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93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934A
KR20100059934A KR1020107007136A KR20107007136A KR20100059934A KR 20100059934 A KR20100059934 A KR 20100059934A KR 1020107007136 A KR1020107007136 A KR 1020107007136A KR 20107007136 A KR20107007136 A KR 20107007136A KR 20100059934 A KR20100059934 A KR 2010005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data unit
status
status report
pd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625B1 (ko
Inventor
라비 쿠치보틀라
사티아나라야나 비. 라오
이센 선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엔티티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는 전송을 위해 복수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로 재-분할된 원래의 데이터 유닛의 일부이다. 그 다음,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는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복수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 중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STATUS REPORT TRIGGE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방법을 위한 상태 보고 트리거링에 관한 것이다.
3GPP 규격에서,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프로토콜 계층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s; protocol data units)의 전달을 책임지고 있다. 확인응답 모드(acknowledge mode)는 PDU의 믿을 수 있는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수신기는 PDU의 성공적인 수신을 나타내는 상태 보고를 발송한다. PDU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수신기로부터의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해 RLC PDU 헤더에 폴링 비트(polling bit)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 RLC PDU 헤더가 폴링 비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수신기에 발송된 별개의 폴링 제어 유닛에 의해 상태 보고가 대신 트리거된다.
일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서, 초기 전송 이후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RLC 계층이 PDU를 재-분할(re-segment)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동일한 PDU를 재전송할 때, 전체 PDU는, 재-분할된 PDU 세그먼트로도 알려진, 개개의 세그먼트들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 바이트 크기의 원래의 PDU는 350 바이트, 400 바이트 및 250 바이트 크기인 3개의 PDU 세그먼트로 재-분할될 수 있다. 3개의 세그먼트는 임의의 수(arbitrary number)이고 단지 하나의 예로서 사용된다. 새롭게 생성된 PDU 세그먼트들에 대해, 전송 이후에 상태 보고가 필요하다. 또한, PDU의 송출기(sender)는 PDU 수신의 상태를 아는 것이 유익한데 그 결과 전송 윈도우(transmission window)는 진전(advance)될 수 있고 수신기 버퍼는 새로운 데이터를 위해 비워질(freed up) 수 있다. 하나의 접근법은 재-분할되는 데이터 유닛에 폴링 비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RLC 프로토콜의 경우에, 전송되는 데이터 유닛마다 폴링 비트를 포함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는데, 여기서 비트 값은 상태 보고가 요구되는지 아닌지에 대한 표시 사이에서 토글된다. 게다가, 프로토콜의 전체 구성으로 인해, 폴 금지 타이머(poll prohibit timer)가 실행될 수 있고, 그 결과 폴 비트의 설정을 막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태 금지 타이머가 실행될 수 있고, 이로써 상태 보고의 전송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의 최종(last) 세그먼트가 수신되자마자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것이 상당히 유익하다. 예를 들어, 이는, 일부 경우에, 송출기가 전송 윈도우를 진전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이로써 수신기로의 추가 패킷 전송을 허용할 수 있고,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재-분할된 PDU의 전송에 이어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한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식별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본 개시물의 여러 양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아래 설명된 첨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충분히 고려할 때 당업자에게 보다 완전히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들은 명료함을 위해 간략화될 수 있고 반드시 크기에 맞게 그려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재-분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2는 상태 보고의 트리거링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3은 상태 보고의 트리거링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3GPP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PDU(protocol data unit; 1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PDU는 재-분할된 PDU(200)(즉,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로 재-분할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PDU(100)는 3개의 세그먼트, 즉, 제1 PDU 세그먼트(101), 제2 PDU 세그먼트(102) 및 제3 PDU 세그먼트(103)로 재-분할되었다. 3개의 재-분할된 PDU 세그먼트들(101, 102 및 103) 모두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 필드(LSF; last segment flag field)를 갖는다. 재-분할된 PDU의 최종 세그먼트인 세그먼트, 즉, 이 실시예에서 제3 세그먼트는 이것이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1"을 LSF에 갖는다. 다른 세그먼트들, 즉, 제1 세그먼트(101) 및 제2 세그먼트(102)는 LSF에 "0"을 가질 것이다.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내에 포함된 LSF는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들의 상태 보고를 목적으로 최적화되는 새로운 유형의 STATUS 보고를 트리거한다.
PDU 송출기(sender), 즉,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여러 이유로 PDU(100)를 재-분할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PDU(100)는 이전에 실패한 PDU(100)의 전송 시도에 응답하여 재-분할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DU(100)는 무선 상태(radio conditions) 또는 무선 자원 배분 전략(radio resource allocation strategy)의 변화로 인해 재-분할된다. 재-분할된 PDU(200)의 각 세그먼트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세그먼트마다(from segment to segment)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재-분할을 수행할 때, 송출기는 재-분할된 PDU의 최종 세그먼트에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last segment flag)" 표시를 포함할 것이다. 이 플래그는 이 PDU 세그먼트가 원래의 PDU의 최종 세그먼트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각각 350 바이트, 400 바이트 및 250 바이트로 재-분할된 1000 바이트 PDU의 이전 예에 대해, 350 바이트 및 400 바이트 세그먼트들의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는 설정되지 않을 것이고, 플래그는 최종 세그먼트인, 250 바이트 PDU 세그먼트에 대해 설정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위한 3GPP 기반(conforming) 기지국이다. 이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로도 알려진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기지국 및 UE는 음성 통신 또는 사용자 데이터 교환과 같은 트래픽 데이터일 수도 있는 데이터를 교환하고 트래픽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의 재-분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STATUS 보고 전송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이 도 2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재-분할되고(재-분할된 PDU)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U(202)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PDU 세그먼트들 중 하나가, 세그먼트가 재-분할된 PDU의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긍정(positive)(즉, "1")으로 설정되는 최종 세그먼트 필드(LSF; last segment field)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한다(204). LSF 플래그 세트를 갖는 수신된 재-분할된 PDU 세그먼트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206).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 보고는 세그먼트 아이덴티티(즉, 총 세그먼트를 넘는 세그먼트 지수(index number), 또는 원래의 PDU에 대한 세그먼트 오프셋) 및 식별된 세그먼트의 관련 상태를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보고는 누락된(missing)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재-분할된 PDU들은,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폴링 비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폴링 비트는 수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폴링 비트가 PDU 세그먼트 헤더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만료되지 않아 송출기가 폴 비트를 설정하는 것을 금지하는 폴 금지 타이머로 인해, 송출기가 폴 비트를 설정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재-분할된 PDU의 최종 세그먼트는, 3GPP 시스템에서, 이것이 재-분할된 PDU의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필드 표시자를 포함한다.
도 3은 상태 보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며, 여기서, 상태 금지 타이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즉, 수신 디바이스)에서 작동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STATUS 금지 타이머는 실행중이고 만료되지 않았으며(306), 수신기는 이것이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즉, "1"로 설정된)(304) LSF를 포함하는 RLC PDU 세그먼트를 수신하고(302), 수신기는 실행 타이머를 무시하고(308), 재-분할된 PDU의 상태를 포함하는 STATUS 보고를 생성 및 전송(310)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새로운 유형의 "PDU Segment STATUS"의 STATUS 보고는 LSF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발송된다. STATUS 보고는 세그먼트 아이덴티티(identity) 및 관련 상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재-분할된 PDU에 대한 누락 세그먼트들의 세그먼트 아이덴티티들은 상태 보고에 포함된다. 상태 보고의 전송은 LSF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에 암묵적으로 ACK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LSF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의 수신 결과 완전한 PDU의 성공적인 수신이라면, 수신기는 PDU에 대한 ACK를 간단히 나타내는 최적화된 STATUS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태 보고는 재-분할된 PDU의 각 세그먼트에 개별적으로 ACK하지 않지만 원래의 PDU의 SN을 포함하여 원래의 PDU에 대한 STATUS 보고를 간단히 보냄으로써 전체 PDU에 대한 상태 보고를 발송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에만 최종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포함하는 PDU 세그먼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STATUS 보고를 발송한다. 이 타이머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고, 임의의 누락 세그먼트들의 하이브리드 ARQ 재전송이 완료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이로써 불필요한 재전송을 야기하는 너무 이른(premature) 누락 세그먼트 보고가 송출기에게 전송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상태 보고는, 수신기가 누락 세그먼트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경우에만 지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은 타이머로 구성된다. 수신기는, 재-분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제1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할 때 타이머를 개시하는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반드시 0의 바이트 오프셋(a byte offset)을 가질 필요는 없다.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갖는 이러한 재-분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수신기는 상태 보고를 송출기로 발송한다. 이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재-분할하기 위해 송출기의 결정을 따르는 고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태 보고가 발송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러한 경우에, LSF 표시를 갖는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누락된다면, 타이머는 상태 보고가 송출기로 발송되는 것 또한 보장할 것이다.
본 개시물 및 그의 최고의 모드들은 소유물(possession)을 확립하고 당업자가 그것을 실시 및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지만, 여기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등가물들이 존재하고 본원의 범위 및 의도에서 벗어나지 않은 수정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며,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다.

Claims (26)

  1. 무선 통신 엔티티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triggering)을 위한 방법으로서,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는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 복수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로 재-분할된(re-segmented) 원래의(original) 데이터 유닛의 일부임 - ;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 중 최종(last)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는,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의 수신 이전에 상기 수신기에게 알려지지 않은 길이를 갖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누락된(missing)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타이머가 만료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에 응답하여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시간에 대한 타이머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STATUS 금지 타이머(prohibit timer)의 상태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STATUS 금지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STATUS 금지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보고는 세그먼트 아이덴티티(identity)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세그먼트 아이덴티티는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오프셋인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전송 이전에, LSF를 갖는 상기 수신된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상태를 상기 상태 보고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할된 원래의 데이터 유닛의 모든 세그먼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의 데이터 유닛의 시퀀스 넘버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STATUS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1. 무선 통신 엔티티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LSF; last segment flag)를 포함하는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LSF를 갖는 상기 세그먼트에 응답하여 세그먼트 아이덴티티 및 연관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 STATUS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상태는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가 누락인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아이덴티티는 수신된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아이덴티티는 수신되지 않은 세그먼트들을 식별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5. 상태 보고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DU는, 상기 수신된 PDU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필드 표시자를 가짐 - ; 및
    상기 최종 세그먼트 필드 표시자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태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상태 보고는 세그먼트 식별자 및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의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세그먼트는 상기 PDU에서 수신된 세그먼트임 -
    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6. 무선 통신 엔티티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는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 복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로 재-분할된 원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일부임 - ; 및
    상기 재-분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한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 재-분할된 원래의 데이터 유닛의 일부인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의 각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의 길이는 가변인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상기 세그먼트가 상기 재-분할된 원래의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STATUS 금지 타이머의 상태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가 상기 원래의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라는 표시를 갖는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누락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헤더 내에 "PDU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표시를 갖는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보고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의 헤더는 "PDU 세그먼트"를 나타냄 - ;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최종 세그먼트 플래그" 표시를 갖는 관련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타이머의 만료시에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보고는 세그먼트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아이덴티티는 상기 데이터 유닛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오프셋인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LSF를 갖는 상기 수신된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상태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보고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할된 데이터 유닛의 모든 세그먼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의 데이터 유닛의 시퀀스 넘버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STATUS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상태 보고는 개개의 세그먼트를 식별하도록 요구되지는 않음 -
    를 더 포함하는 상태 보고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KR1020107007136A 2007-10-01 2008-09-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 KR101178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5,723 2007-10-01
US11/865,723 US9066264B2 (en) 2007-10-01 2007-10-01 Status report trigge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8/077425 WO2009045797A1 (en) 2007-10-01 2008-09-24 Status report trigge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934A true KR20100059934A (ko) 2010-06-04
KR101178625B1 KR101178625B1 (ko) 2012-08-30

Family

ID=4022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136A KR101178625B1 (ko) 2007-10-01 2008-09-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66264B2 (ko)
EP (1) EP2195978B1 (ko)
JP (1) JP5364889B2 (ko)
KR (1) KR101178625B1 (ko)
CN (1) CN101816154A (ko)
BR (1) BRPI0817489B1 (ko)
MX (1) MX2010003408A (ko)
RU (1) RU2460214C2 (ko)
WO (1) WO20090457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604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156486A (ko) * 2017-08-10 2022-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1703A1 (en) * 2008-01-10 2009-07-16 Sam Shiaw-Shiang Jia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337954B2 (en) * 2010-07-28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CN104221421B (zh) * 2012-03-19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多点通信测量集管理的测量报告触发配置的系统和方法
US9509448B2 (en) * 2012-09-19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status retransmission
US9531499B2 (en) 2012-09-19 2016-1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requests
WO2015008966A1 (en) * 2013-07-16 2015-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gmenting and reordering a radio link control status protocol data unit and a device therefor
CN106856457B (zh) * 2015-12-09 2019-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发送装置及接收装置
US10396942B2 (en) * 2016-03-29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2108A1 (en) 1997-03-20 1998-09-24 Ericsson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 transport layer protocol for wireless packet data delivery
US7593380B1 (en) * 1999-03-05 2009-09-22 Ipr Licensing, Inc. Variable rate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enabling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
US6807428B2 (en) * 2001-08-16 2004-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based reception of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03006B2 (en) * 2002-05-01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data transmission
KR100876765B1 (ko) * 2002-05-1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40081131A1 (en) * 2002-10-25 2004-04-29 Walton Jay Rod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OFDM symbol sizes
US8855572B2 (en) * 2004-06-16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1641190B1 (en) 2004-09-24 2010-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Radio link control protocol
EP1689134A3 (en) * 2005-02-07 2006-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transmitting status report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41645B1 (ko) * 2005-03-2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전송 제어 방법
ATE538554T1 (de) * 2005-08-16 2012-01-15 Panasonic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en für das zurücksetzen einer sendesequenznummer (tsn)
US8634400B2 (en) * 2005-09-15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report comprising received status of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200713895A (en) * 2005-09-21 2007-04-01 Asustek Com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delay of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108244B2 (ja) * 2006-03-30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及び再送制御方法
WO2008024282A2 (en) * 2006-08-21 2008-02-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rq and harq transmissions and retran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1954B2 (en) * 2006-08-22 2013-09-10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servation requests with a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engine
US20080056148A1 (en) * 2006-09-06 2008-03-06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retransmission
EP1916795A3 (en) * 2006-10-25 2008-05-07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rotocol err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051353B2 (en) * 2006-11-08 2011-11-01 Motorola Mobility, Inc. HARQ transmission feedback for higher layer protocol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513033B1 (ko) * 2007-09-18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계층 구조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604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156486A (ko) * 2017-08-10 2022-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805443B2 (en) 2017-08-10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5978B1 (en) 2016-06-08
JP2010541400A (ja) 2010-12-24
JP5364889B2 (ja) 2013-12-11
WO2009045797A1 (en) 2009-04-09
RU2460214C2 (ru) 2012-08-27
BRPI0817489A2 (pt) 2015-03-24
US20090086656A1 (en) 2009-04-02
BRPI0817489B1 (pt) 2020-02-18
RU2010117522A (ru) 2011-11-10
KR101178625B1 (ko) 2012-08-30
US9066264B2 (en) 2015-06-23
EP2195978A1 (en) 2010-06-16
CN101816154A (zh) 2010-08-25
MX2010003408A (es)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6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트리거링
KR1010958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방법
KR101577451B1 (ko) Rlc 무한 재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방법
KR10146779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수신장치
US8660068B2 (en) Method for sending status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eceiv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EP2811681B1 (en) Method for moving a receive window in a radio access network
KR1015918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KR1014706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향상 방법, 상태정보 보고방법 및 수신장치
TWI486016B (zh) 通信終端機及將狀態報告自接收終端機發送至發送終端機之方法
US8098620B2 (en) Method for status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hen one-time allocated resource is insufficent
KR20090075628A (ko) 재전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harq 동작 방법
CN109076475B (zh) 一种用于保持无连接传输中同步的方法和系统
US20070291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packet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986179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08028836B (zh) 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确认方法及装置
KR200600901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상태 보고 전송 방법 및장치
CN110875806A (zh) 一种超高吞吐无线宽带数据传输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