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211A -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211A
KR20100061211A KR1020080120117A KR20080120117A KR20100061211A KR 20100061211 A KR20100061211 A KR 20100061211A KR 1020080120117 A KR1020080120117 A KR 1020080120117A KR 20080120117 A KR20080120117 A KR 20080120117A KR 20100061211 A KR20100061211 A KR 2010006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guide
core
cladding
s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446B1 (ko
Inventor
이세형
강현서
고재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446B1/ko
Priority to US12/606,082 priority patent/US7995883B2/en
Publication of KR2010006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3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6/136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by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diffraction, e.g. grating
    • G02B6/29316Light guides comprising a diffractive element, e.g. grating in or on the light guide such that diffracted light is confined in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도파로의 코어내에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하도록 한 것이다.
광도파로, 코어, 클래딩, 필터, 양방향 광송수신

Description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Optical waveguide and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본 발명은 광 전송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일반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명: 광통신 및 센서노드를 위한 융합 SOP기술 개발].
광섬유 등 하나의 도파로를 이용해 양방향 광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구성을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 은 종래의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1)는 광도파로(10)와, 외장형 필터(20)와, 광출력부(30)와, 광검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도파로(10)는 광섬유 등과 같이 광을 전송하는 코어(Core)(11)와, 상기 코어(11)를 감싸며 전반사 효과에 의해 광을 코어내에 유지시키는 클래딩(Cladding)(12)을 포함하는 전송선로이다.
상기 외장형 필터(20)는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송신광은 굴절되어 통과하고, 수신광은 반사되어 경로를 변경함에 의해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한다.
상기 광출력부(30)는 상기 광도파로(10)로 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의 광송신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광검출부(40)는 상기 광도파로(10)로부터 광을 검출하는 포토 다이오드(PD) 등의 광수신을 위한 구성이다.
송신 신호는 상기 광출력부(30)에 의해 전기 신호에서 광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상기 외장형 필터(20)를 통과하여 광도파로(10)의 코어(11)를 통해 송신된다.
수신 신호는 상기 광도파로(10)의 코어(11)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외장형 필터(20)에 의해 반사되어 경로가 변경되고, 상기 광검출부(40)에 의해 광 신호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됨으로써 하나의 광도파로를 통해 양방향으로 통신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는 광도파로(10)와, 광출력부(30)와, 광검출부(40) 사이에 설치된 외장형 필터(20)를 사용하여 광 신호를 분리하는 자유공간 광학계를 이용함으로써 각 소자간의 공간 위치의 변화에 따라 광송수신 장치의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광출력부(30)에 의해 출력되는 송신광 신호를 매우 작은 직경을 갖는 코어(11)를 통해 전송하도록 각 소자를 수동 정렬시켜야 하는데, 이 때 외장형 필 터(20)를 사용함에 의해 정렬이 어려웠고,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의 소형화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한 광도파로 및 광송수신 장치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한 광도파로 및 광송수신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도파로가 코어내에 내장된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송수신 장치가 코어내에 내장된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한 광도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도파로의 코어내에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이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는 광섬유 등의 광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경로를 말한다.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는 하나의 광도파로를 이용해 광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는 광 신호가 클래딩(Cladding)을 통해 전송되는 구간을 말한다.
코어 모드(Core Mode)는 광 신호가 코어(Core)를 통해 전송되는 구간을 말한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도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로, 도 2 와 도 3 은 광출력부 및 광검출부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광도파로(110)는 코어(111)와, 클래딩(112)과, 파장 선택적 필터(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111)는 광을 전송한다. 상기 클래딩(112)은 상기 코어(111)를 감싸며 전반사 효과에 의해 광을 코어(111)내에 유지시킨다.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는 상기 코어(111)내에 내장되어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한다. 예컨대,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가 장주기 격자(LPG : Long Period Grating) 필터일 수 있다.
이 때, 파장 선택적 필터(113)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래딩(112)을 통해 송신되는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210)의 송신광(200)을 코어 모드(Core Mode)(220)로 변환하거나,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를 통해 수신되는 코어 모드(Core Mode)(320)의 수신광(300)을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310)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에 의해 변환되어 송신 또는 수신되는 광과 반대로 수신 또는 송신되는 광은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를 그대로 통과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광도파로(110)는 코어내에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클래딩(112)이 그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을 경사지도록 구현하여, 도 2 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도파로(110)와 수직한 방향에서 입사 되는 송신광을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에서 수직으로 반사하여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로 송신하거나,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장 선택적 필터(113)에 의해 코어 모드(Core Mode)에서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로 변환된 수신광을 수직으로 반사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에 의해 송신광 또는 수신광의 경로를 변환할 수 있어 광도파로(110)가 양방향 전송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광이 직경이 매우 작은 코어로 입력되어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어려운 종래와는 달리 송신광이 코어(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큰 클래딩(112)을 통해 입사되므로, 광학계의 수동 조절을 위한 정렬 마진이 커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진다.
이 때, 송신광이 입력되는 부위에 콜리메이터(Collimator)(도면 도시 생략)를 설치해 송신광이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로의 진입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수신광이 출력되는 부위에 렌즈(Lens)(도면 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출력되는 수신광의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코어(111)가 상기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서 에칭된 단면(111a)을 구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한 단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단면일 수 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한 단면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단면일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건식 또는 습식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상기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의 코어(111)에 에칭된 단면(111a)을 형성함으로써 추후 설명할 광 출력을 위한 광출력부 또는 광 검출을 위한 광검출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지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광도파로(110)가 상기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는 미러 또는 필터(11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상기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에 미러 또는 필터(114)를 설치하여 클래딩(112)의 전반사 조건과는 무관하게 미러 또는 필터(114)를 통해 송신광 또는 수신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 8 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광도파로를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100)는 하나의 광도파로를 이용해 광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로, 광도파로(110)와, 광출력부(120)와, 광검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도파로(110)는 광을 전송하는 코어(Core)(111)와,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전반사 효과에 의해 광을 코어내에 유지시키는 클래딩(Cladding)(112)과, 상기 코어내에 내장된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113)를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가 장주기 격자(LPG : Long Period Grating) 필터일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120)는 상기 광도파로(110)로 광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상기 광출력부(120)로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사용하여 송신 신호를 전기 신호에서 광 신호로 전광 변환하여 상기 광도파로(11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광검출부(130)는 상기 광도파로(110)로부터 광을 검출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상기 광출력부(120)로 포토 다이오드(PD)를 사용하여 상기 광도파로(110)를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는 상기 광출력부(120)에 의해 출력되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래딩(112)을 통해 송신되는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210)의 송신광(200)을 코어 모드(Core Mode)(220)로 변환하거나,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를 통해 수신되는 코어 모드(Core Mode)(320)의 수신광(300)을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310)로 변환한다. 클래딩 모드로 변환된 수신광은 상기 광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서,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에 의해 변환되어 송신 또는 수신되는 광과 반대로 수신 또는 송신되는 광은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113)를 그대로 통과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100)는 광도파로(110)의 코어내에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클래딩(112)이 그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을 경사지도록 구현하여, 도 2 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도파로(110)와 수직한 방향에서 입사되는 송신광을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에서 수직으로 반사하여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로 송신하거나,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장 선택적 필터(113)에 의해 코어 모드(Core Mode)에서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로 변환된 수신광을 수직으로 반사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에 의해 송신광 또는 수신광의 경로를 변환할 수 있어 광도파로(110)가 양방향 전송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광이 직경이 매우 작은 코어로 입력되어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어려운 종래와는 달리 송신광이 코어(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큰 클래딩(112)을 통해 입사되므로, 광학계의 수동 조절을 위한 정렬 마진이 커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진다.
이 때, 광출력부(120)와 상기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 사이에 콜리메이터(Collimator)(도면 도시 생략)를 설치해 송신광이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로의 진입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상기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과 광검출부(130) 사이에 렌즈(Lens)(도면 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광도파로(110)의 코어(111)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광의 출력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코어(111)가 상기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서 에칭된 단면(111a)을 구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한 단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단면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한 단면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에칭된 단면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단면일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건식 또는 습식 에칭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상기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의 코어(111)에 에칭된 단면(11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출력부(120) 또는 광검출부(130)의 결합이 용이하 도록 하여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지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광도파로(110)가 상기 클래딩(112)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는 미러 또는 필터(11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상기 클래딩(112)의 경사면(112a)에 미러 또는 필터(114)를 설치하여 클래딩(112)의 전반사 조건과는 무관하게 미러 또는 필터(114)를 통해 송신광 또는 수신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래딩 모드(Cladding Mode)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도파로의 코어내에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학계의 수동 정렬이 용이해 광송수신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화에도 유리한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양방향 광송수신 기술 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 분야에서 산업상으 로 이용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도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
도 4 내지 도 7 은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의 에칭된 코어 단면 형상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0, 110 : 광도파로
11, 111 : 코어 12, 112 : 클래딩
20 : 외장형 필터 30, 120 : 광출력부
40, 130 : 광검출부 111a : 단면
112a : 경사면 113 : 파장 선택적 필터
114 : 미러 또는 필터

Claims (20)

  1. 광을 전송하는 코어(Core)와,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전반사 효과에 의해 광을 코어내에 유지시키는 클래딩(Cladding)을 포함하는 광도파로에 있어서,
    상기 코어내에 내장된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이:
    그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상기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서 에칭된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수직한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경사진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볼록한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오목한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가:
    상기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는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가:
    상기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가:
    장주기 격자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11. 광을 전송하는 코어(Core)와,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전반사 효과에 의해 광을 코어내에 유지시키는 클래딩(Cladding)과, 상기 코어내에 내장된 양방향(Bi-direction)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파장 선택적 필터를 구비한 광도파로와;
    상기 광도파로로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광도파로로부터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이:
    그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상기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서 에칭된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수직한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경사진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볼록한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단면이:
    오목한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가:
    상기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는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가:
    상기 클래딩의 일측 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선택적 필터가:
    장주기 격자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KR1020080120117A 2008-11-28 2008-11-28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KR10118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17A KR101181446B1 (ko) 2008-11-28 2008-11-28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US12/606,082 US7995883B2 (en) 2008-11-28 2009-10-26 Optical waveguide and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17A KR101181446B1 (ko) 2008-11-28 2008-11-28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11A true KR20100061211A (ko) 2010-06-07
KR101181446B1 KR101181446B1 (ko) 2012-09-19

Family

ID=4222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117A KR101181446B1 (ko) 2008-11-28 2008-11-28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95883B2 (ko)
KR (1) KR101181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8924B2 (en) * 2009-07-03 2013-07-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waveguide and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US8582936B2 (en) * 2010-03-25 2013-11-12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Separating and combining single-mode and multimode optical beam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6995A (en) * 1980-02-01 1981-10-27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Optical fiber beam splitter couplers employing coatings with dichroic properties
US4314740A (en) * 1980-05-07 1982-02-0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Optical fiber beam splitter coupler
DE3231492A1 (de) * 1982-08-25 1984-03-01 ANT Nachrichtentechnik GmbH, 7150 Backnang Integrierte mikro-optische vorrichtung
DE3687162D1 (de) 1985-12-10 1993-01-07 Siemens Ag Integriert-optischer multiplex-demultiplex-modul fuer die optische nachrichtenuebertragung.
US4911516A (en) * 1989-02-27 1990-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device with mode selecting grating
US5305335A (en) * 1989-12-26 1994-04-1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ingle longitudinal mode pumped optical waveguide laser arrangement
JP3282889B2 (ja) * 1993-08-04 2002-05-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ンズ付き光ファイバ
US5699377A (en) * 1996-04-30 1997-12-16 E-Tek Dynamics, Inc. Narrow linewidth, stabilized semiconductor laser source
US5953353A (en) * 1997-11-20 1999-09-14 Lucent Technologies Inc. Article comprising an improved rare earth-doped optical fiber laser
JP3251223B2 (ja) * 1998-02-25 2002-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増幅器
US6411755B1 (en) * 2000-04-27 2002-06-25 University Of Rochester Cladding-assisted single-mode fiber coupler
DE10033485C2 (de) * 2000-07-10 2003-10-23 Infineon Technologies Ag Koppelglasfaser zur optischen Kopplung einer Lichtstrahlungsquelle an einen Mehrmoden-Lichtwellenleiter, optoelektronisches Lichtsendebauelement für Mehrmoden-Lichtwellenleite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Koppelglasfenster
DE10037902C2 (de) 2000-08-03 2002-08-01 Infineon Technologies Ag Optisches bidirektionales Sende- und Empfangsmodul mit einem Stiftkörper mit integriertem WDM-Filter
JP2002261300A (ja) * 2000-12-25 2002-09-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受信器
JP4267834B2 (ja) * 2001-02-16 2009-05-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WO2002075785A2 (en) 2001-03-16 2002-09-26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Coupled optical and opto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485745B2 (ja) * 2001-04-19 2010-06-23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光機能素子および光機能装置
JP2004233551A (ja) 2003-01-29 2004-08-19 Sony Corp 光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KR100799576B1 (ko) 2006-08-18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신호 아웃-커플링 광섬유 및 그 광섬유를 이용한 광신호검출장치
KR100966177B1 (ko) * 2008-07-22 2010-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경로 변환을 위한 광 도파로 장치 및 광 통신 모듈 장치
US8488924B2 (en) * 2009-07-03 2013-07-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waveguide and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5614A1 (en) 2010-06-03
US7995883B2 (en) 2011-08-09
KR101181446B1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1702B2 (ja) 集積ファイバ光学送受信装置
US8909054B2 (en) Bi-direction optical sub-assembly and optical transceiver
US8488924B2 (en) Optical waveguide and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US9213156B2 (en) Optical receiver with reduced cavity siz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50019945A (ko) 파장 가변형 파장 선택성 필터가 내장되는 광수신 모듈
KR101648877B1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US9383528B2 (en) Light-receiving module
KR101181446B1 (ko)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US20150147030A1 (en) Optical coupling lens
KR100730300B1 (ko) 역방향 클래딩모드 결합을 이용한 광신호 검출장치
KR101723135B1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KR102280189B1 (ko) 라이다 장치
KR101104966B1 (ko) 광도파로 및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US20130022313A1 (en) Opt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977083B2 (en) Photo module
KR20110050941A (ko) 양방향 광 서브어셈블리
JP2003264513A5 (ko)
JP2010231083A (ja) 光接続器
KR20120054932A (ko) 다기능 광 계측기
EP2610658A2 (en)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KR102133501B1 (ko) 무선 광통신 시스템을 위한 광 송수신장치
KR100678685B1 (ko)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침입자 감지장치
KR101320964B1 (ko) Vcsel을 이용한 양방향 광송수신장치
JP2009103578A (ja) 双方向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パルス試験器
JP2008209266A (ja) 双方向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パルス試験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