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740A -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740A
KR20100064740A KR1020080123323A KR20080123323A KR20100064740A KR 20100064740 A KR20100064740 A KR 20100064740A KR 1020080123323 A KR1020080123323 A KR 1020080123323A KR 20080123323 A KR20080123323 A KR 20080123323A KR 20100064740 A KR20100064740 A KR 2010006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ir conditioner
stop
vehicle
sta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017B1 (ko
Inventor
석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08012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0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2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the stop or idling operation of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89Additional cooling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과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응하여 공조장치의 냉방모드와 축냉모드 및 방냉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정차 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한 경우, 차량에 구성된 공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킨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에 의해 공조장치의 압축기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 대한 기능성 및 신뢰성을 향상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차량, 공조장치, 스톱-스타트 시스템, 방냉모드, 열전소자

Description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al for vehicle with stop-start system}
본 발명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과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응하여 공조장치의 냉방모드와 축냉모드 및 방냉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정차 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한 경우, 차량에 구성된 공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공조장치의 압축기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자동차(이하, 차량과 혼용함)라 함은 원동기를 사용하여 궤조 또는 가선에 의하지 않고 운전되는 운송기계로서, 그 구성으로는 엔진, 연료공급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 및 조향장치, 제동장치, 배출장치, 공조장치, 냉각 및 윤활장치 등이 있으며, 주로 승객이나 화물의 운송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에는 외기가 높은 여름철에 운전자 및 승객에게 쾌적한 내부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에어컨과 히터 등의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조장치를 간단히 살펴보면, 내부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축냉기,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 내부온도를 높이기 위한 히터 코어, 차량의 실내에 온풍을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PTC 히터, 상기 구성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혼합(외기 포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어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차량의 배출가스에 의한 환경오염 및 유가상승의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환경보호를 하면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의해 개발된 차량 중 정차시 엔진을 정지시키는 스톱-스타트 시스템(Stop-start system)이 적용된 차량이 있다.
상기 스톱-스타트 시스템은, 차량이 정차하거나 저속주행(가속이 없이 클리핑하는 약 6km/h 이하의 주행) 시 엔진을 정지시켜 연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이 가속되는 순간에 엔진이 재가동하게 된다.
이때, 외부온도가 매우 낮은 겨울철(영하 10℃ 이하)에는 실내 내부에 난방이 필요하므로, 공조장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라 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또한, 외부온도가 매우 높은 여름철(영상 30℃ 이상)일 경우에도, 실내 내부의 냉방을 위하여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은 디젤과 가솔린 등의 다양한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개발되는 다양한 차량에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공조장치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과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응하여 공조장치의 냉방모드와 축냉모드 및 방냉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정차 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한 경우, 차량에 구성된 공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킨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에 의해 공조장치의 압축기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은, (a) 차량의 주행과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하면서 공조장치가 작동되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은 경우, 공조장치를 이용한 냉방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c)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하면서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 축냉제의 온도를 낮추는 축냉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판단결과, 차량이 정차하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 공조장치의 동작여부에 대응하여 축냉제 및 열전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방냉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계 (d)는, (d-1)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엔진이 정지된 경우, 공조장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d-2) 공조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냉제의 축냉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축냉온도에 대응하여 공조제어와 송풍제어 및 열전소자 동작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 및 (d-3) 공조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열전소자를 작동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단계 (d-2)는,(d-2-1) 공조장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d-2-2) 공조장치가 작동한 경우, 축냉제의 축냉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d-2-3) 측정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보다 높은 경우,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와 비교하는 과정; 및 (d-2-4) 비교결과,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낮은 경우, 송풍기의 풍량을 감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과정 (d-2-3)는, (d-2-3') 측정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보다 낮은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과정 (d-2-4)는, 비교결과,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높은 경우,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하고, 설정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에 의해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과정 (d-2-4)는, 비교결과,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높은 경 우,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하고, 설정온도가 낮은 경우 내기에 의해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단계 (d-3)는,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결과 설정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에 의해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단계 (d-3)는,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결과 설정온도가 낮은 경우, 열전소자를 작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의 공조장치를 제어함에 있어, 엔진과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응하여 공조장치의 냉방모드와 축냉모드 및 방냉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정차 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한 경우, 차량에 구성된 공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장치의 압축기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 대한 기능성 및 신뢰성을 향상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운전자 등에 의해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기능이 작동된 경우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의 주행상태에 따라 정차 또는 저속주행을 하게 되는 경우,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응하여 공조장치의 냉방모드와 축냉모드 및 방냉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차량을 시동하게 되면 공조장치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차량의 주차와 주행 및 정차에 따른 엔진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S100). 여기서, 제어수단은 본 발명에 필수요소적 구성에 대한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별도의 제어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음이 당연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 후 주행을 하는 경우, 운전자는 공조장치를 작동시키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은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제어수단은 차량의 주행에 따라 엔진이 작동됨을 확인하고, 공조장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은 것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의 기능에 의한 냉방모드를 수행하여(S200), 차 량의 내부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의 구성인 축냉제가 필요 이상으로 과냉하지 않도록 축냉완료판단온도를 확인하고, 축냉제의 온도가 축냉완료판단온도보다 낮을 경우, 압축기를 정지시키거나 토출용량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증발기와 축냉기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조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작동하게 되면, 제어수단은 운전자가 설정한 온도에 실내온도가 유지되도록 공조장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여유의 냉기에 대하여 축냉제를 축냉하는 축냉모드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주행상태에서,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 스톱-스타트 시스템에 의해 엔진의 동작이 중지되면, 공조장치의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제어수단이 이를 확인하여, 축냉제 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온도를 제어하는 방냉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에 구성되는 공조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외기 절환용 도어(110), 취출모드 절환용 도어(120), 차량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130), 차량의 실내에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140)와 축냉기(150), 차량의 실내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코어(160), 공조장치(100) 내부의 열에너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열전소자(170), 차량의 실내에 온풍을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PTC 히터(18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소자(170)는 PN접합에 의한 반도체 등을 이용하여 일측의 열에너지 를 다른 일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중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부(171)와, 흡열부(171)로 흡수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발열부(172) 및 흡열부(171) 및 발열부(172)가 공기 중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방열부(173)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흡열부(171)를 공조장치(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발열부(172)를 공조장치(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열전소자(170)를 작동하게 되면, 공조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 상기한 방냉모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엔진이 정지된 경우, 제어수단은 차량 내부에 탑재된 공조장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S410).
공조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의 축냉제에 대한 축냉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축냉온도에 대응하여 공조제어와 송풍제어 및 열전소자(170) 동작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S420),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공조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운전자 등에 의해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제어수단은 공조장치 내부에 구성된 열전소자(170)를 작동하여 (S430), 차량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다.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S501) 엔진이 정지하면(S502),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S503).
상기 확인 결과, 공조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이면, 제어수단은 축냉제의 축냉온도를 측정하고, 축냉완료온도(예를 들어, 3℃ 내지 4℃)와 비교하여 축냉완료여부를 판단한다(S503).
축냉이 완료되면(S504), 다시 말해 측정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수단은 공조제어를 정상적으로 수행한다(S508).
만약, 축냉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면(S504), 다시 말해 측정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수단은 측정된 축냉온도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예를 들어, 18℃ 내지 20℃)와 비교한다(S505).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낮은 경우(S506), 다시 말해 측정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 사이인 경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에 구성된 송풍기의 풍량을 감소시켜(S507), 차량의 내부로 공급되는 저온의 공기에 대한 공급량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만약,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높은 경우(S506), 제어수단은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한다(S509).
이때, 설정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높은 경우(S510; YES), 다시 말해 차량의 내부온도보다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에 구성된 도어(공기 순환용)를 제어하여 외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 및 순환시킨다(S512).
만약, 설정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낮은 경우, 다시 말해 차량의 내부온도보다 외부온도가 높은 경우, 제어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열전소자(170)를 작동고, 공조장치에 구성된 도어(공기 순환용)를 제어하여 내기를 차량 내부로 순환시킨다(S512).
따라서,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정차 등에 의해 엔진이 정지한 경우, 차량에 구성된 공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조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S503), 운전자 등에 의해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제어수단은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한다(S509).
이때, 설정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높은 경우(S510; YES), 다시 말해 차량의 내부온도보다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에 구성된 도어(공기 순환용)를 제어하여 외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 및 순환시킨다(S512).
만약, 설정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낮은 경우, 다시 말해 차량의 내부온도보다 외부온도가 높은 경우, 제어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열전소자(170)를 작동고, 공조장치에 구성된 도어(공기 순환용)를 제어하여 내기를 차량 내부로 순환시킨다(S512).
따라서, 스톱-스타트 시스템에 의해 공조장치의 압축기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방냉모드의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나타난 방냉모드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열전소자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조장치 110: 내외기 절환용 도어
120: 취출모드 절환용 도어 130: 송풍기
140: 증발기 150: 축냉기
160: 히터 코어 170: 열전소자
171: 흡열부 172: 발열부
173: 방열부 180: PTC 히터

Claims (8)

  1. (a) 차량의 주행과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하면서 공조장치가 작동되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은 경우, 공조장치를 이용한 냉방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하면서 공조장치 및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 축냉제의 온도를 낮추는 축냉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결과, 차량이 정차하고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 공조장치의 동작여부에 대응하여 축냉제 및 열전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방냉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스톱-스타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엔진이 정지된 경우, 공조장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d-2) 공조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냉제의 축냉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축냉온도에 대응하여 공조제어와 송풍제어 및 열전소자 동작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 및
    (d-3) 공조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열전소자를 작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d-2)는,
    (d-2-1) 공조장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d-2-2) 공조장치가 작동한 경우, 축냉제의 축냉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d-2-3) 상기 측정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보다 높은 경우,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와 비교하는 과정; 및
    (d-2-4) 상기 비교결과,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낮은 경우, 송풍기의 풍량을 감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정 (d-2-3)는,
    (d-2-3') 상기 측정한 축냉온도가 축냉완료온도보다 낮은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정 (d-2-4)는,
    상기 비교결과,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높은 경우,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하고, 설정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에 의해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정 (d-2-4)는,
    상기 비교결과, 축냉온도가 축냉제 방열 판단온도보다 높은 경우,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하고, 설정온도가 낮은 경우 열전소자를 작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d-3)는,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결과 설정온도가 높은 경우, 외기에 의해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d-3)는,
    공조장치의 설정온도와 외기온도를 비교결과 설정온도가 낮은 경우, 열전소자를 작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20080123323A 2008-12-05 2008-12-05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103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23A KR101034017B1 (ko) 2008-12-05 2008-12-05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23A KR101034017B1 (ko) 2008-12-05 2008-12-05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40A true KR20100064740A (ko) 2010-06-15
KR101034017B1 KR101034017B1 (ko) 2011-05-11

Family

ID=4236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323A KR101034017B1 (ko) 2008-12-05 2008-12-05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294A (zh) * 2021-11-10 2022-10-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提前蓄冷以防止启停退出的方法及空调控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7446A1 (de) * 2010-09-10 2012-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limaanl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28A (ja) * 1999-01-28 2000-08-0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301928A (ja) * 2001-04-04 2002-10-1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294A (zh) * 2021-11-10 2022-10-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提前蓄冷以防止启停退出的方法及空调控制器
CN115214294B (zh) * 2021-11-10 2023-10-2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提前蓄冷以防止启停退出的方法及空调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017B1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995B2 (en) EV muti-mode thermal control system
CN104729014B (zh) 用于车辆的空调系统控制方法
CN102958722B (zh) 车辆用暖气控制装置及方法
US7845187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US7007856B2 (en) Extended engine off passenger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4943501B (zh) 用于预热动力传动系统的方法
US20090249802A1 (en) Vehicle HVAC and Battery Thermal Management
US20090249807A1 (en) HVAC and Battery Thermal Management for a Vehicle
KR101588767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제어방법
CN102692095A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CN102840710A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CN102889653A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及其控制方法
CN101871704A (zh) 热电气候控制
WO2016013193A1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7104254A1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160318410A1 (en) EV Muti-Mode Thermal Control System
JP2010197021A (ja) 温度調節装置
JP2008126970A (ja) 車両用加熱装置
CN209795105U (zh) 汽车用双驱空调系统
CN102582393A (zh) 电动汽车驱动电机温度控制系统
KR101034017B1 (ko) 스톱-스타트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공조장치 제어방법
JP2014189077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20080035263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동식 워터 펌프 제어방법
CN106458009A (zh) 电动车的温控系统
CN104802618A (zh) 汽车空调热交换控制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