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330A -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330A
KR20100066330A KR1020090082626A KR20090082626A KR20100066330A KR 20100066330 A KR20100066330 A KR 20100066330A KR 1020090082626 A KR1020090082626 A KR 1020090082626A KR 20090082626 A KR20090082626 A KR 20090082626A KR 20100066330 A KR20100066330 A KR 20100066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pattern
photographed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ublication of KR2010006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의 모양에 따른 입력패턴을 인식하고, 입력패턴과 가장 유사한 설정패턴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의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설정패턴이 설정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차례 입력해야 하는 키패드 입력 방식에 비해, 특정 패턴을 갖는 영상이 촬영되도록 자신의 신체부위 중 하나를 이용하여 간단히 미리 설정된 포즈를 취하거나 움직이기만 하면 되어, 사용자에게 입력의 편의성 및 흥미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 영상, 모양, 경로, 패턴

Description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nput data using photographed image}
본 발명은 정보 입력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기술뿐 아니라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 전화연결 기능 외에도 사진촬영기능, 동영상촬영기능, 모바일 인터넷 기능 등 점점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저장할 데이터량이 방대해짐에 따라서 메모리 용량도 커지고,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기술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전화연결 기능, 사진촬영기능,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하는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실행 명령 등의 어떠한 정보를 입력 받아야 한다. 대표적인 정보 입력 방법은 키패드(keypad)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는 구비된 숫자버튼, 방향버튼 등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예를 들어 기능 실행 명령 등)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폰에 구비된 전화번호 검색 및 전화연결 기능의 실행을 예로 들자면,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누른 후 하위 메뉴들 중 전화번호 검색 항목을 선택하고,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검색한 이후 통화버튼을 눌러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또는, 각 전화번호에 미리 설정된 단축번호로 전화연결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 단축번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숫자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눌러야 한다.
마찬가지로, MP3플레이어 등의 타 부가 기능을 실행할 경우에도 대부분 버튼식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에 따른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검색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입력 방식에 따르면, 휴대폰 등의 전자장치에 부가되는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에 따른 별도의 키버튼이 필요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메뉴를 통해 해당 기능을 검색하고 이를 실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마찬가지로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 단축번호 등을 외워야 하거나 메뉴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물론, 최근에는 버튼식의 키패드 외에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전자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터치스크린 방식도 단순히 기계식 버튼이 아닌 터치 방식의 버튼일 뿐이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도 상술한 버튼식 키패드 입력 방식과 거의 동일하여 상기한 입력의 불편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비된 카메라 앞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손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간단한 포즈를 취하거나 움직이기만 하면, 해당 패턴에 따른 전화연결 또는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외우기 쉬운 자신만의 패턴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의 모양에 따른 입력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입력패턴과 가장 유사한 설정패턴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의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설정패턴이 설정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의 움직임 경로를 상기 입력패턴으로서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가 상기 촬영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숫자를 입력 받기 위한 키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영상과 함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호 연결 또는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설정영상이 설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과 휘도값 또는 색상값이 가장 유사한 설정영상을 구비된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설정영상에 따른 전화번호로의 호 연결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영상 및 상기 설정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에 따른 픽셀만의 휘도값 또는 색상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에서의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a)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촬영영상에 상응하는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검색하는 단계; 및 (c)상기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촬영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의 모양 또는 움직임에 따른 입력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입력패턴과 가장 유사한 설정패턴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는, 검색된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c)는,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 받은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 처리함으로써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차례 입력해야 하는 키패드 입력 방식에 비해, 특정 패턴을 갖는 영상이 촬영되도록 자신의 신체부위 중 하나를 이용하여 간단히 미리 설정된 포즈를 취하거나 움직이기만 하면 되어, 사용자에게 입력의 편의성 및 흥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을 위해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특정 포즈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앞에서 한 손으로 특정 포즈를 취하기만 하면 특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한 손엔 카메라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포즈를 취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들도 손쉽게 여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디에이(PDA), 노트북 등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모든 전자장치일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촬영부(10), 통신부(20), 저장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제어부(40)는 패턴 추출부(42) 및 기능 인식부(44) 및 기능 처리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40)의 각 기능부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영부(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전화번호 검색 및 전화연결뿐 아니라, mp3플레이어 기능, 무선 인터넷 검색 등의 부가 기 능 실행을 위한 입력 정보로 활용된다. 입력 정보로 이용되는 촬영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모두 가능하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촬영부(10)의 렌즈는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전자장치 본체 외측에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촬영부(10)의 렌즈를 제외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나머지 구성부는 모두 본체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촬영부(10)가 영상을 촬영하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특정 색깔의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 등의 알림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예를 들어 LCD)가 구비될 수도 있다.
통신부(20)는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한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 기능을 위한 구성부로 예를 들어 안테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에는 부가 기능 중 전화번호부 기능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전화번호, 이름, 단축번호 등)가 저장되며, 전화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MP3플레이어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의 실행을 위한 정보들이 저장된다.
제어부(40)는 촬영부(10), 통신부(20) 및 저장부(30) 등의 전자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0)는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특정 패턴(이하, 입력패턴이라 칭함)을 추출하고,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40)는 외부 영상이 촬영되면, 해당 촬영영상에 따른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인지하여 전화연결 또는 부가 기능을 실행 처리한다. 여기서, 촬영영상으로부터 입력패턴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특정 물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의 윤곽선 및/또는 이동경로일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물론, 상기한 예에서는 촬영영상으로부터 입력패턴을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설정패턴과 비교하는 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촬영영상 자체를 입력패턴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즉, 촬영영상과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설정영상을 각각 비교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이하, 설정패턴이라 칭함)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입력패턴이 촬영영상으로부터 인지되면, 통신부(20)를 제어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가 연결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의 저장부(30)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설정영상(또는 설정영상에 따른 설정패턴)이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설정영상도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촬영부(10)에 의해 미리 촬영된 영상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영상으로 설정되어 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장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에 따라 설정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고 전자장치 출시 시에 미리 특정 영상(촬영되는 영상뿐 아니라 기계적으로 그려진 영상일 수 있음)이 설정영상으로 설정되거나 특정 패턴 정보가 설정패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는 후술되는 설명으로 인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설정영상 또는 설정패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촬영영상과 설정영상을 그대로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촬영영상의 입력패턴을 추출하여 설정패턴과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만일,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40)의 패턴 추출부(42)는 촬영영상에서 입력패턴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턴 추출부(42)는 촬영영상에서 특정 물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도 2참조)의 윤곽선 등의 입력패턴을 추출한다. 또는 사용자가 손을 움직이는 경우 해당 동영상에서 손이 움직이는 동작의 패턴(예를 들어 움직인 경로 등, 도 3참조)을 추출하여 해당 동작 패턴을 입력패턴으로서 추출한다. 만일 촬영부(10)에 오토 포커싱(auto-focusing) 기능이 구비된 경우, 렌즈에 가까이 다가선 사용자의 손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윤곽선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40)의 기능 인식부(44)는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설정패턴을 검색하고, 해당 설정패턴에 따른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인식하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따른 손의 윤곽선과 가장 유사한 설정패턴이 전화번호부의 홍길동이란 사람의 전화번호 A에 설정된 경우, 도 4에 따른 윤곽선을 갖는 손모양이 촬영되면 제어부(40)는 전화번호 A를 검색하고 전화연결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40)의 기능 처리부(46)는 기능 인식부(44)에 의해 인식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 즉 제어부(40)는 촬영영상에 따른 촬영 패턴이 전화번호 A에 대한 전화연결 명령일 경우, 통신기능을 활성화시켜 전화번호 A로 전화연결을 시도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자체를 비교하는 방법을 예로 들면, 촬영영상과 설정영상의 모든 또는 일부(영상에 포함된 손 영역) 픽셀의 휘도값 또는 색상값의 차를 이용하여 두 영상이 일정 수치 이상 유사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촬영영상과 가능 유사한 설정영상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을 위해서는 전자장치에 기능 버튼 등의 입력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기능 버튼은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구비된 버튼일 수 있다. 해당 기능 버튼에 따른 카메라입력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만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기능 버튼은 기존에 존재하던 키버튼(카메라 기능 버튼)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버튼을 이용할 경우, 해당 카메라 기능 버튼을 한번 누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기능이 수행되고, 카메라 기능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두번 누르면, 단순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촬영영상/입력패턴 및 설정영상/설정패턴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인증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설정패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사용자의 손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을 취한 상태에서 영상이 촬영되면, 해당 촬영영상의 손모양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영상이 설정영상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설정영상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두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각 영상의 손모양을 추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윤곽선 추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촬영영상에 포함된 손의 윤곽선과 미리 저장된 설정영상의 특정 물체의 윤곽선이 추출되어 서로 비교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윤곽선 비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그 처리과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설정영상은 미리 윤곽선이 추출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윤곽선이 아니라 특정 물체의 움직이는 이동경로를 입력패턴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패턴이 아닌 영상 자체를 비교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영상과 설정영상의 각 픽셀의 휘도값 또는 색상값의 차를 이용하여 두 영상이 일정 수치 이상 유사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두 영상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은 현재 상술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더라도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촬영영상과 설정영상의 패턴을 추출하여 이를 비교하는 방식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 추출 없이 촬영영상과 설정영상 자체를 비교(예를 들어, 각 픽셀의 휘도, 색상 값 등을 비교)하여 인증 처리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패턴이라함은 촬영영상에 포함된 특정 물체(예를 들어 손 등)의 모양(예를 들어 윤곽선으로 판단할 수 있음) 또는 그 움직이는 경로 등일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을 취한 상태에서 영상이 촬영되면, 전자장치는 손의 윤곽선을 탐색하고, 그 윤곽선을 입력패턴으로서 추출한다. 해당 입력패턴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저장된 설정패턴을 비교하고 일정 오차범위(예를 들어 10%) 내에서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성공될 수 있다. 즉 촬영영상의 손모양이 설정패턴과 일정비율(예를 들어 90%) 이상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증이 성공될 수 있다. 비교 방법으로는 윤곽선의 전체 모양(및 면적 등)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체(손)의 모양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윤곽선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영상 내의 특정 물체의 모양을 비교하는 다른 모든 방법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손가락 등을 특정 모양(도 3 참조)으로 만든 후 미리 정의된 패턴을 가진 경로대로 움직인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 끝이 움직이는 경로(도 5의 530 참조)가 추출되어 입력패턴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물론, 인증의 정확도 및 안정성을 위해 상기한 경로뿐 아니라, 손모양도 함께 입력패턴으로써 추출될 수 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입력패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패턴과 비교된다. 즉, 설정패턴으로는 손모양(510)과 움직이는 경로(530)가 이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일정 오류 범위 내에서 입력패턴과 설정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성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치 허공에 사인을 하듯이 인증요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입력의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은 C모양의 설정 패턴이, 전화번호부 검색 기능은 T, MP3 플레이어 기능은 M, 무선 인터넷 기능은 e 등으로 설정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허공에 각 부가 기능에 따른 모양으로 손을 움직이기만 하면 해당 부가 기능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동일한 손모양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더라도 촬영되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증요청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보다 다양한 입력 정보의 설정이 가능하여 여러 부가 기능의 실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촬영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과, 종래의 버튼 입력 방식을 혼용할 경우, 더욱 다양한 활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여, 구비된 키패드(미도시)의 숫자버튼을 하나 이상 누른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촬영영상을 이용한 입력 방법을 수행할 경우, 숫자와 촬영영상을 동시에 이용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화번호 검색 및 전화연결 또는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에서의 잠금 해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의 입력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전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명령이 입력되면(s600),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s610).
전자장치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입력패턴을 추출한다(s620). 즉, 전자장치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물체(손)의 윤곽선 또는 움직인 경로(즉 모양)를 입력패턴으로서 추출한다.
전자장치는 입력된 입력패턴과 미리 저장된 설정패턴들을 비교하여 해당하는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인식한다(s630). 전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패턴과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하는 설정패턴을 갖는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검색한다.
만일,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전화번호가 검색된 경우(s640) 곧바로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통신 호) 연결이 수행된다(s645). 여기서, 입력패턴에 따른 전화번호가 제대로 검색된 것인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검색된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이 별도로 입력된 이후(예를 들어, 확인 버튼 입력) 전화연결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부가 기능이 검색된 경우(s650), 해당 부가 기능이 곧바로 실행될 수 있다(s655). 물론 부가 기능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확인 이후 실행될 수도 있다.
만일,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전화번호 및 부가 기능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입력 오류 처리될 수 있다(s660).
본 실시예는 촬영영상만을 이용하는 인증 처리 방법을 예시한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숫자(물론 문자도 가능)와 함께 혼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s600 이후 입력된 숫자에 대한 입력 처리 이후 s610부터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s640에서 검색된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 중 입력된 숫자에 따른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이 검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상을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설정패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의 입력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1)

  1.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의 모양에 따른 입력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입력패턴과 가장 유사한 설정패턴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의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설정패턴이 설정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의 움직임 경로를 상기 입력패턴으로서 함께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상기 촬영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숫자를 입력 받기 위한 키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영상과 함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호 연결 또는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 치.
  5.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설정영상이 설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과 휘도값 또는 색상값이 가장 유사한 설정영상을 구비된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설정영상에 따른 전화번호로의 호 연결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영상 및 상기 설정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에 따른 픽셀만의 휘도값 또는 색상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에서의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a)외부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촬영영상에 상응하는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검색하는 단계; 및
    (c)상기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촬영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물체의 모양 또는 움직임에 따른 입력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입력패턴과 가장 유사한 설정패턴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검색된 전화번호 또는 부가 기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사용자로부터 실행명령을 입력 받은 이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90082626A 2008-12-09 2009-09-02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66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367 2008-12-09
KR20080124367 2008-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30A true KR20100066330A (ko) 2010-06-17

Family

ID=423654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627A KR20100066331A (ko) 2008-12-09 2009-09-02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KR1020090082626A KR20100066330A (ko) 2008-12-09 2009-09-02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627A KR20100066331A (ko) 2008-12-09 2009-09-02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66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55B1 (ko) * 2013-01-30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3d 공간 터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79B1 (ko) * 2010-08-17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0017669A1 (ko) * 2018-07-16 2020-01-23 김홍전 방향인식 카운트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55B1 (ko) * 2013-01-30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3d 공간 터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31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12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messages
EP3133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gerprint identification
EP30432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tacked touch key and fingerprint sensor
CN105160320B (zh) 指纹识别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30106833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카메라 사용
KR20100062899A (ko) 터치 패턴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7005020A1 (zh)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自动接听的方法
CN105263126B (zh) 短信验证方法、装置及系统
JP5185570B2 (ja) 個人識別通信システム及び個人識別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EP3173963A1 (en)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196759B1 (ko) 휴대 단말 및 그의 소유자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10067444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지문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KR20100066330A (ko)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6060383A (zh) 一种图像获取的方法及系统
CN108519855A (zh) 字符输入方法及装置
CN110545352A (zh) 电子设备、控制装置、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记录介质
US101986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KR10126479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사진 검색 방법
CN109426758A (zh) 皮肤特征信息的采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93592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키 설정/실행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CN114066458A (zh) 生物识别方法、生物识别装置及存储介质
CN109144587B (zh) 终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5071006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おける操作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9492365B (zh) 指纹信息的标识方法及装置
CN111611826B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