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744A -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744A
KR20100060744A KR1020080119474A KR20080119474A KR20100060744A KR 20100060744 A KR20100060744 A KR 20100060744A KR 1020080119474 A KR1020080119474 A KR 1020080119474A KR 20080119474 A KR20080119474 A KR 20080119474A KR 20100060744 A KR20100060744 A KR 2010006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nnection member
vertical
connecting memb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598B1 (ko
Inventor
김진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드
Priority to KR102008011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5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특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는, 평판형상의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하지지부재(20); 일단이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상부말단에서 회동(pivot)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연결부재(30);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 일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3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연결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재는, 길이가 변하는 완충부재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에의해 높이가 조절된 후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을 만큼 외력에 대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이며,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는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연동되어 부채꼴운동함으로써, 가변하는 수직연결부재의 길이를 보상함으로써 서로 원할히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무게가 무거운 특수용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적은힘으로 높이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높이조절후에 별도의 고정력을 위한 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 는 수직조절부재로서, 쇼크업소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하부 및 상부로 이동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 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로서 상하지지부재, 수평연결부재 및 수직연결부재의 동작 궤적 및 이에 ㅇ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가 변화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의 과정을 실제품에서 하나의 도면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지지부재(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는 무게가 무거운 특수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후에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의 사용의 증가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더 큰 화면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 및 그에 상응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더욱 섬세한 해상도를 필요로 하는 특수용도의 모티터, 예를 들면 병원의 진단 특히 영상의학과의 MRI, CT 촬영등에서 사용하는 모니터, 군사용 모니터, 항공관제용 모니터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은 해상도를 실현하기위한 추가장치등으로 인해 그 장비의 대형화와 그 무게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렇게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을 달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무거운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제공하여야 하고, 또한 조정후에 그 높이를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위해 또한 많은 힘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설령 이러한 구조를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추가적인 장비에 의해 제조단가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자인을 해치는등 부정적인 효과를 수반하기 마련이다.
즉, 현재 제조단가의 증가 및 디자인의 훼손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특수모니터등의 대형모니터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에 대한 업계의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조단가의 증가 및 디자인의 훼손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특수모니터등의 대형모니터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하지지부재(20); 일단이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상부말단에서 회동(pivot)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연결부재(30);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 일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3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연결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재는, 길이가 변하는 완충부재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에의해 높이가 조절된 후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을 만큼 외력에 대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이며,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는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연동되어 부채꼴운동함으로써, 가변하는 수직연결부재의 길이를 보상함으로써 서로 원할히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조절부재는 쇼크 업소버(shock alsorb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가 연결된 지점은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을 이룰 때 상기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인 상태로 상기 베이스와 만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지지부재(610)는 상기 상하지지부재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 가 상기 수직연결부재(50)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과 동일한 수평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지지부재(630)는 하부로 갈수록 두 개의 다리부(631,632)로 나누어지며, 상기 수직연결부재(50)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은 상기 다리부(631,632)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1, s2)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2b 는 수직조절부재로서, 쇼크업소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 및 3b 는 도 1의 높이조절장치가 각각 하부 및 상부로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100)는 베이스(10), 상하지지부재(20), 수평연결부재(30),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 및 수직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평판형상의 부재로서, 상하지지부재(20)를 지지한다.
상하지지부재(2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상하지지부재(20)는 수평연결부재(30),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다. 베이스와 상하지지부재가 연결된 지점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수평연결부재(30)는 일단이 상기 상하지지부재(20)의 상부말단에서 회동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에 회동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수평연결부재(30)는 상하지지부재(20)와 디스플레이연결부재(40)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동가능한 형태(pivotable)란 중심축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가 미리정해진 한계점내의 각도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에서, 수평연결부재(30)의 일 말단은 제1중심축(32)을 통해 상하지지부재(20)의 상부말단과 연결되고, 수평연결부재(30)의 다른 일 말단은 제2중심축(34)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의 일말단과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배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30)의 타단, 즉 상기 수평연결부재(30)가 상기 상하지지부재(20)에 연결된 말단의 반대측 말단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의 말단에는 제2중심축(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중심축(34)을 통해 수평연결부재(30)와 연결되어 있다.
수직연결부재(50)는 외력이 가해질 때 완충력을 발생시키며 길이가 변하는 막대형상의 완충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3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 즉 제3중심축(12)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외력에 의해서만 가동되어 길이가 변한다는 의미는 상기 막대형상의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외력만큼만 이동하고 그 상태에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직연결부재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이다. 쇼크 업소버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a 및 2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수평연결부재(30)와 수직연결부재(50)가 회동가능한 상태로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수평연결부재(30)는 상하지지부재(20)의 상부말단을 중심축으로하여 부채꼴운동(회동)하며, 수직연결부재(50)는 베이스(10)의 제3중심축(12)을 중심으로 부채꼴운동(회동)한다. 이때 각 부채꼴운동은 서로 연동되어 있다.
또한 수평연결부재(30)의 회동운동의 방향과 수직연결부재의 회동운동의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후술할 도 4a 내지 4d 참조). 즉 수평연결부재는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아래위로 회동하며, 수직연결부재는 수직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한다. 이때 수직연결부재와 수평연결부재는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할때의 운동은 일정하다. 이러한 상호 수직한 위치에서의 회동운동을 통해 T자형으로 연결된 수평연결부재(30)와 수직연결부재(50)의 길이관계는 서로 보상되어 원할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2a 및 2b는 수직조절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직조절부재로서 사용되는 쇼크업소버는 외력에 의해 입력된 힘을 흡수하고 흡수한 힘은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한다. 즉 외력에 의한 위치이동(스트로 크)에 대해 저항을 발생시켜 운동에너지를 열로 변환시켜 외력에 대해 완충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외력은 사용자의 힘 및 중력이다. 사용자 힘은 상향 및 하향으로 경우에 따라 존재하며, 중력은 하향으로 항상 존재한다. 즉 중력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상향으로 이동시킬때는 사용자의 힘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고, 하향으로 이동시킬때는 사용자의 힘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올릴때보다 내릴때 적은 힘을 들이게 된다).
또한 수직연결부재가 제공하는 완충력에 의해 상향조정 및 하향조정후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는 높이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고정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적용시키기위한 수직조절부재는 하향으로의 중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 즉 하향으로의 중력을 완충할수 있는 정도의 수직조절부재이다. 즉 수직조절부재의 사양(완충력의 크기)은 높이조절장치가 지지해야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중력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에 의존한다. 본 출원인의 수회에 걸친 실험결과, 일반적으로 특수형모니터의 경우 무게가 5kg에서 20kg 이고, 이 경우 필요한 완충력은 최대 200N 정도이다. 즉 최대 200N 정도의 완충부재의 사용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향조정 혹은 하향조정후에 조정후 위치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크업소버는 2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한가지는 도 2a 의 복통식 쇼크업소버이며, 다른 하나는 도 2b의 단통식 쇼크업소버이다.
도 2a 의 복통식 쇼크업소버는 업소버본체인 통이 외통(52)과 내통(53)의 이중구조로 되어있다. 피스톤라드(51)의 진입시 유체(55)가 내통의 하부에 설치된 베 이스밸브(56)을 왕복하며 외통(52)과 내통(53)의 틈새로 이동한다. 이 때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외력의 에너지는 열로변환되고 완충작용이 달성된다. 주로 오일 쇼크업소버로 불린다.
도 2b의 단통식 쇼크업소버는 업소버본체인 통이 단순한 홑겹구조로 되어 있으며, 통(63)의 내부는 제1유체(오일)가 채워진 오일실(64)과 제2유체(가스)가 채워진 가스실(66)로 양분되고, 그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프리피스톤(65)의 구조를 가진다. 피스톤라드(61)의 진입시에, 오일은 프리피스톤(65)을 내리눌러 오일실(64) 및 가스실(66)의 내압을 증가시키며 마찰에 의한 열을 발생시킨다. 주로 고압 가스 쇼크 업소버로 불린다.
복통식 쇼크업소버는 단통식에 비해 업소버 본체의 전체 길이를 짧게 만들 수 있어서 소형화가 가능하며,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이 2개소로 나뉘기 때문에 밸브기구를 단순화가능하다는 단접이 있다.
단통식 쇼크 업소버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복통식과 같은 지름의 통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의 두께를 늘리는 즉 피스톤 라드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가스압이 항상 걸려있기 때문에 감쇠력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반면, 가스를 완정하게 봉인할 필요가 있는 프리피스톤등의 정밀도가 높은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하부 및 상부로 이동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잡고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중심축(34)을 중심으로 수평연결부재(30)는 왼쪽이 하강한다. 왼쪽이 하강할 때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는 회동가능한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의 앞면은 여전히 사용자에게 편평한 상태가 유지된다. 수평연결부재(30)의 하강시에, 수평연결부재(30)의 상하지지부재(20)에 연결된 측의 일단은 제1중심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수평연결부재(30)의 중앙부에 연결된 수직연결부재(50)는 그 길이가 수축되면서 제3중심축(12)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회동한다. 수직연결부재(50)가 회동하여야 하는 이유는 수평연결부재의 회동 -> 수직연결부재의 길이의 축소는 수직연결부재의 회동 축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4d에서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b에서 이번에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잡고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중심축(34)을 중심으로 수평연결부재(30)는 왼쪽이 상승한다. 하강시와 마찬가지로, 왼쪽이 상승할 때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는 회동가능한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의 앞면은 여전히 사용자에게 편평한 상태가 유지된다. 수평연결부재(30)의 상승시에, 수평연결부재(30)의 상하지지부재(20)에 연결된 일단은 제1중심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수평연결부재(30)의중앙부에 연결된 수직연결부재(50)는 그 길이가 확장되면서 제3중심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수직연결부재(50)가 회동하여야 하는 이유는 수평연결부재의 회동 -> 수직연결부재의 길이의 확장은 수직연결부재의 회동 축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연결부재와 베이스가 연결된 지점은 수평연결부재와 수 직연결부재가 수직을 이룰 때 즉 수평연결부재가 수평을 이룰 때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베이스와 만나는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이되고 수평연결부재가 수평이되었을때의 상태가 디스플레이장치(1)가 상하로 변화하는 한계의 중립지점이 되어, 수평 및 수직연결부재의 운동이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디스플레이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 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로서 상하지지부재, 수평연결부재 및 수직연결부재의 동작 궤적 및 이에 ㅇ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가 변화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의 과정을 실제품에서 한도면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에서, 각 점의 의미는 다음 표와 같다.
[표 1]
p1 제1중심축(32)
p2 수직연결부재(50)의 상부말단과 수평연결부재(30)가 연결된 지점. 즉 수평연결부재의 중앙부중 하나의 지점.
p3 제2중심축(34)
p4 수직연결부재(50)의 하부말단과 베이스(10)가 연결된 지점
c 수평연결부재(30)의 중앙부의 운동궤적. 즉 p2의 운동궤적
x 수평연결부재(30)가 수평일 때 운동궤적 c 와 수평연결부재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 즉 중립상태일때의 p2
도 4a 는 도 1의 상태 즉 수평연결부재가 수평이고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인 중립상태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4d에서, 구조적인 연결관계에 의해, 제1중심축(32, p1)으로부터 수평연결부재(30)와 수직연결부재(50)가 만나는 지점 p2 까지의 길이 r 은 항상 일정한 상태에서 수평연결부재는 p1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수직연결부재(50)의 길이 L 은 변화한다.
도 4b 는 도 2b 의 상태 즉 수평연결부재가 상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다. 이 경우 점 p2 는 점 x로부터 이동궤적 c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었다. 수평연결부재는 회동각도 a1 만큼 상부로 회동하였다. 구조적인 관계에 의해 모니터가 상승한 높이 h1 = r * cosine(a1) 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자는 이 수학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한계점의 변화에 따른 수평연결부재의 각도변화를 예상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양에 따라 수평연결부재의 사양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이한 것은 수직연결부재의 길이가 L에서 L1 으로 확장하면서 수직연결부재(50)의 이격각도 b1 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이격각도 b1 이 발생가능하도록 베이스와 수직연결부재는 회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수평연결부재의 회동길이 r 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하면서 수직연결부재까지 함께 회동시키기 때문이다.
도 4c 는 도 2a 의 상태 즉 수평연결부재가 하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점 p2 는 점 x로부터 이동궤적 c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었다. 수평연결부재는 회동각도 a2 만큼 하부로 회동하였다. 구조적인 관계에 의해 모니터가 하강한 높이 h2 = r * cosine(a2)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직연결부재의 길이가 L에서 L2 으로 수축되면서 수직연결부재(50)의 이격각도 b2 이 발생하였다. 즉 상향시와 마찬가지로, 이격각도 b1 이 발생가능하도록 베이스와 수직연결부재는 회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도 4d 는 도 4a 내지 4c 의 상태를 하나의 도면에 나타낸 것이다. 도 4d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이한 것은 h1 = h2 일 때, 즉 상향높이와 하향높이가 동일할 때의 수직연결부재의 이격각도사이의 크기관계는 최저점일때의 이격각도 b2 가 최고점일때의 이격각도 b1 보다 크다. 이는 기하학적인 관계에 의해, 수평연결부재는 중심점 p1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가 최고점일때의 P2와 P4의 연결선분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최저점일때의 P2와 P4의 연결선분과 디스플레이장치가 중립위치일때의 P2와 P4의 연결선분이 만드는 영역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이동된 후의 상태를 실제품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a 내지 4d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실제품에 표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수평연결부재의 최대회동각도를 35도로 하였을때의 수평연결부재 및 수직연결부재의 회동 및 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변화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연결부재와 수직연결부재는 서로 수직한 상태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지지부재(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형태의 상하지지부재(610)는 상하지지부재(20)가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 가 수직연결부재(50)가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과 동일한 수평위치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단부쪽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함으로 인해 무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즉 수직연결부재에 가해지는 중력의 힘이 감소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무게에 대해 보다 적은 완충력을 가진 수직연결부재를 사용가능함으로써 제조단가가 감소된다.
제2형태의 상하지지부재(620)는 상하지지부재(20)가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 가 수직연결부재(50)가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과 동일한 수평위치에 존재하지 않고 제2중심축 p1 으로부터 수직하강한 위치에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단부쪽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는 대부분 수직연결부재가 담당하게 되며, 따라서 수직연결부재의 완충력이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하지지부재(20)가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으므로, 높이조절장치의 구조적인 지지점을 제공하는 상하지지부재가 보다 구조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직연결부재의 조립등 제조가 용이하다.
제3형태의 상하지지부재(630)는 상하지지부재(20)가 하부로 갈수록 두개의 다리(bridge)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다리부(631,632)가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1, s2 의 사이에 수직연결부재(50)가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이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다리부(631)와 베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조절장치전체에 구조적인 지지점을 제공하는 다리부(632)를 분리함으로써, 높이조절장치의 전단부쪽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적절히 지지하여 수직연결부재가 감당해야하는 중력을 감소시키면서도, 상하지지부재의 구조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 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T자형으로 연결되고 서로 수직인 위치관계에서 서로 연동되어 회동(부채꼴운동)하는 수평연결부재와 수직연결부재의 구조 및 외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며 길이가 변하는 수직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하중이 큰 특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무게가 무거운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적은힘으로 높이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높이조절후 조절후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상하지지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무게중심과 높이조절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을 위한 무게중심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베이스(10);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하지지부재(20);
    일단이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상부말단에서 회동(pivot)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연결부재(30);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연결부재(40);
    일단이 상기 수평연결부재(3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연결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부재는, 길이가 변하는 완충부재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에의해 높이가 조절된 후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을 만큼 외력에 대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이며,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는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연동되어 부채꼴운동함으로써, 가변하는 수직연결부재의 길이를 보상함으로써 서로 원할히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조절부재는 쇼크 업소버(shock alsorber)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베이스가 연결된 지점은 상기 수평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을 이룰 때 상기 수직연결부재가 수직인 상태로 상기 베이스와 만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재(610)는 상기 상하지지부재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 가 상기 수직연결부재(50)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과 동일한 수평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조절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재(630)는 하부로 갈수록 두 개의 다리부(631,632)로 나누어지며, 상기 수직연결부재(50)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p4 은 상기 다리부(631,632)가 상기 베이스(10)와 만나는 지점 (s1, s2)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0080119474A 2008-11-28 2008-11-28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KR10096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74A KR100969598B1 (ko) 2008-11-28 2008-11-28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74A KR100969598B1 (ko) 2008-11-28 2008-11-28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44A true KR20100060744A (ko) 2010-06-07
KR100969598B1 KR100969598B1 (ko) 2010-07-15

Family

ID=4236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474A KR100969598B1 (ko) 2008-11-28 2008-11-28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046A (ko) 2018-11-29 2020-06-26 (주)중한문산 자동차 운행 시 후행 차량에 차선변경 정보표시 및 감사 메시지 표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762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Pdp-tv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100630969B1 (ko) * 2002-08-2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397004B1 (ko) * 2007-09-2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046A (ko) 2018-11-29 2020-06-26 (주)중한문산 자동차 운행 시 후행 차량에 차선변경 정보표시 및 감사 메시지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598B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54170B (zh) 一种基于并联机构的多维减振平台
US9591919B2 (en)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US9572422B2 (en)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US6568030B1 (en) Caster
CN104214484B (zh) 一种六自由度并联机构减振平台
CN103035161B (zh) 一种两自由度静载平衡并联运动模拟平台
CN107975158A (zh) 一种多维减震隔震装置
JP2014507613A5 (ko)
US9304324B2 (en) Invertible vertical axis shock and vibration isolator for a camera
CN210423559U (zh) 一种负刚度可调准零刚度隔振装置
CN102729284B (zh) 带有减振装置的旋转切割设备
CN111609284A (zh) 支撑装置和电子设备
CN108779892A (zh) 云台的减震器、云台组件、及可移动拍摄设备
KR100969598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조절장치
CN204005085U (zh) 一种六自由度并联机构减振平台
CN101670977B (zh) 支腿间隙调整装置
CN101270772A (zh) 利用反平行四边形的空间伸缩机构
CN103423263A (zh) 双作用液压缸锁
JP3194527U (ja) マネキン人形用スタンド
JP6283193B2 (ja) 荷重支持機構
JP2014095620A (ja) 振動試験装置
JP2014095621A (ja) 振動試験装置
CN106390382B (zh) 康复训练机器人的起立装置及具有其的康复训练机器人
KR20170054159A (ko) 다양한 하중의 상지 재활 보조 장치와 결합이 가능한 어깨 관절 추종 및 중력 보상 장치
CN107928144A (zh) 间距可调的一体式课桌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