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548A -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548A
KR20100060548A KR1020080119177A KR20080119177A KR20100060548A KR 20100060548 A KR20100060548 A KR 20100060548A KR 1020080119177 A KR1020080119177 A KR 1020080119177A KR 20080119177 A KR20080119177 A KR 20080119177A KR 20100060548 A KR20100060548 A KR 20100060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connection
key value
connection p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진
김학상
박상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548A/ko
Priority to US12/611,535 priority patent/US20100127990A1/en
Publication of KR2010006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22Sta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 접속부와 다 분할된 접속부를 구비한 키패드 접속부와,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접속에 따라 발생된 신호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키값과 매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분할 접속에 따라 입출력 포트를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키패드, 다분할 접속부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KEYPAD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의 입출력 포트의 개수를 줄이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라 함은 휴대폰이나 팜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HPC(Hand-held PC)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도1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는 4x3 키패드를 주로 사용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는 12개의 키외에 방향키와 통화 및 종료 등의 기타 키들로 20개 이상의 키가 구성된다. 20~25개의 키들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종렬(4열)과 횡렬(6열)로 구성되는 입출력 포트는 10여개의 입출력포트가 사용된다. 근래에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은 QWERTY 키패드 구현시에는 약40개의 키들로 구성되 어 더 많은 입출력포트인 종렬(7열) 및 횡렬(7열)인 총14개의 입출력 포트가 사용된다.
도2는 종래 키패드의 접속부분의 단면이다. 돔쉬트(Dome Sheet)를 이용해서 내부의 원(10)과 외부의 동심원(20)을 연결 할 수 있는 구조로 돔쉬트가 눌려 연결이 되면 전류가 흐르고 이를 제어부에서 인식하고, 연결이 되지 않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원리로 ON/OFF만을 인식하였다.
근래의 단말기들은 기능이 다양해지고 칩(Chip) 사이즈가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상기 입출력 포트의 개수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키패드의 입출력 포트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키패드의 접속부분을 다분할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에서 접속부분을 다분할하여 코드화를 통한 입출력 포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입출력 포트이 개수를 줄이거나 여유의 포트를 다른 기능으로 활용하므로서 휴대 단말기의 경량화 내지 소형화를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a)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접속부를 가지는 키패드이다. 외부의 원형 둘레를 5등분으로 나누어 돔쉬트가 눌려지면 공통의 접속부인 내부원(30)과 다분할된 접속부인 외부5개의 영역(40)이 동시에 접속된다. 공통의 접속부인 내부의 원(30)은 전원(Vdc)이 연결되어있어 돔쉬트가 눌려질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제어부로 신호가 인가된다.
도3(b)와 같이 다분할 접속부인 PCB 내부에 ABCDE와 같이 배선을 하고 연결한다. ABCDE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시 5개를 모두 연결하거나, 일부를 연결한다. 제어부(100)에 연결된 부분으로 들어오는 “high”신호를 “1”로 인지한다. 연결되지 않은 “Low”는 “0”으로 인지한다. 따라서 5비트의 디지털 입력된 값으로 미리 정해놓은 값과 매핑을 통하여 어느키가 눌려졌는지 판단한다.
상기 키패드의 접속부는 5개로 분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분할 개수는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키패드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키패드의 접속부(200,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4을 참조하면, 키패드 접속부를 배선 할때, 다불할 접속부인 5개의 분할 부분을 제어부(100)의 포트에 전부 또는 일부를 연결한다. 도면4의 일개의 접속부(200)를 예로 설명하면 ABCDE의 5개 부분중에서 ADE를 제어부의 포트에 연결하고 BC는 연결하지 않는다. 해당 키가 눌려질 경우 연결이 안된 BC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신호가 발생하므로 제어부는 “10011”의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10011”의 신호를 입력 받은 제어부(100)는 미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된 키매핑 값과 비교를 통하여 해당키가 눌려 졌음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10011”값은 숫자”1”에 해당 하도록 설정하면 “10011”값이 입력되면 숫자 ”1”을 표시하거나 “1”에 할당 되어있는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예를들면 단축 다이얼 또는 스마트폰에서는 할당된 프로그램 실행을 수행한다.
또 다른 접속부(300)를 살펴보면 ABCDE중에서 ABCE를 배선 연결한다. 해당키가 눌려질 경우 연결이 안된 D를 제외하고 모두 신호가 발생하므로 제어부는 “11101”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신호를 통하여 해당 키가 눌려 졌음을 인 지 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5개의 분할을 통하여서 “00001~11111”까지 31개(25-1)의 키를 구성가능하다. 키의 개수는 2n 에서 “00000”은 제외 하여야 하므로 1개를 뺀 수 만큼 할당 가능하다. n은 분할수이다.
도 5는 실제로 연결하는 배선들의 실시예를 도면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다 분할된 접속부가 가운데 위치하고 공통 접속부가 외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도2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3(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접속부를 분할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이 분할된 접속부가 제어부에 배선하는 일실시예,
도 5는 전체적인 배선을 보여주는 예, 및
도 6은 키패드 접속부의 분할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실시예.

Claims (13)

  1.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상면에 숫자 또는 문자가 인쇄되는 상단부와
    전원 공급부와 그라운드 영역과 상기 키패드의 숫자 또는 문자가 눌려질 때 접속되는 공통 접속부와 다 분할된 접속부를 구비한 키패드 접속부로 구성되는 하단부와,
    상기 키패드 다 분할 접속부와 공통 접속부와 연결되어 상기 숫자 또는 문자의 누름에 따라 발생된 신호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키값과 매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다분할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를 일부 또는 전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는
    공통 접속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속부에 인가된 전원과 키패드의 접속에 따라 제어부에 연결된 포트는 “1”로, 연결되지 않은 포트는 “0”으로 인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다분할 접속부의 다분할 개수(n)에 따라 2n-1의 개수만큼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분할 접속부를 5분할하여 총 1개부터 31개까지의 키를 할당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분할 접속부를 6분할하여 총 1개부터 63개까지의 키를 할당 가능함을 특징 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8. 제 1항에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접속에 따라 발생된 신호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키값과 매핑하여 해당 키값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해당키 값에 할당된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장치
  9.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상면에 인쇄된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키가 눌려지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에 전원을 공급 하는 과정과
    상기 키의 누름에 따라 공통 접속부와 다 분할된 접속부를 구비한 키패드 접속부로 부터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접속에 따라 발생된 신호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키값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발생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키값과 맵핑하여 맵핑된 키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다분할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를 일부 또는 전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는
    공통 접속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속부에 인가된 전원과 키패드의 접속에 따라 제어부에 연결된 포트는 “1”로, 연결되지 않은 포트는 “0”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방법.
  13. 제 9항에서
    상기 키패드 접속부의 접속에 따라 발생된 신호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키값과 매핑하여 해당 키값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해당키 값에 할당된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방법
KR1020080119177A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KR20100060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177A KR20100060548A (ko)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US12/611,535 US20100127990A1 (en) 2008-11-27 2009-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keypad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177A KR20100060548A (ko)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548A true KR20100060548A (ko) 2010-06-07

Family

ID=4219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177A KR20100060548A (ko)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27990A1 (ko)
KR (1) KR201000605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9839A (zh) * 2012-05-11 2013-11-13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输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1556A (en) * 1997-06-06 1998-11-03 Vlsi Technology, Inc. Pin-reduced low power keyboard scanner
TW486661B (en) * 2000-10-05 2002-05-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Input device using multi-dimension electrodes to define keys and its encoding method
US6992600B2 (en) * 2002-07-31 2006-01-31 Shin Jiuh Corporation Method for configuring button keys on a membrane
US7888610B2 (en) * 2008-09-18 2011-02-15 Infineon Technologies Ag Keypad and method for identifying keystrokes of a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7990A1 (en)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619B1 (ko) 핸드헬드 모바일 통신 장치
CA2552263C (en) Keyboard arrangement
KR1007724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6847310B1 (en) Keyboard
CN106815534B (zh) 一种保护用户隐私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090120434A (ko)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0548A (ko)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방법
US7551162B2 (en) Method for keypad optimization
CN107371078A (zh) 一种移动终端及耳机
US20140168088A1 (en) Keyboard with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method thereof
KR101279029B1 (ko) 키 입력 장치
KR100639386B1 (ko) 감소된 grio 포트를 갖는 입력장치
CN107404550A (zh) 一种可显示可控制的home键和用户终端
RU150627U1 (ru) Управляемая подсветка клавиатуры
KR101087274B1 (ko) 가산 기법을 활용한 단말기의 숫자 입력방법
KR100504602B1 (ko) 시프트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편이성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KR20110004863A (ko) 12키 qwerty 문자 입력방법
KR100781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바이너리 키패드 장치
KR101089104B1 (ko) 문자 입력 장치
EP2031482A1 (en) Reduced key arrangemen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35740A (ko) 라운드형 키 배열을 가진 키패드 장치
JP2000244623A (ja) 携帯電話
CN2632955Y (zh) 手机键盘
JP2011223517A (ja)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キー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60776A (ko)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