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843A -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위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843A
KR20100061843A KR1020107008836A KR20107008836A KR20100061843A KR 20100061843 A KR20100061843 A KR 20100061843A KR 1020107008836 A KR1020107008836 A KR 1020107008836A KR 20107008836 A KR20107008836 A KR 20107008836A KR 20100061843 A KR20100061843 A KR 20100061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lat panel
panel display
electrode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061B1 (ko
Inventor
브죄른 카를슨
루츠 피트슈만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6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1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using a programmable display, e.g. LED or LC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023Images formed with electrophoretic technology, e.g. by charged pigment particles rearranged by applied electric field, e.g. electronic paper or e-paper, active 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21), 특히 스위칭 장치 또는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6)는 스위치(21)의 현재 또는 미래의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스위치 부품의 보다 효과적인 공간적 배치 및 에너지 절감 효과가 스위치(21)의 평판형 디스플레이(16)에 의해서 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기변색 물질 및 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전극들은 전기변색 물질의 특정 영역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제공되며, 그러한 전압 공급에 의해서 색채 변화를 활성화시키고, 그리고 지능형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위치{SWITCH HAVING A FLAT DISPLAY}
본 발명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스위치의 현재 또는 미래의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들은 산업 설비 및 자동화 시스템 그리고 또한 소비자들이 이용한다. 그러한 스위치들은 기계 또는 컴퓨터 등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채용된 순수한 명령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과 기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도 이용되는 기능을 한다. 그에 따라, 그러한 스위치들은 또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의 측면에서 입력/출력 장치로서 취급될 수 있을 것이다. 기계에 대해서 또는 작동 상태나 스위칭 상태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정보 콘텐츠를 가지는 광학적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작업자에 대한 피드백이 구현된다. 로터리 스위치, 레버 스위치, 로커 스위치, 슬라이더 스위치 또는 푸시 스위치/버튼이 이러한 것에 대한 예로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광학적 디스플레이는 정보를 가시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기초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질적으로, 전기적 및 기계적 스위치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적 디스플레이는 발광 다이오드(LEDs) 또는 형광 램프를 주로 구비할 것이다. 전기적 발광 요소들의 공간적 범위가 문제가 되는데, 이는 그 요소들이 스위치 내의 유용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그 스위치의 스위칭 기구(mechanism)들이 그 공간을 이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윈도우(window) 내에서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 하나 이상의 가동(可動) 요소를 가질 수 있는 기계적 디스플레이가 추가적인 옵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신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비상 차단 스위치와 같은 명령 장치 또는 스위치가 보다 고장나기 쉽고 그리고 순수 수명이 보다 짧은데, 이는 그들의 부가적인 기계장치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기계적 및 전기적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각각의 디스플레이 요소에 부착된 또는 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서 형성된 심볼 및/또는 텍스트 문자를 특성화(feature)한다.
기능부(functions)를 조명하기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를 기초로 하는 조명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기 스위치가 DE 43 05 349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다른 기술적 도전과 관련하여 최근 몇년 간 소위 전기변색(electrochromic)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전기변색 디스플레이의 기능이 도 1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변색 디스플레이의 주요 부품은 전기변색 물질(3)이며, 그러한 전기변색 물질은 하부 전극(1.1, 1.2, 1.3)과 상부 전극(2.1, 2.2, 2.3)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전극을 통해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변색 물질(3)로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 전위를 인가하는 것의 결과로, 예를 들어, 흡수 또는 반사 거동과 같은 광학적 특성이 변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변색 물질(3) 자체는 전기변색적으로 반응적인 층을 나타낸다. 전위의 인가는 인간의 눈에 콘트라스트 또는 색채의 변화로서 보여진다.
이러한 경우에, 상부 전극(2.1, 2.2, 2.3)은 보호 층(6)에 의해서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투명한 전극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전기변색 디스플레이는 전기변색적으로-반응적인 층이 픽셀 별로(pixel-by-pixel) 제어될 수 있게 허용하는 매트릭스(matrix) 제어부를 가진다. 하부 전극(1.2) 및 상부 전극(2.3)이 전압 소오스(voltage source; 5)에 의해서 상이한 전위(potentials)로 셋팅되며, 그에 따라 영역(4)(픽셀)에서 반사 또는 흡수 특성이 변화되고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부분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러한 매트릭스 제어는 예를 들어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로 알려져 있다.
전기변색 디스플레이가 캐리어 층(7) 상에 적용되지만, 통상적으로 그 폭은 250 마이크로미터이다.
전기변색 성분(component), 소위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가 WO 2004/081644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그 국제공보에서 EC 물질의 색채 거동은 전극들에 대한 전압 인가에 의해서 제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적 디자인 옵션이 매우 다양한 스위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설명된 타입의 스위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스위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변색 물질 및 전극들을 특성화하며, 전기변색 물질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해서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극들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목적은 스위칭 장치, 특히 명령 장치(command device)에 의해서, 그리고 적어도 이러한 타입의 스위치를 특성화하는 오버로드 릴레이(overload relay)에 의해서 달성된다.
혁신적으로, 스위치는 정보의 아이템을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정보는 기술적 설비 등의 기계의 현재 상태 또는 미래의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전달되는 정보는 작업과 관련한 지시 또는 권장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을 일정 정도 범위에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시 또는 권장 사항은 트리거링되는(triggered) 또는 제어되는 명령 장치 또는 스위치의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그에 따라, 광학적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작동(actuation)에 의해서 현재 원하는 결과를 산출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발생가능한 위험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는, 동일한 방식으로, 명령 장치 또는 스위치가 어떻게 작동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식(indication)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작동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표식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기계와 사용자 간의 이러한 통신은 이른바 HMI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할 것이다.
사용자와의 통신을 위해서, 스위치는 전기변색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성화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가진다. 이러한 전기변색 물질은 전기변색적으로-반응적인 층이거나 그러한 층을 포함하며, 상기 층은 전극에 의한 전위의 인가를 통해서 광학적 특성을 변화시킨다. 입사광은 다양한 전위에서 서로 다르게 반사 또는 흡수된다. 인간의 육안으로 볼 때, 이는 색채 변화로 인식된다.
전기변색 물질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극들이 제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색채 변화는 또한 에너지를 공급받은 영역 내에서 정확하게 나타난다. 정보 콘텐츠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많은 수의 이들 영역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그러한 영역들은 반드시 상응하는 전극 구성체(arrangement)에 의해서 지지되어야 할 것이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매트릭스 구성체는 상부 및 하부 전극들이 전기변색 물질 상에 정렬되고 그리고 그들의 배향(orientation)으로 인해서 그리드(grid) 구조물을 함께 형성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제어가능한 영역들이 전극들의 폭에 의해서 그 치수(dimensions) 내에서 규정되고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희망하는 픽셀 폭으로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낮은 프로파일(low profile)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스위칭 기구를 위해서 할당될 수 있는 부가적인 공간들이 기계적 부분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다른 이유로 보다 큰 체적의(voluminous) 디스플레이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장소 내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스위치 또는 명령 장치의 기능적인 형상에 맞춰 정확하게 배향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며, 그리고 명백하게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제공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 표면이 없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것은 정보 전달을 위해서 그리고 예를 들어 작동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이용되는 표면의 기능들을 조합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개량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전극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층, 특히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 또는 하부 전극들 중 하나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전위 강하가 부정확한 디스플레이를 초래할 수 있고 그리고 그러한 전위 강하가 보호 필름 또는 보호 층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투명 보호 층 역시 유리할 것인데, 이는 색채 변화 또는 그 콘트라스트가 광학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전극이 투명 전극으로서 구현된다. 유사하게, 이는, 특히 전기변색 물질의 양 측부에 전극들을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 전기변색 물질의 시계(視界; view)를 추가적으로 개선한다.
바람직하게, 투명 전극들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종래의 조명 요소, 예를 들어, LEDs, 백열 전구 등과 조합할 수 있게 한다. 적절한 물질을 이용할 때, 빛의 적은 부분만이 백라이팅에서 손실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와의 추가적인 통신 옵션이 열리게 되며, 이때 디스플레이 요소들이 디스플레이될 뿐만 아니라 조명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실시예는 밤이나 어두워진 분위기 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개량 실시예에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스위치의 작동 표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자체적인 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의 다른 부품들로 통합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부착을 위해서, 식별을 위해서 또는 스위치의 차단(blocking)을 위해서 제공된 부품내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스위치의 크기를 줄이고 그리고 부품들의 개체수를 줄인다.
바람직한 개량 실시예에서, 레버 또는 그립은 통상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특성화한다. 따라서, 작동 요소들에게 보다 큰 공간을 허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표면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작동을 위한 접근이 가능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심볼, 숫자, 문자, 특수 문자, 플로우차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픽토그램(pictogram) 또는 유사한 심볼 역시 이러한 것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특별한 전극 구성 또는 전극 형태에 의해서 특히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정보는 시간 의존성을 가진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스크린에서와 동일한 노력의 작업이 없이도, 텍스트 스크롤링, 성분들의 플래싱(flashing) 또는 스크린-타입 디스플레이가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포함되는 정보는 물리적으로 가변적인, 특히 전류, 전압, 온도 및/또는 신호, 특히 트리거 신호이다. 예를 들어, 기계가 평판형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될 수 있는 또는 미리 통지될 수 있는 온도 한계치에 도달하였을 때 다른 상내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 만약 설비가 예를 들어 원료 물질의 재충전을 필요로 하는 시기가 임박했다는 것 또는 재충전이 실패했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신호에 의해서 특히 트리거 신호에 의해서 설비의 상태가 영향을 받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색채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전기변색 물질이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변색적-반응 층이 여러 가지 상이한 화학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색채 변화는 하나의 전류 방향에서 하나의 색채로 변화하고 그리고 반대의 전류 방향에서 다른 색채로 변화하는 물질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진다. 반응 성분으로부터 색채를 제거하여 다른 물질, 예를 들어 불투명하고 비활성적인(inert) 중간 물질의 시계(view)를 드러냄으로써, 이러한 방법에 따른 색채 변화는 무색이 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 소위 "E-종이(paper)" 및 "E-라벨"이라고 공지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색채의 단색 및 색채 디스플레이들이 구분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스위치는 전극을 이용하여 둘 또는 셋 이상의 전기변색 물질을 특성화한다. 이는 다수의 색채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이때 하나의 전기변색 물질이 하나의 색채에 할당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본원 발명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장치, 특히 명령 장치, 신호전달(signaling) 장치, 정위치된 스위치, 콘택터(contactor), 파워 스위치 또는 콤팩트 브랜치(compact branch)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또한 전기변색 스위치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스위치 장치의 기능은 설비, 기계 또는 유사한 기술적 장치의 상태와 연결(link)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또한 명령 장치의 분류에 속하는 조명형 푸시버튼을 포함하고, 스위칭 기능을 가지고 그리고 다른 기계의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도면에 관한 설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 및 바람직한 개량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 또는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들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트릭스 제어 형태의 전기변색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활성화된 또는 비활성화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푸시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활성화된 또는 비활성화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픽셀로 나타낸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2개의 방향 상태를 심볼로 나타낸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시간 인덱싱을 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하부 전극(1.1, 1.2, 1.3) 및 상부 전극(2.1, 2.2, 2.3)이 그리드 형태로 정렬되고 그리고 전기변색 물질(3) 상에 층상으로 배치된 종래 기술에 따른 매트릭스 제어형 전기변색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픽셀로서 구현되는 영역(4)들이 개별적인 참여(participating) 전극들의 전위차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전극(1.1, 1.2, 1.3)은 캐리어 층(7) 상에 놓인다. 전압 공급원(5)은 상부 및 하부 전극으로 필요한 전위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활성화된 또는 비활성화된 평판형 디스플레이와 함께 푸시버튼 스위치(11)를 도시한다. 푸시버튼 스위치(11)는 표면(10) 및 평판형 디스플레이(13) 에 의해서 둘러싸인 표면(14)과 함께 그립(12)을 도시한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평판형 디스플레이(13)는 표면(10)과 동일한 색채로 관찰자에게 표시된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되는 전기변색 물질과 보호 표면과 같이 대부분(largely) 투명하게 구현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13)의 전극에 의해서 달성된다.
만약 전압 인가에 의해서 전기변색 물질이 활성화된다면, 이는 불투명하게 될 것이고 그리고 빛 스펙트럼의 일부를 흡수하기 시작할 것이고, 그에 따라 색채 느낌(impression)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평판형 디스플레이(13)의 보라색 색채가 기계의 위험(critical)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그리고 버튼(12)를 누르면 보다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표면(14)를 이러한 목적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백색, 황색 또는 녹색과 같이 덜 눈에 띄는 색채로부터 오렌지색, 적색 또는 보라색과 같은 신호 색채로 색채를 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평판형 디스플레이(13)의 전기변색 물질 및 전극 모두가 주변상황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는 것, 즉 필요한 링 형상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립(12) 바로 주위의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충분히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10)의 범위가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로서, 작동 안전을 위해서 주어진 의무적인 사항을 충족하면서도, 스위치(11)는 그 치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은,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보다 높은 콘트라스트가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평평한 표면의 범위(extension)를 보상하기 때문에 특히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술에서, 1:25의 색채 콘트라스트가 가능하다.
유사하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또한 시야각(angle of view)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을 수 있으며, 시야각이 165°이하인 이러한 기술은 항상 양호한 가시성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것과의 비교에 의해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기초로 하는 오늘날의 평판형 스크린 기술에서는 일부 제한(restrictions)을 가지는 약 135°의 시야각 만이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것은 디스플레이 문제에 대한 매우 경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500 x 10-6 W/cm2 미만인 매우 낮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전압 요건 역시 낮으며, 통상적으로는 1.2 V 내지 1.3 V 이다. 이러한 개선 사항은 경제적인데, 이는 낮은 전력 소모 뿐만 아니라 종래의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에 대비하여 결과적으로 상당한 제조 비용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도 4 및 도 5는 활성화된 또는 비활성화된 평판형 디스플레이(16)를 구비하는 로터리 스위치(21)를 도시한다. 평판형 디스플레이(16)는 그립(15)을 또한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한 부분의 위쪽에서 연장한다. 이는 기능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고, 그러한 기능의 조합은 부품의 수를 줄이며 그립(15) 또는 액츄에이터와 전달되는 신호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로터리 스위치(21)는 기술적 설비의 시동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설비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된다.
로터리 스위치(21)는 "정지(STOP)" 및 "시작(START)" 라벨을 각각 형성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17 및 18)를 구비한다. 양 디스플레이는 정상적으로 또는 반전된 색채로 작성된 각각의 라벨을 보여준다. 반전된 라벨이 비-반전형 라벨 보다 더 시인성이 좋기 때문에, 이로부터 사용자는 기술적 설비가 현재 파워가 공급되는 상태인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인식하게 된다. 평판형 디스플레이(17, 18) 내에 사용되는 전극들은 표시된 문자들 또는 이러한 경우에 그 문자들의 반전된 표시를 형성하며, 이때 번잔된 표시를 형성하는 전극들은 문자를 형성하는 전극들과 별개로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각각의 경우에 단 하나의 전극만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술적 설비의 실제 전력공급(powering)이 그 설비의 실제 작동 상태 진입(actual putting into operation)과 대부분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설비의 실제 작동을 색인하기 위해서 평판형 디스플레이(16)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평판형 디스플레이(16)의 색채 변화가 기술적 설비의 시동시에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만약 기술적 설비가 작동 상태로 진입될 수 없다면 사용자가 위험 없이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경우에 그립(15)을 평판형 디스플레이(16)와 결합하고, 그에 따라, 그립(15)의 공간적 범위로 인해서, 실내에서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양호한 가시성이 보장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평판형 디스플레이(16)가 로터리 스위치(21)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추가로 지지된다. 기계적 스위치 위치 디스플레이와 대비할 때, 높은 콘트라스트로 인해서, 가시 조건이 열악한 경우에도 가시성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큰-면적의 색채 변화는 매우 양호한 신호 효과를 만들어 내며, 이는 교호적인 전압에 의해서 유발되는 느린 또는 빠른 플래싱에 의해서 지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플래싱은 조명 효과(light effect)를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색채 및/또는 콘트라스트의 변화를 기초로 한다.
바람직하게, 조명 요소가 스위치와 조합될 수 있고 특히 평판형 디스플레이와 조합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LED 또는 TFT 디스플레이와 같은 조명 요소가 평판형 디스플레이 하부에 장착된다면, 단색 물질이 유사하게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조명 거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조, 심볼, 문자 등이 백라이팅(backlit)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조명 요소로부터의 빛이 바깥으로 나갈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전극들을 투명하게 구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된 흡수를 이용하여 빛을 감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픽셀 표시를 이용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바람직하게, 스위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전체적으로 소위 도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와 유사하게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LCDs로 알려진 것과 유사한 방식에서, 필요한 임의 방식으로 변화되는 심볼이나 텍스트의 큰 변동(large variation)이 전자 제어에 의해서 이들 평판형 디스플레이로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의 특정 예로서, 플래싱 심볼 및 스크롤링 텍스트가 있다.
전기변색 물질의 픽셀-타입 활성화 때문에, 이러한 것을 스크린-유사 디스플레이라고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ON" 및 "OFF"라는 단어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심볼 또는 문자 등을 동일 지점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도 8 및 도 9는 2가지 방향 상태의 심볼 표시를 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타입의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명령 및 신호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색채 또는 라벨이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볼식 표시도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및 도 9의 심볼은 좌측을 향하는 하나의 화살표 및 우측을 향하는 하나의 화살표로 구성된다. 우측을 향하는 화살표는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요소(25) 및 상태-의존형 디스플레이 요소(24)로 이루어진다. 전극들은 실제 형상을 이용하여 화살표 요소의 형상을 완성하는 디스플레이 요소(24)만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은 도 9의 상태-의존형 요소(26)와 유사하다. 상태 전환의 경우에, 평판형 디스플레이 내에서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서 요소(25)가 어떠한 전극들도 포함할 필요가 없거나 요소(25)가 활성화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심볼을 서로 부분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에너지 소모 및 제조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시간 인덱싱을 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그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작동 전류, 스위치 위치, 경고, 탐지된 오류, 수명의 종료에 근접하는 부품들과 같은 작동 파라미터들을 보여주는데 적합하다.
도시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시계를 연상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계 또는 기술적 설비가 스위칭된 후에 안전 상태에서 얼마나 오래 동안 지속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온-오프 스위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실제 작동 시간은 실제 작동 중에만 작동하는 시계에 의해서 단순히 분 또는 시간의 형태로 보여질 수 있을 것이다. 짧게 가압하여(예를 들어, 평판형 디스플레이 자체를 짧게 눌러서) 제어되는 기계 또는 설비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스위치, 특히 스위칭 장치 또는 명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의 또는 설비 기계의 현재 또는 미래의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전극 및 전기변색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성화하는 스위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의해서 스위치 성분의 보다 효율적인 공간 배치 뿐만 아니라 절감된 에너지 소모가 달성된다. 지능적인(intelligent) 활성화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전달하기 위해서 또는 색채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 전기변색 물질의 특정 영역으로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극들이 제공된다.

Claims (16)

  1.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로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는 현재 또는 미래의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 아이템을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는 전기변색 물질(3) 및 전극(1, 2)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성화하며, 상기 전기변색 물질(3)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해서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전극(1, 2)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가 보호 층(6), 특히 전극(1, 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특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가 하나 이상의 투명 전극(2)을 특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가 다수의 전극(1, 2)과 전기변색 물질의 영역(4)을 특성화하며, 상기 영역(4)들이 픽셀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1, 21)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3, 14, 16, 17, 18)의 전체가 또는 일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1, 21)가 스위치(21)의 스위칭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그립(15)을 특성화하며, 상기 평판형 디스플레이(16)가 상기 스위치(1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적어도 심볼, 숫자, 문자, 특수 문자, 플로우차트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시간 의존성을 가지며, 특히 스크롤링 텍스트, 플래싱 정보 또는 스크린-타입 디스플레이로서 시간 의존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물질(3)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색채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1, 21)가 전극(1, 2)과 함께 둘 또는 셋 이상의 전기변색 물질(3)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1, 2)은 상기 전기변색 물질의 하나 이상의 영역(4)으로 전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및/또는 미래의 상태가 스위치(11, 21)의 스위칭 상태 또는 스위치(11, 21)와 연관된 기계 또는 설비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물리적으로 가변적인, 특히 전류, 전압, 온도 및/또는 신호, 특히 트리거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일부, 특히 상기 전기변색 물질(3)의 아래쪽에 제공되는 전극들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전극의 아래쪽에 조명 요소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위치(11, 21).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스위치(11, 21)를 구비하는 스위칭 장치, 특히 명령 장치, 신호 장치, 정위치 스위치, 콘택트(contact), 파워 스위치 또는 콤팩트 브랜치.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스위치(11, 21)를 포함하는 오버로드 릴레이.
KR1020107008836A 2007-10-01 2008-09-01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위치 KR101584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9291.9 2007-10-01
EP07019291A EP2045656A1 (de) 2007-10-01 2007-10-01 Schalter mit einer flächigen Anzei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843A true KR20100061843A (ko) 2010-06-09
KR101584061B1 KR101584061B1 (ko) 2016-01-11

Family

ID=3914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836A KR101584061B1 (ko) 2007-10-01 2008-09-01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99034B2 (ko)
EP (1) EP2045656A1 (ko)
KR (1) KR101584061B1 (ko)
CN (1) CN101809493A (ko)
BR (1) BRPI0817641A2 (ko)
WO (1) WO2009047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8460A1 (de) * 2012-04-26 2013-10-31 Abb Ag Elektro-Installationsgerät, insbesondere Installationsschalter, mit Funktionshinweis
TWI475307B (zh) * 2012-09-24 2015-03-01 Wistron Corp 電致色變面板及控制裝置
CN104850172A (zh) * 2014-02-14 2015-08-1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具备屏幕镜子功能的电子终端
DE102016207273B4 (de) 2016-04-28 2021-06-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euchtsystems für einen Innenraum eines Fahrzeugs, Leucht-system zum Beleuchten eines Innenraums eines Fahrzeugs sowie Fahrzeug
US10187107B1 (en) * 2018-04-23 2019-01-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lectrochromic switch
CN110504128A (zh) * 2019-09-04 2019-11-26 王宁生 显字模拟开关
CN111323979A (zh) * 2020-01-03 2020-06-23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电致变色器件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6494B1 (en) * 1986-05-07 1993-12-29 Electro-Mechanical Products Vehicular function controller having alterable function designators
WO1995012841A1 (en) * 1993-11-01 1995-05-11 Zikit Integrated Systems Ltd. Interactive keyset
DE10212823A1 (de) * 2002-03-22 2003-10-02 Kostal Leopold Gmbh & Co Kg Funktionssymboldarstell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3427A (ja) * 1988-03-14 1989-09-19 Hitachi Maxell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JPH0425124U (ko) * 1990-06-26 1992-02-28
US5337575A (en) * 1991-08-16 1994-08-16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bnormalities in low temperature cabinets
DE4305349A1 (de) 1993-02-20 1994-08-25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Schalter mit Leuchtanzeige
EP0727082A4 (en) 1993-11-05 2000-11-15 Intertactile Tech Corp OPERATOR / CIRCUIT INTERFACE WITH INTEGRATED DISPLAY SCREEN
DE19857837A1 (de) * 1998-12-15 2000-06-21 Mannesmann Vdo Ag Bedienvorrichtung
US6639709B2 (en) * 2001-03-19 2003-10-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atrix addressable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US20030154970A1 (en) * 2002-02-12 2003-08-21 Cheng-Fang Huang Timer for a gas stove
KR20050025646A (ko) * 2002-07-26 2005-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서로 다른 전자색차 물질을 구비한 전자색차 컬러디스플레이
EP1602006A1 (de) 2003-03-12 2005-1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chromes bauteil
US7233250B2 (en) * 2004-12-29 2007-06-1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with visual indicator
US7362663B2 (en) * 2005-09-21 2008-04-22 Timestrip Uk Limited Elapsed time indicato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6494B1 (en) * 1986-05-07 1993-12-29 Electro-Mechanical Products Vehicular function controller having alterable function designators
WO1995012841A1 (en) * 1993-11-01 1995-05-11 Zikit Integrated Systems Ltd. Interactive keyset
DE10212823A1 (de) * 2002-03-22 2003-10-02 Kostal Leopold Gmbh & Co Kg Funktionssymboldarstell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9493A (zh) 2010-08-18
US8599034B2 (en) 2013-12-03
US20100302053A1 (en) 2010-12-02
BRPI0817641A2 (pt) 2015-03-31
EP2045656A1 (de) 2009-04-08
WO2009047051A1 (de) 2009-04-16
KR101584061B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61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위치
JP2022068151A (ja) 電子デバイスの一部を形成するアセンブリ、電子デバイス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のカバー構造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20130127897A1 (en) Dual graphic display
CN101889305B (zh) 显示装置和其显示方法
US20080136671A1 (en) Traffic indicator capable of displaying different types of traffic lights and symbols
US6297810B1 (en) Programmable switch array with tactical feel
CN101751176A (zh) 发光触控板模块
JP2017097377A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20040207607A1 (en) Operating element having an integrated display element, and a method for command output using an operating element
EP1756657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s
JP2016110775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US11273710B2 (en) Graphical display assembly for depicting a straight gate vehicle shifter position
US20090059566A1 (en) Device for Backlighting a Liquid-Crystal Display Facility for a Display and/or Control Unit, in Particular in a Household Appliance
US11010120B2 (en) Graphical display assembly for depicting vehicle shifter position
JP2008218175A (ja) 照明装置、照明付き速度計、照明付き計器、照明付き表示装置、照明付き時計
CN206338486U (zh) 用于工艺过程设备的现场设备
US11282446B2 (en) Graphic display assembly for vehicle rotary shifter
US20170305572A1 (en) Oled lighting for avionic keypanels
US11946632B2 (en) Control device interface, especially for vending machines and displays
US20220345129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0460684B2 (en) Display device
KR20080074614A (ko) 상이한 타입의 신호등과 교통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교통지시기
RU2813537C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0856440B1 (ko) 멀티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엘 키패드
KR100801973B1 (ko) 멀티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엘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