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420A -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420A
KR20100065420A KR1020080123742A KR20080123742A KR20100065420A KR 20100065420 A KR20100065420 A KR 20100065420A KR 1020080123742 A KR1020080123742 A KR 1020080123742A KR 20080123742 A KR20080123742 A KR 20080123742A KR 20100065420 A KR20100065420 A KR 2010006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drain voltage
doherty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471B1 (ko
Inventor
김종헌
김지연
전상현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4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2Combinations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92A hybrid coupler being us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3A transmission line being used as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amplifying stag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입력 RF신호(RFin)를 RFc1신호와 RFc2신호로 분배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신호를 주증폭기와 피킹증폭기에 의하여 전력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out)를 출력하는 도허티 증폭기; 및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2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허티 증폭기의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를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하여 회로구성 및 출력전력의 효율을 높이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피킹 증폭기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주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및 조절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허티증폭기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 푸쉬-풀 패키지, 싱글-엔디드 패키지

Description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Dynamic Doherty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허티 증폭기의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가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낮은 전력 구간에서는 주 증폭기를 구동하고 높은 전력 구간에서는 피킹 증폭기를 상기 주 증폭기와 함께 구동하며 동시에 출력단의 임피던스 변환기를 이용하여 구간별 출력 임피던스를 변환시켜 6-dB 백-오프 구간에서 최대 효율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동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의 PAR(Peak to Average Ratio)가 증가하면서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의 확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구간을 확장하 는 종래의 개선된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증폭기 소자의 개수를 늘리거나 전력이 서로 다른 한쌍의 증폭기 소자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개선된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성도로서 증폭기 소자의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의 개수를 늘리기 위하여 3-Way 전력 분배기와 같은 회로가 부가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개선된 도허티 전력증폭기 기술은 N-Way 전력 분배기와 같은 특수한 회로로 인해서 출력 손실 및 이득 손실이 생기게 되며 소자의 개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회로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력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증폭기 소자를 사용하는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 기술은 각각의 소자가 가지는 입력 신호에 관한 지연이 다르기 때문에 임피던스 정합과 도허티 전력 증폭장치 구조로 결합되는데 어려움이 있고 주 증폭기가 과부하 전력(hard saturation) 상태가 되어 충분한 출력 전력을 얻지 못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허티 증폭기의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를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하여 회로구성 및 출력전력의 효율을 높이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피킹 증폭기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주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및 조절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입력 RF신호(RFin)를 RFc1신호와 RFc2신호로 분배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신호를 주증폭기와 피킹증폭기에 의하여 전력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out)를 출력하는 도허티 증폭기; 및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2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허티 증폭기의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를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하여 회로구성 및 출력전력의 효율을 높이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피킹 증폭기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주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및 조절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입력 RF신호(RFin)를 RFc1신호와 RFc2신호로 분배하는 커플러(100)와 상기 커플러(100)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신호를 주증폭기(231)와 피킹증폭기(232)에 의하여 전력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out)를 출력하는 도허티 증폭 기(200) 및 상기 커플러(100)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2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도허티 증폭기(200)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3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허티 증폭기(200)는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RFc1신호와 동위상인 기준신호 RFc11신호와 상기 RFc11신호의 90°위상차 신호인 RFc12신호로 분배하는 하이브리드 결합기(210)와; 상기 하이브리드 결합기(210)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1신호를 입력 정합하는 제 1입력정합회로(221) 및 상기 하이브리드 결합기(210)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2신호를 입력정합하는 제 2입력정합회로(221)로 이루어지는 입력정합부(220)와; 상기 입력 정합된 RFc11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c11A)를 출력하는 주 증폭기(231) 및 상기 주 증폭기(231)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정합된 RFc12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c12A)를 출력하는 피킹 증폭기(232)로 이루어지는 증폭부(230)와; 상기 전력 증폭된 신호(RFc11A)를 출력 정합하는 제 1출력정합회로(241) 및 상기 전력 증폭된 신호(RFc12A)를 출력 정합하는 제 2출력정합회로(242)로 이루어지는 출력 정합부(240)와; 상기 출력 정합된 신호(RFc11A)의 위상을 보상하는 제 1보상선로(251) 및 상기 출력 정합된 신호(RFc12A)의 위상을 보상하는 제 2보상선로(252)로 이루어지는 위상보상부(250)와; 상기 위상 보상된 신호(RFc11A)와 신호(RFc12A)가 동위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위상 보상된 기준신호(RFc11A)를 90°위상 지연하는 λ/4 지연선로(260); 및 상기 위상 보상된 신호(RFc12A)와 상기 λ/4 지연선로(260)에 의 하여 지연된 신호(RFc11A)가 동위상으로 결합된 신호(RFc1A)의 출력 임피던스를 특정 임피던스로 변환하는 임피던스 변환회로(2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 증폭기(231)와 피킹 증폭기(232)가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증폭부(230)는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증폭부(230)를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하는 상기 주 증폭기(231)와 피킹 증폭기(232)는 각각의 입력단에 형성되는 상기의 제 1, 제 2입력 정합회로(221,222)로 이루어지는 입력 정합부(220) 및 각각의 출력단에 형성되는 상기의 제 1, 제 2출력 정합회로(251,252)로 이루어지는 출력 정합부(250)를 사용하여 최대 출력을 얻는다.
또한,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되어 입력되는 상기 RFc1신호는 표면 장착 패키지(Surface Mount Package)타입의 상기 하이브리드 결합기(210)를 통하여 상기 주 증폭기(231)와 피킹 증폭기(232)에 각각 기준신호인 RFc11신호와 상기 RFc11신호의 90°위상차 신호인 RFc12신호로 분배된다.
게다가, 상기 증폭부(230)의 주 증폭기(231)와 피킹 증폭기(232)는 각각의 출력단에 최적의 길이로 조절된 상기의 제 1,제 2보상선로(251,252)로 이루어지는 위상 보상부(250)를 구비하여 백-오프(back-off)지점에서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상세 구 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300)는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2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입력신호 검출기(310), 및 상기 입력신호 검출기(310)를 통해서 검출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도허티 증폭기의 증폭부(230)를 구성하는 주 증폭기(231) 및 피킹 증폭기(232)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조절하는 드레인 전압 조절부(32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레인 전압 조절부(320)는 상기 피킹 증폭기(232)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상기 주 증폭기(231) 및 상기 피킹 증폭기(232)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1단계, 2단계 및 3단계로 조절하는 DC변환기로서 상기 피킹 증폭기(232)의 최대 출력 범위를 입력신호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조정하여 낮은 출력에서 손실되는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한다.
이때, 상기 드레인 전압 조절부(320)에 의해 1단계, 2단계 및 3단계로 조절되는 드레인 전압을 소정크기의 값을 가지도록 임의로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며 확장되는 백-오프 구간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피킹 증폭기(232)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상기 주 증폭기(231) 및 상기 피킹 증폭기(232)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입력신호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3단계로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및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 검출기(310)는 포락선 검출기 또는 전력 검출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며 상기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300)는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입력신호 검출기(310)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부(230)의 피킹 증폭기(232) 입력단 사이에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는 게이트 전압 조절부(3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는 게이트 전압 조절부(330)는 확장된 백-오프 구간에서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입력되는 신호를 조절하여 드레인 공급전압이 다이나믹하게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전압이 공급되는 주 증폭기(231)와 피킹 증폭기(232)의 소자는 최대출력이 25W인 증폭기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은 드레인 전압이 가장 높은 전압인 36V로 일정하게 공급되는 것을 가리키며 ◇선은 드레인 전압이 가장 높은 전압 36V 및 중간전압 28V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것을 가리키고 마지막으로 ▽선은 드레인 전압이 가장 높은 전압 36V, 중간 전압 28V 및 가장 낮은 전압18V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드레인 전압이 다이나믹하게 조절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 증폭기의 개선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효율이 유지되는 백-오프 구간을 드레인 전 압 제어장치(300)에 의해 조절되는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X선으로 도시된 1단계는 드레인 전압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출력전력은 48dBm에서 42dBm까지 6-dB 백-오프 구간에서 60% 효율이 유지된다.
◇선으로 도시된 2단계는 드레인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출력전력은 48dBm에서 39dBm까지 9-dB 백-오프 구간에서 60% 효율이 유지된다.
▽선으로 도시된 3단계는 드레인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출력전력은 48dBm에서 36dBm까지 12-dB 백-오프 구간에서 60% 효율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출력 전력이 각각의 단계를 거치면서 약 3dB씩 효율 구간이 확장되어 종래의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구간인 6-dB 백-오프 구간보다 확장되어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구간이 12-dB 백-오프 구간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래의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 기술과 같이 전력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증폭기 소자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계별로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소정크기의 값을 가지도록 임의로 조절하여 상기의 최대 효율을 유지하며 확장되는 백-오프 구간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dB 백-오프 구간을 기준으로 드레인 전압제어 장치에 의해 1단계가 적용되었을 경우보다 3단계가 적용된 경우에 효율이 약 31 % 개선되었으며, 2단계가 적용되었을 경우보다 3단계가 적용된 경우에 효율이 약 20 % 개선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으로 구현한 증폭부(230)에 상기 드레인 전압을 각각의 단계별로 적용한 경우는 일반적인 도허티 전력 증폭기의 증폭부에 공급되는, 예를 들어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이 적용된 경우보다 높은 출력 전력을 얻어 회로구성 및 출력전력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허티 증폭기의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를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하여 회로구성 및 출력전력의 효율을 높이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피킹 증폭기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주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다이나믹하게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및 조절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개선된 도허티 전력증폭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상세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조절되어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개선된 전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커플러 200 : 도허티 증폭기
210 : 하이브리드 결합기 220 : 입력정합부
221 : 제 1입력정합회로 222 : 제 2입력정합회로
230 : 증폭부 231 : 주 증폭기
232 : 피킹 증폭기 240 : 출력정합부
241 : 제 1출력정합회로 242 : 제 2출력정합회로
250 : 위상보상부 251 : 제 1보상선로
252 : 제 2보상선로 260 : λ/4 지연선로
270 : 임피던스 변환회로 300 :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
310 : 입력신호 검출기 320 : 드레인 전압 조절부
330 : 게이트 전압 조절부

Claims (6)

  1. 입력 RF신호(RFin)를 RFc1신호와 RFc2신호로 분배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신호를 주증폭기와 피킹증폭기에 의하여 전력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out)를 출력하는 도허티 증폭기; 및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2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허티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제어하는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허티 증폭기는,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RFc1신호와 동위상인 기준신호 RFc11신호와, 상기 RFc11신호의 90°위상차 신호인 RFc12신호로 분배하는 하이브리드 결합기와;
    상기 하이브리드 결합기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1신호를 입력 정합하는 제 1입력정합회로, 및 상기 하이브리드 결합기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12신호를 입력정합하는 제 2입력정합회로로 이루어지는 입력정합부와;
    상기 입력 정합된 RFc11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c11A)를 출력하는 주 증폭기, 및 상기 주 증폭기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정합된 RFc12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RFc12A)를 출력하는 피킹 증폭기로 이루어지는 증폭 부와;
    상기 전력 증폭된 신호(RFc11A)를 출력 정합하는 제 1출력정합회로, 및 상기 전력 증폭된 신호(RFc12A)를 출력 정합하는 제 2출력정합회로로 이루어지는 출력 정합부와;
    상기 출력 정합된 신호(RFc11A)의 위상을 보상하는 제 1보상선로, 및 상기 출력 정합된 신호(RFc12A)의 위상을 보상하는 제 2보상선로로 이루어지는 위상보상부와;
    상기 제 1보상선로에 의하여 위상 보상된 신호(RFc11A)와 상기 제 2보상선로에 의하여 위상 보상된 신호(RFc12A)가 동위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위상 보상된 기준신호(RFc11A)를 90°위상 지연하는 λ/4 지연선로; 및
    상기 위상 보상된 신호(RFc12A)와 상기 λ/4 지연선로에 의하여 지연된 신호(RFc11A)가 동위상으로 결합된 신호(RFc1A)의 출력 임피던스를 특정 임피던스로 변환하는 임피던스 변환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기와 피킹증폭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증폭부는,
    단일의 푸쉬-풀 패키지 타입의 소자 또는 한 쌍의 싱글-엔디드 패키지 타입의 소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는,
    상기 커플러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RFc2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입력신호 검출기, 및 상기 입력신호 검출기를 통해서 검출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도허티 증폭기의 증폭부를 구성하는 주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에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조절하는 드레인 전압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전압 제어장치는,
    상기 입력신호 검출기의 출력단과 상기 도허티 증폭기를 구성하는 증폭부의 피킹 증폭기 입력단 사이에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는 게이트 전압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전압 조절부는,
    상기 피킹 증폭기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 또는 상기 주 증폭기 및 상기 피킹 증폭기 각각으로 동시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드레인 전압을 3단계로 조절하여 최대 효율을 유지하는 백-오프 구간을 확장 및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KR1020080123742A 2008-12-08 2008-12-08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KR10102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742A KR101021471B1 (ko) 2008-12-08 2008-12-08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742A KR101021471B1 (ko) 2008-12-08 2008-12-08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420A true KR20100065420A (ko) 2010-06-17
KR101021471B1 KR101021471B1 (ko) 2011-03-15

Family

ID=4236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742A KR101021471B1 (ko) 2008-12-08 2008-12-08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3372A (zh) * 2017-11-07 2018-02-23 南京国博电子有限公司 一种宽带多尔蒂功率放大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491B1 (ko) * 2001-03-21 2006-01-2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초고주파 도허티 증폭기의 출력 정합 장치
KR20050031663A (ko) * 2003-09-30 2005-04-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KR20050097665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고주파 도허티 증폭기에서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
KR20060077818A (ko) * 2004-12-31 2006-07-05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비대칭 전력 구동을 이용한 전력 증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3372A (zh) * 2017-11-07 2018-02-23 南京国博电子有限公司 一种宽带多尔蒂功率放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471B1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1257B1 (en) Doherty amplifier circuit
KR101709347B1 (ko) 결합셀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US8618883B2 (en) N-way doherty distributed power amplifier with power tracking
CA2765107C (en) Power amplifier and transmitter
KR101145666B1 (ko) 고주파용 3-스테이지 질화 갈륨계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GaN HEMT) 도허티 전력증폭기
US20040174212A1 (en) Doherty amplifier using adaptive bias control
US8013680B2 (en) Distributed Doherty amplifiers
US8400216B2 (en) 3-way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driving amplifier
JP2006197556A (ja) 増幅器
JP2009260658A (ja) 電力増幅器
JP2007053540A (ja) ドハティ型増幅器
JP5655655B2 (ja) ドハティ増幅装置
JP6407476B1 (ja) ドハティ増幅器及び増幅回路
US9124217B2 (en) Power amplifier
US9461596B1 (en) Doherty power amplifier with integrated pre-distortion
KR101704541B1 (ko) 2단 불균형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JP2006174409A (ja) 高周波用のドハティ型の高効率増幅器、およびその信号処理方法
KR100760519B1 (ko) 2단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JP2012049858A (ja) 電力増幅器
JP2009303040A (ja) 高周波電力増幅器、および増幅方法
KR101021471B1 (ko) 다이나믹 도허티 전력증폭기
WO2015029462A1 (ja) 電力増幅装置、及び電力増幅装置の制御方法
US7148746B2 (en) High efficiency amplifier
JP7281933B2 (ja) 増幅装置
JP3827130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