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669A -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 Google Patents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669A
KR20100063669A KR1020090118928A KR20090118928A KR20100063669A KR 20100063669 A KR20100063669 A KR 20100063669A KR 1020090118928 A KR1020090118928 A KR 1020090118928A KR 20090118928 A KR20090118928 A KR 20090118928A KR 20100063669 A KR20100063669 A KR 20100063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river
turbid water
adsorption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632B1 (ko
Inventor
이치타오
김흥섭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ublication of KR2010006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나 하천에서 탁수가 유입되는 인접부에 흡착여과 수단을 설치하여,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부착, 여과하여 탁수가 저수지 또는 하천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설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중 하부로 갈수록 부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부착여과 수단을 구비하여 밀도류에 의한 저층 흐름인 탁수의 확산을 경제적으로 방지하는 차단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 하부로 갈수록 부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부착여과 수단, 상기 탁수의 유속을 저감시키는 차단막, 상기 부착여과 수단에 충격 또는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 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설비는 유입되는 탁수가 상기 저수지나 하천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탁수가 유입되는 쪽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저수지나 하천의 수표면 상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수면 부유 고정수단 및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부착여과하여 상기 탁수를 여과하는 부착여과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여과 수단은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부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사, 탁수, 저수지, 하천, 수초재배섬, 섬모상 여과끈, 차단막

Description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Economical intercep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diffusion of turbid water}
본 발명은 저수지 또는 하천에 설치되어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수지나 하천에서 탁수가 유입되는 인접부에 흡착여과 수단을 설치하여,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흡착, 여과하여 탁수가 저수지 또는 하천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설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중 하부로 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흡착여과 수단을 구비하여 저층 흐름인 탁수의 확산을 경제적으로 방지하는 차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입하천인 상류 및/또는 지류로부터 흘러들어와 일정한 공간 내에 물이 저장되는 곳을 저수지라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탁수가 저수지나 하천에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저수지나 하천 및 그 주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탁수에 의해 토사가 저수지나 하천 내에 쌓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저수지나 하천 내에서의 탁수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최근에 저수지나 하천(100) 근방에서 다양한 건축 및 토목공사 등이 이루어지면서 발생되는 탁수(30)가 도로변(40)으로부터 상기 저수지나 하천(100) 내로 확산되어 토사(50)가 쌓이거나 고랭지 밭(60) 등에서 밭농사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탁수가 저수지나 하천(100)의 지류라 할 수 있는 유입하천(70)을 통해 상기 저수지나 하천(100) 내로 확산되어 토사(50)가 쌓이면서 저수지나 하천(100)의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저수지나 하천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저수지나 하천에 유입되는 탁수가 저수지나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탁수(30) 내에는 토사(50)가 혼재되어 있고 이러한 탁수(30)는 저수지나 하천(100)의 근방, 예컨대 유입하천(70)에서 저수지나 하천(100)의 안쪽으로 확산되어 갈수록 탁수(30) 내에 함유된 고농도의 토사(50)로 유발되는 밀도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반듯이 진행하지 못하고 아래쪽으로 흐르면서 저수지나 하천(100)의 안쪽까지 계속해서 확산되고, 이 과정에서 토사(50)가 저수지나 하천(100)의 안쪽으로 가면서 바닥에 침전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수지나 하천(100) 내로의 탁수(30)의 확산은 저수지나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되어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저수지나 하천(100)이 상수원 보호구역 등과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질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그 주변에서 실시되는 건축 및 토목공사 등에 의해 발생되는 도로변으로부터 유입되는 탁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단설비(80)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일정한 여과재를 수중에 늘어뜨리는 등 다양한 차단설비가 도출되었으나, 앞에서 기술한 수심에 따른 탁수의 탁한 정도를 고려하지 않아 비경제적으로 탁수를 차단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이러한 여과재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여과재에 흡착되어 있는 물질들을 털어내는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지관리측면이 종래에는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 또한 있다.
따라서, 탁수 내의 토사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탁수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여과수단을 이용하되, 수심에 따른 탁수의 탁한 정도를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흡착여과 수단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상기 흡착여과 수단이 섬모상 여과끈인 경우 수심에 따라 그 양을 다르게 배치하기 위한 수단의 도출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흡착여과 수단, 바람직하게는 섬모상 여과끈을 수중 바닥에 고정하고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흡착되는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유지관리 수단을 구비토록 하여, 탁수의 유입이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탁수 확산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흡착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대규모의 탁수가 유입되는 경우, 효과적으로 상기 탁수 내의 토사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탁수와 흡착여과 수단과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 기 위한 차단막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그 목적은 건축토목공사 또는 고랭지 농사 등에 의해 저수지나 하천의 근방에서 상기 저수지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탁수가 상기 저수지나 하천의 안쪽으로 확산되기 이전에 경제적으로 적절하게 차단하여, 상기 탁수 내에서 토사 및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물만 저수지 또는 하천의 안쪽으로 흘러들어 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저수지나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는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는, 탁수가 유입되는 쪽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저수지나 하천의 수표면 상에 수면 부유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탁수를 여과하는 흡착여과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착 여과 수단은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저층 흐름으로 이동하는 상기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여과 수단은 다수의 섬모상 여과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연결끈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연결끈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아 일정 깊이에서 상기 섬모상 여과끈 중 흡착 가능한 부위의 단면적의 합은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흡착여과 수단은 상기 섬모상 여과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여과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모상 여과끈은 로프형 섬모상 형태로 로프형 내심 및 상기 로프형 내심에 부착되는 섬모상 외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형 내심은 폴리프로필렌 로프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모상 외심은 BCF 다섬사 및 나일론 모노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섬모상 외심에 의하여 탁수 내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흡착 여과된다.
또한,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은, 상기 저수지나 하천의 수면 상에 떠있는 부유틀, 상기 부유틀 상에 설치되며 다양한 수초식물이 식재되어 지지되는 식재설비, 상기 식재설비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식재틀, 및 상기 부유틀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수초재배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설비의 수면 부유 고정수단은 수초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설비를 구비하므로, 상기 수초식물에 의하여 탁수 내의 오염물질을 동시에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은 상기 수초재배섬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의 부유 고정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설비는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있는 상기 흡착여과 수단의 일정 부위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의 위로 노출되어 있는 진동 전달 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전달 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충격 또는 진동이 전해지므로,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흡착된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탈리되어 자연스럽게 수중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결국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설비의 유지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설비는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서 저수지 또는 하천의 중심부로의 인접한 곳에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형성되어 있는 막 형태의 차단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에는 물빠짐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의 형성으로, 상기 탁수의 유속이 저감되고 상기 흡착여과 수단과 탁수의 접촉 시간을 증가되어, 대규모 탁수가 유입되는 경우라도 효과적으로 상기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는, 저수지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탁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설비는 상기 탁수가 유입되는 쪽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저수지나 하천의 수표면 상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수면 부유 고정수단,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수중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수지 또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는 사선 연결선, 및 상기 사선 연결선 에 고정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탁수 내의 토사 및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탁수를 여과하는 흡착여과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착여과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선 연결선을 이용하여, 상기 흡착여과 수단을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여과 수단도 수중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저층 흐름으로 이동하는 탁수 내의 토사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선 연결선의 일정부위에는 진동 전달 끈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전달 끈의 상부는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의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선 연결선을 잡아 당김으로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충격 또는 진동이 전해지므로,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흡착된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자연스럽게 탈리되게 된다.
본 발명의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는 수중 하부로 갈수록 흡착 표면적이 넓어지는 흡착여과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저층 흐름으로 이동하는 탁수 내 토사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어 탁수 확산을 방지하므로, 설치 및 시공 유지면에서 경제적으로 운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탁수를 정화하는 흡착여과 수단에 진동 전달 끈이 연결되어, 상기 진동 전달 끈을 통하여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하므로,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흡착되어 있는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탈리시키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또는 대규모의 탁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탁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수확산을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유지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지 또는 하천의 중심부로의 인접한 곳에 수중으로 늘어뜨리져 배치되는 차단막이 구비하므로, 대규모 탁수가 유입되는 경우라도, 상기 차단막에 의하여 탁수의 유속을 저감시켜 상기 탁수와 흡착여과 수단과의 접촉시간을 길게 하므로, 상기 탁수 내의 토사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설명 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선행기술 문헌은 제10-2008-0121791호의 "저수지나 댐에서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로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는 섬모상 여과끈(2)이 수중에서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늘어뜨려져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는 수심에 따른 탁수의 탁한 정도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상기 섬모상 여과끈(2)을 단지 일률적으로 수중에서 늘어뜨려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개량하여 흡수여과 수단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는 저수지나 하천(7)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 고정수단, 흡착여과 수단(2) 및 차단막(3)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여과 수단(2)에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는 진동 전달 끈(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은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이 연결되어 고정되기 위 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설비는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으로 수초재배섬(1)을 사용한다. 상기 수초재배섬(1)은 직사각틀 형상의 부유틀(11), 상기 부유틀(11) 상에 설치되며 다양한 수초식물(15)이 식재되어 지지되는 식재설비(12), 상기 식재설비(12)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식재틀(13) 및 상기 식재설비(12)와 식재틀(13)이 설치된 부유틀(11)이 물가로부터 일정거리에 항상 위치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물가와 상기 부유틀(11) 사이에 로프와 같은 것이 연결된 고정장치(1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수초재배섬(1)은 탁수가 유입되는 물가쪽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저수지나 하천(7)의 수면 상에 떠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부유틀(11)은 압축 스티로폴 등의 밀도가 작은 물질을 내부에 배치하여 부력을 제공하며, 외부는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분자량이 높은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시트 등으로 감싸서 제작한다. HDPE 외에도 폴리에스틸렌, 발포우레탄, 스테인레스스틸 파이프, PE 파이프, 발포합성수지재 등이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설비(1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식재틀(13) 내부에 위치하여 매쉬망, 식재매트 및 그물망 순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매쉬망은 식재매트의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수초의 생장을 용이하게 하며, 통상 물과 접촉하더라도 녹슬지 않고 내구성이 좋은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나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다.
상기 식재매트는 그물망 아래에 수초를 고정하여 근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여 수초의 생장에 알맞은 환경을 제공하고, 숯, 제올라이트 및 맥반석 등의 다공성 흡착재를 포함하며, 이로써 수초의 뿌리는 직접 수중의 영양염류를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흡착재에 붙은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공성 흡착제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수초의 생장속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수중의 영양염류, 유기물 등을 분해하는 처리효율도 좋아져 결국 보다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초식물(15)로는 달뿌리풀, 애기부들, 동의나물, 억새, 갈대 등이 이용된다. 상기 그물망은 상기 식재틀(13) 내부에 고정되어 식재매트의 상단에 수초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인장력이 좋은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초재배섬(1)은 미관상이나 시각적으로 보기에 좋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고, 햇빛과 바람으로 인해 아래쪽에 설치되는 흡착여과 수단(2)이 악영향을 받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은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 즉 수초재배섬(1)에 연결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탁수를 여과하는 수단이다. 특히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은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은 다수의 섬모상 여과끈(22)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는 연결끈(22a)이 형성되어 상기 수초 재배섬(1)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끈(22a)에 의하여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은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끈(22a)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게 형성되며, 일정 깊이에서 상기 섬모상 여과끈 중 흡착 가능한 부위의 단면적의 합이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커지게 되어 결국,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의 흡착 단면적이 수중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섬모상 여과끈(22)이 수중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저층 흐름으로 이동하는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섬모상 여과끈(22)의 흡착 가능한 부위의 형태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정삼각형, 예각 삼각형 등 하부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섬모상 여과끈(22)은 로프형 섬모상 형태로 로프형 내심 및 상기 로프형 내심에 부착되는 섬모상 외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형 내심은 폴리프로필렌 로프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모상 외심은 BCF 다섬사 및 나일론 모노사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로프형 내심은 4mm로 형성되고, 상기 섬모상 외심은 직경이 40 내지 45mm 정도의 범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탁수 내 포함되어 있는 토사는 상기 BCF 다섬사 및 나일론 모노사로 이루어진 상기 섬모상 여과 끈(22)의 섬모상 외심에 의하여 흡착되어 제거된다.
상기 진동 전달 끈(4)은 상기 흡착여과 수단(2)에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는, 즉 충격 또는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흡착여과 수단(2), 즉 상기 섬모상 여과끈(22)의 일정 부위에 연결되며, 상부는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 즉 수초재배섬(1) 위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전달 끈(4)을 당기거나, 또는 상기 진동 전달 끈(4)에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면, 상기 진동 전달 끈(4)과 연결되어 있는 흡착여과 수단(2)에 충격 또는 진동이 전해지게 된다. 결국 상기 흡착여과 수단(2)에 흡착되어 있는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탈리되어 수중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설비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진동 전달 끈(4)을 통하여, 흡착된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단막(3)은 상기 흡착여과 수단(2)에서 저수지 또는 하천의 중심부로의 인접한 곳에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3)의 형성으로 상기 탁수의 유속이 저감되고, 상기 흡착여과 수단과 상기 탁수의 접촉 시간이 증가되게 된다. 상기 차단막(3)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표(31)가 각각 연결되어 저수지나 하천(7)의 수면 상에 떠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막(3)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추(3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추(32)가 저수지나 하천(7) 바닥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단막(3)이 물속에서 유실되지 않고 항상 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막(3)의 막 표면에는 다수개의 물빠짐공(33)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탁수에서 토사는 침전시켜 차단하고 물만 상기 물빠짐공(33)을 통해 저수지나 하천(7)의 안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설비는 저수지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탁수가 상기 저수지나 하천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수단으로, 수면 부유 고정수단,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사선 연결선(21), 상기 사선 연결선(21)에 연결되어 있는 흡착여과 수단(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선 연결선(21)에 연결되어 있는 진동 전달 띠(4) 및 차단막(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설비의 수면 부유 고정수단과 동일하며, 즉 수초재배섬(1)이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으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차단막(3)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과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상기 사선 연결선(21)은 상기 수초재배섬(1)에 연결되어 수중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수지 또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사선 연결선(4)으로는 통상적인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설비에서 설명한 섬모상 여과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은 상기 사선 연결선(5)에 고정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결국 탁수 내의 토사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탁수를 여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 끈(4)은 상기 사선 연결선(21)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 전달 끈(4)을 당기거나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는 경우, 상기 사선 연결선(21)에 충격 또는 진동이 전해지고, 결국 상기 흡착여과 수단(4)으로 충격 또는 진동이 전해지므로, 상기 흡착여과 수단(4)에 흡착되어 있는 토사 또는 미생물이 탈리되어 수중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동작 또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지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탁수는 탁수 내 포함되어 있는 토사 등에 의하여 저층 흐름으로 이동하게 되고, 저층 흐름의 탁수는 흡착여과 수단(2)을 통과하므로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특히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은 흡착 단면적이 하부로 갈수록 넓은 형태를 가지므로 저층 흐름인 탁수 내 토사 등을 경제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여과 수단(2)을 통과한 탁수는 일부 남아있는 토사마저 상기 차단막(3)의 하부에 걸려 침전되며, 결국 상기 차단막(3)의 물빠짐공(33)을 통해 상기 탁수(8)에서 토사가 완전히 제거된 깨끗한 물만 저수지나 하천의 안쪽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탁수가 저수지나 하천에 유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저수지나 하천 및 그 주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탁수에 의해 토사가 저수지나 하천 내에 쌓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저수지나 하천 내에서의 탁수의 흐름도.
도 3은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초재배섬 2 : 흡착여과 수단
3 : 차단막 4 : 진동 전달 끈
5 : 사선 연결선 7 : 저수지나 하천
8 : 탁수 11 : 부유틀
12 : 식재설비 13 : 식재틀
14 : 고정장치 15 : 수초식물
22 : 섬모상 여과끈 22a : 연결끈
31 : 부표 32 : 고정추
33 : 물빠짐공

Claims (9)

  1. 저수지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탁수가 상기 저수지나 하천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차단설비에 있어서,
    상기 차단설비는 상기 탁수가 유입되는 쪽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저수지나 하천의 수표면 상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수면 부유 고정수단 및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탁수를 여과하는 흡착여과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여과 수단은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여과 수단은 다수의 섬모상 여과끈이되, 그 상부에는 연결끈이 형성되어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끈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아 일정 깊이에서 상기 섬모상 여과끈 중 흡착 가능한 부위의 단면적의 합이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3. 저수지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탁수가 상기 저수지나 하천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차단설비에 있어서,
    상기 차단설비는 상기 탁수가 유입되는 쪽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저수지나 하천의 수표면 상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수면 부유 고정수단;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수중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수지 또는 하천의 바닥에 고정되는 사선 연결선; 및
    상기 사선 연결선에 고정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수표면으로부터 수중 하부로 내려갈수록 흡착 단면적이 넓어지는 탁수 내의 토사 또는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탁수를 여과하는 흡착여과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여과 수단은 섬모상 여과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설비는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서 저수지 또는 하천의 중심부로의 인접한 곳에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형성되며, 물빠짐공이 형성된 막 형태의 차단막을 더 포함하여, 유입되는 상기 탁수의 유속을 저감시켜 상기 흡착여과 수단과 탁수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은, 상기 저수지나 하천의 수면 상에 떠있는 부유틀; 상기 부유틀 상에 설치되며 다양한 수초식물이 식재되어 지지되는 식재설비; 상기 식재설비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식재틀; 및 상기 부유틀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수초재배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섬모상 여과끈은 로프형 섬모상 형태로 로프형 내심 및 상기 로프형 내심에 부착되는 섬모상 외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형 내심은 폴리프로필렌 로프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모상 외심은 BCF 다섬사 및 나일론 모노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여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흡착된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탈리되도록,
    상기 차단설비는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있는 상기 흡착여과 수단의 일정 부위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수면 부유 고정수단의 위로 노출되어 있는 진동 전달 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연결선에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여 상기 흡착여과 수단에 흡착된 토사 또는 오염물질이 탈리되도록,
    상기 차단설비는 상기 사선 연결선의 일정부위에 연결되고, 상부는 수면 부유 고정수단의 위로 노출되어 있는 진동 전달 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KR1020090118928A 2008-12-03 2009-12-03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KR101067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1791 2008-12-03
KR1020080121791 2008-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69A true KR20100063669A (ko) 2010-06-11
KR101067632B1 KR101067632B1 (ko) 2011-09-26

Family

ID=4236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928A KR101067632B1 (ko) 2008-12-03 2009-12-03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6759A (zh) * 2013-09-23 2014-01-08 青岛科技大学 一种自然水域中有毒有害物质的移动吸附装置
KR101361607B1 (ko) * 2013-11-27 2014-02-11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자연친화적인 악취저감장치
CN107055941A (zh) * 2017-02-13 2017-08-18 汤姆斯·王 一种河道生态治理系统及应用该河道生态治理系统进行河道治理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235B1 (ko) 2019-10-24 2020-05-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해물질 확산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494A (ja) * 2001-07-09 2003-01-21 Kajima Corp 植栽基盤利用の水質浄化方法及び装置
KR100438022B1 (ko) * 2003-04-08 2004-06-30 (주)자연과환경 부상여재를 이용한 고도 폐수처리 방법
KR100591885B1 (ko) * 2004-07-01 2006-06-30 에스아이비(주) 수질정화용 수초섬
KR100761507B1 (ko) * 2007-02-23 2007-09-27 주식회사 우지스건설 유입 수거형 오탁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상침적물제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6759A (zh) * 2013-09-23 2014-01-08 青岛科技大学 一种自然水域中有毒有害物质的移动吸附装置
KR101361607B1 (ko) * 2013-11-27 2014-02-11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자연친화적인 악취저감장치
CN107055941A (zh) * 2017-02-13 2017-08-18 汤姆斯·王 一种河道生态治理系统及应用该河道生态治理系统进行河道治理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632B1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859B1 (ko) 비점오염 물질처리를 위한 인공습지시스템
KR100694606B1 (ko) 인공부도와 차수막을 이용한 저수지 유입부 오염물질 정화장치
JP5676681B2 (ja) 水から堆積物を除去するためのフィルター
KR101227842B1 (ko) 오탁 및 녹조방지용 부유체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1067632B1 (ko)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CN206635120U (zh) 混合流人工湿地系统
KR101239060B1 (ko) 식물재배용 부유체
KR100289084B1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CN215289963U (zh) 一种农田沟渠用生态拦截沉泥装置
KR101897677B1 (ko) 사면 설치용 수질정화장치
KR101954764B1 (ko) 하천 정화 시스템
KR20000011317U (ko)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CN113026668A (zh) 一种农田沟渠用生态拦截沉泥装置及其维护方法
KR20150046836A (ko) 미생물과 식물을 이용한 다용도 수질정화 장치
JP2001239296A (ja) 汚濁河川浄化装置
KR101219791B1 (ko)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CN110563151A (zh) 用于大水面湖泊修复区的抗冲击式软围隔系统
KR101407518B1 (ko) 여과형 생태 수중보
US20160145129A1 (en) Water purification using xylitol fibres
KR20080111705A (ko) 식생수로 및 그의 시공방법
CN115367887B (zh) 适宜城市群河涌水质保障提升的生态河道
KR101065372B1 (ko) 물 위에 떠 있는 비오톱
KR100340885B1 (ko) 합성수지재볼과 그물망을 이용한 수면차폐시스템
KR100804349B1 (ko) 최종 침전지형 부유식 수초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