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515A -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515A
KR20100059515A KR1020080118314A KR20080118314A KR20100059515A KR 20100059515 A KR20100059515 A KR 20100059515A KR 1020080118314 A KR1020080118314 A KR 1020080118314A KR 20080118314 A KR20080118314 A KR 20080118314A KR 20100059515 A KR20100059515 A KR 2010005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point
energy value
integrator
symbo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치홍
강노경
박승훈
원은태
김대석
김도영
배태한
권혁춘
손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515A/ko
Publication of KR2010005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6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9Receive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10Arrangements for initial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초광대역을 이용한 에너지 검출 기반의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에서 온-오프 키잉 변조에 의해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1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제1적분기와,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2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제2적분기와,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 내에서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두개의 심볼 주기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임을 특징으로 한다.
에너지 검출, 심볼 동기, 적분 시작 지점, 기준 레벨 값.

Description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SITIONING SYMBOL SYNCHRONIZATION IN A NON-COHERENT ASYNCHRONOUS RECEIVER}
본 발명은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광대역을 이용한 에너지 검출 기반의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검출 방법중 하나로 수신신호의 에너지를 측정하는 에너지 검출 기법이 적용된다. 상기 무선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에너지 검출 기법은 수신신호로부터 심볼 동기를 정확하게 획득함으로써 에너지 검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카오스(Chaotic) 초광대역(Ultra-Wide Band : 이하, UWB)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온-오프 키잉(OOK ; On-off keying) 변조가 사용된다. 상기 OOK 변조는 비동기 수신기(Non-Coherent Asynchronous Receiver)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 그 이유는 OOK 변조를 사용하는 비동기 수신기(Non-Coherent Asynchronous Receiver)의 경우, 수신신호의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복잡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비용, 저전력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비동기 수신기는 신호의 에너지를 모으는 적분기(integrator)와, 에너지 값과 정해진 기준 레벨 값(threshold value)을 비교해서 에너지 값이 0인지 1인지를 판별하는 판별(decision)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동기 수신기는 향상된 수신성능을 가지기 위해서 심볼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심볼 동기에 따른 최적화된 기준 레벨 값(threshold value)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비동기 수신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비동기 수신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변조 심볼 열)는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 이하, BPF)(101) 및 자승기(square-law device)(103)를 통해 적분기(105)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된 신호는 상기 적분기(105)를 통해 심볼 주기(T) 동안 적분되어 에너지 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값은 판별기(107)를 통해 미리 결정되어진 기준 레벨 값(threshold value)과 비교되어 1인지 0인지를 판별되고, 판별된 에너지 값은 디코더(decoder)(109)를 통해 디코딩된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종래 비동기 수신기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복잡도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적분기(105)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심볼 동기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의 비트 에너지를 최대로 모을 수가 없다. 결과적으로 종래 비동기 수신기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 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비동기 수신기는 에너지 값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레벨 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링크상의 장애물이나 멀티 패스에 의한 채널변동으로 수신 에너지의 변화에 민감하게 되어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보통의 비동기 수신기의 경우, 해당 데이터의 비트 에너지를 최대로 모으기 위해서 적분기에서 심볼 동기의 획득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서,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이유는, 심볼 동기를 획득하지 않으면 에너지 값이 심볼 1을 보낸 신호의 에너지 값인지, 심볼 0을 보낸 에너지 값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2는 종래 심볼 동기를 고려한 비동기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심볼 동기를 고려한 비동기 수신기는 수신 데이터의 비트 에너지를 올바르고 최대로 모으기 위해서 다수의 적분기(205a 내지 205m)를 병렬로 배치해서 심볼 동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즉,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BPF(201) 및 자승기(203)을 통해 다수의 적분기(205a 내지 205m)로 전달되고, 상기 다수의 적분기(205a 내지 205m) 각각을 통해 심볼 주기(T) 동안 적분되어 에너지 값들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적분기(205a 내지 205m) 각각은, 실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 비트 이전에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일 예로, 도 3의 '101010') 열을 사용하여 각 적분 시작 지점마다 심볼 주기(T) 동안 적분하여 에너지 값을 최대값 선택기(207)로 출력한다.
그리고 최대값 선택기(207)를 통해 상기 에너지 값들 중 가장 큰 에너지 값이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 최대값 선택기(207)는, 상기 가장 큰 에너지 값을 가지는 경우의 적분 시작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일예로, 도 4는 시간 해상도에 대한 적분 시작 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심볼 동기 획득을 위해서 주어진 시간 해상도에 대한(해상도가 N이라고 하면) 적분 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에너지 값을 가질 때의 적분 시작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가장 큰 에너지 값은 판별기(209)를 통해 상기 가장 큰 에너지 값에 따라 결정된 기준 레벨 값과 비교되어 1인지 0인지를 판별되고, 디코더(211)를 통해 디코딩된다. 그리고 디코딩된 값은 채널상태 판단기(213)를 통해 수신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되어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발생신호가 상기 판별기(209)로 전달된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심볼 동기를 고려한 비동기 수신기는 심볼 동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심볼 동기의 에너지 값에 따라 기준 레벨 값을 결정하므로 도 1의 경우보다 좋은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종래 심볼 동기를 고려한 비동기 수신기에서는, 심볼 동기 획득을 위해서 다수의 적분기가 요구되고, 상기 다수의 적분기의 적분 연산에 의한 전류소모도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복잡도가 낮은 시스템이나 BAN(Body Area Network) 환경에서 사용하는 Chaotic UWB 시스템과 같은 저전력 시스템에서는 비동기 수신기의 개선이 요구 된다.
본 발명은 비동기 수신기에서 온-오프 키잉 변조에 의해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동기 수신기에서 적은 수의 적분기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에서 온-오프 키잉 변조에 의해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1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제1적분기와,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2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제2적분기와,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 내에서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프리앰블 신호의 두개의 심볼 주기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에서 온-오프 키잉 변조에 의해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1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2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되는 프리앰블 심볼 열 내에서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두개의 심볼 주기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동기 수신기에서 적은 수의 적분기를 이용하여 심볼 동기를 획득하므로, 적분연산의 전류 소모를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한 심볼 동기에 따라 최적화된 기준 레벨 값을 결정하고, 디코딩된 신호의 수신성능에 따라 기준 레벨 값을 재결정하므로 채널에 의한 영향 및 지터(jitter) 등에 의한 수신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비동기 수신기에서 두 개의 적분기를 이용하여 심볼 동기를 획득함에 따라 복잡도가 낮고 수신 성능이 뛰어난 비동기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 및 수신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비동기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동기 수신기는, BPF(501)와, 자승기(503)와, 제1적분기(505a)와, 제2적분기(505b)와, 검출기(507)와, 판별기(509)와, 디코더(511)와, 채널상태 판단기(5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는 상기 제1적분기(505a)와, 상기 제2적분기(505b)와, 상기 검출기(507)를 포함한다.
상기 BPF(501)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변조 심볼 열) 중 특정 범위의 주파수에 존재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특정 범위를 벗어난 신호를 제거하여 필터링된 신호를 자승기(503)로 전달한다.
상기 자승기(503)는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제곱하여 제1및 제2적분기(505a, 505b)로 전달한다.
도 5의 상기 제1적분기(505a)는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 열을 사용하여 임의의 적분 시작 지점에서 한 심볼 주기(T) 동안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검출기(507)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적분기(505b)는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 열을 사용하여 상기 제1적분기(505a) 보다 한심볼 주기 늦은 적분 시작 지점에서 한 심볼 주기 동안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검출기(507)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는 검출기(507)로부터 적분 시작 지점 변경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적분 시 작 지점을 시프트하여 다시 적분을 수행한다.
상기 검출기(507)는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기(507)는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적분 시작 지점에서 심볼 동기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현재 적분 시작 지점을 변경하여 적분하도록 하는 적분 시작 지점 변경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기(507)가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식은 아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판별기(509)는 상기 획득된 심볼 동기에서의 에너지 값 중 큰 값과 작은 값의 중간 값을 기준 레벨 값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기(509)는 채널상태 판단기(513)로부터 오류발생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결정된 기준 레벨 값을 재결정한다. 또한 상기 판별기(509)는 상기 획득된 심볼 동기에서의 에너지 값과, 상기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하여 상기 획득된 심볼 동기에서의 에너지 값이 1인지 0인지를 판별한다.
디코더(511)는, 상기 판별된 에너지 값을 디코딩하고, 채널상태 판단기(513)는 링크상의 장애물이나 멀티 패스에 의한 채널변동으로 인해 디코딩된 신호의 수신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발생신호를 상기 판별기(209)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상태 판단기(513)는 일 예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디코딩된 신호의 수신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다시 기준 레벨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의 검출기(507)에서 심볼 동 기를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일 예로 '101010' 패턴의 프리앰블 심볼열의 수신신호에서 제1및 제2적분기(505a, 505b)는 한 심볼 주기 동안 4의 해상도를 갖는다고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기(507)에서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적분기(505b, 도 6에서 B)는 제1적분기(505a, 도 6에서 A)보다 한 심볼 주기 늦게 적분을 시작한다. 즉, 제1적분기(505a)는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101010) 열을 사용하여 도 6의 8지점 중에 하나의 지점에서 한 심볼 주기 동안 적분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2적분기(505b)는 상기 제1적분기(505a)보다 한 심볼 주기 늦게 한 심볼 주기 동안 적분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제1적분기(505a)가 임의의 적분 시작 지점에서 적분을 시작하고, 제2적분기(505b)가 제1적분기(505a)보다 한 심볼 주기 늦게 적분을 시작하는 적분 시작 지점에서 적분을 시작하는 모든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에너지 값을 SA, 제2에너지 값을 SB라고 한다면, SA>3SB, SA=3SB, SA=SB, 3SA=SB, 3SA<SB, 3SA=SB, SA=SB, SA=3SB의 비율에서 적분 시작 지점이 발생한다.
여기서, 검출기(507)는 적분 시작 지점이 상기 8가지 경우 중 SA > 3 SB, 3 SA < SB 의 비율인 경우에는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의 현재 적분 시작 지점이 올바른 동기 지점이므로, 현재 적분 시작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 한다.
그리고 검출기(507)는 적분 시작 지점이 상기 8가지 경우 중, 2가지 경우가 있는 SA=SB의 비율인 경우, 심볼의 중앙 값을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에서 적분 시작 지점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기(507)는 적분 시작 지점이 SA=SB의 비율인 경우, 현재 적분 시작 지점보다 반주기 적분 시작 지점을 시프트하여 적분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에 전달한다. 이후, 검출기(507)는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로부터 상기 반주기 적분 시작 지점이 시프트된 지점에서 제1및 제2에너지 값들을 전달 받은 후,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또한 검출기(507)는 적분 시작 지점이 SA=3SB, 3SA=SB의 비율인 경우, 현재 적분 시작 지점보다 1/4주기 적분 시작 지점을 시프트하여 적분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에 전달한다.
이후, 검출기(507)는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로부터 상기 1/4 주기 적분 시작 지점이 시프트된 제1및 제2에너지 값들을 전달 받는다. 그리고 상기 검출기(507)은 상기 전달 받은 제1및 제2에너지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제1및 제2에너지 값들의 적분 시작 지점이 SA > 3 SB, 3 SA < SB, 또는SA=SB 의 비율임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검출기(507)는 적분 시작 지점이 SA>3SB, 3SA<SB의 비율인 경우 1/4 주기 적분 시작 지점이 시프트된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검출기(507)는 적분 시작 지점이 SA=SB의 비율인 경우 다시 반주기 적분 시작 지점을 시프트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에 전달하고, 제1적분기(505a) 및 제2적분기(505b)로부터 상기 다시 반주기 적분 시작 지점이 시프트된 지점에서 제1및 제2에너지 값들을 전달 받은 후,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따라서, 각각 한 삼볼 주기동안 4의 적분 시작포인트 해상도를 갖는, 종래 비동기 수신기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를 비교하여 보면, 종래 비동기 수신기에서는 8개의 병렬 적분기를 이용하여 심볼 동기를 획득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에서는 2개의 적분기만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는 2개의 적분기만이 요구되므로, 적분기의 적분 연산에 의한 전류가 감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비동기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수신기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703 단계에서 BPF(501)는 수신되는 신호 중 특정 범위의 주파수에 존재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특정 범위를 벗어난 신호를 제거하여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며, 자승기(503)는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제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705 단계에서 제1적분기(505a)는 상기 출력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 열을 사용하여 한 심볼 주기 동안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출력하고, 제2적분기(505b)는 상기 출력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적분기(505a)보다 한 심볼 주기 늦게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출력한다.
707 단계에서 검출기(507)는 상기 설명한 심볼 동기 획득 방식을 통해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심볼 동기를 획득한다.
그리고 709 단계에서 판별기(509)는 상기 획득된 심볼 동기에서의 에너지 값 중 큰 값과 작은 값의 중간 값을 기준 레벨 값으로 결정하여 상기 획득된 심볼 동기에서의 에너지 값을 0 또는 1로 판별한다.
711 단계에서 디코더(511)는 상기 판별된 에너지 값을 디코딩하고, 713 단계에서 채널상태 판단기(513)는 채널변동으로 인해 디코딩된 신호의 수신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 709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 레벨 값을 다시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비동기 수신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적분 동기를 고려한 비동기 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 심볼 열의 시작 지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시간 해상도에 대한 적분 시작 지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비동기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수신기의 검출기에서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비동기 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6)

  1. 비동기 수신기에서 온-오프 키잉 변조에 의해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1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제1적분기와,
    상기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2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제2적분기와,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 내에서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두개의 심볼 주기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동기 획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들의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심볼 동기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동기 획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차에 따라 상기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을 시프트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적분기 및 상기 제2적분기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동기 획득장치.
  4. 비동기 수신기에서 온-오프 키잉 변조에 의해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로부터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1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1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의 임의의 지점인 제2지점에서부터 한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되는 신호를 적분하여 제2에너지 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되는 변조 심볼 열 내에서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에 의해 심볼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두개의 심볼 주기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동기 획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1에너지 값과 상기 제2에너지 값들의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심볼 동기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동기 획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차에 따라 상기 임의의 심볼이 시작되는 지점을 시프트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적분기 및 상기 제2적분기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볼 동기 획득방법.
KR1020080118314A 2008-11-26 2008-11-26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KR20100059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314A KR20100059515A (ko) 2008-11-26 2008-11-26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314A KR20100059515A (ko) 2008-11-26 2008-11-26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515A true KR20100059515A (ko) 2010-06-04

Family

ID=4236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314A KR20100059515A (ko) 2008-11-26 2008-11-26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5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1397C (en) Optimized combination of preamble and data fields for sensor networks having low electricity consumption on the basis of the telegram splitting method
US7099380B1 (en)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EP1543632B1 (en) Detection of impulse noise using unused spreading codes
JP2012253744A (ja) チャネル選択情報を受け取るための方法
CA2590022A1 (en) Channel estimator with extended channel bandwidth
CN101449534A (zh) 具有一个或多个接收器的无线通信系统中的联合分组检测
US11388734B2 (en) Concurrent multi-radio receiver
US100917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cket
JP2001196973A (ja) パス認定方法、cdma方式無線通信端末およびcdma方式無線通信システム
US11070246B2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
US8971462B2 (en) Channel quality determining circuit and related method thereof
JP2017519468A (ja) 無線通信
JP2016119644A (ja) 無線受信装置、電子機器、及び無線受信方法
KR102097367B1 (ko) 직교성을 갖는 동기 워드를 이용한 독립적인 패킷 검출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US8155243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ymbols and associated receiver
US901423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4103267A1 (ja) 受信装置及び復調方法
KR20100059515A (ko) 비동기 수신기에서의 심볼 동기 획득장치 및 방법
US109041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acket
US20090154541A1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US201600216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art frame delimiter
WO2014141711A1 (ja) 送信装置及び帯域幅調整方法
US20200084800A1 (en) Clear channel assessment
CN110235377A (zh) 解调器
CN1860695B (zh) 检测过程状态改变的和确定载频是否应跳过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