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605A -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 Google Patents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605A
KR20100060605A KR1020080119261A KR20080119261A KR20100060605A KR 20100060605 A KR20100060605 A KR 20100060605A KR 1020080119261 A KR1020080119261 A KR 1020080119261A KR 20080119261 A KR20080119261 A KR 20080119261A KR 20100060605 A KR20100060605 A KR 2010006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ion
optical
repeat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992B1 (ko
Inventor
허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9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서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확장하는 경우에 통신 환경에 상응하게 다양하게 RF 신호를 링크 접속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용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함으로써 한 가지 방식의 광확장장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링크 접속케 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케 하므로, 확장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서 경제성있게 RF 신호를 중계하게 된다.
이동통신, RF신호, 중계, RF중계기

Description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Optic Extension Equipment for RF Relay}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중계하는 광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확장하는 경우에 통신 환경에 상응하게 다양하게 RF 신호를 링크 접속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용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함으로써 경제성있게 RF 신호를 중계하도록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에서는 RF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양호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단말에 대해 RF신호의 수신 감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에 대하여 RF 신호의 감도를 양호하게 유지케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RF 신호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전파 음영지역에 RF 중계기를 설치하고, 기지국과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통신 영역을 확장하되, 기지국으로 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RF 중계기에 전달함과 아울러 RF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기지국에 전달하여서 RF 중계기로 하여금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한 이동단말에 대한 RF 신호를 중계토록 하고 있다.
이동통신에서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통신 영역을 확장하는 경우에 통신 환경에 따라 RF 신호를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 링크를 통해 RF 중계기에 중계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RF 신호를 중계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통신 영역을 확장하는 경우에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 링크 중의 한가지 방식으로 전달하는 확장장치를 이용하여 링크 접속하였기 때문에 통신 환경에 따라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 링크에 의해 링크 접속하기 위한 여러 방식의 다양한 확장장치를 개별 설치해야 하므로, 여러 방식의 확장장치를 설치 및 유지보수해야 함으로 인하여 확장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통신 영역을 확장하는 경우에 예를들어 2G(2세대) 및 3G(세대) 이동통신 RF 신호와 같이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RF 신호를 동시에 링크 접속하여 확장하지 못하고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RF 신호를 개별로 링크 접속하여 확장함에 기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확장장치를 설치 및 유지보수해야 하므로, 확장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확장하는 경우에 통신 환경에 상응하게 다양하게 RF 신호를 링크 접속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용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함으로써 경제성있게 RF 신호를 중계하도록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RF중계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RF신호를 중계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RF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RF중계기에 대해 RF 링크, RF케이블 또는 광케이블을 통해 이동통신의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를 함께 중계하는 도우너 장비와;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도우너 장비에 연결됨과 아울러 RF케이블을 통해 상기 RF중계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도우너 장비와 상기 RF중계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상기 RF신호를 중계하는 리모트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우너 장비는, 상기 기지국과 RF 링크로 연결되어서, 상기 기지국과 RF중계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상기 RF신호를 RF 링크 또는 RF 케이블을 통해 중계하는 RF모듈과;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RF링크로 연결되어서,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모트 장비에 대해 상기 RF신호를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RF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를 다중화하는 제1 다중화/역다중화부와; 상기 제1 다중화/역다중화부와 제2 다중화/역다중화부 사이에 송수신되는 N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는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제1 다중화/역다중화부와 제2 다중화/역다중화 사이에 송수신되는 N-1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는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N세대 RF 신호와 상기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N-1세대 RF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로 분리하여서 N세대 RF신호는 상기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에 전송함과 아울러 N-1세대 RF신호는 상기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상기 제2 다중화/역다중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모듈은, 상기 RF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에서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분리하여 제1 송신신호처리부에 전달함과 아울러 제1 수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를 함께 상기 RF모듈에 전달하는 제1 신호전달부와; 상기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결합하여서 이득 조절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1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에 출력하는 상기 제1 송신신호처리 부와; 상기 제1 WDM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이득 조절한 후 상기 제1 신호전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1 수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 송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모트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장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수신해서 상기 제1 수신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1 WD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모트 장비는, 상기 RF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에서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분리하여 제2 수신신호처리부에 전달함과 아울러 제2 송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를 함께 상기 RF중계기에 전달하는 제2 신호전달부와; 상기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결합하여서 이득 조절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2 WDM에 출력하는 상기 제2 수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 WDM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이득 조절한 후 상기 제2 신호전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2 송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 수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도우너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도우너 장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수신해서 상기 제2 송신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2 WD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확장하는 경우에 통신 환경에 상응하게 다양하게 RF 신호를 링크 접속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용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함으로써 한 가지 방식의 광확장장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링크 접속케 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케 하므로, 확장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서 경제성있게 RF 신호를 중계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우너 장비(10)와 리모트 장비(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우너 장비(10)는 RF 모듈(20)과 광모듈(30)을 구비하는데, RF 모듈(20)은 기지국과 RF 링크로 연결되어서,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에 대해 RF 링크 또는 RF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중계하거나, 광모듈(30)에 연결되는 광 링크를 통해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에 대해 신호를 중계한다.
이와 같이 도우너 장비(10)는 RF 링크로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하여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 링크에 의해 링크 접속함으로써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링크 접속에 의해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에 전달함과 아울러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링크 접속에 의해 기지국에 전달함으로써,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한 RF 중계기에 대하여 양호한 RF 감도를 유지케 하여서 전파 음영 상태를 해소한다.
즉, 도우너 장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환경에 따라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 링크 등의 다양한 링크 접속을 통해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연결할 수 있다. 도우너 장비(10)는 안테나(ANT1)를 통해 기지국과 링크되어서, 기지국과 RF 중계기 간의 송수신 신호를 중계하되,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60a)를 RF 링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안테나(ANT2)를 통해 RF 중계기(60a)에 구비된 서비스 안테나(ANT3)와 무선 통신을 하여 연결하고, RF 중계기(60a)를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경우에는 직접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a)를 연결할 수 있으며, RF 중계기(60b)를 광 링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리모트 장비(40)와 광케이블로 연결함과 아울러 해당 리모트 장비(40)와 RF 중계기(60b)를 RF 케이블로 연결한다.
도우너 장비(10)의 RF 모듈(20)은 안테나(ANT1)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도우너 장비(10)에 RF 링크를 통해 RF 중계기(60a)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우너 장비(10)의 RF 모듈(20)이 서비스 안테나(ANT2)를 통해 RF 중계기(60a)의 서비스 안테나(ANT3)와 무선 연결됨으로써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60a)에 대한 신호 중계를 수행하고, 도우너 장비(10)에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a)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우너 장비(10)의 RF 모듈(20)이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a)와 연결됨으로써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60a)에 대한 신호 중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우너 장비(10)에 광 링크를 통해 RF 중계기(60b)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와 연결함과 아울러 해당 리모트 장비(40)와 RF 중계기(60b)를 RF 케이블로 연결히는데, 광모듈(30)이 RF모듈(20)을 통해 수신한 전기적인 RF 신호를 광(light) 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에 전송함과 아울러 리모트 장비(40)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20)에 전송하며, 리모트 장비(40)는 도우너 장비(10)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b)에 전송함과 아울러 RF 중계기(60b)로부터 RF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도우너 장비(10)의 광모듈(30)에 전송한다.
그리고, 도우너 장비(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 RF 중계기 사이에서 RF 신호를 중계하는 경우에 다른 N세대 및 N-1세대의 이동통신 RF 신호를 동시에 중계한다(예를들어, N세대가 3G(3세대) 이면 N-1세대는 2G(2세대)에 해당하고, N세대가 4G(4세대)이면 N-1세대는 3G(3세대)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도우너 장비(10)에 구비되는 RF 모듈(20)과 광모듈(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RF 신호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에 송수신하는 경우에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RF신호를 함께 송수신 처리한다.
한편, 도우너 장비(10)에 구비되는 RF 모듈(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화/역다중화부(21),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23),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25) 및 다중화/역다중화부(27)를 포함한다.
다중화/역다중화부(21)는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ANT1)를 통해 다중화된 RF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수신 RF신호를 역다중화하여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로 분 리하여서 N세대 RF신호는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23)에 전송함과 아울러 N-1세대 RF신호는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25)에 전송하며,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23)로부터 N세대 RF신호를 수신받고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25)로부터 N-1세대 RF신호를 수신받으면 해당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를 다중화하여 안테나(ANT1)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한다.
그리고,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23)는 다중화/역다중화부(21)로부터 수신한 N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여 다중화/역다중화부(27)에 송신하고, 다중화/역다중화부(27)로부터 수신한 N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여 다중화/역다중화부(21)에 송신한다.
또한,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25)는 다중화/역다중화부(21)로부터 수신한 N-1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여 다중화/역다중화부(27)에 송신하고, 다중화/역다중화부(27)로부터 수신한 N-1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여 다중화/역다중화부(21)에 송신한다.
그리고, 다중화/역다중화부(27)는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23)로부터 수신되는 N세대 RF 신호와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25)로부터 수신되는 N-1세대 RF신호를 다중화하여 상술한 서비스 안테나(ANT2), RF 케이블 또는 광모듈(30)에 전송하고, 상술한 서비스 안테나(ANT2), RF 케이블 또는 광모듈(30)로부터 다중화된 RF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수신 RF신호를 역다중화하여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로 분리 하여서 N세대 RF신호는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23)에 전송함과 아울러 N-1세대 RF신호는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25)에 전송한다.
한편, 도우너 장비(10)에 구비되는 광모듈(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전달부(31), 송신신호처리부(33), 수신신호처리부(35) 및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37)을 포함한다.
신호전달부(31)는 RF모듈(20)의 다중화/역다중화부(27)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에서 리모트 장비(40)로의 송신을 위한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분리하여 송신신호처리부(33)에 전달함과 아울러 수신신호처리부(35)로부터 입력되는 리모트 장비(40)로부터 수신된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를 함께 RF모듈(20)의 다중화/역다중화부(27)에 전달한다.
그리고, 송신신호처리부(33)는 신호전달부(31)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결합하여서 이득 조절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WDM(37)에 출력한다.
또한, WDM(37)은 광케이블에 구비되는 광섬유의 채널을 빛의 파장에 의해 다수의 채널로 분할하여 복수의 통신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송신신호처리부(33)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고, 리모트 장비(40)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수신하여서 수신신호처리부(35)에 출력한다.
그리고, 수신신호처리부(35)는 WDM(37)을 통해 입력되는 리모트 장비(40)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이득 조절한 후 신호전달부(31)에 출력한다.
한편, 도우너 장비(10)의 광모듈(30)과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서 광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트 장비(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WDM(41), 수신신호처리부(43), 송신신호처리부(45) 및 신호전달부(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호전달부(47)는 RF중계기로부터 RF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에서 도우너 장비(10)의 광모듈(30)로의 송신을 위한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분리하여 수신신호처리부(43)에 전달함과 아울러 송신신호처리부(45)로부터 입력되는 도우너 장비(40)의 광모듈(30)로부터 수신된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를 함께 RF중계기에 전달한다.
그리고, 수신신호처리부(43)는 신호전달부(47)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결합하여서 이득 조절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WDM(41)에 출력한다.
또한, WDM(41)은 광케이블에 구비되는 광섬유의 채널을 빛의 파장에 의해 다수의 채널로 분할하여 복수의 통신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되, 수신신호처리부(43)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통해 도우너 장비(10)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고, 도우너 장비(10)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케이블을 통 해 인가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수신하여서 송신신호처리부(45)에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신호처리부(45)는 WDM(41)을 통해 입력되는 도우너 장비(10)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이득 조절한 후 신호전달부(47)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환경에 따라 다양한 링크 접속에 의해 도우너 장비(10)에 RF 중계기를 연결하여 RF신호를 전파 음영지역의 RF중계기에 중계하되 N세대 RF신호 및 N-1세대 RF신호를 함께 동시에 중계할 수 있다. 도우너 장비(10)는 안테나(ANT1)를 통해 기지국과 링크되어서, 기지국과 RF 중계기 간의 송수신 신호를 중계하되, 도우너 장비(10)에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60a)를 RF 링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RF모듈(20)의 다중화/역다중화부(27)에 접속한 서비스 안테나(ANT2)를 통해 RF 중계기(60a)에 구비된 서비스 안테나(ANT3)와 무선 통신을 하여 RF신호를 중계하고, 도우너 장비(10)에 RF 중계기(60a)를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경우에는 RF모듈(20)의 다중화/역다중화부(27)에 직접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a)를 연결하여 RF신호를 중계하며, 도우너 장비(10)에 RF 중계기(60b)를 광 링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우너 장비(10)에 구비된 광모듈(30)에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를 연결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에 RF신호를 중계함과 아울러 해당 리모트 장비(40)에서 RF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b)를 연결하여 RF중계기(60b)에 RF신호를 중계한다.
도우너 장비(10)의 RF 모듈(20)은 안테나(ANT1)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도우너 장비(10)에 RF 링크를 통해 RF 중계기(60a)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우너 장비(10)의 RF 모듈(20)이 서비스 안테나(ANT2)를 통해 RF 중계기(60a)의 서비스 안테나(ANT3)와 무선 연결됨으로써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60a)에 대한 RF신호의 중계를 수행하고, 도우너 장비(10)에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a)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우너 장비(10)의 RF 모듈(20)이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a)와 연결됨으로써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60a)에 대한 RF신호의 중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우너 장비(10)에 광 링크를 통해 RF 중계기(60b)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광모듈(20)에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를 연결함과 아울러 해당 리모트 장비(40)와 RF 중계기(60b)를 RF 케이블로 연결하는데, 광모듈(30)이 RF모듈(20)을 통해 수신한 전기적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장비(40)에 전송함과 아울러 리모트 장비(40)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20)에 전송하며, 리모트 장비(40)는 도우너 장비(10)의 광모듈(30)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케이블을 통해 RF 중계기(60b)에 전송함과 아울러 RF 중계기(60b)로부터 RF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인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도우너 장비(10)의 광모듈(3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 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파 음영지역으로 RF신호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과 전파 음영지역의 RF 중계기를 링크 접속하여 확장하는 경우에 통신 환경에 상응하게 다양하게 RF 신호를 링크 접속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용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함으로써 한 가지 방식의 광확장장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링크 접속케 함과 아울러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RF 신호를 함께 링크 접속케 하므로, 확장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서 경제성있게 RF 신호를 중계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장장치를 이용한 RF 중계기 접속 방식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우너 장비에 구비되는 RF모듈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우너 장비에 구비되는 광모듈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비를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우너 장비 20; RF모듈
30; 광모듈 40; 리모트 장비
60a, 60b; RF중계기

Claims (5)

  1. 기지국과 RF중계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RF신호를 중계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RF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RF중계기에 대해 RF 링크, RF케이블 또는 광케이블을 통해 이동통신의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를 함께 중계하는 도우너 장비와;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도우너 장비에 연결됨과 아울러 RF케이블을 통해 상기 RF중계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도우너 장비와 상기 RF중계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상기 RF신호를 중계하는 리모트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너 장비는,
    상기 기지국과 RF 링크로 연결되어서, 상기 기지국과 RF중계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상기 RF신호를 RF 링크 또는 RF 케이블을 통해 중계하는 RF모듈과;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RF링크로 연결되어서,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모트 장비에 대해 상기 RF신호를 중계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를 다중화하는 제1 다중화/역다중화부와;
    상기 제1 다중화/역다중화부와 제2 다중화/역다중화부 사이에 송수신되는 N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는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제1 다중화/역다중화부와 제2 다중화/역다중화 사이에 송수신되는 N-1세대 RF신호를 이득 보정 및 필터링하여서 일정한 이득 및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처리하는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N세대 RF 신호와 상기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N-1세대 RF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RF 링크, RF 케이블 또는 광모듈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N세대 및 N-1세대 RF신호로 분리하여서 N세대 RF신호는 상기 N세대 RF신호 송수신부에 전송함과 아울러 N-1세대 RF신호는 상기 N-1세대 RF신호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상기 제2 다중화/역다중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RF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에서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분리하여 제1 송신신호처리부에 전달함과 아울러 제1 수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를 함께 상기 RF모듈에 전달하는 제1 신호전달부와;
    상기 제1 신호전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결합하여서 이득 조절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1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에 출력하는 상기 제1 송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 WDM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이득 조절한 후 상기 제1 신호전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1 수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 송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모트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장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수신해서 상기 제1 수신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1 WD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비는,
    상기 RF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다중화된 신호에서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분리하여 제2 수신신호처리부에 전달함과 아울러 제2 송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를 함께 상기 RF중계기에 전달하는 제2 신호전달부와;
    상기 제2 신호전달부로부터 입력되는 N세대 및 N-1세대 RF송신신호를 결합하여서 이득 조절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2 WDM에 출력하는 상기 제2 수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 WDM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N세대 및 N-1세대 RF수신신호로 분리하여 이득 조절한 후 상기 제2 신호전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2 송신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 수신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도우너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도우너 장비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수신해서 상기 제2 송신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상기 제2 WD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KR1020080119261A 2008-11-28 2008-11-28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KR10124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61A KR101247992B1 (ko) 2008-11-28 2008-11-28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61A KR101247992B1 (ko) 2008-11-28 2008-11-28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605A true KR20100060605A (ko) 2010-06-07
KR101247992B1 KR101247992B1 (ko) 2013-03-27

Family

ID=4236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261A KR101247992B1 (ko) 2008-11-28 2008-11-28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48A1 (ko) * 2012-11-09 2014-05-1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이동체에서의 릴레이 시스템
CN104919722A (zh) * 2012-11-09 2015-09-16 爱立信-Lg株式会社 用于移动对象的中继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90B1 (ko) 2016-12-15 2019-01-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험용 신호 중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636A (ko) * 2005-03-31 2006-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무선 광중계 장치
KR20060112268A (ko) * 2005-04-25 2006-10-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빌딩 서비스를 위한 무선 중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48A1 (ko) * 2012-11-09 2014-05-1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이동체에서의 릴레이 시스템
CN104919722A (zh) * 2012-11-09 2015-09-16 爱立信-Lg株式会社 用于移动对象的中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992B1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273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KR101954227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63239B1 (ko) 멀티 밴드를 지원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20020063644A (ko) 중간주파수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KR100866217B1 (ko)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시스템 지연 시간과 프레임길이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31619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KR1020069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라디오 주파수 장치
KR20040102947A (ko) 분리형 기지국에서 에프에이 증설이 가능한 원격 유니트
KR101247992B1 (ko) Rf 중계를 위한 광확장장치
KR20020037291A (ko) 이동 통신망에서 광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060104636A (ko) 통합 무선 광중계 장치
JP2007235738A (ja) 通信システム
KR100736118B1 (ko) 와이브로 서비스를 위한 통합 중계시스템
US20240056212A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391247B2 (en) Base sta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0289984B1 (ko) 무선통신기지국시스템에서발광다이오드를이용한소형기지국장치
KR100362778B1 (ko) 멀티 드롭 광전송 장치
KR20190071901A (ko) 전파지연시간을 보상하는 5g 광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583B1 (ko) Ftth 망을 이용한 통합 인빌딩 시스템 및 통합 인빌딩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0651488B1 (ko) 파장 분할 방식의 광 가입자 망
KR20100107906A (ko) 2파장분할 다중 방식의 아날로그 광중계기 시스템
JP2004236165A (ja) 無線中継システム
JP2006196947A (ja) 中継増幅器
KR101175002B1 (ko) 이동통신 중계기 및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JP2007174370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