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89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891A
KR20100063891A KR1020080122253A KR20080122253A KR20100063891A KR 20100063891 A KR20100063891 A KR 20100063891A KR 1020080122253 A KR1020080122253 A KR 1020080122253A KR 20080122253 A KR20080122253 A KR 20080122253A KR 20100063891 A KR20100063891 A KR 2010006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application screen
application
index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180B1 (ko
Inventor
박종화
강영희
홍상혁
정승기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1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콘텐츠를 인덱싱하는 방식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탭이 형성된 어플리케이션화면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되는 인덱스영역에서 터치 앤드 플리킹 동작이 이루어지면, 인덱스영역에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가 다수 개의 인덱스 중 다른 일부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콘텐츠를 터치입력 또는 터치 앤드 플리킹의 동작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탐색할 수 있으며, 탭을 터치입력으로 선택함으로써 탐색모드 간의 전환이 유기적으로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터치 앤드 플리킹, 탭, 콘텐츠, 탐색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CONTENTS SEARCH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예전과는 다르게 수첩이나 다이어리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알고 싶은 전화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일정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데, 이는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전자사전, MP3플레이어, PMP 등의 각종 이동단말기에서 전화번호나 일정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들을 마련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기능이다. 종래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식은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으로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해 검색하기 위해 전화번호 그룹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화면으로 진입하면, 전화번호 그룹이 나열된다. 여기서 각 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그룹을 선 택하여 그룹 내부로 진입하여야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다른 그룹에 대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전화번호 그룹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화면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다른 그룹을 선택하여 진입하여야 다른 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모두 볼 수 있는 전체이름보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화면으로 진입하면, 도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전화번호가 저장된 이름순으로 나열되는데, 전화번호 그룹정보를 확인하다가 전체이름보기로 어플리케이션화면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초기 동작으로 돌아가서 다시 전체이름보기를 선택하여야 전체이름보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전화번호 그룹에 속한 전화번호간의 검색과 전화번호 검색모드 간의 전환이 간편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은 다수의 콘텐츠(Contents)를 탐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 상기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에서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다수의 콘텐츠를 인덱싱(Indexing)하는 방식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탭(Tab)이 형성된 어플리케이션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탭 선택감지단계; 상기 탭 선택감지단계에서 선택된 탭에 포함되는 인덱스영역에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Index)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덱스 선택감지단계; 및 상기 인덱스 선택감지단계에서 선택된 인덱스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선택감지단계에서의 인덱스영역에는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만 표시되며, 상기 인덱스영역에 터치 입력에 의한 포인트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인덱스영역에는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다른 일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단계의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탭 간에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기 설정된 그룹별로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콘텐츠 명칭의 초성에 따라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장치는 다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다수의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콘텐츠를 인덱싱(Indexing)하는 방식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탭이 형성된 어플리케이션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터치입력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시키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여 선택된 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하고, 선택된 탭에 포함 되는 인덱스영역에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을 감지하여 선택된 인덱스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만 상기 인덱스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인덱스영역에 터치입력에 의한 포인트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다른 일부가 상기 인덱스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탭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기 설정된 그룹별로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콘텐츠 명칭의 초성에 따라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콘텐츠를 터치입력 또는 터치 앤드 플리킹(Touch and Flicking)의 동작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탐색할 수 있으며, 탭을 터치입력으로 선택함으로써 탐색모드 간의 전환 이 유기적으로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저장부(110), 터치스크린부(120), 메모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2에 도시된 블록도와 도3 및 도4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저장부(110)는 다수의 콘텐츠가 저장된다. 여기서 콘텐츠는 여러 형태의 자료나 정보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터치스크린부(120)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은 복수의 탭(Tab)이 포함되는데, 각각의 탭에는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는 인덱싱(Indexing) 방식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탐색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는 탭영역(212)이 표시되는데,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별보기'탭에는 전화번호를 그룹별로 보기 위한 인덱싱 방식이 설정되고,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이름보 기'탭에는 전화번호를 이름순으로 보기 위한 인덱싱 방식이 설정되어 탭영역(212)에 디스플레이된다.
먼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별보기'탭에는 다수의 그룹으로 인덱싱된 인덱스(Index)가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되고, 인덱스영역(214)의 하단에는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된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택으로 선택된 그룹의 그룹명이 표시되는 타이틀영역(216)이 표시된다. 그리고 타이틀영역(216)의 하단에는 선택된 그룹에 속한 전화번호가 나열되어 표시된다.
이때, 나열되는 전화번호는 각각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된 사진이 좌측에 표시되고, 전화번호의 이름과 저장된 전화번호가 우측에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되는 다수의 그룹은 각 그룹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썸네일(Thumbnail)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이름보기'탭에는 저장된 이름의 초성으로 인덱싱된 인덱스가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되고, 인덱스영역(214)의 하단에는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된 초성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초성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가진 전화번호가 나열되어 표시된다. 이때, 나열되는 전화번호는 도3의 (a)에 도시된 '그룹별보기'탭에서 나열되는 전화번호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부(120)는 터치입력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시키는데, 터치입력에 의해 탭이나 인덱스의 선택이나 터치입력에 의한 포인트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치 앤드 플리킹(Touch and Flicking)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되는 신호를 출력시킨다.
메모리부(130)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을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에서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서 선택되면, 선택된 탭을 어플리케이션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즉, 제어부(140)는 터치입력에 의해 '그룹별보기'탭이 선택되면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전체이름보기'탭이 선택되면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택된 탭의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인덱스에 속하는 콘텐츠를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40)는 터치입력에 의해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된 다수 개의 그룹 중에서 '가족'이 선택되면, '가족'에 속해 있는 전화번호를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화면의 인덱스영역(214)에는 인덱스영역(214)에 모든 인덱스를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 개의 인덱스 중에서 일부만 표시되는데, 터치스크린부(120)에서 터치입력을 통해 감지된 포인트가 특정 방향으로의 움직이는 터치 앤드 플리킹 동작이 어플리케이션화면의 인덱스영역(214)에서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된 인덱스 중 일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되지 않은 인덱스를 인덱스영역(214)에 표시한다.
즉,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영역(214)에 인덱스가 표시되는데, 터치 앤드 플리킹 동작이 인덱스영역(214)에서 발생하면,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가 이동하여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되지 않은 인덱스가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된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탭이 어플리케이션화면에 전부 표시되지 못하고, 복수의 탭 중 일부만 표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탭이 표시되는 탭영역의 우측에는 보이지 않는 나머지 탭들이 있음을 알려주고, 나머지 탭들을 탭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전환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러므로 전환아이콘을 터치하여 숨겨져 있는 다른 탭들을 어플리케이션화면이 표시할 수 있고, 인덱스영역에서처럼 터치 앤드 플리킹 동작을 이용하여 다른 탭들을 어플리케이션화면이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탭 중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숨겨져 보이지 않는 탭이 앞쪽에 있는 경우에는 좌측에 전환아이콘이 표시되어, 어느 쪽에 숨겨진 탭들이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을 도3 및 도4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도5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1>
다수의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탐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2.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S603>
단계 S601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탭이 형성된 어플리케이션화면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복수의 탭에서 다수의 콘텐츠를 인덱싱하는 방법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데, 도3의 (a)에 도시된 '그룹별보기'탭과 도3의 (b)에 도시된 '전체이름보기'탭이 이에 해당되어, '그룹별보기'탭에서는 그룹별로 분류되어 전화번호가 나열되며, '전체이름보기'탭에서는 초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된 이름이 초성을 기준으로 분류되어 나열된다.
3. 탭 선택감지단계<S605>
단계 S603에서 어플리케이션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탭 중에서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터치스크린부(110)에서 감지한다. 즉, '그룹별보기'탭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도3의 (a)와 같은 어플리케이션화면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전체이름보기'탭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도3의 (b)와 같은 어플리케이션화면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4. 인덱스 선택감지단계<S607>
단계 S605에서 복수의 탭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탭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인덱스영역(214)에 다수 개의 인덱스가 표시되고,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터치스크린부(110)가 감지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되는 인덱스영역(214)에는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만 표시되는데, 터치스크린부(110)가 터치 앤드 플리킹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와 다른 일부가 표시한다. 즉,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영역(214)에 인덱스가 표시되는데, 터치 앤드 플리킹 동작이 인덱스영역(214)에서 발생되면,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가 이동되어 인덱스영역(214)에 표시되지 않은 인덱스가 표시된다.
5. 콘텐츠 표시단계<S609>
단계 S607에서 인덱스가 선택되면, 해당 인덱스에 속하는 콘텐츠가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된다. 즉,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영역(214)의 다수의 그룹 중에서 선택된 그룹이 '가족'이면, '가족'에 속하는 전화번호가 '그룹별보기'탭인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도3의 (a)와 (b)에서 다수의 콘텐츠가 나열되면, 나열된 콘텐츠의 우측에 세로로 스크롤이 가능한 세로스크롤영역(218)이 존재하여 어플리케이션화면에 전부 표시되지 못하는 콘텐츠를 스크롤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룹별보기'탭에는 선택된 그룹의 그룹명이 표시되는 타이틀영역(216)은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가 나열되어 세로스크롤영역(218)을 이용하여 스크롤하여도 계속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전체이름보기'탭에서 이름순으로 나열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정렬하여 나열하는 방법으로, 숫자 및 기호로 저장된 이름은 "*"인덱스에서 하나로 묶고, 한글로 저장된 이름은 각 이름의 초성을 기준으로 각각 묶으며, 영문으로 쓰인 이름은 "abc"인덱스에 하나로 묶는다. 그리고 인덱스영역(214)에 배열되는 인덱스의 순서는 "*", 한글초성 및 "abc"의 순서로 배열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콘텐츠 탐색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인덱스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콘텐츠 탐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텐츠 탐색 장치
110: 저장부 120: 터치스크린부
130: 메모리부 140: 제어부
212: 탭영역 214: 인덱스영역
216: 타이틀영역 218: 스크롤영역

Claims (8)

  1. 다수의 콘텐츠(Contents)를 탐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
    상기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에서 콘텐츠탐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다수의 콘텐츠를 인덱싱(Indexing)하는 방식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탭(Tab)이 형성된 어플리케이션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탭 선택감지단계;
    상기 탭 선택감지단계에서 선택된 탭에 포함되는 인덱스영역에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Index)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인덱스 선택감지단계; 및
    상기 인덱스 선택감지단계에서 선택된 인덱스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선택감지단계에서의 인덱스영역에는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만 표시되며, 상기 인덱스영역에 터치입력에 의한 포인트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인덱스영역에는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다른 일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단계의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탭 간에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기 설정된 그룹별로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 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콘텐츠 명칭의 초성에 따라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5. 다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다수의 콘텐츠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콘텐츠를 인덱싱(Indexing)하는 방식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탭이 형성된 어플리케이션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터치입력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여 신 호를 출력시키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여 선택된 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하고, 선택된 탭에 포함되는 인덱스영역에 표시된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을 감지하여 선택된 인덱스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일부만 상기 인덱스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인덱스영역에 터치입력에 의한 포인트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다수 개의 인덱스 중 다른 일부가 상기 인덱스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탭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기 설정된 그룹별로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화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다수의 콘텐츠가 콘텐츠 명칭의 초성에 따라 인덱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장치.
KR1020080122253A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108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53A KR101083180B1 (ko)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53A KR101083180B1 (ko)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891A true KR20100063891A (ko) 2010-06-14
KR101083180B1 KR101083180B1 (ko) 2011-11-11

Family

ID=4236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53A KR101083180B1 (ko) 2008-12-04 2008-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1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180B1 (ko) 201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8790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45534B2 (en) Method of scrolling a hierarchy of layers based upon the number of manipulating bodies
US10162482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TWI570580B (zh) 巡覽一瀏覽器中之複數個內容項目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6904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data on a display screen
EP2917823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EP2369458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US2013005514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device, method of moving function ic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mpris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US20110237303A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of
US2010025956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704782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viewing desktop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774158B1 (ko) 데이터 스크롤 방법, 페이지 변경 방법, 데이터 표시 변경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US20130185674A1 (en) Data processing terminal, data search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CN104965649B (zh) 一种内容展示方法、装置及终端
KR20140122662A (ko)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장치
US201202661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level browsing
US2014016016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crolling a display page
US2012016694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age division display function and page display method
KR101879856B1 (ko) 대기화면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3238955A (ja) 携帯情報端末
KR2011006951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3218379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831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장치
CN102609167A (zh)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