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968A -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968A
KR20100061968A KR1020080120352A KR20080120352A KR20100061968A KR 20100061968 A KR20100061968 A KR 20100061968A KR 1020080120352 A KR1020080120352 A KR 1020080120352A KR 20080120352 A KR20080120352 A KR 20080120352A KR 20100061968 A KR20100061968 A KR 2010006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tooth
spring
orthodontic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보훈
Original Assignee
주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훈 filed Critical 주보훈
Priority to KR102008012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1968A/ko
Publication of KR2010006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인력을 증폭하거나 부드럽게 변환하여 지속적으로 치아이동을 도모하고 특히 타 장치에 비하여 교정력을 치근에 전달하므로 치근(치아의 뿌리)의 견인 및 이동을 최대화 시켜 치열교정 시간을 줄이고 미관을 좋게 하는 것이다. 또한,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고정하는 기저부; 기저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견인력을 증폭하며 견인력을 부드럽게 변환하여 치아의 뿌리부분에 지속 전달하고 다수의 스프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는 스프링부; 및 스프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견인력을 인가받아 스프링부에 전달하는 걸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걸이부에 연결되고 고무와 금속 중에서 선택된 재질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며 발생된 탄성력을 걸이부에 전달하는 링: 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선택되어 교정할 치아의 뿌리부분에 견인력을 인가하여 치열교정을 빠르게 하고, 음식물 등이 끼이는 부위를 줄이며 견인력을 증폭하여 치열교정 치료기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120352
치열, 교정, 견인력, 뿌리, 치료기간, 탄성력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A ROOTIPPER APPARATUS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본 발명은 부정교합에 의한 치열을 가지런하게 교정하는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교정시 브라켓이나 기타 교정장치로 치아를 이동하는 경우 치아 치관의 이동이 치금보다 강하게 나타므로,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강한 견인력이 부드럽고 오래 동안 지속되게 하고, 교정력이 치근에 보다 더 많이 전달되도록 하여 치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치열교정을 빠르게 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치아의 건강은 다섯 가지 타고난 복중에 하나라고 하며, 특히 대화하는 경우에 자신의 입 주변과 치아를 상대방이 직접 보게 되므로 깨끗하고 가지런하게 정렬된 치아 배열은 그렇지 않은 치아 배열과 대비하여 깨끗한 인상과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선입관은 대인관계에 많은 영향을 준다.
치아의 배열이 바르지 못한 상태를 가지런하게 교정하는 치열교정 치료술에는 많은 방식이 있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열교정 치료술에는 경량와 이어(LIGHT WIRE) 치료술과 에찌와이즈(edgewise) 치료술이 있다.
경량와이어 치료술은 각 치아들을 상이한 힘으로 교정하는 것으로 호주의 알. 피. 베그(R. P. Begg)에 의해 최초로 제안 및 시술되었다.
즉, 어떤 형태의 치아는 움직일 때 다른 것보다 비교적 잇몸저항이 적고, 또한 어떤 형태의 치아는 다른 것보다 더 빨리 움직이는 것을 확인한 베그(R. P. Begg)씨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적당히 고려하여 움직임이 필요한 치아를 선택적으로 움직여줌으로써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게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베그씨의 경량와이어 치료술은 대구치가 포함되는 모든 치아에 브래킷을 고정하고, 횡단면에서 둥글게 보이는 아치와이어(ARCH WIRE)로 치아의 배열을 가지런하게 교정한다. 아치와이어는 브래킷에 느슨하게 고정되며 띠로 묶이지는 않고 마찰을 최소로 하며, 한 지점에서 접촉되어 치아들이 자유로이 슬라이드, 회전, 기울임, 비틀림 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량와이어 치료술은 기울임, 비틀림 및 회전은 적당한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찌와이즈 치료술은 현재 가장 널리 그리고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치열교정 치료술이며 닥터 에드워드 에이치 앵글씨에 의해 최초로 제안 및 시술되었다.
에찌와이즈 치료는 시작단계에서 원형횡단면 형태의 아치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연성이 큰 둥근 아치와이어(ARCH WIRE)는 잘못된 위치의 치아들을 적은 힘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움직이도록 한다.
아치와이어(ARCH WIRE)는 대구치들을 포함하는 모든 영구 치아에 부착되는 브래킷(BRACKET)에 형성된 슬롯에 끼워지는 것으로 금속 띠 또는 탄성 띠 또는 기타 적당한 형태의 기계 보지구로 구성된다. 아치와이어는 스테인리스강이나 귀금속으로 구성되고, 치아의 설측 또는 입술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에찌와이즈 치료술은 치아를 모든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떤 개별적인 치아를 3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앞에 위치한 치아를 설측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치와이어를 조정하여 치아의 장축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아치와이어는 스프링과 결찰선과 같은 특성이 있어 소정의 범위로 치아를 비틀어 줄 수 있고 비틀림력은 아치와이어를 통해 치아로 인가되므로 아치와이어의 스프링과 결찰선 작용으로 인해 비틀리지 않을 때까지 치아들을 회전 및 이동시켜준다.
브래킷은 전면부가 쌍둥이 형상을 하는 샴(SIAMESE) 형(TYPE)과 하나의 독립된 형상을 하는 싱글(SINGLE) 형이 있으며, 중간부분에 아치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각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며, 아치와이어의 탄성에 의한 힘을 치아에 전달하여 기울임, 비틀림 및 회전되도록 직접적인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 치아와 입술 사이의 순측과 치아와 혀 사이의 설측에 부착시킨다.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에찌와이즈 치열교정 치료술을 설명한다.
치열교정용 브래킷(20)에는 슬롯(SLOT)과 걸림턱 등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20)의 베이스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슬롯이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치아(10)의 순측 또는 설측 표면에 부착 또는 고정한다.
상기 브래킷(20)에는 슬롯과 걸림턱 등이 형성되고, 브래킷(20)의 슬롯에는 아치와이어(30)가 삽입되며, 고무재질 등에 의한 링(RING)과 금속재질 등에 의한 결찰 선(WIRE)으로 아치와이어(30)가 브래킷(20)의 슬롯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량와이어 치료술 및 에찌와이즈 치료술에 의한 종래 기술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아치와이어를 고정하는 링과 결찰선 사이에 음식물 등에 의한 착색이 발생되어 타인에게 시각적인 혐오감과 불쾌감 및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에찌와이즈 치료술은 치아 전체를 아치와이어(30)가 에찌와이즈하므로 타인의 시각에 쉽게 노출되어 대인관계가 많거나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치열교정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생역학적으로 상기 치료술은 치아이동을 도모하는 교정력을 치관에 직접 구사하고 치관의 이동후 브라켓을 통한 아치와이어의 비틀림에서 발현되는 복원력으로 치근의 이동을 도모하는 다단계 형식의 힘의 전달을 이용하고 있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치아 교정술이나 브라켓의 크기가 작은 치료술에서는 치근의 이동이 매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교정장치나 치료술에 상관없이 치근의 이동을 더욱 더 도모하기위한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 로서, 특히 전체 치열 중에서 선택된 일부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뿌리 부분에 견인력이 전달되어 치열교정이 빠르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가되는 견인력을 스프링 구조에 의하여 증폭 또는 부드럽게 변환하여 치아의 뿌리부분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정할 일부 치아에만 루트티퍼를 부착하므로 음식물이 잔류할 수 있는 부위를 줄이고 치아의 심미감을 유지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고정하는 기저부; 기저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견인력을 증폭하며 견인력을 부드럽게 변환하여 치아의 뿌리부분에 지속 전달하고 다수의 스프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는 스프링부; 및 스프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견인력을 인가받아 스프링부에 전달하는 걸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고 고무와 금속 중에서 선택된 재질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며 발생된 탄성력을 상기 걸이부에 전달하는 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는 일자 스프링, 꺽은 스프링, 코일 스프링이 포함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는 견인력을 증폭, 감소, 부드럽게 지속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구강 안의 전체 치열 중에서 부분적으로 선택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 치료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할 치아의 뿌리부분에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치열교정을 빠르게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할 일부의 치아에만 교정 장치를 부착하므로 치열교정 치료 기간 중에 음식물 등이 끼이는 부위를 줄이고 치아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의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스프링의 사용으로 증폭 또는 부드럽게 변환하여 치아의 뿌리에 오래동안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므로 치열교정 치료기간을 줄이어 선호도를 높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루트티퍼의 구성 상태 도시도 이며, 도 3 은 일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루트티퍼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방식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루트(ROOT)는 뿌리를 말하고, 팁(TIP)은 물건을 기울이거나 엎는 것을 말하며, 상기 두 단어를 합성한 것이 루트티퍼(ROOTIPPER)로서 치아의 뿌리 부분에 견인력을 인가하여 치근을 움직여 치아의 배열을 교정한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루트티퍼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견인력을 치근에 전달하고 치아가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치료기간을 줄이며,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만 제한적으로 부착하여 치아 전체의 심미감을 유지하므로 치료자의 선호도를 높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루트티퍼를 설명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표준형 루트티퍼의 구성도 이고, 도 2b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꺽은 형상이고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구성도 이며, 도 2c 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꺽은 형상이고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구성도 이며, 도 2d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코일 형상이고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성도 이고, 도 2e 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코일 형상이고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 성도 이다.
루트티퍼(100)는 기저부(110)와 스프링부(120)와 걸이부(130)로 구성되며, 링(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110)는 치아(TOOTH)의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및 고정되고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치아의 표면은 입술(LIPS)에 면하는 부분을 순측면 또는 협면(이하 '순측면'이라 한다.)이라 하고, 혀(TONGUE)에 면하는 부분을 설측면이라 한다.
기저부(110)는 치아의 순측면과 설측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부(120)는 기저부(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견인력을 증폭하거나 감소하거나 또는 부드럽게 변환하여 지속적인 상태로 치아의 뿌리 부분 또는 치근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걸이부(130)는 스프링부(120)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견인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스프링부(120)와 걸이부(130)의 경우에도 기저부(110)와 동일하게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RING)(22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성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탄성력이 루트티퍼(100)에 의하여 견인력으로 변환되며 치근에 전달된다.
루트티퍼(100)의 스프링부(120)는 상기 도 2a와 같이 직선 스프링 형상, 도 2b 와같이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꺽은 스프링 형상, 도 2c 와같이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꺽은 스프링 형상, 도 2d 와같이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 도 2e 와같이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부(120)의 형상은 상기 도시된 실시 예 이외에 다양한 형상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증폭하여 더 강하게 또는, 감소시켜 더 약하게 또는, 부드럽고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치아는 선천적으로 배열이 잘못된 경우와 성장하는 과정에서 식습관, 기호품, 사고 등에 의하여 후천적으로 배열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치아의 비정상적 배열 상태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수술 등의 방법으로 교정하고, 치아의 비정상적인 배열 상태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교정술 또는 치료술에 의하여 치열을 바로잡게 된다.
상기 치료술로 치열 교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어린이의 경우 상대적으로 빠르고 성인의 경우는 늦어지는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약 2년 정도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루트티퍼 장치는 탄성체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을 견인력으로 변환하고, 견인력을 치아의 뿌리부분 또는 치근에 전달되도록 하므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만 제한적으로 부착 고정하므로 치료 기간 동안 치아의 심미감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루트티퍼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교정할 치아(200)의 설측면 또는 순측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쪽 면에 루트티퍼(100)의 기저부(110)를 접착제로 접착 및 고정한다. 이때 루트티퍼(100)의 스프링부(120)와 걸이부(130)는 치아(200)의 뿌리 부분을 향하면서 잇몸(210)에 닿지 않도록한 상태로 접착 및 고정한다. 상기 교정할 치아(200)는 일반적으로 인접 치아(200)가 된다.
교정할 치아(200)의 일측에 일례로, 제1실시 예에 의한 루트티퍼(100)를 고정하고, 상기 교정할 타측에는 일례로 제4실시 예에 의한 루트티퍼(103)를 고정한다.
상기 루트티퍼(100)의 선택은 교정할 치아(200)의 변형 상태에 따라, 제1 내지 제5 실시 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교정할 치아(200)와 치아(200)의 사이가 많이 벌어진 경우는 인가되는 견인력을 증폭하는 실시 예의 루트티퍼(100 내지 104)를 선택하고, 교정할 치아의 사이가 작은 경우는 인가되는 견인력을 약하게 하는 실시 예의 루트티퍼(100 내지 104)를 선택한다.
링(22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또는 금속성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이고, 물리적인 크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탄성력이 결정된다. 또한, 링(220)의 물리적인 크기를 다양하게 구비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과 관리적인 측면 등에서 문제가 되므로 종류를 제한하여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치아 교정의 다양한 조건 속에서 한정된 종류의 링(220)으로부터 발생된 탄성력을 증폭 또는 감소시킬 필요가 있고,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탄성력(견인력)이 오래도록 지속적이면서 부드럽게 인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링(220)은 루트티퍼(100)의 걸이부(13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탄성력은 견인력으로 변환되며 스프링부(120)에 의하여 증폭 또는 감소되어 기저부(110)에 전달된다. 기저부(110)는 치아(200)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므로 전달된 견인력은 뿌리부분인 치근에 전달되고, 치근이 이동하므로 치아(200)의 위치변형이 발생되어 치열이 교정된다.
즉, 스프링부(120)에 작용된 견인력은 기저부(110)를 통하여 치아(200)에 전달되면서 치아(200)의 뿌리부분에 전달되어 치근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스프링부(120)는 전체 직선 길이가 길어질수록 치아(200)의 뿌리부분 가까이에 견인력을 전달하지만 너무 길어지면 잇몸(210)을 상하게 하고, 탄성력이 전달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반복되는 실험에 의하여 최적의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부(120)로부터 걸이부(130) 까지의 길이는 약 7 내지 8 미리미터(㎜) 범위로 하는 것이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적당한 것으로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부(1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치아(200)의 배열 교정을 위한 견인력이 보다 부드럽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동시에 견인력이 치아의 뿌리부분으로 전달되므로 치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치열교정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 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에찌와이즈 치열교정 치료술 설명 도시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표준형 루트티퍼의 구성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꺽은 형상이고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구성도,
도 2c 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꺽은 형상이고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구성도,
도 2d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코일 형상이고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성도,
도 2e 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부가 코일 형상이고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성도,
도 3 은 일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루트티퍼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방식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101, 102, 103, 104 : 루트티퍼
110 : 기저부 120 : 스프링부
130 : 걸이부 200 : 치아
210 : 잇몸 220 : 링

Claims (4)

  1.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고정하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견인력을 증폭하며 상기 견인력을 부드럽게 변환하여 치아의 뿌리부분에 지속 전달하고 다수의 스프링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견인력을 인가받아 상기 스프링부에 전달하는 걸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고 고무와 금속 중에서 선택된 재질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며 발생된 탄성력을 상기 걸이부에 전달하는 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일자 스프링, 꺽은 스프링, 코일 스프링이 포함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견인력을 증폭, 감소, 부드럽게 지속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KR1020080120352A 2008-12-01 2008-12-01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KR20100061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52A KR20100061968A (ko) 2008-12-01 2008-12-01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52A KR20100061968A (ko) 2008-12-01 2008-12-01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968A true KR20100061968A (ko) 2010-06-10

Family

ID=4236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352A KR20100061968A (ko) 2008-12-01 2008-12-01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19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357A (ko) * 2018-12-04 2020-06-12 채훈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
TWI709391B (zh) * 2020-04-08 2020-11-11 柯百俞 牙齒矯正附件裝置
KR20210100924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357A (ko) * 2018-12-04 2020-06-12 채훈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
KR20210100924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TWI709391B (zh) * 2020-04-08 2020-11-11 柯百俞 牙齒矯正附件裝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US4877398A (en) Bracket for permitting tipping and limiting uprighting
US5125832A (en) Bracket for permitting tipping and limiting uprighting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JP7167064B2 (ja) 様々なサイズのアーチワイヤスロットを有する歯列矯正システム
EP2185094B1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US20040219474A1 (en) Mandibular repositioning assembly
US6932598B1 (en) Device and method of molar distalization and mandibular protraction
WO2003011166A1 (en) Attachment device for intra-oral orthodontic appliance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US20080138757A1 (en) Orthodontic brace with reduced profile
US8529253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bite correction
KR20100061968A (ko) 치열교정용 루트티퍼 장치
KR101202217B1 (ko) 치열교정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장치
JPH07265333A (ja) 歯列矯正用頬側矯正具
CN210095952U (zh)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JP5528785B2 (ja) 咬合矯正装置
US20140242536A1 (en) Mandibular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CN110151340B (zh) 竖直并近中移动下颌磨牙的正畸装置及矫治方法
KR101299811B1 (ko) 무날개 치아교정용 브래킷
JP4332641B2 (ja) 歯科矯正装置
CN217611478U (zh) 一种阻生磨牙直立装置
US6905334B2 (en) Attachment offset tooth eyelet
CN109925073A (zh) 一种ⅱ类错颌带储能元件的隐形正畸矫治器
US10201402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