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857A -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857A
KR20100067857A KR1020080126436A KR20080126436A KR20100067857A KR 20100067857 A KR20100067857 A KR 20100067857A KR 1020080126436 A KR1020080126436 A KR 1020080126436A KR 20080126436 A KR20080126436 A KR 20080126436A KR 20100067857 A KR20100067857 A KR 2010006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des
fixed
tub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숙
Original Assignee
이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숙 filed Critical 이태숙
Priority to KR102008012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857A/ko
Publication of KR2010006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09F15/0031Tensioned curved signs; Signs with curved tensioning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의 광고문구 또는 광고를 위한 사진 등이 인쇄된 이미지의 하단 부분을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설치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요소와, 상기 받침요소의 사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직요소와, 상기 수직요소의 상단부에 갖추어져 이미지의 상단 양측 모서리를 걸어주는 상부걸이요소와, 상기 받침요소의 상면에 고정시켜 이미지의 하단 양측 모서리를 걸어주는 하부걸이요소로 이루어진 현수막 설치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이요소가 내부가 중공상태인 고정관체와, 상기 고정관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미지의 하단 양측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핀을 갖춘 이동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관체의 중간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부분이 외측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관체의 양측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관체가 이미지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관체의 내면과 면접촉되는 접촉력에 의해 이동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A drop curtain installation cause image hanger device}
본 발명은 현수막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의 광고문구 또는 광고를 위한 사진 등이 인쇄된 이미지의 하단 부분을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설치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거치대는 각종의 광고문구 또는 사진 등이 인쇄된 이미지를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한 상태로 설치하여 주는 것으로서, 상기 이미지가 설치된 거치대를 실내, 외의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여 주므로 인해 주변을 지나는 사람이 상기 거치대에 갖추어져 있는 이미지에 인쇄된 광고문구 또는 사진 등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수막 거치대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수직요소와, 상기 수직요소의 상부에 갖추어져 이미지의 상단 양측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상부걸이요소 및 받침요소의 선단부 상면에 갖추어져 이미지의 하단부를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하부걸이요소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걸이요소는 외측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선단부에 각각 걸이핀을 갖는 텐션바를 갖추어 상기 텐션바의 걸이핀이 이미지의 상단 양측 모서리부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걸이요소인 각각의 텐션바는 좌,우로 각각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폭에 따라 텐션바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걸이요소는 내부가 중공상태를 갖고 일직선상태에서 받침요소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양측으로 통해 중공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미지의 하단 양측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릴수 있는 걸이핀을 갖는 이동바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고정바의 내부에는 양측에 갖추어져 있는 이동바를 탄지시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바를 외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탄성요소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현수막 설치대는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길이에 맞추어 수직요소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이미지의 하단 양측 모서리부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받침요소의 이동바에 갖추어진 걸이핀이 걸리도록 하면 이미지의 폭에 따라 이동바가 탄성요소를 압축하는 상태에서 이미지의 폭에 맞추어 팽팽하게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의 하단부가 하부걸이요소에 걸리게 되면 이미지의 상단부분 양측 모서리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상부걸이요소인 각각의 텐션바 선단에 갖추어진 걸이핀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의 길이에 맞추어 수직요소의 높 이를 조절하게 되면 이미지의 하단부는 하부걸이요소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이미지의 상단부는 자체의 텐션력을 갖고 있는 텐션바의 텐션력에 의해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설치대는 이미지의 하단 양측 모서리 부분을 잡아주게 되는 하부걸이요소가 일직선 상태를 갖고 내부가 중공상태인 고정바를 갖추고, 상기 고정바의 양측에는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요소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바를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폭에 따라 양측의 이동바가 탄성요소를 압축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이미지의 하단부를 팽팽하게 펼쳐주게 되는데, 이미지를 걸어주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바가 탄성요소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바의 양측으로 최대한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운반 및 이동시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바에 의해 걸리거나 상기 이동바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를 걸어주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바로부터 이동바를 분리시켜 보관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이동바 및 탄성요소를 분실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상기와 같이 이동바 및 탄성요소를 분실할 경우 이미지를 걸어주지 못하게 됨에 따라 현수막 설치대를 사용하지 못하여 고가인 현수막 설치대를 새로이 구입 설치 사용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의 하단부 양측 모서리 부분을 걸어주는 하부걸이요소인 이동바가 이미지를 걸어주지 않을 경우에는 자체의 중량에 의해 고정바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바로부터 이동바를 분리 보관시켜 주어야 함에 따라 발생되는 분실 등의 우려가 없으며, 또한 취급이 편리한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미지를 설치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미지의 하단부 양측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걸이요소의 텐션력에 의해 이미지를 상부로 잡아 당겨주는 힘에 의해 이동바의 이동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서 이미지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요소와, 상기 받침요소의 사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직요소와, 상기 수직요소의 상단부에 갖추어져 이미지의 상단 양측 모서리를 걸어주는 상부걸이요소와, 상기 받침요소의 상면에 고정시켜 이미지의 하단 양측 모서리를 걸어주는 하부걸이요소로 이루어진 현수막 설치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이요소가 내부가 중공상태인 고정관체와, 상기 고정관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미지의 하단 양측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핀을 갖춘 이동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관체의 중간지점을 기 점으로 하여 양측부분이 외측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관체의 양측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관체가 이미지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관체의 내면과 면접촉되는 접촉력에 의해 이동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약 15°~ 25°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약 20°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요소에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에 이동바가 삽입되는 중공상태인 고정바 양측단부를 단순히 외측을 향하여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서, 이미지를 걸어주지 않을 경우에는 경사각을 갖고 있는 고정바에 삽입되어 있는 아동바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고정바의 내부로 이동하여 최소의 길이의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을 시켜 줄 수 있어 이동바를 분리시켜 주어야 하는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없으며, 이로 인해 이동바를 분실할 우려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바의 양측에 이동바만을 삽입시켜 준 상태에서 이미지의 폭에 맞추어 이동바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종래와 같이 이동바를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는 탄성요소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제작단가의 절감으로 인해 생산원가가 줄어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현수막 설치대의 전체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현수막 설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인 현수막 설치대(10)는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20)와, 상기 받침요소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이미지(1)의 크기에 맞추어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높,낮이조절요소(30)와, 상기 높,낮이조절요소의 상단부 양측에 선단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이미지의 상단 양측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상부걸이요소(40) 및 받침요소의 전면 상면에 위치하여 이미지의 하단부 양측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하부걸이요소(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요소(20)는 일측에 갖추어진 주입구를 통해 내부에 물이나 모래 등이 담수 될 수 있도록 수용실을 갖추어 상기 수용실의 내부에 담겨지는 물이나 모래 등의 중량체에 의해 받침요소가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도중 현수막 설치대가 임의적으로 유동되거나 바람 및 인위적인 힘에 의해 쓰러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요소는 중량체인 철재를 재질로 하여 판상으로 제작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요소(30)는 받침요소의 상면 중간지점 또는 후단부에 위치시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받침요소와 결합되는 고정봉(31)을 갖추고, 상기 고정체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조임부(32)의 조임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이동봉(33)으로 갖추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봉은 받침요소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 고정될 수도 있으며, 받침요소의 후단부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걸이요소(40)는 자체의 텐션력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봉(33)의 상단에 갖추어지는 지지체(41)의 상단부 양측에 갖추어져 힌지를 중십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한 끼움관체(42)에 일단이 끼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이미지(1)의 상단부 양측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편(44)이 갖추어져 이미지(1)의 당김력에 의해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휘어짐에 따라 이미지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션바(43)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걸이요소(50)는 받침요소(20)의 선단부측 상면에 고정되는 상태로 하여 내부가 중공상태인 고정관체(51)와, 상기 고정관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미지의 하단 양측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핀(53)을 갖춘 이동관체(5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관체(51)의 중간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부분이 외측 상부를 향하도록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하는 경사면(51a)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관체의 양측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관체가 이미지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관체의 내면과 면접촉되는 접촉력에 의해 이동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51a)의 경사각(θ)은 약 15°~ 25°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20°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요소 내부에 물이나 모래 등이 담수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의 상태를 갖거나 또는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인 금속재를 재질로 하는 판체 등에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져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현수막 설치대(10)는 이미지(1)를 설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관체(52)가 고정관체(51)의 양측에 갖추어진 경사각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관체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아 이동관체(52)의 자체 중량에 의해 고정관체인 경사면을 따라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하부걸이요소(50)인 이동관체를 사용자가 직접 고정관체 내부로 밀어주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길이가 최소의 상태가 됨에 따라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이동관체를 분리시켜 주지 않아도 됨에 따라 보관 및 이동중 분실의 우려가 없는 상태에서 취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미지(1)를 설치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체(51)의 양측에 갖추어진 경사면()내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관체(52)를 외측으로 잡아 당겨준 상태에서 설치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1)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이핀(53)이 각각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미지(1)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갖추어져 있는 걸이공에 상부걸이요소(40)인 텐션바(43)에 갖추어진 걸이핀(44)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수직요소(30)를 이미지(1)의 길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시켜 주게 되면 상기 텐션바(43)의 자체 텐션력에 의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면서 이미지를 팽팽하게 잡아 당겨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미지가 텐션바의 텐션력에 의해 상부로 당겨지는 힘이 발생할 경우 이동관체(52)중 고정관체(51)의 끝단면 모서리에 접촉되고, 이동관체의 끝단면은 고정관체의 내면에 접촉되는 면접촉력에 의해 이동관체가 더 이상 이동됨이 없는 상태에서 이미지의 폭을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현수막 설치대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현수막 설치대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인 하부걸이요소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확대 절개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받침요소 50:하부걸이요소
51:고정관체 51a:경사면
52:이동관체

Claims (3)

  1.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요소와, 상기 받침요소의 사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직요소와, 상기 수직요소의 상단부에 갖추어져 이미지의 상단 양측 모서리를 걸어주는 상부걸이요소와, 상기 받침요소의 상면에 고정시켜 이미지의 하단 양측 모서리를 걸어주는 하부걸이요소로 이루어진 현수막 설치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이요소가 내부가 중공상태인 고정관체와, 상기 고정관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미지의 하단 양측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핀을 갖춘 이동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관체의 중간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부분이 외측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관체의 양측을 통해 삽입되는 이동관체가 이미지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관체의 내면과 면접촉되는 접촉력에 의해 이동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약 15°~ 25°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약 20°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KR1020080126436A 2008-12-12 2008-12-12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KR20100067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436A KR20100067857A (ko) 2008-12-12 2008-12-12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436A KR20100067857A (ko) 2008-12-12 2008-12-12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857A true KR20100067857A (ko) 2010-06-22

Family

ID=4236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436A KR20100067857A (ko) 2008-12-12 2008-12-12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8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523A (en) Target stand
KR101696023B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KR200494748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170080381A (ko) 낚시대 거치구
KR200410843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100067857A (ko) 현수막 설치대의 이미지 걸이장치
KR101423096B1 (ko) 광고용 배너 거치대
KR100671798B1 (ko) 현수막 거치대
US20060054771A1 (en) Level hanger device for pictures or the like
US4976409A (en) Adjustable picture hanger
US20110094436A1 (en) Vertical flag display apparatus
KR101383154B1 (ko) 현수막 거치장치
KR101576976B1 (ko) 휴대용 스크린장치
US6832446B1 (en) Self-leveling & convertable pictures
US20070090265A1 (en) Easel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2481630B1 (ko) 현수막 거치대
KR100828227B1 (ko) 광고면 설치대
KR100883498B1 (ko)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 걸이대
KR20140001549U (ko) 현수막 걸이장치
KR200389133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447337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371493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130053970A (ko) 현수막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