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76B1 - 휴대용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76B1
KR101576976B1 KR1020140134110A KR20140134110A KR101576976B1 KR 101576976 B1 KR101576976 B1 KR 101576976B1 KR 1020140134110 A KR1020140134110 A KR 1020140134110A KR 20140134110 A KR20140134110 A KR 20140134110A KR 101576976 B1 KR101576976 B1 KR 10157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member
support frame
support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에스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에스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에스앤에이
Priority to KR102014013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시에 최소의 부피로 축소되어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고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펼쳐져 특히 세로에 비해 가로가 넓은 와이드화면이 용이하게 투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벽면에 걸려지거나 지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금속에도 붙여질 수 있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는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측이 고정되는 일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타측이 탄성권취가능하게 수납되는 타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제 1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일측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 1 착탈결합수단에 착탈결합가능한 제 2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는 타측 수평지지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크린장치{Portable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시에 최소의 부피로 축소되어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고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펼쳐져 특히 세로에 비해 가로가 넓은 와이드화면이 용이하게 투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벽면에 걸려지거나 지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금속에도 붙여질 수 있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한 소형 투영기들이 많이 개발되어 이동 교육, 이동 영업 등에 이용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장소에 상관없이 휴대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스크린장치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9-0024216호(1999.07.05. 공개)에는 스크린을 상,하단봉에 연계 구성하고 탄력있는 소재로 활대를 구성한 후 그 후면에 지지대를 부착하여 각각 스크린과 활대를 구성하고, 스크린 상,하단봉 후면에 활대를 부착 또는 이탈하여 사용시는 스크린을 탄력있게 설치하고 휴대시는 스크린을 말아 휴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2-0003916호(2002.01.16. 공개)에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저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받침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양단이 삽입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단부를 고정하며, 중앙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수평지지봉과, 상기 케이스와 수평지지봉에 형성된 양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에서 절첩되는 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97233호(2013.08.16. 공고)에는 영사기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일면에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투사면이 가변될 수 있도록 접히거나 전개되며 투사되는 영상이 일면에 투영되는 스크린막과, 상기 스크린막의 양측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전개시키며 내측면 상하부에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상부연결편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절첩되도록 다수개의 힌지로 연결된 상부절첩부재와, 상기 하부연결편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절첩되도록 다수개의 힌지로 연결된 하부절첩부재로 구성되는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절첩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스크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36387호(2003.12.24)에는 스크린을 탄성권취할 수 있게 좌대에 구비된 스크린롤과, 상기 스크린롤에 의하여 권취되는 스크린의 전개 단부에 구비되는 전개바와, 상기 전개바를 승강시켜 스크린이 전개되게 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전개시 삼각형상을 이루게 하단이 좌대의 양측에 힌지 결속되고 상단은 스크린 전개바의 중앙부위에 힌지 결속되는 두 개의 탄성신축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경우에는 주로 탄성권취된 스크린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진 후 하단의 지지봉의 중량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 고정되는 방식으로, 스크린이 완전 평면으로 펼쳐지지 못하여 스크린이 펄럭이거나 롤 안에 감겨져 있던 장막의 측면부가 울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경우에는 스크린의 가로길이가 지지봉의 길이에 한정되기 때문이 지지봉보다 가로사이즈가 큰 각종 와이드 비율에 따른 영상은 해당 스크린 사이즈에 맞추어 작게 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9-0024216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2-0003916호
3.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97233호
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363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시에 최소의 부피로 축소되어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고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펼쳐져 특히 세로에 비해 가로가 넓은 와이드화면이 용이하게 투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벽면에 걸려지거나 지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금속에도 붙여질 수 있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측이 고정되는 일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타측이 탄성권취가능하게 수납되는 타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제 1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일측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 1 착탈결합수단에 착탈결합가능한 제 2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는 타측 수평지지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이 수용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이 수용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 중 하나는 수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결합가능한 회전너트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의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직각유지용 지지대와,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의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의 단부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거치부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거치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의 타단이 결합가능한 다수의 결합위치조절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고정거치부재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정중앙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거치부재의 내부에는 철판에 부착가능한 자석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거치부재에는 스탠드의 상단 또는 벽면에 고정된 못이 결합가능한 결합공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와 일직선으로 연당되고 상기 고정거치부재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스크린장치는 첫째로 휴대 시에 최소의 부피로 축소되어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고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특히 세로에 비해 가로가 넓은 와이드화면이 용이하게 투영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둘째로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벽면에 걸려지거나 스탠드에 의해 지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자석에 의해 금속판에도 붙여질 수 있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휴대 및 설치의 절첩순서도.
도 3은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 및 고정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배면도.
도 4는 스탠드에 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배면도.
도 5는 벽면의 못에 걸려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배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휴대 및 설치의 절첩순서도이며, 도 3은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 및 고정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스탠드에 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며, 도 5는 벽면의 못에 걸려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는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측이 고정되는 일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타측이 탄성권취가능하게 수납되는 타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제 1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일측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 1 착탈결합수단에 착탈결합가능한 제 2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는 타측 수평지지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스크린부재(10)는 투영기, 특히 휴대가 간편한 소형 투영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비춰지는 화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 울트라매트와 같은 스크린용 원단으로 형성된다.
스크린부재(10)는 예를 들어 가로 : 세로의 비가 4 : 3 또는 16 : 9와 같은 와이드화면의 투영이 용이하도록 세로보다 가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스크린부재(10)의 일측은 일측 수직지지대(20)에 고정되는데, 이 일측 수직지지대(20)는 스크린부재(10)의 고정단을 형성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스크린부재(10)의 세로 길이보다 더 긴 봉 또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상단에는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21)가 힌지브래킷 및 힌지핀의 조합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외측면에는 수용홈(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수용홈(23) 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의 미사용에 따른 보관 시에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이 특히 길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270도 회동되어 수용된다.
전술한 스크린부재(10)의 타측은 타측 수직지지대(30) 내에 탄성권취가능하게 수납되는데, 이 타측 수직지지대(30)는 탄성권취되는 스크린부재(10)의 가동단을 형성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 수직지지대(20)와 마찬가지로 스크린부재(10)의 세로 길이보다 더 긴 봉 또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측 수직지지대(30)의 내측면에는 스크린부재(10)의 타측이 말려들어가거나 인출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타측 수직지지대(30) 내에는 스크린부재(10)의 타측이 권취되는 권취봉과, 이 권취봉을 권취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코일형태의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크린부재(10)의 타측에 대한 탄성권취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상단에는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31)가 힌지브래킷 및 힌지핀의 조합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외측면에는 수용홈(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수용홈(33) 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의 미사용에 따른 보관 시에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이 특히 길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동되어 수용된다.
전술한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상단에는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데, 이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은 차후에 설명될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과의 상호 결합에 의해 스크린부재(10)가 더 이상 권취되거나 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부재(10)의 가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스크린부재(10)의 가로길이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타단에는 제 1 착탈결합수단(41)이 구비되는데, 이 제 1 착탈결합수단(41)은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타단으로 하여금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상단에는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데, 이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은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과의 상호 결합에 의해 스크린부재(10)가 더 이상 권취되거나 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부재(10)의 가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과 마찬가지로 스크린부재(10)의 가로길이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타단에는 제 2 착탈결합수단(51)이 구비되는데, 이 제 2 착탈결합수단(51)은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타단으로 하여금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중 하나가 수나사산으로 형성될 경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결합가능한 회전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중 하나가 결합홈으로 형성될 경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홈에 압입결합가능한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은 둘 다 상호 탈부착가능한 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타측 수직지지대(30)에 대해 일측 수직지지대(20)를 잡아당겨 타측 수직지지대(30) 내에 권취된 스크린부재(1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스크린부재(10)가 적절한 길이로 인출되면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수용홈(23)으로부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를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동시킨 다음 그 길이를 신장시키고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수용홈(33)으로부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를 반시계방향으로 270도 회동시킨 다음 그 길이를 신장시킨다. 그 다음에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타단의 제 1 착탈결합수단(41)과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타단의 제 2 착탈결합수단(51)을 상호 결합시켜 스크린부재(10)의 가로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 특정 장소에 거치시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를 사용한 후 휴대 또는 보관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우선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타단의 제 1 착탈결합수단(41)과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타단의 제 2 착탈결합수단(51)을 상호 분리시킨다. 그 다음에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길이를 축소시킨 다음 반시계방향으로 270도 회동시켜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수용홈(23)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길이를 축소시킨 다음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동시켜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수용홈(33)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스크린부재(10)의 탄성권취와 동시에 일측 수직지지대(20)와 타측 수직지지대(30)가 인접되도록 한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 또는 보관하면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의 경우 스크린부재(10)의 상측에만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과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에 의한 지지력이 가해져 스크린부재(10)의 하부가 울거나 상부보다 좁아짐에 따라 스크린부재(10)가 직사각형으로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될 수 있도록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 수직지지대(20)와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에 양단이 체결되어 일측 수직지지대(20)와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직각유지용 지지대(60)와, 타측 수직지지대(30)와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에 양단이 체결되어 타측 수직지지대(30)와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70)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는 스크린부재(10)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황에 따라 벽면에 걸려지거나 지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금속에도 붙여질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60, 70)의 단부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와,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거치부재(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고정거치부재(100)의 양측에는 스크린부재(10)의 가로 길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의 타단이 위치조잘되어 결합가능한 다수의 결합위치조절공(101)이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10)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60, 70)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됨에 따라 고정거치부재(100)가 스크린부재(10)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가 철판 등에 자력에 의해 부착가능하도록 고정거치부재(100)의 내부에는 철판에 부착가능한 자석(10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탠드(3)에 의해 거치되거나 벽에 박혀진 못이나 걸고리에 의해 거치되도록 고정거치부재(100)에는 스탠드(3)의 상단이 결합가능한 결합공 또는 벽면에 고정된 못이 결합가능한 결합공(10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60, 70)와 일직선으로 연장됨에 따라 고정거치부재(100)가 스크린부재(1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는 벽에 박혀진 못이나 걸고리에 고정거치부재(100)가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는 휴대 시에 스크린부재(10)의 탄성권취와 동시에 일측 수직지지대(20)와 타측 수직지지대(30)가 인접되도록 최소의 부피로 축소되어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고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10)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펼쳐짐에 따라 특히 세로에 비해 가로가 넓은 와이드화면이 용이하게 투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장치(1)는 사용 시에 스크린부재(10)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벽면에 걸려지거나 스탠드(3)에 의해 지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자석(103)에 의해 금속판에도 붙여질 수 있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휴대용 스크린장치
3 : 스탠드
10 : 스크린부재
20 : 일측 수직지지대
21 : 힌지결합부
23 : 수용홈
30 : 타측 수직지지대
31 : 힌지결합부
33 : 수용홈
40 : 일측 수평지지프레임
41 : 제 1 착탈결합부재
50 : 타측 수평지지프레임
51 : 제 2 착탈결합부재
60 : 제 1 직각유지용 지지대
70 :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
80 : 제 1 거치용 지지대
90 : 제 2 거치용 지지대
100 : 고정거치부재
101 : 결합위치조절공
103 : 자석
105 : 결합공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스크린부재(10);
    상기 스크린부재(10)의 일측이 고정되는 일측 수직지지대(20);
    상기 스크린부재(10)의 타측이 탄성권취가능하게 수납되는 타측 수직지지대(30);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제 1 착탈결합수단(41)이 구비되는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 및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텔레스코프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 1 착탈결합수단(41)에 착탈결합가능한 제 2 착탈결합수단(51)이 구비되는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이 수용가능한 수용홈(23)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30)의 일측에는 상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이 수용가능한 수용홈(3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중 하나는 수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수단(41, 5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결합가능한 회전너트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일측 수직지지대(20)와 상기 일측 수평지지프레임(40)의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직각유지용 지지대(60); 및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30)와 상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타측 수직지지대(30)와 상기 타측 수평지지프레임(50)의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60, 70)의 단부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와,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거치부재(1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거치부재(100)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의 타단이 결합가능한 다수의 결합위치조절공(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는 상기 스크린부재(10)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60, 70)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고정거치부재(100)는 상기 스크린부재(10)의 정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거치부재(100)의 내부에는 철판에 부착가능한 자석(10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거치부재(100)에는 스탠드(3)의 상단 또는 벽면에 고정된 못이 결합가능한 결합공(10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치용 지지대(80, 90)는 상기 스크린부재(1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직각유지용 지지대(60, 70)와 일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거치부재(100)는 상기 스크린부재(10)의 상부 정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장치.
KR1020140134110A 2014-10-06 2014-10-06 휴대용 스크린장치 KR10157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110A KR101576976B1 (ko) 2014-10-06 2014-10-06 휴대용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110A KR101576976B1 (ko) 2014-10-06 2014-10-06 휴대용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976B1 true KR101576976B1 (ko) 2015-12-11

Family

ID=5502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110A KR101576976B1 (ko) 2014-10-06 2014-10-06 휴대용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9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3557A (zh) * 2019-11-12 2020-01-17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医学影像用具有辐射结构的投影装置
KR102464940B1 (ko) 2022-08-02 2022-11-09 (주)월러스코디자인랩 실감 콘텐츠 구현을 위한 스크린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3557A (zh) * 2019-11-12 2020-01-17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医学影像用具有辐射结构的投影装置
CN110703557B (zh) * 2019-11-12 2021-07-30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医学影像用具有辐射结构的投影装置
KR102464940B1 (ko) 2022-08-02 2022-11-09 (주)월러스코디자인랩 실감 콘텐츠 구현을 위한 스크린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257B2 (en) Portable screen assembly
JP3002103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
US8469077B1 (en) Portably engaged retractable sun shade
CN110647003A (zh) 幕布升降机构及投影设备
KR101696023B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KR101576976B1 (ko) 휴대용 스크린장치
US20060077356A1 (en) Transportable projecting device
US20160010358A1 (en) Dual-use portable sunshade apparatus
US20160299408A1 (en) Photographic background assembly
US1700637A (en) Poet able adjustable screen
US1917369A (en) Portable picture screen stand
US11047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all partition apparatus
JP2014214438A (ja) 格納・携帯型の表示装置
US20070090265A1 (en) Easel
US8474394B2 (en) Vertical flag display apparatus
KR100807966B1 (ko) 스크린의 구조
KR20130053970A (ko) 현수막 거치장치
US1902373A (en) Portable screen
KR20110023527A (ko) 조립식 보드
JP3164227U (ja) スクリーン装置
US10857444B1 (en) Retractable sports activity device
JP3166219U (ja) 携帯式投影幕
JP3081027U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
CN218413205U (zh) 投影设备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