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213A -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213A
KR20100061213A KR1020080120120A KR20080120120A KR20100061213A KR 20100061213 A KR20100061213 A KR 20100061213A KR 1020080120120 A KR1020080120120 A KR 1020080120120A KR 20080120120 A KR20080120120 A KR 20080120120A KR 20100061213 A KR20100061213 A KR 2010006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output
bur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861B1 (ko
Inventor
이문섭
이병탁
김종덕
윤빈영
이동수
고재상
유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861B1/ko
Priority to US12/572,148 priority patent/US8463136B2/en
Publication of KR2010006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2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lay compensation, e.g. by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 or variations thereof, by r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광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용 가능하여 가입자수 및 전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광 중계, 버스트(Burst), 광회선 단말(OLT), 광가입자 단말(ONU)

Description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Burst mode optical repeater}
본 발명은 전송거리를 증가시키는 광 중계장치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명: 광가입자망(FTTH) 서비스 개발 실험 사업].
최근 저렴한 비용으로 가입자에게 초당 수십 메가 바이트에서 수백 메가 바이트까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광가입자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유력한 솔루션 중 하나인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TDMA-PON: 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Passive Optical Network)은 각 광가입자 단말(ONU : Optical Network Unit)까지 광섬유를 이용한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하나의 중앙 기지국(CO)에 광회선 단말(OLT : Optical Line terminal)이 설치되고 다수의 광가입자 단말(ONU)이 중간의 1:N의 광분기국(ODN: Optical Distribution Node)을 통해 광섬유로 연결된 구조로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통상의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을 참조해 보면,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은 중앙 기지국(CO)의 광회선 단말(OLT)과, 하향 광신호(Downstream)를 분기하고 상향 광신호(Upstream)을 다중화하는 다수개의 스플리터(Splitter), 이 스플리터들에 트리(Tree) 구조로 연결되는 광가입자 단말(ONU)들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원격 노드(RN : Remote Node)인 스플리터(Splitter)가 광분기국(ODN)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광회선 단말(OLT)과 원격 노드(RN) 사이의 광선로를 피더 파이버(Feeder Fiber)로 부르고, 원격 노드(RN)와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광선로를 가입자선로(Subscriber Line)라 한다.
중앙 기지국(CO)의 광회선 단말(OLT)에서 생성된 하향 광신호는 스플리터(Splitter)를 통해서 분배되고,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수신된다.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보내는 상향 광신호는 스플리터(Splitter)를 통해서 시분할 다중화되어 상향으로 전송된다.
이 때,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보내는 상향 광신호는 광회선 단말(OLT)과 스플리터(Splitter)에 연결된 피더 파이버(Feeder Fiber)에서 다른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오는 신호와 충돌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광가입자 단말(ONU)은 광회선 단말(OLT)에서 시간적으로 각 단말에 할당한 타임슬롯(TS: Time Slot)에 상향 광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연속적인(Continuous) 송신 광 모듈은 데이터 신호가 없는 경우 약간의 광 잡음을 발생 하게 되는데, 이러한 광 잡음이 피더 파이버(Feeder Fiber) 영역에서는 다수개의 광가입자 단말(ONU) 잡음의 중첩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광회선 단말(OLT)에서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는데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각 광가입자 단말(ONU)은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 외에는 광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완전히 광신호 출력을 중단해야 한다. 이러한 전송방식을 버스트 모드(Burst Mode) 전송방식이라 한다.
광 중계기(Repeater)는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광선로에 위치하며,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전송거리나 가입자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즉, 광 중계기는 전송 손실이나 스플리터 손실에 의해 약해진 상향 광신호 및 하향 광신호를 증폭하거나 중계하여 전송거리나 가입자수를 증가시킨다.
최근 국제표준회의인 ITU-T에서는 G.984.6 "Gigabit-capable Passive Optical Networks(GPON): Reach extension (ex G.984.re - GPON optical reach extension)"을 발표하여 기가 비트급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전송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광 중계기를 표준화 하였다.
여기서 제안한 광 중계기는 광증폭기를 사용한 상/하향 광 중계 방식과, OEO(Optical-Electrical-Optical)를 이용한 광 중계 방식의 두 가지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제안한 방식은 상향 광신호의 광회선 단말(OLT)과 스플리터(Splitter) 사이에만 적용되며, 실제적인 버스트 전송방식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광 중계기는 광회선 단말(OLT)과 스플리터(Splitter) 사이 뿐만 아 니라, 스플리터와 스플리터 사이, 스플리터와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에도 적용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중앙 기지국(CO)으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OEO(Optical-Electrical-Optical) 방식으로 중계하되,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용 가능한 광 중계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중앙 기지국(CO)으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OEO(Optical-Electrical-Optical) 방식으로 중계하되,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용 가능한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가 광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광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는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중앙 기지국(CO)으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OEO(Optical-Electrical-Optical) 방식으로 중계하되,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용 가능하여 가입자수 및 전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이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버스트 모드(Burst Mode) 광 중계장치는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가입자수 및 전송거리를 증가시키는 장치로, 상향으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100)는 광수신부(110)와, 광송신부(120)와, 지연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수신부(110)는 광가입자 단말(ONU)로부터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한다. 광가입자 단말(ONU)로부터 상향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광전송로 및 스플리터(도면 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전송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다수개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전송되는 광신호는 스플리터에서 다중화되기 때문에, 상기 광수신부(110)로 입력되는 광신호는 시분할 다중화된 버스 트(Burst) 특성을 가지며, 전송 손실에 의해 약해진 신호이다.
상기 광송신부(120)는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회선 단말(OLT)로 송신한다.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약해진 광신호는 원거리의 광회선 단말(OLT)에 까지 전송하기 위해 광수신부(110)가 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광송신부(120)는 이 증폭된 광신호를 광회선 단말(OLT)로 송신한다.
상기 지연제어부(130)는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광송신부(120)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각 광가입자 단말(ONU)은 광회선 단말(OLT)에서 시간적으로 각 단말에 할당한 타임슬롯(TS: Time Slot)에 상향 광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상향 광신호들이 스플리터에 의해 다중화되면, 각 광가입자 단말(ONU) 잡음의 중첩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 광가입자 단말(ONU)에 할당된 타임슬롯 외에는 광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완전히 광신호 출력을 중단하도록 상향 광신호에 대해 버스트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해야 한다.
상기 광수신부(110)로 입력되는 시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는 버스트 특성을 가진다. 즉, 이 말은 버스트 특성을 가지는 광신호에 따라서 전류는 변동이 있으므로, 이 변동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지연제어부(130)가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광송신부(120)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송신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광신호를 버스트 특성이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100)는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중앙 기지국(CO)으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OEO(Optical-Electrical-Optical) 방식으로 중계하되,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연제어부(130)가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광송신부(120)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입자수 및 전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광수신부(110)가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여 상기 광송신부(120)로 출력하고,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지연제어부(130)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수신부(110)가 광검출부(111)와, 증폭부(112)와, 전류감지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검출부(111)는 시분할 다중(TDMA) 방식으로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광검출부(111)로 포토 다이오드(PD : Photo Diode)를 사용하여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112)는 상기 광검출부(111)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표현되는 전기신호를 일정한 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증폭 부(112)로 TIA(Transimpedence Amplifier)와 Limiting Amplifier 등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전류성분으로 표현된 데이터 신호를 일정한 전압레벨(Vdt+, Vdt-)로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류감지부(113)는 상기 광검출부(111)에 의해 검출되는 광신호의 전류를 감지한다. 이 전류감지부(1230)는 광신호가 입력될 때 흐르는 전류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컨대 버스트 특성을 가지는 광신호에 따라서 포토 다이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변동되므로, 이에 따라서 버스트 패킷별 신호를 감지하여 지연제어부(130)에 신호하여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광송신부(120)에 전달하여 광송신부(120)에 의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 특성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 전류감지부(113)는 광수신부(110)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 또는 상기 증폭부(112)의 전단 또는 후단 등에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전류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광송신부(120)가 상기 광수신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되, 상기 지연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전기신호가 없는 시간 영역에서는 광신호 송신을 중단하여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송신부(120)가 광출력부(121)와, 구동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121)는 상향으로 광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광출력부(121)로 레이저 다이오드(LD : Laser Diode)를 사용하여 상기 광수신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전류성분에 따라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2)는 상기 광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와, 상기 지연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121)를 구동하는 바이어스(Bias) 전류와 모듈레이션(Modulation)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구동부(122)가 상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자신의 광패킷과 광패킷 사이에 광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광출력부(121)의 광신호 출력을 중단시킴으로써 상향으로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122)가 상기 광출력부(121)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차단함에 의해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광송신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부(120)는 광출력부(121)와, 구동부(122)와, 스위치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출력부(121)는 상향으로 광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광출력부(121)로 레이저 다이오드(LD : Laser Diode)를 사용하여 상기 광수신부(110)로부 터 출력되는 전기적 전류성분에 따라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2)는 상기 광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121)를 구동하는 바이어스(Bias) 전류와 모듈레이션(Modulation) 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위치부(123)는 상기 지연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121)의 광신호 출력을 차단한다.
즉, 이 실시예는 상기한 바이어스(Bias) 전류와 모듈레이션(Modulation) 전류를 차단함에 의해 광출력부(121)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과는 달리, 지연제어부(130)로부터의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스위치부(123)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출력부(121)에 입력전원(Vcc)이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하여 광출력부(12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지연제어부(130)가 상기 전류감지부(113)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른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해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지연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광신호의 전류(Ipd)는 패킷에 따라 높고 낮음의 전류세기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상기 전류감지부(113)를 통해 검출하고, 상기 지연제어부(130)로 OP앰프(AMP)를 사용하여 상기 전류감지부(113)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른 전압과, 미 리 설정된 기준전압(Vset)을 비교하여 버스트 인에이블 신호(en)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연제어부(130)는 상기 광수신부(110)에서 광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면서 걸리는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광수신부(110)에서 광/전 변환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상기 지연제어부(130)에서 검출된 전류신호를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로 변환하는데 걸리는 시간과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광수신부(110)에서 걸리는 시간에 따라 의존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신호 타이밍도이다. 상향 송신되는 광신호는 광가입자 단말(ONU)의 물리적 위치에 따라 다른 세기와 버스트 특성을 가진다. 이는 상향으로 전송될 때 겪는 광선로의 전송손실 및 스플리터에 따른 손실에 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는 송신 광신호가 일정한 세기를 갖는 버스트 특성을 갖는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는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해 서로 파장이 다른 상향 광신호와 하향 광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전송 시스템에서 버스트 모드 광 중계를 위한 구성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200)는 하향 광신호 중계부(210)와, 상향 광신호 중계부(220)와, 신호분리부(230)(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 기 하향 광신호 중계부(210)는 하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출력함으로써 하향 신호를 중계한다.
상기 상향 광신호 중계부(220)는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출력함으로써 상향 신호를 중계하되, 이 중계되는 상향 신호를 버스트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상향 광신호 중계부(220)는 광수신부(110)와, 광송신부(120)와, 지연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수신부(110)는 광가입자 단말(ONU)로부터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한다. 광가입자 단말(ONU)로부터 상향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광전송로 및 스플리터(도면 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전송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다수개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전송되는 광신호는 스플리터에서 다중화 되기 때문에, 상기 광수신부(110)로 입력되는 광신호는 시분할 다중화된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며, 전송 손실에 의해 약해진 신호이다.
상기 광송신부(120)는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회선 단말(OLT)로 송신한다.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약해진 광신호는 원거리의 광회선 단말(OLT)에 까지 전송하기 위해 광수신부(110)가 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광송신부(120)는 이 증폭된 광신호를 광회선 단말(OLT)로 송신한다.
상기 지연제어부(130)는 상기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광송신부(120)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각 광가입자 단말(ONU)은 광회선 단말(OLT)에서 시간적으로 각 단말에 할당한 타임슬롯(TS: Time Slot)에 상향 광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상향 광신호들이 스플리터에 의해 다중화되면, 각 광가입자 단말(ONU) 잡음의 중첩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 광가입자 단말(ONU)에 할당된 타임슬롯 외에는 광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완전히 광신호 출력을 중단하도록 상향 광신호에 대해 버스트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해야 한다.
상기 광수신부(110)로 입력되는 시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는 버스트 특성을 가진다. 즉, 이 말은 버스트 특성을 가지는 광신호에 따라서 전류는 변동이 있으므로, 이 변동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지연제어부(130)가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광송신부(120)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송신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광신호를 버스트 특성이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200)는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의 광가입자 단말(ONU)과 중앙 기지국(CO)의 광회선 단말(OLT)간에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중계하되, 상기 상향 광신호 중계부(220)의 지연제어부(130)가 광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광송신부(120)를 통해 사향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상향 광신호 중계부(2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신호분리부(230)(240)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200)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향 광신호와 하향 광신호를 분리하여 상향 광신호와 하향 광신호가 각각 상기 상향 광신호 중계부(220)와, 하향 광신호 중계부(210)를 통과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이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200)는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해 서로 파장이 다른 상향 광신호와 하향 광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전송 시스템에서 상향 광신호에 대해 버스트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는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의 광가입자 단말(ONU)에서 중앙 기지국(CO)으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향 광신호를 OEO(Optical-Electrical-Optical) 방식으로 중계하되, 광회선 단말(OLT)과 광가입자 단말(ONU)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나 적용 가능하여 가입자수 및 전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광신호 중계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 1 은 통상의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PON)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광송신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지연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신호 타이밍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광 중계장치 110 : 광수신부
111 : 광검출부 112 : 증폭부
113 : 전류감지부 120 : 광송신부
121 : 광출력부 122 : 구동부
123 : 스위치부 130 : 지연제어부
210 : 하향 광신호 중계부 220 : 상향 광신호 중계부
230, 240 : 신호분리부

Claims (18)

  1. 광가입자 단말로부터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회선 단말로 송신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광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지연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가: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여 상기 광송신부로 출력하고,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지연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가:
    시분할 다중(TDMA) 방식으로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출력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표현되는 전기신호를 일정한 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광신호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되, 상기 지연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전기신호가 없는 시간 영역에서는 광신호 송신을 중단하여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가:
    상향으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와, 상기 지연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를 구동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자신의 광패킷과 광패킷 사이에 광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광출력부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차단함에 의해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가:
    상향으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를 구동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지연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어부가:
    상기 전류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른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해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0. 하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하여 증폭 출력함으로써 하향 신호를 중계하는 하향 광신호 중계부와;
    광가입자 단말로부터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회선 단말로 송신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광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로부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상기 광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지연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향 광신호 중계부와;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향 광신호와 하향 광신호를 분리하여 상향 광신호와 하향 광신호가 각각 상기 상향 광신호 중계부와, 하향 광신호 중계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신호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가: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여 상기 광송신부로 출력하고, 수신된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지연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가:
    시분할 다중(TDMA) 방식으로 상향으로 전송되는 약해진 광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출력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적 전류성분으로 표현되는 전기신호를 일정한 전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광신호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되, 상기 지연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전기신호가 없는 시간 영역에서는 광신호 송신을 중단하여 광신호가 버스트(Burst) 특성 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가:
    상향으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와, 상기 지연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를 구동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자신의 광패킷과 광패킷 사이에 광잡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광출력부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차단함에 의해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가:
    상향으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광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를 구동하는 바이어스 전류와 모듈레이션 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지연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의 광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어부가:
    상기 전류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른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해 버스트 인에이블(Burst Enable)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KR1020080120120A 2008-11-28 2008-11-28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KR10119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20A KR101190861B1 (ko) 2008-11-28 2008-11-28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US12/572,148 US8463136B2 (en) 2008-11-28 2009-10-01 Burst mode optical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20A KR101190861B1 (ko) 2008-11-28 2008-11-28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13A true KR20100061213A (ko) 2010-06-07
KR101190861B1 KR101190861B1 (ko) 2012-10-18

Family

ID=4222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120A KR101190861B1 (ko) 2008-11-28 2008-11-28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63136B2 (ko)
KR (1) KR101190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91B1 (ko) * 2015-10-06 2015-12-16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위한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779B1 (ko) * 2013-01-02 201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 가변 광 모듈 기반 수동형 광 망 거리 확장장치 및 그 방법
JP5794324B2 (ja) * 2014-01-17 2015-10-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駆動回路および宅側装置
KR102332993B1 (ko) 2014-11-14 2021-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신호 세기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트 모드 트랜스 임피던스 증폭기
CN108183380B (zh) * 2018-01-05 2020-02-18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集成光电振荡器
KR102423938B1 (ko) 2018-04-02 2022-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스트 모드로 광송신을 하기 위한 광망 종단 장치
US10992387B2 (en) * 2019-09-12 2021-04-27 Google Llc Port re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334B2 (ja) 1997-01-20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波長多重通信システムの光増幅器出力レベル制御方式
US7853154B2 (en) * 2006-01-13 2010-12-14 Mindspeed Technologies, Inc. Bias circuit for burst-mode/TDM systems with power save feature
JP4948102B2 (ja) 2006-09-19 2012-06-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中継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91B1 (ko) * 2015-10-06 2015-12-16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위한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WO2017061667A1 (ko) * 2015-10-06 2017-04-13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위한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US10484096B2 (en) 2015-10-06 2019-11-19 Lightworks Technology Inc Relay apparatus and relay method for passive optic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5665A1 (en) 2010-06-03
US8463136B2 (en) 2013-06-11
KR101190861B1 (ko)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46435A1 (en) Multiplex conversion for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1190861B1 (ko) 버스트 모드 광 중계장치
US9967033B2 (en) Flexible TWDM PON with load balancing and power saving
US8116634B2 (en) Adaptive injection current controlled burst mode SOA for long and wide reach high speed PON
KR20040105431A (ko) 수동 광통신 망에서 광 파워 등화 장치
IL124639A (en)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201901906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wavelength drift
KR101854054B1 (ko) 전류 전압 변환 회로, 광 수신기 및 광 종단 장치
van Veen Transceiver technologies for next-generation PON (Tutorial)
JP5066591B2 (ja) 双方向光増幅器及びponシステム及びponシステムの通信方法
Cheng et al. Large splitting and long reach passive optical networks with mode coupling receivers
KR20120071505A (ko) 광 중계기 및 그것의 광신호 증폭 방법
JP2013115461A (ja) 光中継増幅装置及び方法
Kim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assively extended XG-PON with CWDM upstream
RU200911469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терминала оптической линии (olt) и модуля оптической сети (onu) в независимых от длины волны пассивных оптических сетях с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ем с разделением по длине волны
Wong et al. Automatic protection, restoration, and survivability of long-reach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1500056B1 (ko) 광학 네트워크용 반사 반도체 광학 증폭기
Kim et al. Design of a hybrid PON system for GPON reach extension on the basis of colorless DWDM-PON and 3R regenerator
KR100547783B1 (ko) 기가비트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광 신호 파워 레벨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olt
EP2503712B1 (en) Hybrid electrical/optical splitting oeo pon
KR100952875B1 (ko) 광망 종단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광 송신단 제어방법
JP2012015866A (ja) 双方向光増幅器並びにこれを用いたpon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242417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의 광 전송 장치
JP5699678B2 (ja) 光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60128533A (ko) 이더넷 기반의 전광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장치 및 이에대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