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904A - Relief valve - Google Patents

Relief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904A
KR20100060904A KR1020080119705A KR20080119705A KR20100060904A KR 20100060904 A KR20100060904 A KR 20100060904A KR 1020080119705 A KR1020080119705 A KR 1020080119705A KR 20080119705 A KR20080119705 A KR 20080119705A KR 20100060904 A KR20100060904 A KR 2010006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hamber
relief valve
passag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63022B1 (en
Inventor
이기용
오창근
현홍택
Original Assignee
두산모트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모트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모트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022B1/en
Publication of KR2010006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5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conical 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PURPOSE: A relief valve is provided to minimize surge pressure by reducing an impact occurred when the pressure at an inlet port rises. CONSTITUTION: A relief valve(1) comprises a guide(410), a first passage(452), a sleeve(600), a piston passage(440), and a second passage(620). The guide is proj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piston(400) and divides the inside of a case(100) into a first chamber(450) of the lower part and a second chamber(460) of the upper part. The first path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lateral side of the guide and connects a connection passage and the first chamber. The sleeve offered to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and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to form a third chamber(610) on the top. The piston passage vertically passes through the piston and the sleeve and connects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third chamber. The second passage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sleeve and connects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Description

릴리프밸브 {Relief valve}Relief valve

본 발명은 릴리프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ief valve.

일반적으로 릴리프밸브는 유압회로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선회모터 또는 주행모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relief valve is used to control the pressure in the hydraulic circuit not to rise above the set pressure, and is used in a turning motor or a traveling motor of a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an excavator.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릴리프밸브에서는 유입구의 압력이 릴리프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서지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서지압력은 유압회로에 충격을 주게 되어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하거나, 선회모터 및 주행모터의 조작성을 떨어드리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In general, such a relief valve generates a surge pressure before the inlet pressure reaches the relief pressure. Such a surge pressure impacts the hydraulic circuit and degrades durability, or operates the swing motor and the driving motor. It causes dropping problems.

따라서, 서지압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릴리프밸브의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1962호에는 이와 같은 릴리프밸브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 continuous development of a relief valve having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urge pressure,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41962 such a relief valve is disclosed.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1962호에 개시된 릴리프밸브의 피스톤에는 제1슬라이딩부의 후방으로 후방 작용면과 전방 작용면이 구비되어 있다. 후방 작용면이 마주하고 있는 제1액체 챔버와 제3액체챔버는 피스톤 내 에서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전방 작용면이 마주보고 있는 제2액체 챔버와 제3액체 챔버는 피스톤 내에서 서로 연통된다. 제3액체 챔버와 제1액체 챔버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로, 또는 제3액체 챔버와 제1액체 챔버를 서로 연통시키는 통로에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다.Looking briefly, the piston of the relief valve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41962 is provided with a rear working surface and a front working surface to the rear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The first liquid chamber and the third liquid chamber facing the rear working surf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piston. Then, the second liquid chamber and the third liquid chamber facing the front working surf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piston. A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passage communicating the third liquid chamber and the first liquid chamber with each other, or the passage communicating the third liquid chamber and the first liquid chamber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의 강도를 불충분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유효압력 수용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피스톤은 유입구의 압력이 릴리프 압력에 다다를 때까지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지압력의 발생이 방지된다.Such a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effective pressure receiving area without making the piston rigidly insufficient. Thus, the piston can carry out a stroke until the pressure at the inlet reaches the relief pressure, and the generation of the surge pressure is prevent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피스톤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은 연결되는 2개의 통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제조상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two passages connected to each oth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relatively difficult in manufacturing.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과 슬리브에 의해 조절플러그의 내측에 제1챔버와 제2챔버 및 제3챔버를 형성하고, 제1챔버와 피스톤 내측이 연통되는 제1통로와, 제2챔버와 제3챔버가 연통되는 제2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측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하는 릴리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irst chamber, a second chamber and a third chamber inside the adjustment plug by a piston and a sleeve, and a first passage in which the first chamber and the piston in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the first chamber. By providing a second passage through which the three chambers communic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lief valve that can effectively buffer the pressure even when the pressure on the inlet side rises rapid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플런저에 의해 오일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플런저의 관통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에 압력에 따라 스프링을 압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을 하부의 제1챔버와 상부의 제2챔버로 구획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서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관통유로와 상기 제1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1통로; 상기 피스톤의 상방에 제공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를 구획하여 상방에 제3챔버를 형성하는 슬리브; 상기 피스폰톤과 슬리브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기 관통유로와 상기 제3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피스톤통로; 상기 슬리브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와 제3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il is selectively communicated by the plunger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in the case, the spr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to the oil flowing through the through flow path of the plunger A relief valve for adjusting the relief pressure by compressing the pressure, comprising: a guide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ston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ase into a lower first chamber and an upper second chamber; A first passage formed dow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allow the passage passag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A sleeve which is provided above the piston to guide the shanghai movement of the piston, and partitions the inside of the case to form a third chamber upward; A piston passage penetrating the piston and the sleeve up and down and allowing the passage passage and the third chamb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assage form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sleeve and allowing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피스톤하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하부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피스톤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ist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he piston lower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and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he upper piston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iston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플런저의 상단은 상기 피스톤하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s inserted into the lower piston.

또한, 상기 슬리브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3챔버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is further form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third chamber can be formed recessed downward.

또한, 상기 슬리브의 양단은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에 단차진 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leeve are configured to protrude and be seated in a stepped portion inside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조절플러그가 상방에서 삽입되며, 상기 조절플러그의 내측에는, 상기 플런저의 상부와, 내측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방에 안착되는 슬리브가 수용되어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 및 제3챔버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is an adjustment plug is inserted from above, the inner side of the control plug,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the piston to move up and down in the inner side, and the sleev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is accommodated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pace of the first chamber,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또한, 상기 릴리프밸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릴리프밸브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플러그가 더 구비된다.The relief valve may further include a plug that presses and fixes an upper surface of the sleeve and shields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relief valve.

또한, 상기 조절플러그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런저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플러그의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plug is screwed to the case is configured to contact with the spring supporting the plu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gree of the adjustment plug.

또한, 상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상방에는 상기 스프링과 접하는 스프링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스프링시트는 상기 조절플러그 및 피스톤과 접하 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bove th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is provided with a spring sheet in contact with the spring, the spring shee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ontrol plug and the piston.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밸브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제2챔버 및 제3챔버 그리고, 제1통로와 제2통로에 의해 유입구측의 압력 상승시 상기 피스톤의 이동으로, 상기 유입구측의 압력 상승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여 릴리프압력의 도달 직전 발생되는 서지압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inlet chamber formed by the piston,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passage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when the pressure rises on the inlet side, the inlet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surge pressure generated just before reaching the relief pressure by mitigating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pressure rises.

따라서, 유압시스템에 과부하에 의한 충경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유압기기의 조작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hydraulic equipment by preventing the impact of overload in the hydraulic system.

그리고, 슬리브에 제3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되도, 제3챔버와 제2채버를 관통하는 제2통로를 형성하는 등 전체적인 유로의 제작을 위한 가공이 용이해 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epression for forming the third chamber is formed in the sleeve,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processing for the production of the entire flow path, such as forming a second passage through the third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또한, 상기 피스톤이 수용되는 조절플러그가 케이스에 나사결합되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접하여 상기 조절플러그의 삽입 정도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plug for receiving the piston is screwed to the case, in contact with the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plunger to adjust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degree of the control plug.

따라서, 하나의 릴리프밸브를 사용하여 사용환경과 목적에 따라 릴리프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릴리프밸브의 장착 후에도 릴리프압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활용성 및 사용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lief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purpose by using one relief valve, and in particular, the relief pressure can be adjusted even after the relief valve is mounted, thereby greatly improving usability and ease of use.

특히,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 변화 없이도 상기 릴리프밸브의 압력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pressure of the relief valve can be adjusted without changing the stroke of the pist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inventions which are degenerate by addition, modification, or deletion of other components are easily provided. Can suggest.

도 1 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방향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종방향 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릴리프밸브(1)는 케이스(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하 관통된 관형상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구성이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elief valve 1 has an outer shape formed by the case 100. The case 100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can be fixedly mounted therein in a tubular shape penetrated up and down.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측면에는 통로(110)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110)의 하측에는 유출구(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하면에는 밸브시트(130)가 장착된다. 상기 밸브시트(130)의 중앙에는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3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32)는 아래에서 설명할 플런저(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 passage 110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case 100, and an outlet 120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passage 110. Then, the valve seat 130 is mounted on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case 100. An inlet 132 through which oil is introduc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lve seat 130, and the inlet 132 is formed to be selectively shielded by the plunger 20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플런저(200)는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플런저(200)의 하단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32)의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유입구(132)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200)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lunger 200 is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20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a part is inserted into the inlet 132 is configured to completely shield the inlet 132. The lower portion of the plunger 2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00.

또한, 상기 플런저(2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200)와 케이스(100) 사이에 스프링(2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lunger 200 is formed long and vertically,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00 is a spring (between the plunger 200 and the case 100) 21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상기 스프링(210)은 플런저(200)의 상방 이동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단은 상기 플런저(200)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플런저(200)에 의해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스프링시트(500)에 의해 지지된다.The spring 210 is to be compressed when the plunger 200 moves upwar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unger 200 and the upper end is mounted spring spring 500 to be penetrated by the plunger 200 Is supported by.

상기 스프링시트(5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조절플러그(300)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조절플러그(300)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400)의 하단과도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플러그(300) 또는 상기 피스톤(400)의 이동시 상기 스프링시트(500)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210)을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pring seat 50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plug 3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iston 400 mounted inside the control plug 300. Therefore, when the adjustment plug 300 or the piston 400 is moved, the spring seat 500 is configured to move downward to compress the spring 210.

한편, 상기 플런저(200)에는 관통통로(22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통로(220)는 상기 플런저(200)의 중앙 하단에서 상단까지 수직하게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132) 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유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상기 플런저(200) 후방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관통통로(220)의 하부에는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수축부(222)가 형성된다.Meanwhile, a through passage 220 is formed in the plunger 200. The through passage 220 vertically penetrates from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plunger 200 to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200. The oil penetrates the inlet 132 and flows through the inlet 132. You will be guided to. A contraction portion 22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passage 220 so as to narrow the inner diameter.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는 조절플러그(300)가 장착된다. 상기 조절플러그(30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피스톤(400)과 슬리브(600) 및 플러그(70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나사결합된다.The control plug 300 is mount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ase 100. The control plug 300 is for mounting the piston 400 and the sleeve 600 and the plug 7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screwed into the case 100.

상기 조절플러그(30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삽입 깊이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210)의 압축력을 조절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플러그(300)는 상기 케이스(100)와 나사결합되는 방식 외에도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른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The control plug 300 can adjust the degree of insertion into the case 100 by the rota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10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depth of the control plug 300. The control plug 300 may be other structures that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to the inside of the case 100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screwing the case 100.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와 조절플러그(300) 사이에는 오링과 백업링이 장착되어 오일이 누유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0)와 조절플러그(300)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ring and a backup r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adjustment plug 300 to seal the oil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adjustment plug 300 so that oil does not leak.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상부에는 고정너트(31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너트(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플러그(300)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플러그(300)와 상기 고정너트(310)는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너트(310)의 결합에 따라 상기 조절플러그(300)가 상기 케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nut 310 is mounted on the control plug 30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310 is formed with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plug 300. Therefore, the control plug 300 and the fixing nut 310 is configured to be screwed together, the control plug 300 is stably fixed to the case 100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fixing nut (310). Can be combined.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측에는 피스톤(400)이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대략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피스톤통로(440)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통로(440)의 하부는 상부보다 직경이 좁아지도록 수축부가 형성된다.The piston 400 is mounted inside the control plug 300. The piston 400 is mounted to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control plug 300, the piston passage 440 is vertically penetrated up and down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passage 440 has a contract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is narrower than the upper portion.

한편,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챔버(450)와 제2챔버(460)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피스톤(400)의 대략 중앙부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10)는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피 스톤(40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10)에 의해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부공간을 각각 제1챔버(450)와 제2챔버(460)로 구획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ston 400 is mounted inside the control plug 300 to form the first chamber 450 and the second chamber 460.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 guide portion 410 protruding outward along a circumference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piston 400. The guide part 41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 plug 300 to guide the shangdong of the piston 400. 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control plug 300 is divided into the first chamber 450 and the second chamber 460 by the guide part 410.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가이드부(410)를 기준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피스톤상부(420)와 하부에 해당하는 피스톤하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하부(430)는 상기 가이드부(410)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상부(420)는 상기 피스톤하부(430)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piston 400 is composed of an upper piston portion 42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piston portion 4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based on the guide portion 410. The lower piston portion 430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guide portion 410, and the upper piston portion 42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lower piston portion 430.

그리고,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측면과 상기 피스톤상부(420) 및 상기 슬리브(600)의 하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챔버(460)의 하면 면적이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측면과 상기 피스톤하부(430)가 형성하는 제1챔버(450)의 상면 면적보다 더 크게 된다.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 plug 300 and the lower surface area of the second chamber 460 formed by the piston upper portion 4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leeve 6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 plug 300 and The piston lower portion 430 is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first chamber 450 formed.

따라서, 상기 유입구(132)의 오일이 상기 관통통로(220)를 지나 상기 제1챔버(450)와 제2챔버(460)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챔버(450)와 제2챔버(460)의 작용면적의 차이에 의한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이 하방이동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il of the inlet 132 flows through the through passage 220 into the first chamber 450 and the second chamber 460, the first chamber 450 and the second chamber 460 The piston 400 can be moved downward by the pressure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orking area of the.

한편, 상기 피스톤하부(430)의 내측에는 상기 플런저(200)의 상단이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20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피스톤하부(430)에 의해 상기 플런저(200)는 안내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piston lower part 430. Therefore, when the plunger 200 moves up and down, the plunger 200 may be guided by the lower piston part 430.

그리고, 상기 피스톤하부(430) 일측벽에는 제1통로(45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통로(452)는 상기 피스톤하부(430)의 내측과 상기 제1챔버(450)가 서로 연통되 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통로(220)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상기 제1챔버(45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통로(452)의 좌측단에는 내경이 좁아지는 수축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passage 452 is formed at one side wall of the lower piston part 430. The first passage 452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side of the piston lower portion 430 and the first chamber 4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oil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passage 220 passes through the first chamber 450. Guide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The left end of the first passage 452 may be formed with a contraction portion narrowing the inner diameter.

한편, 상기 피스톤(400)의 상방에는 슬리브(600)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600)는 상기 조절플러그(700)의 단차진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조절플러그(700)의 가장 외측에 장착되는 플러그(700)에 의해 눌려져 그 위치가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eeve 600 is provided above the piston 400. The sleeve 600 is seated in the stepped inner side of the control plug 700, is pressed by the plug 700 is mounted on the outermost of the control plug 700 is fixed in position.

상기 슬리브(600)는 대략 중앙이 상하관통되어 상기 피스톤상부(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상부(420)는 상기 슬리브(600)를 관통하지는 않으며, 상기 슬리브(600)의 하방에서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된다The sleeve 600 is formed such that the piston upper portion 420 may be inserted in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leeve 600. In this case, the piston upper portion 420 does not penetrate the sleeve 600, but is mounted in a form inserted below the sleeve 600.

이때, 상기 피스톤상부(420)는 상기 피스톤(400)의 상하이동에도 상기 슬리브(600)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슬리브(600)가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piston upper portion 420 may mainta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eeve 600 even in the shangdong of the piston 400, for this purpose, the sleeve 600 is more than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It is form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상기 슬리브(600)의 상면은 소정의 면적만큼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612)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612)와 상기 플러그(700)의 하면에 의해 제3챔버(610)가 형성된다. 상기 제3챔버(610)는 상기 피스톤통로(440)와 연통되어 상기 관통통로(220)를 통해 안내되는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n upper surface of the sleeve 600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612 recess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third chamber 610 is formed by the recessed portion 6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700. . The third chamber 61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piston passage 440 so that the oil guided through the through passage 220 can be introduced.

한편, 상기 제3챔버(610)에는 하방으로 상기 슬리브(600)를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460)와 연통되는 제2통로(6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통로(620)는 상기 제3챔버(610)와 제2챔버(460)의 오일이 서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로서, 상단에 내경이 좁아지는 수축부가 형성되어 제3챔버(610)로부터 제2챔버(460)로의 오일유 입 속도를 감속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 second passage 620 is formed in the third chamber 610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hamber 460 through the sleeve 600 downward. The second passage 62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il of the third chamber 610 and the second chamber 460 pass through each other, and a contraction portion having a narrow inner diameter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o form a third chamber 610. 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oil inflow rate into the second chamber 460 from the.

상기 슬리브(600)의 하면에는 상방을 향해 함몰되는 챔버홈(630)이 형성된다. 상기 챔버홈(630)은 하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피스톤(400)의 가이드부(410)의 상면과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부면 그리고, 상기 챔버홈(630)에 의해 제2챔버(46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챔버홈(630)은 상기 슬리브(600) 하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600)의 하면이 상기 피스톤(400)의 가이드부(410)와 접촉한 상태에서도 오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600 is formed with a chamber groove 630 recessed upward. The chamber groove 630 is opened down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410 of the piston 4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 plug 300 and the second chamber 460 by the chamber groove 630. ). The chamber groove 630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sleeve 600, and a space in which oil may flow even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600 contacts the guide part 410 of the piston 400. Will form.

한편,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상방에는 플러그(700)가 장착된다. 상기 플러그(700)는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외측 둘레에 장착되는 오링(710)과 백업링(712)에 의해 상기 조절플러그(300)의 내부가 기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lug 700 is mounted above the control plug 300. The plug 700 shields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adjusting plug 300, and the inside of the adjusting plug 300 may be hermetically sealed by the O-ring 710 and the backup ring 712 mounted around the outer side. It is configured to be.

또한, 상기 플러그(700)는 장착완료시 상기 슬리브(600)의 상면 일부와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슬리브(600)를 상기 조절플러그(300) 내측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lug 700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600 when the mounting is completed,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fix the sleeve 600 inside the control plug 30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릴리프밸브의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에는 상기 릴리프밸브(1)의 피스톤이 최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200)에 의해 유입구(132)와 유출구(120)가 서로 차폐되어 있다.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iston of the relief valve 1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In this state,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are shielded from each other by the plunger 2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32)의 압력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오일은 상기 관통통로(220)를 통해 상기 플런저(200)를 지나 상기 피스톤(4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As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increases in such a state, the oil flows into the piston 400 through the plunger 200 through the through passage 220.

이때, 상기 유입되는 오일 중 일부는 상기 제1통로(452)를 통해 제1챔버(450)로 유입되고, 나머지 오일은 상기 피스톤통로(440)를 지나 제3챔버(610)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3챔버(610)에서 다시 상기 제2통로(620)를 통해서 상기 제2챔버(460)로 유입된다.In this case, some of the introduced oi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450 through the first passage 452, and the remaining oil moves through the piston passage 440 to the third chamber 610. The third chamber 610 flows back into the second chamber 460 through the second passage 62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유입구(132)측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제2챔버(460)로의 오일유입에 의해 상기 피스톤(400)은 작용압력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inlet 132 side, the piston 400 starts to move downwards under the working pressure by the oil inflow into the second chamber 460.

상기 피스톤(400)의 하방이동은 상기 피스톤(400)이 상기 스프링시트(500)를 누르게 되며, 상기 스프링시트(500)의 하방이동으로 상기 스프링(210)은 점차 압축되어 상기 유입구(132)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더라도 상기 플런저(200)가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Downward movement of the piston 400 is the piston 400 to press the spring seat 500, the spring 210 is gradually compressed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pring seat 500 is the inlet 132 of Even if the pressure increases, the plunger 20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are blocked.

상기 제1챔버(450)와 제2챔버(460)에 오일이 완전히 채워지게 되고, 그 순간에 상기 유입구(132)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피스톤(400)이 상기 스프링시트(500)를 밀어 상기 스프링(210)을 압축시키게 된다. When the oil is completely filled in the first chamber 450 and the second chamber 460, and the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inlet 132 at that moment, the state becomes as shown in FIG. 2, and the piston 400 ) Compresses the spring 210 by pushing the spring sheet 500.

상기 유입구(132)에서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상기 피스톤(400)이 스트로크의 중간지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유입구(132)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기 스프링(210)의 압축력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상기 플런저(200)가 순간적으로 상방 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가 순간적으로 개방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is continuously increased while the piston 400 passes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stroke,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is momentarily greater than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10. The plunger 200 moves upwards momentarily to open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instantaneously.

하지만,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의 개방 후 상기 유입구(132)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210)에 의해 상기 플런저(200)는 다시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400)은 지속적으로 하방으로 이동 된다.However, when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falls after opening of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the plunger 200 again opens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by the spring 210. Blocking, the piston 400 is continuously moved downward.

상기 유입구(132)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챔버(460)의 체적이 최대가 되면, 상기 피스톤(400)은 최하방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When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is continuously increased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chamber 460 is maximized, the piston 400 is moved downward to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이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플런저(20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은 상기 스프링(210)의 탄성력보다 더 커지게 되며 릴리프 압력에 도달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pressure at the inlet 132 increases further, the plunger 200 moves upward.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side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10 and reaches the relief pressure.

따라서,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이 릴리프압력에 도달하게 되기 전까지 상기 피스톤(4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210)을 압축하게 되고,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이 릴리프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21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플런저(200)를 상방으로 밀어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를 개방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piston 400 moves downward to compress the spring 210 until the pressure at the inlet 132 reaches the relief pressure, and the pressure at the inlet 132 is at a relief pressure. When it reaches, it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10 and pushes the plunger 200 upward to open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동특성 그래프이다.5 is a graph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최초에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제1챔버(450)와 제2챔버(460) 및 제3챔버(610)가 채워질 때 까지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pressure on the inlet 132 is initially increased, the inlet 132 is filled until the first chamber 450, the second chamber 460, and the third chamber 610 are filled. The pressure on the sid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im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이 더 증가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400)이 작용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챔버(450) 내부의 오일이 상기 제1통로(452)를 통해 유출되면서 상기 피스톤(40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210)을 압축하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pressure at the inlet 132 is further increased, the piston 400 moves downward by the working pressure. At this time, the oil inside the first chamber 450 flows in the first passage. As the piston 400 flows out, the piston 400 moves downward to compress the spring 210.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스트로크의 중간지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유입구(132)의 압력이 상기 스프링(210)의 압축력보다 커지게 되고, 순간적으로 상기 플런저(200)가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를 개방하면서 압력이 떨어진 후 상기 플런저(200)에 의해 상기 유입구(132)와 유출구(120)가 차폐된 이후 압력이 다시 상승하게 된다.Then, when the piston 400 passes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stroke, the pressure of the inlet 132 is greater than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10, the moment the plunger 200 is moved to the inlet 132 After the pressure drops while opening the outlet and the outlet 120, the pressure rises again after the inlet 132 and the outlet 120 are shielded by the plunger 200.

따라서, 상기 유입구(132)측의 압력의 상승속도는 최초에 비하여 다소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피스톤(400)의 급속한 이동에 의한 순간적인 압력상승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이에 따른 서지압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rising speed of the pressure on the inlet 132 side has a slightly slower slope than the first time, and thus the impact and surge pressure that may occur due to the instantaneous pressure increase due to the rapid movement of the piston 400.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방향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of a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하방이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wnward movement state of the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하방이동 완료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downward movement completion of the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동특성 그래프이다.5 is a graph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relief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케이스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플런저에 의해 오일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플런저의 관통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에 압력에 따라 스프링을 압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에 있어서,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oil ar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 plunger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in the case, and the relief valve adjusts the relief pressure by compressing the spr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oil flowing through the through flow path of the plunger. In 상기 피스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을 하부의 제1챔버와 상부의 제2챔버로 구획하는 가이드부;A guide part which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ston and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into a lower first chamber and an upper second chamber;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서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관통유로와 상기 제1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1통로;A first passage formed dow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allow the passage passag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상기 피스톤의 상방에 제공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를 구획하여 상방에 제3챔버를 형성하는 슬리브;A sleeve which is provided above the piston to guide the shanghai movement of the piston, and partitions the inside of the case to form a third chamber upward; 상기 피스폰톤과 슬리브를 상하로 관통하며, 상기 관통유로와 상기 제3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피스톤통로;A piston passage penetrating the piston and the sleeve up and down and allowing the passage passage and the third chamb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슬리브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와 제3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릴리프밸브.And a second passag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sleeve and allowing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스톤은,The piston is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피스톤하부와,A lower part of the pist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ar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e part;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하부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피스톤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릴리프밸브.A relief val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comprising a piston upper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iston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런저의 상단은 상기 피스톤하부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iston gu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리브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3챔버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is further recessed to form a depression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third chamber can b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리브의 양단은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에 단차진 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 is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of the sleeve protrudes to be seated in the stepped portion inside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조절플러그가 상방에서 삽입되며,The control plug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e, 상기 조절플러그의 내측에는,Inside the control plug, 상기 플런저의 상부와, 내측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방에 안착되는 슬리브가 수용되어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 및 제3챔버의 공간 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밸브.A relief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the piston which is moved up and down in the inner side, and a sleeve seated above the piston are provided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first chamber,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릴리프밸브에는 상기 슬리브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릴리프밸브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플러그가 더 구비되는 릴리프밸브.The relief valve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to be fixed, the relief valve further comprises a plug for shield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elief val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플러그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조절플러그의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압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릴리프밸브.The control plug is screwed to the case and the relief valve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gree of the control plu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의 상방에는 상기 스프링과 접하는 스프링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스프링시트는 상기 조절플러그 및 피스톤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릴리프밸브.A spring seat is provided above the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the spring seat is in contact with the spring, the spring sea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ontrol plug and the piston.
KR1020080119705A 2008-11-28 2008-11-28 Relief valve KR101063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705A KR101063022B1 (en) 2008-11-28 2008-11-28 Relief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705A KR101063022B1 (en) 2008-11-28 2008-11-28 Relief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904A true KR20100060904A (en) 2010-06-07
KR101063022B1 KR101063022B1 (en) 2011-09-07

Family

ID=4236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705A KR101063022B1 (en) 2008-11-28 2008-11-28 Relief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0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7764A (en) * 2014-03-03 2014-06-18 青岛力克川液压机械有限公司 Overflow valve for excavator walking motor
CN109944971A (en) * 2019-04-16 2019-06-28 余姚市三顺净水科技有限公司 From the anti-blocking waste water ratio of flus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659B1 (en) 2022-03-10 2024-03-29 (주)아엠비하이드로릭스 Device for Conjoining Lock nu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435B1 (en) 1998-06-12 1999-06-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Relief valve
JP2006194334A (en) 2005-01-13 2006-07-27 Nachi Fujikoshi Corp Relief val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7764A (en) * 2014-03-03 2014-06-18 青岛力克川液压机械有限公司 Overflow valve for excavator walking motor
CN103867764B (en) * 2014-03-03 2016-03-30 青岛力克川液压机械有限公司 A kind of digger travel motor relief valve
CN109944971A (en) * 2019-04-16 2019-06-28 余姚市三顺净水科技有限公司 From the anti-blocking waste water ratio of flushing
CN109944971B (en) * 2019-04-16 2024-04-23 余姚市三顺净水科技有限公司 Self-flushing anti-blocking waste water rat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022B1 (en)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868B1 (en) Continuous damping control shock absorber of dual solenoid valve structure
CN107792234B (en) Adjustable bicycle saddle tube structure and bicycle thereof
KR20120092012A (en) Adjustable damping valve for vibration damper
RU2006121127A (en) SHOCK ABSORBER ASSEMBLY
CN110905576B (en) Hydraulic support magneto-rheological pilot operated safety valve based on magnetic control material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063022B1 (en) Relief valve
KR101351590B1 (en) Frequency unit valve
TWI385094B (en) Adjustable bicycle seat tube oil circuit structure
KR101082821B1 (en) Hydrauic control valve
KR101285288B1 (en) Hydraulic breaker with low noise and vibration structure
CN109307034B (en) Shock absorber for vehicle
KR200475572Y1 (en) Back pressure discharge passage sealing structure of pressure reducing valve
KR20120079559A (en) A joistic pilotvalve
KR20100042906A (en) Relief valve
CN104196817A (en) Oil-gas two-medium damping hydraulic cylinder
JPH09131671A (en) Hydraulic breaker
KR100633692B1 (en) Relief valve and shock absorber of use it
JP4820322B2 (en) Relief valve
KR102622536B1 (en) A direct-operated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high-precision pressure and large-flow fluids
CN110953386A (en) Novel hydraulic support safety valve and application thereof
JP4491371B2 (en) Shock absorber
KR101621218B1 (en) Hydraulic breaker
KR102088317B1 (en) Shock absorber for breech mechanism
KR100509152B1 (en) Water hammer arrester
KR101806781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