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327A -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327A
KR20100065327A KR1020107005500A KR20107005500A KR20100065327A KR 20100065327 A KR20100065327 A KR 20100065327A KR 1020107005500 A KR1020107005500 A KR 1020107005500A KR 20107005500 A KR20107005500 A KR 20107005500A KR 20100065327 A KR20100065327 A KR 20100065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vel
subframe
transmission
power
hard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748B1 (ko
Inventor
라비키란 노리
에드가 페르난데스
로버트 러브
비제이 난기아
데일 슈웬트
케네쓰 에이. 스튜어트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65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3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power amplifiers, e.g. gain or non-line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100)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기술한다. 본 방법은 사용자 장치(120)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315),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하는 단계(320), 및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하는 단계(3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330),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335), 및 원하는 전력 레벨과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하는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단계(345), 및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로 송신하는 단계(35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 동일자로 제출되고 공동으로 양도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라는 제하의 출원(사건 번호 041-0085)에 관련된 것으로,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개시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로도 지칭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업링크 전력 제어를 표준화하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정확한 구현 세부사항들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EUTRA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들, 가령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특정 전력 제어 공식에 의해 결정되는 개별의 전력 레벨에서 송신해야 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각 단말기에 대해 전력 제어 공식은, 서브캐리어 마다 전력, 가령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 PSD)를 원하는 레벨에서 유지하려고 한다. 만약 수신된 PSD가 특정 레벨에서 유지되어야 하고, UE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각 서브프레임마다 상당히 다를 경우, 각 EUTRA UE의 총 송신 전력도 서브프레임마다 상당히 변할 것이다. 서브캐리어들의 개별 세트들이 상이한 서브프레임들로 UE에 할당될 수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 대역폭 및 주파수를 급속히 변경시키면서 송신 전력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은, UE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상당한 난국이 될 것이다. 적절한 임의의 경감 메카니즘 없다면, EUTRA 네트워크 내의 UE들은, 송신 전력에서 상당한 에러를 유발해서, 스펙트럼 효율에서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에서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기술한다. 본 방법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치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하는 단계, 및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데이터를, 제1 서브프레임에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로 송신하는 단계,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원하는 전력 레벨과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결정된 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단계, 및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대해 언급된, 그리고 다른 이점들 및 특징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기 위해,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는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간략히 상술된 본 개시에 대해 더 구체적인 기술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도면들이 본 개시의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이 이해되므로, 본 개시는 첨부 도면들의 사용을 통해 추가적인 구체적 사항 및 세부 사항으로 기술 및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 블럭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예시적 다이아그램이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10), 단말기(120) 및 기지국(130)을 포함한다. 단말기(120)는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장치, 무선 전화기, 셀룰러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페이저(pager), 개인용 컴퓨터, 선택적 호 수신기(selective call receiver),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와 같은 장치들일 수 있다.
네크워크(110)는, 무선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0)는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기 네트워크,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네트워크,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네트워크, 위성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유사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0)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일 수 있다.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은, 복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이한 주파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10)는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110)는 복수의 데이터 네트워크, 복수의 원격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및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의 조합, 및 통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유사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시, 단말기(120)는 기지국(130)으로부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말기(120)는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20)는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20)는, 전용 전력 캘리브레이션 파형(dedicated power calibration waveform)에 기초한 임의의 캘리브레이션 없이,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에서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전용 전력 캘리브레이션 파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단말기(120)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제1 전력 레벨과 관련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20)는 원하는 전력 레벨과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20)는 상기 차에 기초하여, 저장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20)는, 원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성에 기초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에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의 전체 구간 동안 임의의 캘리브레이션 없이 새로운 전력 레벨에서 송신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의 부재로 인해, 그 서브프레임에 대한 송신 전력이 잘못될 수 있다 (실제 전력 레벨 = 원하는 전력 레벨 Pd + 차분 전력 Δ, 여기서 델타로도 지칭되는 Δ는 양 또는 음일 수 있음). 그러나, 송신을 하는 동안, 단말기(120) 하드웨어는 사용된 실제 전력(Pd+Δ)을 측정하고 대응하는 하드웨어 설정들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120)가 후속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해야 한다면, 저장된 하드웨어 설정들을 에러(Δ)를 정정하기 위한 약간의 변경과 함께 이용해서, 원하는 전력 레벨(Pd) 또는 관련 전력 레벨에 더 가까운 전력으로 재송신할 수 있다. 이는, 재송신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이 최초 송신을 위해 할당된 것들과 동일하거나 밀접하게 관련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 요청(Hybrid Automatic Request: HARQ) 동작이 동기적(synchronous)이고 비적응적(non-adaptive)일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단말기(120)가 적어도 재송신 동안에는 더 정확한 전력 레벨로 송신하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캘리브레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달성되는 것보다 더 우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의 제1 슬롯 동안 캘리브레이션 없이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2개 슬롯을 포함한다. 캘리브레이션의 부재로 인해, 그 슬롯에 대한 송신 전력은 잘못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롯 동안 이루어진 측정을 이용하면, 단말기(120)가 서브프레임의 나머지(즉, 제2 또는 후속 슬롯)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정정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의 후반(latter half)에 대해 더 정확한 송신 전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캘리브레이션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20)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임의의 부가적인 시스템 리소스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더 정확한 전력 레벨에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120)는 (특정 하위 시기 또는 시기에 걸친 이전의 관찰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나 이상의 하위 시기들에 대해 그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00), 가령, 단말기(120)의 예시적 블럭 다이아그램이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제어기(22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오디오 입력 및 출력 회로(23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24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송수신기(25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6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메모리(270), 하우징(210) 및 송수신기(250)에 결합되는 안테나(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또한 전력 레벨 구축 모듈(290), 전력 레벨 측정 모듈(292), 및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29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레벨 구축 모듈(290), 전력 레벨 측정 모듈(292), 및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294)은 제어기(220)에 결합되거나, 제어기(220) 내에 상주하거나, 메모리(270) 내에 상주하거나, 자율적 모듈들이거나, 소프트웨어이거나,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무선 통신 장치(200)의 모듈에 유용한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수단일 수 있다. 송수신기(250)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및 출력 회로(230)는 마이크로폰, 스피커, 트랜스듀서 또는 임의의 다른 오디오 입력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는 키패드, 버튼들, 터치 패드, 조이스틱, 추가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 및 전자 장치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광학 메모리, 가입자 식별 모듈 메모리,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시, 제어기(220)는 무선 통신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기(250)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치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력 레벨 구축 모듈(290)은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하고,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할 수 있다. 원하는 전력 레벨은, 전력 제어 함수, 및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들(가령, 스케쥴링 그랜트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자신이 판단하기에, 원하는 전력 레벨을 달성할 송신기 이득 레벨을 설정할 수 있지만, 전술한 제한들(온도, 부하 임피던스, 대역폭 편차 및 캐리어 대역폭 내의 주파수 위치, 공급 전압 등)로 인해, 실제 전력 레벨은 상당한 양, 가령, +/-5dB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250)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하여 제1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력 레벨 측정 모듈(292)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294)은 원하는 전력 레벨과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 레벨 구축 모듈(290)은 상기 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250)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
원하는 전력 레벨은,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와 관련된 경로 손실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에 기초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20)는, 경로 손실 측정에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또한 스케쥴링 그랜트들 상에서 송신되는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이용하는 개방 루프 전력 제어 알고리즘으로부터, 원하는 전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원하는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스케쥴링 그랜트들 상에서 나타나는 할당 대역폭도 사용될 것이다.
전력 레벨 구축 모듈(290), 전력 레벨 측정 모듈(292) 및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294)은 무선 통신 장치(200)의 전력을 캘리브레이팅하기 위한 전용 전력 캘리브레이션 파형을 송신하는 송수신기 대신에, 무선 통신 장치(200)의 전력을 캘리브레이팅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전력 레벨 구축 모듈(290)은, 전력 레벨 측정 모듈(292)이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한 후, 제1 전력 레벨과 관련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저장하고,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이 차를 결정한 후, 그 차에 기초하여 저장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송신은, 원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건들 하에서 송신되는 것에 의해, 이전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 플로우차트(300)이다. 단계(310)에서, 플로우차트가 시작한다. 단계(315)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업링크 시그널링 그랜트는, 단말기가 이전 송신에서 이루어진 측정에 기초하여 그 업링크 송신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전력 캘리브레이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가령,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의해 나타나는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들 및 리소스 할당 대역폭)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할 수 있다. 원하는 전력 레벨은,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와 관련된 경로 손실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에 기초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함수는, 리소스 할당 대역폭과 더불어 공지의 다운링크 공통 기준 심볼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200)가 측정한 경로 손실 추정치들을 이용하고, 원하는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 제어 (단계) 커맨드들을 나타낼 수 있다.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한 후의 단계들은 전용 전력 캘리브레이션 파형을 송신하는 대신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325)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335)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할 때,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전력 레벨과 관련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원하는 전력 레벨과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45)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차를 결정한 후, 그 차에 기초하여 저장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 대해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에서 송신할 수 있다. 다음 송신은 다수의 상이한 방법으로 이전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사용되는 캐리어 대역폭 내에 대략 동일 주파수 위치(즉, 동일한 대역 위치)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다음 송신의 리소스 할당의 중심은, 제1 송신의 것과 비교적 가깝다.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의 리소스 할당 대역폭 내에 포함되는 대역 위치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가 1.08MHz의 대역폭을 갖는 리소스 할당(즉, 각각이 180kHz에 걸치는 6개의 리소스 블럭)을 수신하였다는 것으로 가정하면, 무선 통신 장치가 5MHz 캐리어의 하위 1.08MHz 대역에서 송신하는 경우, 그리하여, 패킷의 후속 송신 또는 재송신이 다음 몇몇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N 채널 정지 및 대기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시된 HARQ 프로세스에 대해 HARQ 채널의 다음 발생에서 발생하고, 새로운 송신 또는 재송신 리소스 할당 대역폭이 실질적으로 이전 1.08MHz 송신의 범위 내에 오버랩되거나 포함될 경우, 새로운 송신 또는 재송신은 1.08MHz 송신에 대응한다.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으로부터 다음 슬롯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후, 송신된 N 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도록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과 관련된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후속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기 내에 송신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 송신은 원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건들 하에서 송신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건들은, 온도 조건들, 전압 조건들, 부하 임피던스 조건들, 총 전력 조건들, 할당 대역폭 조건들, 및/또는 대역 위치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다음 송신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한다고 결정하는 것과 그 조건들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송신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과 관련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에 사용되는 다음 심볼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400)의 예시적 도면이다. 시나리오(400)는 시간에 대해 상이한 단말기들에 할당될 수 있는 시스템 대역폭(410)을 나타낸다. 대역폭은 또한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420)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기간(time period)은 서브프레임들(430)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슬롯들(440)로 더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브프레임은 1ms일 수 있고, 각 슬롯은 0.5ms일 수 있지만, 당업자는 슬롯들의 크기 및 관계가 상이한 시스템들의 필요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전 송신에 대해 결정된 측정 전력은 현재 송신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송신의 조건들이 이전 송신의 조건들과 너무 다른 경우(가령, 이전 송신이 임계치보다 더 크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한 경우, 혹은 온도가 상당히 변한 경우)에는, 이전 측정들에 기초해서 전력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현재 송신에는 디폴트 설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0)는 송신 내에 하나의 분리된 서브프레임 또는 다수의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 서브프레임들이 불연속적 또는 연속적인지와 무관하게,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RB) 할당이 서브프레임마다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비록 전력 출력, RB의 수, 대역 내의 RB 위치가 서브프레임 마다 상당히 변한다 할지라도, 단말기(120)는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시 소정의 패턴들 또는 유사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업링크는 동기적인 비적응 HARQ 재송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재송신의 주파수 리소스 할당이 최초 송신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HARQ 송신들을 이용할 때, 송신들 간에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450)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라운드 트립 지연이 8ms인 것으로 예시화되어 있지만, 이 지연은 네트워크 및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동작시,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의 전체 기간에 대한 임의의 캘리브레이션 없이, 전력 레벨(PT1)에서 최초 송신(460)을 송신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의 부재로 인해, 그 서브프레임에 대한 송신 전력은 잘못될 수 있다. 그러나, 송신을 하는 동안, 단말기 하드웨어는 사용되는 실제 전력을 측정하고, 대응하는 하드웨어 설정들을 저장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서의 후속하는 재송신(470)에서, 단말기는 그 후 저장된 하드웨어 설정들에 에러(Δlarge)를 정정하기 위한 약간의 변경들을 가하여, 가능한 작은 에러(Δsmall)를 갖는 원하는 전력(Pd)에 더 가까운 전력에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캘리브레이션에 대한 시나리오(500)의 예시적 도면이다. 시나리오(500)는 시간에 대해 상이한 단말기들에 할당될 수 있는 시스템 대역폭(510)을 나타낸다. 또한 대역폭은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520)에 할당될 수 있다. 기간은 서브프레임(530)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슬롯들(540)로 더 분할될 수 있다.
동작시, 무선 VoIP 업링크 송신은 고정 대역폭 송신들의 반복 패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업링크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와 채널 품질 인디케이터(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송신들은 또한 업링크 VoIP 활동에 산재될 수 있고, 이 송신들은,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520)에 대해 보존되는, 협대역 에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성능 요건은, 단말기(120)가 송신의 각 유형(VoIP 또는 ACK/NACK)에 대해 서브캐리어마다 대략 동일한 전력을 생성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반면, VoIP 송신들의 총 전력은 이 언급 없는 다른 신호 유형들보다 더 높을 수 있어, ACK/NACK 송신들에 사용되는 전력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전력을 필요로 한다. 송신들은, 제어 리소스들 또는 데이터 리소스들 중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양쪽 모두에서 행해지지는 않는다. 최초 서브프레임 n에서 전력의 측정을 시도하고, 그것을 이후의 서브프레임 n+1에 대해 특정 타겟으로 세팅하는 것은, 정규 전력 오프셋뿐만 아니라 2개의 상이한 송신 간의 주파수 오프셋 양쪽 모두에 기인한 추가적인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n(580), n+20(581) 및 n+40(582)이 모두 동일한 송신 유형인 경우, 서브프레임(580)에서 측정된 전력(PT1)은 원하는 전력(Pd) 및 에러(Δlarge)로 취급될 수 있고, 그 결과 결정된 에러는, 대응하는 후속 서브프레임 n+20(581)에 대해 더 작은 에러(Δsmall)를 생성하기 위해 보다 많이 정확한 전력 값(PTn)을 세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후속 서브프레임 n+20(581)에서의 측정들은 또 다른 후속 서브프레임 n+40(582)에서의 전력 정확성을 더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이득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 가령, 전력, 온도, 공급 전압들, 주파수, 및/또는 부하가 대응하는 서브프레임들 간에 유사할 정도로, 전력 설정 정확성이 이러한 방식으로 많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제어에 대해 대응하는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것은, 전력 제어 정확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송신들은 이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대응하는 서브프레임들 간에 송신들을 갖지 않는 갭(gap)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력 제어 정확성은 여전히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캘리브레이션에 대한 시나리오(600)의 예시적 도면이다. 시나리오(600)는 시간에 대해 상이한 단말기들에 할당될 수 있는 시스템 대역폭(610)을 나타낸다. 대역폭은 또한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620)에 할당될 수 있다. 기간은 서브프레임(630)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슬롯(640, 650)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동작시,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630)의 제1 슬롯(640) 동안 캘리브레이션 없이 송신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의 부재로 인해, 그 슬롯에 대한 송신 전력(PT1)은 원하는 송신 전력(Pd)과 상이(Δlarge)할 수 있다. 제1 슬롯(640) 동안 이루어진 측정을 이용하면,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630)의 나머지에 대한 송신 전력(PT2)을 수정할 수 있다. 새로운 송신 전력(PT2)은 여전히 작은 에러(Δsmall)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수정들이 이후의 프레임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120)는 서브프레임의 후반에 대해 더 정확한 송신 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캘리브레이션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우수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단말기(120)는 캘리브레이션 없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송신을 한다. 캘리브레이션의 부재로 인해, 그 최초 송신에 대한 송신 전력(PT1)은 원하는 송신 전력(Pd)과 (에러 Δlarge 만큼) 상이할 수 있다. 최초 송신 동안 이루어진 측정을 이용하면, 단말기(120)는 후속 송신들에 대한 송신 전력(PT2)을 수정하여, 그들이 더 작은 에러(Δsmall)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추가적인 수정들이 후속하는 송신들에 기초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은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어기들, 플로우차트들 및 모듈들 또한 일반 목적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주변 집적 회로 소자들, 집적 회로, 개별 소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전자 또는 로직 회로,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플로우차트를 실행할 수 있는 유한 상태 머신에 상주하는 임의의 디바이스가 본 개시의 프로세서 기능들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가 특정 실시예로 기술되어 있지만, 많은 대안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하다는 것이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호교환, 부가 또는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의 모든 엘리먼트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독립 청구항들의 엘리먼트들을 단순히 채용함에 의해 본 개시의 교시를 제조 및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언급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제한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제2" 등의 관련 용어들은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과 단순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엔티티들 또는 동작들 간의 실제의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하거나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 "포함한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된 용어는, 엘리먼트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아티클 또는 장치가 그 엘리먼트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아티클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나열되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도록,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고자 의도된 것이다. 하나("a", "an") 등에 후속하는 엘리먼트는, 더 이상의 한정이 없는 한, 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아티클 또는 장치 내에 부가적인 동일 엘리먼트들이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다른(another)"은 적어도 두 번째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용어 "내포하는", "가지는" 등은 여기서 "포함하는"으로서 정의된다.

Claims (20)

  1.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치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하는 단계와,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과 상기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차에 기초하여 상기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는, 상기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은,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와 관련된 경로 손실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에 기초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전력 레벨과 관련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차를 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의 원하는 전력 레벨은 상기 제1 송신의 원하는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공지의 차를 갖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사용되는 대역 위치와 동일한 대역 위치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의 리소스 할당 대역폭 내에 포함되는 대역 위치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으로부터 다음 슬롯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후속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과 관련된 제어 채널에 이용되는 후속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으로부터 소정 기간 내에 송신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건들 하에서 송신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건들은, 온도 조건들, 전압 조건들, 부하 임피던스 조건들, 총 전력 조건들, 할당 대역폭 조건들 및 대역 위치 조건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과 관련된 사운딩 기준 신호에 사용되는 다음 심볼 내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시그널링 그랜트는 전력 캘리브레이션 비트를 포함하는 방법.
  15. 장치로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치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에 결합되어, 상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와,
    적어도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하고,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하도록 구성된 전력 레벨 구축 모듈과 - 상기 송수신기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레벨 측정 모듈과,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과 상기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 - 상기 전력 레벨 구축 모듈은 상기 차에 기초하여 상기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는, 상기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은,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와 관련된 경로 손실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에 기초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 구축 모듈, 상기 전력 레벨 측정 모듈 및 상기 전력 레벨 차 결정 모듈은, 상기 장치의 전력을 캘리브레이팅하기 위해 전용 전력 캘리브레이션 파형을 송신하는 송수신기 대신에 상기 장치의 전력을 캘리브레이팅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레벨 구축 모듈은, 상기 제1 전력 레벨이 측정된 후, 상기 제1 전력 레벨과 관련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저장하고, 상기 차가 결정된 후, 상기 차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송신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건들 하에서 송신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장치.
  20.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 내의 사용자 장치에서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원하는 전력 레벨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세팅하는 단계와,
    전용 전력 캘리브레이션 파형에 기초한 캘리브레이션 없이, 제1 서브프레임 에서 상기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1 전력 레벨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제1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력 레벨과 관련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과 상기 측정된 제1 전력 레벨 간의 차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차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원하는 전력 레벨에 대한 특성들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성들에 기초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에 대응하는 다음 송신에서는, 상기 변경된 하드웨어 전력 설정들에 기초한 제2 전력 레벨에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05500A 2007-08-14 2008-08-13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22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38,536 2007-08-14
US11/838,536 US8145127B2 (en) 2007-08-14 2007-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PCT/US2008/073042 WO2009023726A2 (en) 2007-08-14 2008-08-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327A true KR20100065327A (ko) 2010-06-16
KR101522748B1 KR101522748B1 (ko) 2015-05-26

Family

ID=4025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500A KR101522748B1 (ko) 2007-08-14 2008-08-13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45127B2 (ko)
EP (1) EP2188929A2 (ko)
JP (1) JP5282784B2 (ko)
KR (1) KR101522748B1 (ko)
CN (1) CN101790859B (ko)
BR (1) BRPI0815355A8 (ko)
CA (1) CA2697000C (ko)
MX (1) MX2010001731A (ko)
MY (1) MY151249A (ko)
RU (1) RU2480913C2 (ko)
WO (1) WO2009023726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896A1 (en) * 2014-06-13 2015-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ntenna impedance match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17995A (ko) * 2016-06-15 2019-02-20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그랜트리스 동작들
US10880868B2 (en) 2016-04-20 2020-12-29 Convida Wireless, Llc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and light weight connection signaling
US11218267B2 (en) 2016-04-20 2022-01-04 Convida Wireless, Llc Configurable reference signals
US11438905B2 (en) 2016-11-03 2022-09-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rame structure in NR
US11503314B2 (en) 2016-07-08 2022-11-15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Systems and methods for region-of-interest tone remapping
US11765150B2 (en) 2013-07-25 2023-09-19 Convida Wireless, Llc End-to-end M2M service layer sessions
US11765406B2 (en) 2017-02-17 2023-09-19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object-of-interest zooming in streaming video
US11770821B2 (en) 2016-06-15 2023-09-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for new radio
US11871451B2 (en) 2018-09-27 2024-01-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ub-band operations in unlicensed spectrums of new radi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0360B2 (en) * 2007-10-06 2016-11-2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to avoid multiplexing of control and data for power limited users in the LTE reverse link
KR20100138948A (ko) * 2008-03-19 2010-12-3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US8494572B2 (en) 2008-06-24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first data transmission in random access procedure of FDMA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95735A1 (en) * 2008-08-27 2011-08-11 Ralf Irmer Multiple Power Control Parameter Sets for Wireless Uplink Data Transmission
US8219136B2 (en) * 2009-02-09 2012-07-1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determine transmitter power
KR101294815B1 (ko) 2009-05-15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10158117A1 (en) * 2009-06-29 2011-06-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s on disparate radio access technologies
AU2010296186B2 (en) 2009-09-21 2014-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306745B1 (ko) 2009-09-21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83597B1 (ko) * 2010-01-11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말의 전력 증감 요청 방법 및 장치
US8873415B2 (en) * 2010-01-19 2014-10-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2403302B1 (en) * 2010-06-29 2017-01-04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ignals simultaneously using at least two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and method thereof
US9408162B2 (en) 2010-09-30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for simultaneous voice and long term evolution
US8565205B2 (en) * 2010-11-0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Specific absorption rate backoff in power headroom report
US9379826B2 (en) 2011-03-30 2016-06-28 Intel Deutschland Gmbh Calibration of a transmitter with internal power measurement
GB2492600B (en) * 2011-07-08 2014-02-12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2014CN00467A (ko) * 2011-07-28 2015-04-03 Nokia Corp
US9559793B2 (en) 2012-10-25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device test station calibration
US9820229B2 (en) 2013-04-05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voltage and frequency scaling in wireless modems
US20140301262A1 (en) * 2013-04-05 2014-10-09 Qualcomm Incorporated In-subframe adaptive adjusting
EP2827495A1 (en) * 2013-07-18 2015-01-21 Sequans Communications Limited Dynamic amplifier supply
EP3053407B1 (en) 2013-10-03 2018-12-26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Interface device providing power management and load termin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3108616B1 (en) 2014-02-21 2022-02-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transport link quality measurement
US10825417B2 (en) * 2015-04-10 2020-11-03 Ossia Inc. Wirelessly powere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es
US10383114B2 (en) * 2016-03-24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On co-channel sidelink LTE V2V and DSRC communication
CN109644084B (zh) 2016-04-20 2021-10-26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新无线电中的物理信道
EP3455985B1 (en) 2016-05-11 2022-03-09 Convida Wireless, LLC New radio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0506446B (zh) * 2016-11-17 2023-02-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子帧调度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555A (en) * 1991-07-22 1994-02-15 Motorola, In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TDM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WO2000022757A2 (de) * 1998-10-09 2000-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funk-kommunikationssystem zur leistungsregelung zwischen einer basisstation und einer teilnehmerstation
JP4156735B2 (ja) * 1999-01-08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6788950B1 (en) * 1999-07-06 2004-09-07 Cisco Technology Inc. Optimal use of request access TDMA slots for automatic level control
US6594251B1 (en) * 1999-07-06 2003-07-15 Cisco Technology Inc. Polling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US6763006B1 (en) * 1999-09-22 2004-07-13 Sola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within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6819938B2 (en) 2001-06-26 2004-11-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calib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487221B1 (ko) * 2001-11-23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US8179833B2 (en) * 2002-12-06 2012-05-15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TDM/OFDM/CDM reverse link transmission
US6970437B2 (en) * 2003-07-15 2005-11-29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differentiated services for a multiflow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utonomous allocation
GB2409135B (en) * 2003-12-12 200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JP4336968B2 (ja) 2004-02-20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機器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7561550B2 (en) * 2004-07-2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a soft handover region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US7804850B2 (en) * 2004-10-01 2010-09-28 Nokia Corporation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JP4484062B2 (ja) * 2005-02-14 2010-06-16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基地局装置および上り送信電力制御方法
JP4834352B2 (ja) 2005-06-14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電力制御方法
US8600336B2 (en) * 2005-09-12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with reverse direction gra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949566B1 (en) 2005-11-04 2014-04-30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channel hopping fo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system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5150B2 (en) 2013-07-25 2023-09-19 Convida Wireless, Llc End-to-end M2M service layer sessions
WO2015190896A1 (en) * 2014-06-13 2015-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ntenna impedance match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880868B2 (en) 2016-04-20 2020-12-29 Convida Wireless, Llc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and light weight connection signaling
US11218267B2 (en) 2016-04-20 2022-01-04 Convida Wireless, Llc Configurable reference signals
KR20190017995A (ko) * 2016-06-15 2019-02-20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그랜트리스 동작들
US11770821B2 (en) 2016-06-15 2023-09-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for new radio
US11503314B2 (en) 2016-07-08 2022-11-15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Systems and methods for region-of-interest tone remapping
US11949891B2 (en) 2016-07-08 2024-04-02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Systems and methods for region-of-interest tone remapping
US11438905B2 (en) 2016-11-03 2022-09-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rame structure in NR
US11877308B2 (en) 2016-11-03 2024-01-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rame structure in NR
US11765406B2 (en) 2017-02-17 2023-09-19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object-of-interest zooming in streaming video
US11871451B2 (en) 2018-09-27 2024-01-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ub-band operations in unlicensed spectrums of new rad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3726A3 (en) 2009-04-09
JP5282784B2 (ja) 2013-09-04
BRPI0815355A8 (pt) 2015-10-27
MY151249A (en) 2014-04-30
MX2010001731A (es) 2010-06-01
BRPI0815355A2 (pt) 2015-02-10
CN101790859A (zh) 2010-07-28
JP2010537498A (ja) 2010-12-02
CN101790859B (zh) 2015-06-10
RU2010109413A (ru) 2011-09-20
CA2697000C (en) 2014-03-18
CA2697000A1 (en) 2009-02-19
WO2009023726A2 (en) 2009-02-19
KR101522748B1 (ko) 2015-05-26
RU2480913C2 (ru) 2013-04-27
EP2188929A2 (en) 2010-05-26
US8145127B2 (en) 2012-03-27
US20090047902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748B1 (ko)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A269596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US11683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ownlink slot of a CSI resource
US10602534B2 (en) Uplink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2128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transmission based on overlapping transmission occasions
CN109561508B (zh) 时分双工无线通信系统
KR202100108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다운링크 경로손실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223643A1 (en) Controlling power in non-licensed band
EP420906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 csi report on a transmission occasion
JPH1075210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式
CN113519134B (zh) 生成csi报告的方法和装置
WO2021160039A1 (en) Method for measuring pathloss reference signal,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2155979A1 (zh) 功率控制方法和装置
WO2022208490A1 (en) Ul power control for transport block transmission over multiple sl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