 분석하여 초성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후보 입력 모드 및 숫자 입력 모드 중 상기 수신한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Analyzing the received input characters and selecting a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put characters from among a consonant input mode, a Korean input mode, a candidate input mode, and a numeric input mode; 선택한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Searching for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and 검색한 상기 문자열을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the searched string 를 포함하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방법.Input character automatic conversion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The selecting step, 상기 입력 문자가 연속적인 자음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초성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문자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한글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 문자가 연속적인 숫자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숫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방법.When the input character is a continuous consonant, the initial input mode is selected, and when the input character is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Korean input mode is selected, and the input character is a continuous number. And inputting the number input mod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The searching step, 상기 선택한 모드가 상기 초성 입력 모드인 경우 초성 기반 문자열 검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When the selected mode is the initial input mode, switching to the initial based string search mode; 상기 선택한 모드가 상기 한글 입력 모드인 경우 한글 기반 문자열 검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witching to a Hangul based string search mode when the selected mode is the Hangul input mode; 상기 선택한 모드가 상기 숫자 입력 모드인 경우 숫자 기반 문자열 검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Switching to a number-based string search mode when the selected mode is the number input mode; and 초성 기반 문자열 사전, 한글 기반 문자열 사전 및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 중 전환한 상기 검색 모드에 대응하는 문자열 사전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방법.And searching for a string dictionary corresponding to the search mode which has been switched among a consonant-based string dictionary, a Hangul-based string dictionary, and a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숫자 기반 문자열 사전은 우편 번호 및 번지가 저장되어 있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방법.The number-based string dictionary automatically converts input characters in which postal codes and addresses are stored.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상기 복수의 글쇠는,The plurality of keys, 상기 복수의 자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왼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자음 글쇠, 그리고A plurality of consonants, each of which is assigned a plurality of consonant pads formed in a lef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and 상기 복수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의 복수의 영역 중 오른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모음 글쇠The plurality of vowels are respectively assigned,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form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each row.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복수의 모음 글쇠 중 일부에 상기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 문자 자동 변환 방법.And a number is assigned to some of the vowel keys.
KR1020080126672A 2008-12-12 2008-12-12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KR101075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672A KR101075545B1 (en) 2008-12-12 2008-12-12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672A KR101075545B1 (en) 2008-12-12 2008-12-12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024A true KR20100068024A (en) 2010-06-22
KR101075545B1 KR101075545B1 (en) 2011-10-20

Family

ID=4236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672A KR101075545B1 (en) 2008-12-12 2008-12-12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54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32A (en) * 2015-07-13 2017-0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eyword Using Keypad
KR20190014356A (en) 2017-08-02 2019-02-12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Tool adapter for manipulating commercial tools with a robot hand
KR20210020980A (en) * 2015-07-13 202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eyword Using Keyp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32A (en) * 2015-07-13 2017-0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eyword Using Keypad
KR20210020980A (en) * 2015-07-13 202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eyword Using Keypad
KR20190014356A (en) 2017-08-02 2019-02-12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Tool adapter for manipulating commercial tools with a robot h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545B1 (en)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055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on system
JP5400200B2 (e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improving text input in a short hand on keyboard interface
US6646573B1 (en) Reduced keyboard text input system for the Japanese language
JP2017152053A (en) System capable of implementing flexible keyboard layout
JP2007128525A5 (en)
JP2000508093A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on system
JP5141560B2 (en) Information search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information search device, and information search method
JP3949120B2 (en) Spatial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method, soft key mapping method therefor, and virtual keyboard using the same
KR101075545B1 (en) Input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input character
WO2001004737A1 (en)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JP2010026718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JPH11312046A (en) Input system for generating input sequence of voice kana character
KR970002558A (en) Hangul code input device of compact keyboard
JPH09167044A (en) Japanese syllabary input device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JPS63198153A (en) Kanji input processing system
KR1009712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using transformation keys
KR20050004683A (en) Method for settling a conflict of key input in letter input code generator
JP2004157956A (en) Numeric keypad type character input device
KR101069408B1 (en) Method for converting automatic Korean-English and device thereof
KR20080085669A (en) Keyboard and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multi function key
JPH08272504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526678B2 (en) Word dictionary search device
JPH07295708A (en) Keyboard for inputting roman alphabets
JP2007241681A (en) Mobile terminal and program determining input character by voice tone and str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