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833A -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 Google Patents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833A
KR20100066833A KR1020080125318A KR20080125318A KR20100066833A KR 20100066833 A KR20100066833 A KR 20100066833A KR 1020080125318 A KR1020080125318 A KR 1020080125318A KR 20080125318 A KR20080125318 A KR 20080125318A KR 20100066833 A KR20100066833 A KR 20100066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frame
door
drive lin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1776B1 (en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12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76B1/en
Publication of KR2010006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PURPOSE: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a media dispenser is provided to enhance the security of the media dispenser by preventing a recovery box from being opened. CONSTITUTION: A door(40) is pivotally installed in a frame and opens or closes the space formed in the frame. A driving link(74) is rotated by a tray driving source installed on the frame. A tray base(60) is pivotally installed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The tray base collects the media in the recovery unit by rotating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link when the customer does not receives the media. A stopper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by hitching a stopping protrusion on one side of a stopping slot formed on the driving link when the door is opened.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를 고객이 수취하여 가져가도록 하기 위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tomer access module of a media dispenser for receiving and taking the media.

매체자동지급기는 현금, 수표, 전표, 영수증, 각종 용지 등의 매체를 지급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일예로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Teller Machine)를 들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창구를 거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can pay or receive media such as cash, checks, slips, receipts, and various forms of paper. An example of such a media dispenser is an automated-teller machine.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customers to directly deposit or withdraw cash or checks without going through a bank window. Such automated teller machines are widely used to provide efficient banking and customer convenie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측면구성도이다.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er access module of a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showing that the media is recovered by retrieving the media from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1)에는 매체보관함(도시되지 않음), 상기 매체보관함에서 매체(m)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피드모듈(도시되지 않음), 상기 피드모듈를 지나온 매체(m)를 이송하는 딜리버리모듈(3)과, 딜리버리모듈(3)를 통과한 매체(m)를 모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고객접근모듈(10)을 포함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3)과 피드모듈등에서는 매체(m)를 이송롤러(5)와 벨트(7) 등을 사용하여 이송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edia dispenser 1 has a media storage box (not shown), a feed module (not shown) for withdrawing and transporting the media m from the media storage box, and a medium m passing through the feed module. It includes a delivery module (3) for transporting, and a customer access module (10) for collecting and delivering the medium (m) passed through the delivery module (3) to the customer. In the delivery module 3, the feed module, and the like, the medium m is transferred using the feed roller 5, the belt 7, and the like.

여기서, 고객접근모듈(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객접근모듈(10)의 외관을 프레임(1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2)은 매체자동지급기(1) 전체의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에 의해서는 고객접근모듈(10)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Here,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10 as follows. The frame 12 forms the exterior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10. The frame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of the entire media dispenser 1.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customer access module 10 by the frame 12.

상기 프레임(12)에는 도어(14)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14)는 고객접근모듈(10) 내부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객접근모듈(1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부(13)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상기 도어(14)는 그 회전중심에 설치된 도어모터(1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도어모터(15)는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4)를 개폐한다.The frame 12 is provided with a door 14, the door 14 serves to selectively shield the space inside the customer access module 10. That is, the inlet portion 13 formed on the front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10 is selectively shielded. The door 14 is driven by a door motor 15 installed at its center of rotation. The door motor 15 opens and closes the door 14 while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상기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에는 트레이베이스(16)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판 형상으로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12)측에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양단 중간부에는 구동돌기(17')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17')는 상기 프레임(12) 측에 구비되는 가이드채널(18)을 따라 안내된다.The tray base 16 is installed in the spac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4. The tray base 16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installed to rotate about the hinge shaft 17 on the frame 12 side. Driving protrusions 17 ′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y base 16. The driving protrusion 17 ′ is guided along the guide channel 18 provided on the frame 12 side.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구동을 위한 트레이모터(20)가 상기 프레임(12) 측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모터(2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2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되게 종동기어(22)가 구비된다.The tray motor 20 for driving the tray base 16 is provided on the frame 12 side. The drive shaft 21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tray motor 20, and the driven gear 22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1.

상기 종동기어(22)에는 구동링크(2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종동기어(22)의 회전중심과 동심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타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구동돌기(17')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24')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트레이베이스(16)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n gear 22 is provided with a drive link 24. One end of the drive link 24 is rotated concentrically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n gear 22,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e link 24 is interlocked with the drive protrusion 17 'of the tray base 16 inserted thereinto. 24 ') is formed. For reference, a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tray base 16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y base 16, respectively.

상기 고객접근모듈(10)의 하부에는 회수되는 매체(m)를 모으는 회수함(26)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함(26)에는 상기 트레이베이스(16)로 전달되었으나 고객이 가져가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하는 부분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10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box 26 to collect the recovered medium (m). The recovery box 26 is a part for recovering the medium m delivered to the tray base 16 but not taken by the customer.

도면부호 28은 트레이베이스(16)의 초기위치 및 매체(m)를 회수함(26)으로 비운 후 리턴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28'는 트레이베이스(16)가 매체(m)를 비우기 위해 완전히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다.Reference numeral 28 denot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y base 16 and the position returned after the emptying of the medium m, followed by the recovery of the medium m, and 28 'indicates that the tray base 16 emptys the medium m. It is a sensor that detects a completely rotated stat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perates as follows.

매체보관함에서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을 통과하여 전달된 매체(m)는 상기 트레이베이스(16) 상에 적층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적층되면, 상기 도어모터(15)가 구동하여 상기 도어(14)를 개방시킨다. 상기 도어(14)가 상부로 회전되어 올라가면 상기 입구부(13)가 개방되면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적층된 매체(m)에 고객의 손이 접근할 수 있다.In the media storage, the medium m passed through the feed module and the delivery module 3 is stacked on the tray base 16. When the desired number of media m is stacked on the tray base 16, the door motor 15 is driven to open the door 14. When the door 14 is rotated upward, the inlet part 13 is opened to allow the customer's hand to access the medium m stacked on the tray base 16.

하지만,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적층된 매체(m)를 고객이 일정 시간 이상 수취하지 않게 되면, 상기 도어(14)가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적층된 매체(m)는 상기 회수함(26)으로 보낸다.However, if the customer does not receive the medium m stacked on the tray base 16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oor 14 is closed. Then, the medium m stacked on the tray base 16 is sent to the collecting box 26.

즉, 상기 도어(14)를 닫은 후, 상기 트레이모터(2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링크(24)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를 상기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24)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돌기(17')가 상기 연동슬롯(24')과 가이드채널(18)을 동시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를 회전시킨다.That is, after the door 14 is closed, the tray motor 20 is driven so that the drive link 24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Rotate around. At this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link 24, the drive protrusion 17 'rotates the tray base 16 while simultaneously moving along the linkage slot 24' and the guide channel 18.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회전은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계속되고,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m)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함(26)으로 낙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회전이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트레이모터(20)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한다.Rotation of the tray base 16 continues until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28 ', and the rotation of the tray base 16 causes the medium m to be recovered as shown in FIG. Drop into bin 26. When the rotation of the tray base 16 is detected by the sensor 28 ', the tray motor 20 starts to be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트레이모터(20)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베이스(16)는 힌지축(1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고객접근모듈은 다시 상기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에 의해 매체(m)를 전달받는다.By driving the tray moto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ray base 1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hinge axis 17 and is rotated until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28. In addition, the customer access module receives the medium m by the feed module and the delivery module 3 agai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의 매체 수취가 끝난 후에 상기 트레이베이스(16)는 상기 센서(28)에 감지될 때까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센서(28)에 노이즈 등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트레이베이스(16)가 제 위치까지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y base 16 is rotated until the sensor 28 is sensed after the reception of the media by the customer. In this case, when an abnormality such as noise occurs in the sensor 28, the tray base 16 may not rotate to its posi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객의 수취 요청이 있게 되어 상기 도어(14)가 개방되어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가 가이드슬롯(18)을 따라 회전되어 회수함(26)이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집적된 매체가 회수함(26)으로 빠지게 되고, 고객이 회수함(26)에 집적된 매체를 회수해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re is a request for receipt of the customer, the door 14 is opened, and the tray base 16 is rotated along the guide slot 18 to recover the customer 26 while the customer receives the medium. Can cause problems. In this case,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tray base 16 is dropped into the bin 26, an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customer recovers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bin 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트레이베이스가 회전되어 회수함을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tray base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opened so that the collection box is not open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에 형성된 스토핑슬롯의 일단에 스토핑돌기가 걸어져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to open and close a space formed in the frame; A drive link rotated by a tray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frame; A tray base instal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and the media drawn into the space are integrated on one surface, and the media is recovered by being rotated to one side by the drive link to recover the media if the customer does not receive the media. ; It is installed in the door, the stopper is formed on the end of the stopping slot formed in the drive link in the open state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상기 프레임에는 제 2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록킹링크가 설치되 고,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록킹핀은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is provided with a locking link moved by the drive of the second solenoid, the locking pin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locking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hooked to one side to the drive link.

상기 스토핑슬롯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스토핑슬롯과; 상기 트레이베이스가 상기 회수함을 향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스토핑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ing slot includes: a first stopping slot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topping protrusion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And a second stopping slot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opping protrusion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ray base toward the recovery box.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 상기 프레임에 별도의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걸어져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ame is formed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to open and close a space formed in the frame; A drive link rotated by a tray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frame; A tray base instal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and the media drawn into the space are integrated on one surface, and the media is recovered by being rotated to one side by the drive link to recover the media if the customer does not receive the media. ; The frame is movably installed by a drive of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link that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driving link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by being hook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link.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는 록킹핀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locking link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link is selectively walked on one side.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트레이베이스가 회전되어 회수함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베이스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가 스토퍼 및 록 킹링크에 걸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회수함이 개방되어 고객이 회수함에 집적된 매체를 수취할 수 없으므로 매체자동지급기의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link for rotating the tray base is hooked to the stopper and the locking link in order to prevent the tray base is rotated in the state that the door is opened to open the recovery box. Therefore, since the collection box is open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media, the customer cannot receive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collection box,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of 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ustomer access module of a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구동링크가 스토핑된 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drive link is stopped in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선단 측에는 고객접근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은 고객이 원하는 매체(m)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에는 프레임(3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0)은 일반적으로 판상의 것이 양단에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프레임(30)과 상기 공간에는 매체(m)를 방출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As shown, the customer access module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media dispenser. The customer access module allows the customer to receive the desired medium (m). The customer access module is provided with a frame 30. The frame 30 generally has a plate-like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both ends, and each of the frame 30 and the space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for discharging the medium m.

상기 고객접근모듈로 이송되는 매체(m)는 이송롤러(32)와 시트롤러(34)에 의해 상기 프레임(30)의 공간으로 인입된다. 상기 시트롤러(34)의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스태킹휠(36)이 구비되어 상기 매체(m)를 밀어 상기 공간으로 잘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The medium m conveyed to the customer access module is drawn into the space of the frame 30 by the conveying roller 32 and the controller 34. A plurality of stacking wheels 36 are provid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controller 34 to push the medium m to be integrated into the space.

상기 프레임(30)의 선단에는 도어(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프레임(30)의 선단에 형성되는 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4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0)의 내면 일측에는 걸림돌기(41)가 돌출되어 구비된다.The door 4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tip of the frame 30. The door 40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rame 30. The door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an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41 protrudes from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40.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도어(40)의 내측에 인접하게 도어레버(4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레버(42)는 상기 도어(40)의 걸림돌기(41)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도어(40)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41)에 걸어져 도어(4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The door 30 is movable in the frame 30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40. The door lever 42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41 of the door 40 to lock the door 40.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40 is closed, the door 40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by being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41.

상기 도어레버(42)의 일측에는 레버슬롯(42')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슬롯(42')에는 상기 프레임(30)에 구비된 레버핀(44)이 삽입되어 안내된다.A lever slot 4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lever 42, and a lever pin 44 provided in the frame 30 is inserted and guided into the lever slot 42'.

상기 도어(40)는 도어모터(4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도어모터(46)는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40)를 개폐시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모터(46)에는 감지휠(50)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휠(50)은 상기 도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도어(40)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감지휠(50)은 상기 도어(40)가 과도하게 회전되거나 덜 회전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door 40 is driven by the door motor 46. The door motor 4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30 to open and close the door 40 so that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medium (m). The door motor 46 is provided with a sensing wheel 50. The sensing wheel 50 detects the degree to which the door 4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oor motor 46. That is, the sensing wheel 50 checks whether the door 40 is excessively rotated or less rotated.

상기 프레임(30)에는 제 1솔레노이드(5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는 상기 도어(40)의 록킹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에는 제 1플런저(53)가 제 1솔레노이드(52)의 구동에 의해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플런저(53)의 선단 일측은 상기 도어레버(42)의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플런저(53)는 제 1솔레노이드(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레버(42)와 함께 이동되면서 도어레버(42)가 도어(40)에 록킹/언록킹되도록 한다.The frame 30 is provided with a first solenoid 52. The first solenoid 52 serves to provide power required for locking the door 40. The first plunger 53 is installed on the first solenoid 52 so as to be movable in and out by the driving of the first solenoid 52. One end of the first plunger 53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lever 42. Accordingly, the first plunger 53 is moved together with the door lever 42 by the driving of the first solenoid 52 so that the door lever 42 is locked / unlocked to the door 40.

또한, 상기 프레임(30)에는 제 2솔레노이드(5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링크(74)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에는 제 2플런저(55)가 제 2솔레노이드(54)의 구동에 의해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플런저(55)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링크(56)의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플런저(55)는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록킹링크(56)와 함께 이동되면서 구동링크(74)가 록킹/언록킹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rame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solenoid 54. The second solenoid 54 serves to lock the drive link 74 to be described below. A second plunger 55 is installed in the second solenoid 54 so as to be movable in and out by driving the second solenoid 54. The tip of the second plunger 55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cking link 56 to be described below. Accordingly, the second plunger 55 is moved together with the locking link 56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solenoid 54 so that the driving link 74 is locked / unlocked.

상기 록킹링크(56)는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상기 제 2플런저(55)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링크(56)의 일측에는 연동슬롯(56')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슬롯(56')에는 상기 프레임(30)에 구비된 연동핀(57)이 삽입되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크(56)의 일측에는 구동링크(74)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록킹핀(58)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핀(58)은 매체(m)의 회수시에 상기 제 2플런저(55)와 함께 이동되면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locking link 56 is installed to be movable by the second plunger 55 on one side of the frame 30. An interlocking slot 5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link 56, and the interlocking pin 57 provided in the frame 30 is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slot 56'. And, one side of the locking link 56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58 that is selectively walked on one side of the drive link (74). The locking pin 58 is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plunger 55 at the time of recovery of the medium m so that the locking pin 58 is released to allow the driving link 74 to rotate.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30)에는 트레이베이스(60)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60)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판 형상으로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30) 측에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60)의 양단 중앙부에는 구동돌기(64)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64)는 상기 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6)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슬롯(66)은 대략 소정의 중심각을 가진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Next, a tray base 60 is installed in the frame 30. The tray base 6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ectangular plate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hinge shaft 62 on the frame 30 side. Driving protrusions 6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y base 60. The driving protrusion 64 is inserted and guided into the guide slot 66 formed in the frame 30. The guide slot 66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상기 트레이베이스(60)의 구동을 위한 트레이모터(70)가 상기 프레임(30) 측에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모터(7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7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71)와 맞물리는 종동기어(72)가 구비된다.The tray motor 70 for driving the tray base 60 is installed on the frame 30 side. A drive gear 71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y motor 70, and a driven gear 72 meshed with the drive gear 71 is provided.

상기 종동기어(72)에는 구동링크(7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74)는 일단부가 상기 종동기어(72)의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74)의 타단부에는 상기 구동돌기(64)가 삽입되는 구동슬롯(76)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슬롯(76)은 상기 트레이베이스(60)와의 연동을 위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돌기(64)는 상기 구동슬롯(76)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된다.A drive link 74 is installed in the driven gear 72. One end of the driving link 74 form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n gear 72. In addition, a driving slot 76 into which the driving protrusion 64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link 74. The drive slot 76 is formed to interlock with the tray base 60. When the drive link 74 is rotated, the drive protrusion 64 is moved along the drive slot 76 and the tray. The base 6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is.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7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토퍼(80)의 스토핑돌기(82)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스토핑슬롯(78)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핑슬롯(78)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 1스토핑슬롯(78a)과 제 2스토핑슬롯(78b)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link 74 is formed with a stopping slot 78 in which a stopping protrusion 82 of the stopper 8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guided. The stopping slot 78 is composed of a first stopping slot 78a and a second stopping slot 78b, as shown in FIG. 3.

상기 제 1스토핑슬롯(78a)은 상기 도어(40)가 개폐될 때 상기 스토핑돌기(82)가 안내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스토핑슬롯(78b)은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어 매체(m)가 회수함(90)으로 회수될 때 상기 스토핑돌기(82)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스토핑슬롯(78a)과 제 2스토핑슬롯(78b)은 대략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The first stopping slot 78a is a portion at which the stopping protrusion 82 is guided when the door 40 is opened or closed, and the tray stop 60 rotates at the second stopping slot 78b. And the stopper protrusion 82 is guided when the medium m is recovered to the recovery box 90. The first stopping slot 78a and the second stopping slot 78b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도어(40)의 일측에는 스토퍼(8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지 않도록 스토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되어야 하는데, 상기 구동링크(74)가 상기 스토핑돌기(82)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므로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도 5b 참조).The stopper 80 is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40. The stopper 80 serves to stop the tray base 60 from rotating while the door 40 is opened. That is, in order for the tray base 60 to be rotated, the drive link 74 should be rotated. However, since the drive link 74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protrusion 82, the door 40 is opened. The tray base 60 is not rotated in the state (see FIG. 5B).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트레이베이스(6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84)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84)에서 트레이베이스(6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84)는 트레이모터(7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In addition, the frame 30 is provided with a sensor 84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tray base (60). When the rotation of the tray base 60 is sensed by the sensor 84, the sensor 84 transmits a signal so that the tray motor 70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는 회수되는 매체(m)가 집적되는 회수함(90)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함(90)은 상기 트레이베이스(60)로 전달되었으나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rt of the frame 30 is provided with a recovery box 90 in which the recovered medium (m) is integrated. The recovery box 90 is a part for recovering the medium (m) delivered to the tray base 60 but not received by the custom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의해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객접근모듈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medium is recovered by collecting the media by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that the customer acces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40)는 입구를 닫고 있고, 딜리버리모듈에서 전달된 매체(m)는 상기 이송롤러(32)와 시트롤러(34)의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이송롤러(32)와 시트롤러(34)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m)는 스태킹휠(36)에 의해 밀어져 한 장씩 상기 트레이베이스(60)에 집적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집적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First,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a the door 40 is closing the inlet, the medium (m) delivered from the delivery module passes between the transfer roller 32 and the controller 34. The medium m passed between the feed roller 32 and the controller 34 is pushed by the stacking wheel 36 and integrated in the tray base 60 one by one. This ope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desired number of media m is accumulated.

다음으로, 고객의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트레이베이스(60)에 집적되면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가 구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 1플런저(53)는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레버(42)는 제 1플런저(53)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도어(40)의 걸림돌기(41)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도어(4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Next, when the desired number of media m of the customer is integrated in the tray base 60, the first solenoid 52 is driven. Then, the first plunger 53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olenoid 52 and the door lever 42 is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plunger 53 to engage the protrusion 41 of the door 40. The engagement with the wah is released, and the door 40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이와 동시에 상기 도어모터(46)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40)가 프레임(30)의 하부로 회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80)의 스토핑돌기(82)는 제 1스토핑슬롯(78a)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어(40)의 개방이 완료된다. 이 상태는 도 5b에 잘 도시되어 있다.At the same time, the door motor 46 is driven to rotate the door 40 to the bottom of the frame 30. At this time, the stopping protrusion 82 of the stopper 80 is guided along the first stopping slot 78a. In this case, the opening of the door 40 is completed. This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5B.

이때, 상기 구동링크(74)는 상기 록킹핀(58)에 일측이 걸려 있고, 상기 스토핑돌기(82)는 제 1스토핑슬롯(78a)의 일단에 걸어지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74)의 일측은 록킹링크(56)의 록킹핀(58)에 걸어져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센서(84)의 이상 또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link 74 is hung on one side of the locking pin 58, and the stopping protrusion 82 is not rotated because it is hooked to one end of the first stopping slot 78a.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riving link 74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in 58 of the locking link 56 does not ro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y base 60 from being rotated by an abnormal or external force of the sensor 84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medium m.

한편, 상기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면 상기 도어(40)가 닫혀 입구가 폐쇄된다. 그리고, 고객이 일정 시간동안 매체(m)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상기 도어(40)를 닫는다. 즉, 도 5a의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stomer receives the medium (m)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40, the door 40 is closed to close the entrance. When the customer has not received the medium m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oor 40 is closed. That is, it returns to the state of FIG. 5A again.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제 2솔레노이드(54)가 구동된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가 구동되면 상기 제 2플런저(55)가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링크(56)는 제 2플런저(55)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록킹링크(56)가 이동되면 상기 록킹핀(58)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가능상태가 된다.The second solenoid 54 is driven while the door 40 is closed. When the second solenoid 54 is driven, the second plunger 55 is moved into the second solenoid 54 and the locking link 56 is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plunger 55. When the locking link 56 is moved, the locking of the locking pin 58 is released and the driving link 74 is rotatable.

이와 동시에 상기 트레이모터(70)가 구동되고, 구동기어(71) 및 종동기어(72)를 통해 상기 구동링크(74)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링크(7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베이스(60)는 힌지축(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도 5c 참조). 이와 같이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어 트레이베이스(60)에 집적된 회수함(26) 쪽으로 낙하되어 집적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80)의 스토핑돌기(82)는 제 2스토핑슬롯(78b)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At the same time, the tray motor 70 is driven, and the drive link 7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rough the drive gear 71 and the driven gear 72.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74, the tray base 60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hinge axis 62 (see Fig. 5c). In this way, the tray base 60 is rotated to fall toward the collection box 26 accumulated in the tray base 60 to be integrated. At this time, the stopping protrusion 82 of the stopper 80 is guided and moved along the second stopping slot 78b.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측면구성도.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er access module of a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측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media is recovered by retrieval from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구동링크가 스토핑된 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link is stopped in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의해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s 5a to 5c is an operational state showing that the medium is recovered by the collection of the media by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프레임 32 : 이송롤러30: frame 32: feed roller

34 : 시트롤러 36 : 스태킹휠34: controller 36: stacking wheel

40 : 도어 41 : 걸림돌기40: door 41: locking projection

42 : 도어레버 42' : 레버슬롯42: door lever 42 ': lever slot

44 : 레버핀 46 : 도어모터44: lever pin 46: door motor

50 : 감지휠 52 : 제 1솔레노이드50: sensing wheel 52: first solenoid

53 : 제 1플런저 54 : 제 2솔레노이드53: first plunger 54: second solenoid

55 : 제 2플런저 56 : 록킹링크55: second plunger 56: locking link

56' : 연동슬롯 57 : 연동핀56 ': Interlocking slot 57: Interlocking pin

58 : 록킹핀 60 : 트레이베이스58: locking pin 60: tray base

62 : 힌지축 64 : 구동돌기62: hinge axis 64: driving protrusion

66 : 가이드슬롯 70 : 트레이모터66: guide slot 70: tray motor

71 : 구동기어 72 : 종동기어71: drive gear 72: driven gear

74 : 구동링크 76 : 구동슬롯74: drive link 76: drive slot

78 : 스토핑슬롯 78a : 제 1스토핑슬롯78: Stopping Slot 78a: First Stopping Slot

78b : 제 2스토핑슬롯 80 : 스토퍼78b: second stopping slot 80: stopper

82 : 스토핑돌기 84 : 센서82: stopping protrusion 84: sensor

90 : 회수함90: recovered

Claims (5)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to open and close a space formed in the frame;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A drive link rotated by a tray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frame;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A tray base instal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and the media drawn into the space are integrated on one surface, and the media is recovered by being rotated to one side by the drive link to recover the media if the customer does not receive the media. ;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에 형성된 스토핑슬롯의 일단에 스토핑돌기가 걸어져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Installed in the door, the customer access of 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comprising a stopp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is a stopper protrusion is hanging on one end of the stopping slot formed in the drive link in the open state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에는 제 2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록킹링크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록킹핀은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The frame is provided with a locking link that is moved by the drive of the second solenoid, the locking pin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cking link is a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link is selectively walked on one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슬롯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pping slot,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스 토핑슬롯과;A first stopping slot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topping protrusion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상기 트레이베이스가 상기 회수함을 향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스토핑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And a second stopping slo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opping protrusion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ray base toward the collecting box.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to open and close a space formed in the frame;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A drive link rotated by a tray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frame;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A tray base install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k, and the media drawn into the space are integrated on one surface, and the media is recovered by being rotated to one side by the drive link to recover the media if the customer does not receive the media. ; 상기 프레임에 별도의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걸어져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The media dispenser comprising a locking link that is installed on the frame by a drive of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is locked to one side of the drive link to prevent rotation of the drive link while the door is opened. Customer Access Modul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는 록킹핀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One end of the locking link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the customer access module of 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walked on one side to the drive link.
KR1020080125318A 2008-12-10 2008-12-10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KR100981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18A KR100981776B1 (en) 2008-12-10 2008-12-10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18A KR100981776B1 (en) 2008-12-10 2008-12-10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33A true KR20100066833A (en) 2010-06-18
KR100981776B1 KR100981776B1 (en) 2010-09-13

Family

ID=4236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318A KR100981776B1 (en) 2008-12-10 2008-12-10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8223A (en) * 2019-01-11 2019-03-08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he returned ticket channel design and its working method of billing machine
CN109767549A (en) * 2017-11-07 2019-05-1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Gate mechanism and withdrawal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32B1 (en) 2002-11-30 2005-08-19 엘지엔시스(주)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KR100866400B1 (en) * 2002-12-10 2008-11-03 엘지엔시스(주) A method and apparatus of media collecting for media dispenser
KR100533279B1 (en) 2003-10-21 2005-12-05 엘지엔시스(주)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KR100608076B1 (en) * 2004-07-16 2006-08-08 엘지엔시스(주) A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49A (en) * 2017-11-07 2019-05-1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Gate mechanism and withdrawal equipment
CN109767549B (en) * 2017-11-07 2021-08-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Gate mechanism and deposit and withdrawal equipment
CN109448223A (en) * 2019-01-11 2019-03-08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he returned ticket channel design and its working method of bil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776B1 (en)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0507C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AU2006202508A1 (en) Bill handl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2002260057A (en) Paper money teller machine
KR101016460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81776B1 (en)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JP2013175172A (en) Paper sheet recycling box
RU2746443C1 (en) Automatic cash register with a media storage unit and a method to control it
JP6547344B2 (en) Medium storage and medium handling device
US8151967B2 (en) Bankno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banknotes therefrom
KR20040047449A (en) 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KR101261060B1 (en) Bill receiving and paying apparatus
JP3604603B2 (en) Bill receiving / dispensing device
WO2010046992A1 (en) Coin processing device
JP2004139189A (en) Bill treating device
KR101041297B1 (en) Apparatus for driving the stack-plate in the part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KR10206361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medium storag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8032B1 (en) A stacking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246316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medium storage
KR100749297B1 (en) Cash dispense machine having dispenser locking device
KR101072163B1 (en) Unlock apparatus for media cassette box
JP2000293732A (en) Bank note processor
KR100600400B1 (en) Device for sensing obstacle of shutter of ATM and method therefor
JP3929221B2 (en) Coin lift-up device and coin deposit / withdrawal machine
JP4795558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3604602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