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453A -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 Google Patents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453A
KR20100060453A KR1020080119048A KR20080119048A KR20100060453A KR 20100060453 A KR20100060453 A KR 20100060453A KR 1020080119048 A KR1020080119048 A KR 1020080119048A KR 20080119048 A KR20080119048 A KR 20080119048A KR 20100060453 A KR20100060453 A KR 2010006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air
comb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영민
Original Assignee
탁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영민 filed Critical 탁영민
Priority to KR102008011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453A/ko
Publication of KR2010006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8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piston pump or other types of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5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reciprocating piston or plunger acting as the pressur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머리카락이 빗에 고정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이 개시된다.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은, 토출구가 형성된 빗살과, 빗살이 고정되고,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빗살고정부 및, 빗살고정부의 연결구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빗의 빗살을 통해 액체토출이 용이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빗, 빗살, 머리카락, 토출, 액체

Description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THE COMB WHERE THE FLUIDAL DISCHARGE IS POSSIBLE}
본 발명은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의 빗살을 통해 액체를 토출할 수 있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에 관한 것이다.
빗은 플라스틱, 나무,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빗살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매우 간단한 도구로서 물로 세정 후 흐트러진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정돈하여 단정하게 다듬기 위해 수천년 동안 크게 변함없이 사용해 왔다.
이/미용원의 이/미용사들이 퍼머나 염색 등을 할 때에도 빗은 필수 도구로 사용되는데, 빗질을 하는 도중 퍼머액을 머리카락에 묻히고, 다시 머리카락에 웨이브를 주는 부재(롯드)를 머리카락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미용작업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가 쌓이게된다.
또한, 양손을 다 사용해야 하므로 양손에 각각 보호장갑을 착용해야 하고, 사용한 보호장갑은 폐기처리하므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고, 작업시 다른 물품을 손으로 잡을때 일일이 퍼머액 등이 묻은 보호장갑을 벗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용작업시 빗의 빗살을 통해 머리카락으로 액체를 토출할 수 있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용작업시 빗의 빗살을 통해 두피로 액체를 토출할 수 있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와 액체를 함께 수용하여 빗살을 통해 액체토출이 용이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탱크와 공기탱크가 구비되어 빗살을 통해 액체토출이 용이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탱크와 공기펌프를 구비하여 빗살을 통해 액체토출이 용이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은, 토출구가 형성된 빗살과, 빗살이 고정되고,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빗살고정부 및, 빗살고정부의 연결구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빗살의 일측부에 토출구와 연통되는 미세노즐이 구비된다.
아울러, 빗살의 끝단부에 토출볼이 구비되고, 토출볼의 내부에 토출구와 연 통되는 볼노즐이 구비된다.
그리고, 액체공급장치는, 토출액과 압축공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선단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토출액과 압축공기를 연결구로 배출하는 혼합탱크 및, 혼합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제어수단은, 일측부에 제어구가 형성된 누름부재와, 누름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누름부재를 가압하여 제어구와 배출구가 연통되면 혼합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토출액과 압축공기가 배출된다.
한편, 액체공급장치는, 압축공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선단에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공기구가 형성된 공기탱크와, 공기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공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과, 개폐제어수단의 선단에 구비되고, 토출액이 내부에 수용된 액체탱크와, 액체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부 및 액체탱크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공기탱크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개폐제어수단에 제어되어 액체탱크로 유입되면 액체탱크에 수용된 토출액이 연결구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개폐제어수단은, 일측부에 제어구가 형성된 누름부재와, 누름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누름부재를 가압하여 배출구 및 흡입구와 제어구가 연통되면 공기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액체탱크로 배출된다.
한편, 액체공급장치는,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고, 선단에 펌프구가 형성된 공기펌프와, 공기펌프의 선단에 구비되고, 토출액이 내부에 수용된 액체탱크와, 액체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부 및 액체탱크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공기펌프를 통해 공기를 액체탱크로 유입되면, 액체탱크에 수용된 토출액이 연결구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공기펌프는, 내부에 안내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부와, 실린더부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되는 피스톤부 및, 피스톤부의 후단과 결합되어 피스톤부를 이동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출부는, 양측에 제1,2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볼수용부가 형성되며, 볼수용부에 수용된 단속볼이 제2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고, 단속볼의 선단에 압축스프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유입부는, 양측에 제1,2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볼수용부가 형성되며, 볼수용부에 수용된 단속볼이 제2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고, 단속볼의 선단에 압축스프링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은 빗의 빗살을 통해 머리카락 또는 두피로 액체를 토출할 수 있어 한손으로도 빗질과 액체의 토출이 가능하여 이미용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액을 염색약으로 사용시 본 발명의 빗으로 빗기만 하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염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압축공기와 액체를 함께 수용하여 빗의 빗살을 통해 액체토출이 용이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빗의 빗살을 통해 액체토출시 액체탱크와 공기탱크가 구비되어 탱크 에 액체 또는 공기가 부족할때 부족한 부분만을 채울수 있어, 유지보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액체탱크와 공기펌프를 구비하여 공기펌프를 작동시켜 액체탱크의 액체를 토출함으로써 압축공기가 필요없고, 빗의 빗살을 통한 액체의 토출을 반영구적으로 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의 빗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의 빗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100)은 빗살(120), 빗살고정부(110), 액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액체공급장치는 혼합탱크(130)와 개폐제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빗살(120)은 액체를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121)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부 에 토출구(121)와 연통되는 미세노즐(123)이 구비되어진다.
빗살고정부(110)는 빗살(120)이 고정되고, 빗살(120)의 토출구(121)와 연통되는 연결구(111)가 내부에 형성된다.
혼합탱크(130)는 내부에 토출액과 압축공기가 수용되고, 선단에 배출구(131)가 형성되어 빗살고정부(110)의 연결구(111)와 연통된다.
개폐제어수단(140)은 누름부재(141)와, 탄성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혼합탱크(130)의 선단에 구비되어 배출구(131)의 개폐를 제어한다.
누름부재(141)는 일측부에 제어구(141a)가 형성되고, 탄성부재(14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누름부재(141)의 하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도 1, 또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용작업시 빗(100)의 누름부재(141)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하면, 누름부재(14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142)가 수축되고, 누름부재(141)의 제어구(141a)는 혼합탱크(130)의 배출구(131) 및 빗살고정부(110)의 연결구(111)와 연결된 통로를 형성한다.
이에따라, 혼합탱크(130)에 수용된 토출액과 압축공기가 연결구(111)를 통해 토출구(121)로 공급되어 머리카락 또는 두피로 토출액을 배출하게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120)의 일측부에 토출구(121)와 연통되도록 노즐이 빗살(120)의 측면부에 구성되어 토출액을 미세노즐(123)을 통해 머리카락 부위로 배출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120)의 끝단부에 토출볼(125)이 구비되고, 토출볼(125)의 내부에 토출구(121)와 연통되는 볼노즐(126)이 구비되어 토출액이 볼노즐(126)을 통해 두피 부위로 배출할 수 있다.
토출볼(125)이 구비됨으로써 빗살(120)의 끝단의 볼노즐(126)을 통해 두피 부위에만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되고, 원구형태인 토출볼(125)이 이미용작업시 두피를 보호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빗(100)의 누름부재(141)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수축된 탄성부재(142)는 복원되어 누름부재(141)는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누름부재(141)의 제어구(141a)가 배출구(131) 및 연결구(111)와 연결됐던 통로가 폐쇄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a는 도 6a 또는 도 7a에 도시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6b 또는 도 7b에 도시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도 6a,b)와 제 1 실시예(도 2a,b)의 다른 점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액체공급장치의 혼합탱크(130)가 제 2 실시예에서는 액체탱크(250)와 공기탱크(230)로 구성된 것이 다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 표시한 도 1 및 도 2a,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공급장치를 제외한 부분의 구조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200)은 빗살(220), 빗살고정부(210), 액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액체공급장치는 공기탱크(230)와, 개폐제어수단(240)과, 액체탱크(250)와, 배출부(270)와, 유입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빗살고정부(21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280)가 더 구비되어 액체공급장치가 손잡이부(280)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기탱크(230)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수용되고, 선단에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공기가 형성된다.
개폐제어수단(240)은 누름부재(241)와, 탄성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누름부재(241)는 일측부에 제어구(241a)가 형성되고, 탄성부재(24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누름부재(241)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개폐제어수단(240)은 공기탱크(230)의 선단과 액체탱크(250)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탱크(230) 공기구(231)의 개폐를 제어한다.
액체탱크(250)는 개폐제어수단(240)의 선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토출액이 수용되며, 빗살고정부(210)의 연결구(211)와 연통된다.
도 6a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270)는 액체탱크(250)의 선단 에 구비되어 액체탱크(250)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또한, 배출부(270)의 내부에 볼수용부(273)가 형성되고, 배출부(270)의 양측에 제1배출구(271)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며, 볼수용부(273)에 수용된 단속볼(274)에 의해 제1배출구(271)의 개폐가 단속된다. 아울러, 단속볼의 선단에 압축스프링(275)이 구비되어진다.
유입부(260)는 액체탱크(250)의 후단에 구비되고, 공기탱크(230)에 수용된 압축공기 유입을 단속한다. 또한, 유입부(260)의 내부에 볼수용부(263)가 형성되고, 유입부(260)의 양측에 제1유입구(261) 및 제2유입구(362)가 형성되며, 볼수용부(263)에 수용된 단속볼(264)에 의해 제1유입구(261)의 개폐가 단속된다. 아울러, 단속볼(264)의 후단에 압축스프링(265)이 구비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도 5 또는 도 6a,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용작업시 빗의 누름부재(241)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하면, 누름부재(24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242)가 수축되고, 누름부재(241)의 제어구(241a)는 공기탱크(230)의 공기구(231) 및 액체탱크(250) 유입부(260)의 제1유입구(261)와 연결된 통로를 형성한다.
이에따라, 공기탱크(230)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공기구(231)를 통해 제1유입구(261)로 유입되고, 제1유입구(261)를 폐쇄한 단속볼(264)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밀려 제1유입구(261)를 개방하게되어 액체탱크(25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하게된다.
아울러, 액체탱크(250)에 수용된 토출액은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액체탱 크(250)의 압력이 높아지게되고, 제1배출구(271)를 폐쇄한 단속볼(274)이 밀려 제1배출구(271)를 개방하게되어, 액체탱크(250)에 수용된 토출액이 제1배출구(271) 및 제2배출구를 통해 빗살고정부(210)의 연결구(211)로 유입되게된다.
그리고, 연결구(211)에 유입된 토출액은 빗살(220)의 토출구(221)를 통해 외부의 머리카락 또는 두피로 배출된다.
한편, 도 6b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빗의 누름부재(241)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수축된 탄성부재(242)는 복원되어 누름부재(241)는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누름부재(241)의 제어구(241a)가 공기구(231) 및 연결구(211)와 연결됐던 통로가 폐쇄된다.
이에따라, 공기탱크(230)의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단속볼(264,274)이 밀리면서 수축된 압축스프링(265,275)이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압축스프링(265,275)의 복원력에 의해 단속볼(264,274)이 제1유입구(261) 및 제1배출구(271)를 폐쇄하게되어 토출액의 배출이 차단된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a는 도 6a 또는 도 7a에 도시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6b 또는 도 7b에 도시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 다.
제 3 실시예(도 8a,b)와 제 1 실시예(도 2a,b)의 다른 점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액체공급장치의 혼합탱크(130)가 제 2 실시예에서는 액체탱크와 공기펌프(330)로 구성된 것이 다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 표시한 도 1 및 도 2a,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공급장치를 제외한 부분의 구조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300)은 빗살(320), 빗살고정부(310), 액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액체공급장치는 공기펌프(330)와, 액체탱크(350)와, 배출부(370)와, 유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빗살고정부(31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380)가 더 구비되어 액체공급장치가 손잡이부(380)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기펌프(330)는 실린더부(331)와, 피스톤부(332)와, 레버부(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를 압축하여 성단에 형성된 펌프구(331a)로 배출한다.
실린더부(331)는 내부에 안내수용부(331b)가 형성되고, 피스톤부(332)가 실린더부(331)의 안내수용부(331b)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되고, 레버부(335)가 피스톤부(332)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332)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린더부(331) 또는 피스톤부(332)의 일측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피스톤부(33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레버부(335)는 레버(335a)와 이송축(33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레버(335a)는 일측부가 빗살고정부(310) 또는 손잡이부(380)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이송축(335b)은 상부가 레버(335a)의 타측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피스톤부(332)의 후단에 결합된다.
액체탱크(350)는 공기펌프(330)의 선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토출액이 수용되며, 빗살고정부(310)의 연결구(311)와 연통된다.
도 8a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70)는 액체탱크(350)의 선단에 구비되어 액체탱크(350)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또한, 배출부(370)의 내부에 볼수용부(373)가 형성되고, 배출부(370)의 양측에 제1배출구(371) 및 제2배출구(372)가 형성되며, 볼수용부(373)에 수용된 단속볼(374)에 의해 제1배출구(371)의 개폐가 단속된다. 아울러, 단속볼(374)의 선단에 압축스프링(375)이 구비되어진다.
유입부(360)는 액체탱크(350)의 후단에 구비되고, 공기펌프(3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단속한다. 또한, 유입부(360)의 내부에 볼수용부(362)가 형성되고, 유입부(360)의 양측에 제1유입구(361) 및 제2유입구(362)가 형성되며, 볼수용부(362)에 수용된 단속볼(364)에 의해 제1유입구(361)의 개폐가 단속된다. 아울러, 단속볼(364)의 후단에 압축스프링(365)이 구비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도 7 또는 도 8a,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용작업시 빗의 레버부(335)인 레버(335a)를 손으로 눌러 가압하면, 레버(335a)에 결합된 이송축(335b)의 하부가 공 기펌프(330)의 펌프구(331a)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와 결합된 피스톤부(332)가 공기펌프(330)의 안내수용부(331b)를 따라 펌프구(331a)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공기펌프(330)의 피스톤부(332) 전방에 수용된 공기가 압축됨과 아울러 압축된 공기가 펌프구(331a)를 통해 액체탱크(350)의 유입부(360)에 형성된 제1유입구(361)로 유입되고, 제1유입구(361)를 폐쇄한 단속볼(364)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밀려 제1유입구(361)를 개방하게되어 액체탱크(3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하게된다.
아울러, 액체탱크(350)에 수용된 토출액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액체탱크(350)의 압력이 높아지게되고, 제1배출구(371)를 폐쇄한 단속볼(374)이 밀려 제1배출구(371)를 개방하게되어, 액체탱크(350)에 수용된 토출액이 제1배출구(371) 및 제2배출구(372)를 통해 빗살고정부(310)의 연결구(311)로 유입되게된다.
그리고, 연결구(311)에 유입된 토출액은 빗살(320)의 토출구(321)를 통해 외부의 머리카락 또는 두피로 배출된다.
한편, 도 8b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빗(300)의 레버(335a)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피스톤부(332)의 후방에 구비되어 피스톤부(332)의 전방이동시 인장됐던 인장스프링(334)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부(332)가 후방향으로 다시 이동하게된다.
이에따라, 공기펌프(330)의 압축된 공기의 압력으로 단속볼(363,374)이 밀리면서 압축스프링(365,375)을 수축하게한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압축스프링(365,375)의 복원력에 의해 단속볼(363,374)이 제1유입구(361) 및 제1배출 구(371)를 폐쇄하게되어 토출액의 배출이 차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의 빗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의 빗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도 6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누름부재를 가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도 6a 또는 도 7a에 도시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도 6b 또는 도 7b에 도시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300 : 빗 110,210,310 : 빗살고정부
111,211,311 : 연결구 120,220,320 : 빗살
121,221,321 : 토출구 123 : 미세노즐
125 : 토출볼 126 : 볼노즐
130 : 혼합탱크 131 : 배출구
140,240 : 개폐제어수단 141,241 : 누름부재
141a,241a: 제어구 142,242 : 탄성부재
230 : 공기탱크 231 : 공기구
250,350 : 액체탱크 260,360 : 유입부
261,361 : 제1유입구 262,362 : 제2유입구
263,273,362,373: 볼수용부 264,274,364,374: 단속볼
265,275,365,375: 압축스프링 270,370 : 배출부
271,371 : 제1배출구 272,372 : 제2배출구
280,380 : 손잡이부 330 : 공기펌프
331 : 실린더부 331a: 펌프구
331b: 안내수용부 332 : 피스톤부
334 : 인장스프링 335 : 레버부
335a: 레버 335b: 이송축

Claims (11)

  1. 토출구가 형성된 빗살;
    상기 빗살이 고정되고,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빗살고정부; 및
    상기 빗살고정부의 연결구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일측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미세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끝단부에 토출볼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볼의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볼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장치는,
    토출액과 압축공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선단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액과 압축공기를 상기 연결구로 배출하는 혼합탱크; 및
    상기 혼합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수단은,
    일측부에 제어구가 형성된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어구와 상기 배출구가 연통되면 상기 혼합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토출액과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장치는,
    압축공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선단에 상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공기구가 형성된 공기탱크;
    상기 공기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수단;
    상기 개폐제어수단의 선단에 구비되고, 토출액이 내부에 수용된 액체탱크;
    상기 액체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부; 및
    상기 액체탱크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부;를 포함하 고,
    상기 공기탱크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상기 개폐제어수단에 제어되어 상기 액체탱크로 유입되면 상기 액체탱크에 수용된 토출액이 상기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수단은,
    일측부에 제어구가 형성된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어구가 연통되면 상기 공기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상기 액체탱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장치는,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고, 선단에 펌프구가 형성된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의 선단에 구비되고, 토출액이 내부에 수용된 액체탱크;
    상기 액체탱크의 선단에 구비되어 액체의 배출을 단속하는 배출부; 및
    상기 액체탱크의 후단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펌프를 통해 공기를 액체탱크로 유입되면, 상기 액체탱크에 수용된 토출액이 상기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펌프는,
    내부에 안내수용부가 형성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이동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10. 제 6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양측에 제1,2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볼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단속볼이 상기 제2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고,
    상기 단속볼의 선단에 압축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11. 제 6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양측에 제1,2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볼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된 단속볼이 상기 제2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고,
    상기 단속볼의 선단에 압축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KR1020080119048A 2008-11-27 2008-11-27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KR20100060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48A KR20100060453A (ko) 2008-11-27 2008-11-27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48A KR20100060453A (ko) 2008-11-27 2008-11-27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53A true KR20100060453A (ko) 2010-06-07

Family

ID=4236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048A KR20100060453A (ko) 2008-11-27 2008-11-27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4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68Y1 (ko) * 2012-04-13 2013-02-05 김지훈 두피관리용 머리빗
CN103371599A (zh) * 2012-04-30 2013-10-30 苏州萃智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梳子
KR200482681Y1 (ko) * 2015-09-15 2017-02-23 최진호 염색용 빗
KR20230009010A (ko) 2021-07-08 2023-01-17 손봉길 약액 공급이 가능한 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68Y1 (ko) * 2012-04-13 2013-02-05 김지훈 두피관리용 머리빗
CN103371599A (zh) * 2012-04-30 2013-10-30 苏州萃智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梳子
KR200482681Y1 (ko) * 2015-09-15 2017-02-23 최진호 염색용 빗
KR20230009010A (ko) 2021-07-08 2023-01-17 손봉길 약액 공급이 가능한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550B1 (ko) 모발 염색 기구
KR20100060453A (ko) 액체토출이 가능한 빗
GB1439056A (en) Hair styling appliance flocculating agents for alkaline s
ES2196886T3 (es) Aparato depilador.
CN117547097A (zh) 具有梳且通过处理表面处理头发的蒸汽理发设备
CN107847027B (zh) 自动洗发机
WO2015148031A1 (en) Liquid-dispensing hair brush
KR101006125B1 (ko) 샤워기 헤드
MXPA05000991A (es) Contenedor para tinte y un aparato para tenido de pelo que lo emplea.
US4462413A (en) Appliance for the partial dyeing of hair
KR101254540B1 (ko) 헤어 염색기
US8967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hair coloring
US7954499B2 (en) Tool for hair extension removal
KR20070084644A (ko) 머리빗
KR101925500B1 (ko) 염색용 빗
JP5220422B2 (ja) 櫛歯付き塗布用具
KR20160032663A (ko) 액체 도포용구
KR200375650Y1 (ko) 머리 염색용 빗
KR102334958B1 (ko) 모발 염색용 기구
KR102024658B1 (ko) 영양액 분사식 헤어드라이어
CN210120963U (zh) 一种自混简易染发梳
AU2019352002B2 (en) Hair dyeing process
KR20220069285A (ko) 셀프 염색 양방향 브러쉬
CN202714397U (zh) 多排全自动定量染发梳
JP3097586U (ja) 薬剤噴出装置付き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