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773A -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773A
KR20100062773A KR1020090012391A KR20090012391A KR20100062773A KR 20100062773 A KR20100062773 A KR 20100062773A KR 1020090012391 A KR1020090012391 A KR 1020090012391A KR 20090012391 A KR20090012391 A KR 20090012391A KR 20100062773 A KR20100062773 A KR 20100062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peaker
listener
signal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심환
정현주
성굉모
서정일
강경옥
홍진우
안치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2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3Application of wave-field synthesi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오디오 컨텐츠 생성 장치는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음원 위치 산출부,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 상기 음원 위치 및 상기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음장 합성(Wave Field Synthesis, WFS) 기법 및 빔포밍(beam-form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한다.
음장 합성, 빔 포밍, 파워 패닝, 객체 오디오, 음원 위치

Description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APPARATUS FOR PLAYING AUDIO CONTENTS}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8-F-011-01, 과제명 : 차세대DTV핵심기술개발(표준화연계) ― 무안경개인형3D방송기술개발(계속)].
음장 합성 기법은 임의의 1차 음원에서 발생하는 1차 파면을, 다수의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를 통해서 재생되는 소리들로 합성하여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로 구분 지어지는 임의의 체적 안에 1차 파면과 동일한 파장을 발생키는 음장 재생 기술이다. 음장 합성 재생 기술을 이용하면 물리적인 스피커의 위치보다 먼 곳에 가상 음원을 위치시켜 청취 공간을 가상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음장 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많은 수의 라우드스피커가 필요하다. 즉, 음장 합성 기법을 이상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오디오가 재생되는 재생 공간 전체를 라우드스피커로 둘러싸야 한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청취자의 전면에서 제시되는 음원들이 중요한 정 보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일반 가정의 거실에 TV를 놓고 그 근처 스피커를 놓는 전방 환경 구성에 착안하여, 청취자의 전방에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를 구축하고,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전방 영상 이미지와 동기화된 전방 음상을 제시하는 것이 그 해결책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전방 음상에 대해서는 현실감 높은 음상을 제시할 수 있지만, 측후방에 대한 음상은 제시해줄 수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현장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방 스피커 어레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스피커를 추가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스피커를 추가하여 입체 음향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는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음원 위치 산출부,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 상기 음원 위치 및 상기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음장 합성(Wave Field Synthesis, WFS) 기법 및 빔포밍(beam-form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는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음원 위치 산출부,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 상기 음원 위치 및 상기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power pann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스피커 어레이에 부가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추가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스피커를 추가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입체 음향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음원 위치 산출부(110),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120), 신호 처리부(130),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음원 위치 산출부(110)는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 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한다.
음원의 위치는 녹음 공간에서 녹음된 복수의 음원 신호 각각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음원의 위치는 음상 정위 정보(Sound Image Location Information)이다.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120)는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한다.
재생 공간 정보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 측의 재생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재생 공간에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복수의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120)에서 획득하는 재생 공간 정보는 복수의 스피커의 개수, 복수의 스피커의 위치, 복수의 스피커 간의 거리, 재생 공간의 크기, 및 청취자의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120)는 청취자로부터 직접 재생 공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재생 공간에 배치된 별도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재생 공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130)는 음원 위치 및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한다.
즉, 신호 처리부(130)는 복수의 음원 각각의 위치 및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컨텐츠가 효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스피커 신호를 합성하는 기 능을 수행한다.
전송부(140)는 신호 처리부(130)에서 생성된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한다.
전송부(140)로부터 스피커 신호를 전송받은 복수의 스피커는 스피커 신호를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30)는 음장 합성(Wave Field Synthesis, WFS) 기법 및 빔포밍(beam-forming) 기법을 적용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는 청취자의 전방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청취자의 전방에 배치된 어레이 스피커를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가 음장 합성 기법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장 합성 기법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공간(200)에는 청취자(210)가 있고, 청취자(210)의 전방에는 복수의 스피커로 구성된 스피커 어레이(2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스피커 어레이(220)가 25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한 다.
먼저,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한다.
그 후,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복수의 음원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부(130)에서 사용할 렌더링 기법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음원 신호는 음원이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가 배치된 방향(즉, 청취자(2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음원 신호와, 복수의 스피커가 배치되지 아니한 방향(즉, 청취자(210)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제2 음원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30)는 제1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렌더링할 수 있고, 제2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빔포밍 기법(beam-forming)을 적용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먼저, 신호 처리부(130)가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음원 신호는 복수의 스피커가 배치된 방향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음원 신호이므로, 신호 처리부(130)에서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경우,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청취자(2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음원 신호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스피커 어레이(220)가 모두 청취자(210)를 향하고 있는 경우, 신 호 처리부(130)는 하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2
는 스피커 어레이(210)의 n번째 스피커가 방사하는 오디오 신호의 구동함수,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3
는 가상 음원 신호,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4
는 스피커의 지향성으로 음압에 가중치를 주는 성분,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5
는 스피커의 좌표 정보,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6
는 음원의 좌표 정보,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7
는 가상 음원의 좌표 정보,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8
는 파수(wave number),
Figure 112009009375322-PAT00009
는 각속도,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0
는 n번째 스피커와 청취자간의 각도,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1
는 음원과 청취자 간의 거리,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2
스피커와 청취자 간의 거리,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3
은 노말라이제이션(normalization) 변수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4
는 가상 음원 신호의 크기에 대한 가 중치,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5
는 가상 음원과 n번째 스피커 간의 거리에 의해 발생하는 전달 시간,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6
는 수직거리에 대한 가상 음원과 n번째 스피커 간의 거리 비율,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7
는 하나의 원통파(cylindrical wave)의 확산을 의미한다.
다른 일례로서, 스피커 어레이(220)가 아래에서 설명할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틸티드(tilted) 스피커 어레이인 경우, 신호 처리부(130)는 하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19
는 틸티드 스피커 어레이의 n번째 스피커가 방사하는 오디오 신호의 구동함수,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0
은 틸티드 스피커 어레이 내의 스피커와 청취자(210) 간의 각도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1
는 고주파 증폭 이퀄라이징(equalizing)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신호 처리부(130)가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피커로 구성된 스피커 어레이(220)는 재생 공간(200) 상에서 청취자(210)의 전방에만 위치하므로, 청취자(210)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2 음원 신호 역시 스피커 어레이(220)를 통해 재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 처리부(130)는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제2 음원 신호에 상응하는 스피커 신호를 생성한다.
빔포밍 기법은 송신 기기나 수신 기기의 배열을 이용하여 방사 패턴의 방향이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법의 일종이다. 빔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의 신호 강도를 키우고, 이외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는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30)는 청취자(210)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피커를 중앙 스피커 그룹, 좌측 스피커 그룹, 및 우측 스피커 그룹으로 구분하고, 좌측 스피커 그룹 내의 재생되는 소리는 청취자(210)의 좌측으로 방사되고, 우측 스피커 그룹 내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소리는 청취자(210)의 우측으로 방사되도록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스피커 어레이(220)를 이용하여, 제2 음원 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신호 처리부(130)는 스피커 어레이(220)에 포함된 복수의 스피커 중에서 청취자(2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스피커(221)를 중앙 스피커 그룹으로 선택하고, 청취자(210)를 기준으로, 스피커(221)의 좌측에 배치된 12개의 스피커를 좌측 스피커 그룹(222)으로, 우측에 배치된 12개의 스피커를 우측 스피커 그룹(22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좌측 스피커 그룹(222)은 제2 음원 신호 중에서 청취자(210)의 좌측 내지 좌측 후방에 위치한 음원에 대한 제2 음원 신호를 재생하는데 이용되고, 우측 스피커 그룹(223)은 제2 음원 신호 중에서 청취자(210) 우측 내지 우측 후방에 위치한 음원에 대한 제2 음원 신호를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이후, 신호 처리부(130)는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좌측 스피커 그룹(222)은 청취자(210)의 좌측으로 소리를 방사하고, 우측 스피커 그룹(223)은 청취자(210)의 우측으로 소리를 방사하도록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스피커 그룹(222)에서 방사된 소리는 경로(232)를 따라서, 재생 공간(200)내에서 청취자(210)의 좌측 벽면 및 후방 벽면에서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청취자(210)에게 들리기 때문에, 청취자(210)는 좌측 스피커 신호가 청취자(210)의 좌측 후방에서 재생된 것으로 인지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스피커 신호는 경로(231)를 따라서, 재생 공간(200)내에서 청취자(210)의 우측 벽면 빛 후방 벽면에서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청취자(210)에게 들리기 때문에, 청취자(210)는 우측 스피커 신호가 우측 후방에서 재생된 것으로 인지한다. 반사되어 들어오는 소 리의 각도는 이미지 소스 기법(image source method)이나 그와 동등한 기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반사되어 청취자에게 들어오는 소리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N개의 스피커가 d의 간격에 따라 청취자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N개의 스피커는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가진 스피커로 가정한다.
여기서, i번째 스피커에서 방사된 소리에 의한 (r, θ)에서의 구형파(spherical wave)의 음압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2
여기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3
는 구형파의 음압,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4
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 신호,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5
는 i번째 스피커로부터 (r, θ)까지의 거리,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6
는 방사되는 소리의 각도,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7
는 각속도,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8
는 파수(wave number)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29
,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0
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 때, 청취자가 원하는 각도로 빔포밍의 주엽(main lobe, 도 2에 도시된 도면 부호(241), 및 도면 부호(242))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 스피커의 신호 재생에 시간 차이를 부여하면 된다. 예를 들어, i번째 스피커에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1
만큼의 시간 지연을 부가하면 음압은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2
또한, 소리의 방사 방향에 따른 주엽(main lobe), 부엽(side lobe)을 구분할 수 있는 지향 계수(directive factor)은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4
는 지향 계수를 의미하고,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5
는 주엽의 방향의 변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6
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적절한 시간 지연을 스피커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피커에 부가하면, 주엽의 방향을 축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디오 주파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디오 컨텐츠를 현실감 있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재생 공간의 우측으로 방사된 소리를 청취자가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우측 스피커 그룹(420)에서, 청취자(410)의 우측으로 방사된 소리는 경로(440)를 따라 이동하여, 청취자(410)에게 도달한다.
이 경우, 청취자(410)는 우측 후방에서 소리가 방사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청취자(410)는 청취자(410)의 우측 후방에 배치된 가상의 스피커 그룹(430)에서 방사된 소리가 경로(450)를 따라 청취자(410)에게 도달한 것으로 인식한다. 방사되는 소리의 각도(즉, 빔포밍의 주엽의 각도)는 재생 공간의 크기, 청취자(410)의 위치, 및 청취자(410)의 전방에 배치된 스피커 어레이의 배열 형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청취자(410)가 청각적인 왜곡 없이 측후방 에 위치하는 음원의 음원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첫째, 빔포밍의 주엽 방향으로 방사되어 벽을 거쳐 청취자(410)에게 도달하는 소리가 빔포밍의 측엽 방향으로 방사되어 벽을 거치지 않고 청취자(410)에게 직접 도달하는 소리보다 충분히 커야 한다. 둘째, 직접 전달되는 소리와 반사되어 들어가는 소리 간의 시간차가 충분히 작아야 한다. 즉 반사되어 들어가는 소리가 직접 전달되어 들어가는 소리에 비하여 너무 늦게 청취자(410)에게 도달해서는 안 된다.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신호 처리부(130)는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는 제1 음원 신호와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는 제2 음원 신호 간의 시간 지연 보정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는 제2 음원 신호의 재생 상의 주엽과 부엽의 레벨 차이를 보정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30)는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power panning) 기법을 적용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는 청취자의 전방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는 전방 스피커 그룹 및 청취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스피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청취자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스피커 그룹 및 청취자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스피커 그룹을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스피커 그룹은 청취자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스피커 그룹 및 청취자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후방 스피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가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고하면, 청취자(510)의 전방에는 일렬 형태의 전방 스피커 그룹(540)이 배치되고, 청취자(510)의 후방에는 제1 후방 스피커 그룹(520) 및 제2 후방 스피커 그룹(530)이 배치된다. 도 5의 (a)에서는 제1 후방 스피커 그룹(520) 및 제2 후방 스피커 그룹(530)이 각각 하나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후방 스피커 그룹(520) 및 제2 후방 스피커 그룹(530)은 복수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5.1채널 서라운드 시스템의 후방 2채널 스피커를 후방 스피커 그룹으로 사용하고, 7.1채널 서라운드 시스템의 후방 4채널 스피커를 후방 스피커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두 가지 경우에서, 전방 스피커 그룹은 스피커 어레이로 구성한다. 5.1 채널 서라운드 시스템의 후방 2채널 스피커를 후방 스피커 그룹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방 스피커 그룹(520) 및 제2 후방 스피커 그룹(530)은 각각 하나의 스피커로 구성되고, 7.1 채널 서라운드 시스템의 후방 4채널 스피커를 후방 스피커 그룹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1 후방 스피커 그룹(520) 및 제2 후방 스피커 그룹(530)은 각각 2개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신호 처리부(130)는 청취자(5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1 음원 신호는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렌더링하고, 청취자(510)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2 음원 신호는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인간의 청각 기관은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음원의 경우는 비교적 명확하게 분별해내지만 측면에 정위된 음원은 위치(음상 정위)가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localization blur). 이는, 양귀레벨차이(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와 양귀시간차이(Interaural Time Deference, ITD)가 거의 유사한 값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의 청각 특성에 따라 측면의 음상 정위는 정면의 음상 정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요도를 낮게 여기어 신호 처리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재생해야 할 음원들의 대부분은 청취자의 전방에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한정된 스피커의 개수를 사용하는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음원의 재생에 가장 많은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은 타당하다. 다시 말해, 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1 음원 신호는 음상 합성 기법을 통하여 재생하고, 후방과 측면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2 음원 신호는 별도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재생함으로써, 전방 스피커 그룹만을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감 및 현장감 부족을 보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30)는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청취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고,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청취자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피커 그룹(550)은 구부러진 배열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피커 그룹(560)은 각각의 스피커가 기울어진 형태인 틸티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재생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많은 수의 스피커로 전방 스피커 그룹을 구성할 수 없을 경우,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피커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피커 그룹(560)을 틸티드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스피커를 사용함에도 비교적 넓은 청취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피커의 지향각의 조정을 통하여 추가적인 윈도윙효과(windowing effect)로 인하여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지향각을 넓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일종의 윈도윙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배열 끝단 효과(truncation effect)를 피하기 위한 재생 신호 크기 억제를 할 필요가 적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제1 후방 스피커 그룹 및 제2 후방 스피커 그룹이 각각 하나의 스피커(620, 630)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120)에서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한 경우, 신호 처리부(130)는 획득된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청취자(610)를 기준으로, 전방 스피커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피커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스피커의 위치에 대한 각도(a) 및 스피커(620) 또는 스피커(630) 간의 배치 각도(b)를 산출한다. 일례로서, 신호 처리부(130)는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7
,
Figure 112009009375322-PAT00038
의 관계를 이용하여 각도(a) 및 각도 (b)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신호 처리부(130)는 음원 위치 산출부(110)에서 산출된 음원의 위치를 분석하여, 0°~a° 및 (360-a)°~360°내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음원 신호(즉, 제1 음원 신호)는 전방 스피커 그룹(640)을 이용하여 음장 합성 기법에 따라 렌더링하고, a°~b°및 (360-b)°~ (360-a)°내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음원 신호는 전방 스피커 그룹(64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스피커와 스피커(620) 및 스피커(630)를 이용하여 파워 패닝 기법에 따라 렌더링하고, b°~(360-b)°내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음원 신호는 스피커(620) 및 스피커(630)를 이용하여 파워 패닝 기법에 따라 렌더링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최 소한의 후방 스피커를 이용하여 청취자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입체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710)에서는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한다.
단계(S720)에서는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730)에서는 음원 위치 및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730)에서는 음장 합성 기법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730)에서는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할 수 있다.
단계(S740)에서는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장 합성 기법 및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반사되어 청취자에게 들어오는 소리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재생 공간의 우측으로 방사된 소리를 청취자가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컨텐츠 재생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110: 음원 위치 산출부
120: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
130: 신호 처리부
140: 전송부

Claims (10)

  1.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음원 위치 산출부;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
    상기 음원 위치 및 상기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음장 합성(Wave Field Synthesis, WFS) 기법 및 빔포밍(beam-form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청취자의 전방에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공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의 개수, 상기 복수의 스피커의 위치,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간의 거리, 상기 재생 공간의 크기, 및 청취자의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가 배치된 방향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1 음원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가 배치되지 아니한 방향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2 음원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청취자의 전방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청취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중앙 스피커 그룹, 좌측 스피커 그룹, 및 우측 스피커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좌측 스피커 그룹 내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소리는 상기 청취자의 좌측으로 방사되고, 상기 우측 스피커 그룹 내의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소리는 상기 청취자의 우측으로 방사되도록 상기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객체 재생 장치.
  7. 복수의 음원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로부터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의 음원 위치를 산출하는 음원 위치 산출부;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재생 공간에 대한 재생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재생 공간 정보 획득부;
    상기 음원 위치 및 상기 재생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여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음장 합성 기법 및 파워 패닝(power panning)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청취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스피커 그룹 및 상기 청취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스피커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스피커 그룹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후방 스피커 그룹은 상기 청취자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스피커 그룹 및 상기 청취자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후방 스피커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는 상기 청취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1 음원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장 합성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제1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신호는 상기 청취자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음원과 관련된 제2 음원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파워 패닝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음원 신호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KR1020090012391A 2008-12-02 2009-02-16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KR20100062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113 2008-12-02
KR20080121113 2008-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73A true KR20100062773A (ko) 2010-06-10

Family

ID=4236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91A KR20100062773A (ko) 2008-12-02 2009-02-16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77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775B1 (ko) * 2010-11-10 2014-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피커 어레이 기반 음장 합성을 이용한 음장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14171706A1 (ko) * 2013-04-15 2014-10-2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가상 객체 생성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WO2015152661A1 (ko) * 2014-04-02 2015-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90460A1 (ko) * 2015-05-26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8101600A1 (en) * 2016-11-29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60600A1 (ko) * 2019-09-26 2021-04-01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평면파 합성 기법을 이용하는 수평 어레이형 음향 재생 장치의 음향 제어 시스템 및 음향 제어 인터페이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775B1 (ko) * 2010-11-10 2014-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피커 어레이 기반 음장 합성을 이용한 음장 재생 장치 및 방법
US8958582B2 (en) 2010-11-10 2015-02-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surround wave field using wave field synthesis based on speaker array
WO2014171706A1 (ko) * 2013-04-15 2014-10-2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가상 객체 생성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CN105144751A (zh) * 2013-04-15 2015-12-09 英迪股份有限公司 用于产生虚拟对象的音频信号处理方法
WO2015152661A1 (ko) * 2014-04-02 2015-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90460A1 (ko) * 2015-05-26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체 음향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8101600A1 (en) * 2016-11-29 2018-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983785A (zh) * 2016-11-29 2019-07-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983785B (zh) * 2016-11-29 2021-10-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WO2021060600A1 (ko) * 2019-09-26 2021-04-01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평면파 합성 기법을 이용하는 수평 어레이형 음향 재생 장치의 음향 제어 시스템 및 음향 제어 인터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526B1 (ko) 빔형성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를 위한 공간적 오디오 렌더링
US82706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binaural impression using loudspeakers
JP6286583B2 (ja) ラウドスピーカシステム
JP5992409B2 (ja) 音再生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1702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surround wave field using wave field synthesis
US10785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 scene playback
JP5612126B2 (ja) 3dオーディオ効果を生成するためのインプット信号を処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638959B1 (en) Reduced acoustic signature loudspeaker (RSL)
JP4924119B2 (ja) アレイスピーカ装置
JP2013535894A5 (ko)
JP2008227803A (ja) アレイスピーカ装置
CN102461212A (zh) 环绕声系统及用于其的方法
US20140321679A1 (en) Method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sound field reproduction based on surface integrals in three dimensions
KR20190062902A (ko)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6329A (ko) 객체 기반 오디오 컨텐츠 생성/재생 장치
KR20100062773A (ko) 오디오 컨텐츠 재생 장치
JP5577597B2 (ja) スピーカアレイ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27067B2 (en)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US8483395B2 (en) Sound fiel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flections
KR102388361B1 (ko) 입체 영상 재생 방법, 입체 음향 재생 방법, 입체 영상 재생 시스템 및 입체 음향 재생 시스템
KR100955328B1 (ko) 반사음 재생을 위한 입체 음장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219458A1 (en) Audio signal reproduction device and audio signal reproduction method
JP2005117594A (ja) ヘッドホンによる立体音響再生装置
US20140169595A1 (en) Sound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WO2023181431A1 (ja) 音響システムおよび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30

Effective date: 2013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