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285A - 다기능 조명 장비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명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285A
KR20100059285A KR1020080118008A KR20080118008A KR20100059285A KR 20100059285 A KR20100059285 A KR 20100059285A KR 1020080118008 A KR1020080118008 A KR 1020080118008A KR 20080118008 A KR20080118008 A KR 20080118008A KR 20100059285 A KR20100059285 A KR 20100059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power
tower
light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713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606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5928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08011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7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조명 장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이동 가능한 바퀴를 구비한 본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본체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조명부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변환부 및 전원변환부에서 공급 받은 교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를 포함하여, 별도의 발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독자적으로 사용 전원을 생산할 수 있고 다양한 작업 환경에 사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 전원변환부, 열풍공급부, 전압감압부

Description

다기능 조명 장비 {MULTI-FUNCTIONAL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항 등의 작업장에서 야간 작업시 조명을 제공해 줄 뿐 아니라 작업자에게 유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다기능 조명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이나 조명 설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환경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 타워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 타워는 조명 타워에 필요한 전원을 얻기 위해 기름으로 작동되는 발전기를 이용한다.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원을 얻는 경우에는 발전기에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기름탱크를 구비해야 하며, 발전기를 운전하는 동안 심한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조명 타워를 계속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전기의 운전에 필요한 기름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항상 여분의 기름을 보유한 상태이어야 하며, 외딴 지역인 작업자에서 보유한 기름마저 다 소모해 버리면 더 이상 작업을 할 수 없다.
조명 타워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의 환경이 전기 설비 등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 작업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지 못하고 수동 공구를 사 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추운 겨울철에 조명 타워를 사용하여 야간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추운 날씨로 인하여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을 할 수 없고, 작업에 사용해야 하는 장비들이 동결되어 작업을 위한 워밍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도 있다.
조명 타워가 사용되는 지역의 도로 포장이 잘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명 타워를 이동하는 도중에 울퉁불퉁한 지면 여건의 진동으로 인해 조명등이 분리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조명 타워에서 사용되는 조명장치가 많은 전력을 소모하고 수명이 짧은 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체 전원을 생산할 수 있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 과정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외딴 지역의 작업장 뿐만 아니라 거주 지역에 위치하는 작업장에도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명 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소형 전동 공구 또는 공압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기 설비를 구비해야 할 필요가 없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운 날씨 등 극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따뜻한 열풍을 공급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며, 동결된 장비 등을 워밍업 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명이 타워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명의 소비전력을 줄이고 조명의 수명을 늘일 수 있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바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상기 조명 부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공급 받은 교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자체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발전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발전기에 수시로 기름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직류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즉, 전원변환 과정을 거친 후 교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직류 전원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충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원공급부가 방전되더라도 전원공급부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나온 교류 전원의 전압을 낮추며, 외부 공구 연결되는 전압감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기능 조명 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상황에서 작업자는 다양한 전동공구를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전동공구를 조명 장비의 전원변환부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자 하는 전동공구의 규격 전압 때문에 별도의 감압기(즉, 트랜스)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나온 교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권취되는 제1전선릴 및 상기 전압감압부에서 나온 교류 전원 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권취되는 제2전선릴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전선릴은 외부 전동공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설치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주며, 전선 제거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상승하는 에어 펌프형 타워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펌프형 타워를 이용하여 조명부를 승강시킴으로써, 타워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견인이 가능하도록 견인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공급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공급 받은 교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야간 작업시 날씨가 추운 경우에도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외부 공압공구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호스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호스릴이 구비될 수 있다. 외부 공압공구에 연결되는 에어호스를 권취하기 위한 호스릴을 구비으로써 에어호스를 사용한 후에 쉽게 정리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열풍공급부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소화기 및 상기 소화기와 연결되어 상기 열풍공급부로 소화 물질을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풍공급부가 과열되더라도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바퀴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견인부의 일단에는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가 형성될 수 있다. 바퀴에 별도의 브레이크 내지 제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견인부가 바퀴에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바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타워부에 연결되고, 상기 타워부는 중첩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타워, 상기 타워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타워를 승강시키는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명부를 승강시키는 타워부를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타워부가 세워졌을 때 상기 타워를 지지하거나, 상기 타워부를 눕힐 때 밀어주기 위한 완충 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타워가 세워지면서 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타워가 다시 눕혀질 때 완충 스프링이 타워를 밀어 줌으로써 쉽게 타워를 눕힐 수 있다.
상기 타워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타워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타워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워분리방지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타워가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가 견인되어 이동하는 중에 타워가 상승하는 상태처럼 빠져 나올 수 있는데, 타워분리방지장치를 둠으로써 타워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타워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타워의 자세를 고정 하기 위한 타워직립유지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타워가 상승하면 타워 자체의 하중 또는 조명부의 하중 등에 의해 타워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쓰러질 수 있는데, 타워직립유지장치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타워의 끝단에 연결된 반사갓 및 상기 반사갓 내에 구비된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조명부가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조명부의 수명을 늘일 수 있다.
상기 반사갓은 상기 타워의 끝단과 이중으로 연결됨으로써, 조명부가 타워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의 외주부에는 상기 반사갓에 상기 LED 램프를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플랜지를 이용하여 LED 램프와 반사갓을 결합함으로써 조명 장비의 이동 중 또는 작업 중 받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LED 램프가 반사갓에서 풀려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견인이 가능하도록 견인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공급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공급 받은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 상기 열풍공급부 또는 상기 압축기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장비는 운전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기 위해 기름을 사용하는 발전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덜 구속 받으며 보다 극한 환경의 작업장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소음이 많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주거 지역이나 주거 지역 인근의 작업장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는 전원공급부 외에 예비발전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원공급계통에 고장이 생기더라도 예비발전기에 의해 임시 가동이 가능하고, 전원공급계통을 수리할 때까지 조명 장비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이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소형 전동공구나 공압공구를 조명 장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사용하는 전동공구 및 공압공구를 위한 별도의 전기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전동공구 등에 연결되는 전선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후 전선을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열풍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추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른 장비들의 동결 상태로 빨리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소화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풍 공급부 등의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신속히 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조명부와 타워를 이중으로 연결하여 조명부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장비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는 LED 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램프가 소비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램프의 수명을 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전원공급계통은 충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의 사용 수명이 길며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 (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 (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100)는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본체(110) 및 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1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111)는 본 체(110)의 양측에 설치된 바퀴 및 본체(110)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균형을 잡으며 회전 가능한 앞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앞바퀴를 설치하지 않고 양측에 설치된 바퀴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단에 조명부(130)가 설치된 타워부(140)가 본체(110)의 상부에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타워부(140)는 직경 또는 단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타워(141)가 중첩 삽입되어 있으며, 타워(141)의 일단에는 조명부(130)를 장착하기 위한 가로바(147)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바(147)에는 조명부(130)의 반사갓(132)이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2)을 포함하며, 케이싱(112)에는 측면도어(112a), 전면도어(112b) 및 후면도어(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112a,112b)에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들을 사용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를 흡입하거나 케이싱(112) 내부의 열을 식혀주기 위한 복수개의 타공(112c)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타워부(140)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타워지지부(116)가 형성되며, 타워지지부(116)에는 타워부(140)가 세워지는 과정에 타워부(140)와 타워지지부(116)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11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스프링(113)은 상단부가 타워지지부(116)에 부착되고 하단부는 곡선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큰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다. 즉, 완충 스프링(113)은 판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타워지지부(116)에는 타워부(140)의 타워(141)를 승강시키기 위한 윈치(145, winch)가 제공된다. 또한, 타워지지부(116)에는 타워부(140)가 세워진 상태에서 그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워직립유지장치(115)가 설치될 수 있다. 타워(141)가 상승하면 타워(141) 또는 조명부(130)의 하중이나 바람 등에 의해 타워(141)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쓰러질 수도 있는데, 타워직립유지장치(115)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타워직립유지장치(115)는 타워부(140)에 형성된 결속부(115a) 및 이와 맞물리도록 타워지지부(116)에 형성된 결속부(115b) 그리고, 이 2개의 결속부(115a,115b)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고정핀(115c)을 포함할 수 있다.
타워(141)에는 본체(110)에 타워(141)가 눕혀진 상태에서 복수개의 타워(141)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워분리방지장치(148)가 형성될 수 있다. 타워(141)가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10)가 견인되어 이동하는 중에 타워(141)가 상승하는 상태처럼 빠져 나올 수 있는데, 타워분리방지장치(148)를 둠으로써 타워(141)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150), 열풍공급부(180), 열풍공급부(180)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81), 열풍공급기(180)의 화재를 방지하는 소화기(182), 압축기용 에어탱크(19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후방측에는 전원공급부(150)가 구비되어 본체(110)에 설치된 전장부품 또는 외부의 공구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0)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되며, 4개 내지 8개 정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명부(13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자체 전원공급부(150)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발전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발전기에 수시로 기름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100)는 전원공급부(150) 외에 별도의 예비발전기(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한 전원계통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비발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50)에서 나오는 전원은 직류 전원인데, DC 24V 또는 DC 48V의 비교적 낮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낮은 전압을 조명부(130)나 열풍공급부(180) 또는 외부 장비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승압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일반적으로 외부 장비 등은 교류 전원을 사용하므로 전원의 상(phase) 변화 과정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50)의 일측에는 전원변환부(160)를 구비하여 전원공급부(150)의 DC 24V나 DC 48V의 전압을 AC 220V나 AC 250V의 전압으로 바꿀 수 있다. 여기서, 전원변환부(160)는 일종의 인버터(inverter)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전원변환부(160)에서 교류로 변환된 전원은 조명 장비(100)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외부 장비, 즉 조명 장비(100)를 사용하여 야간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동 공구 등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외부 전동 공구는 주로 110V 교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변환부(160)에서 나온 AC 220V나 AC 250V를 바로 사용할 수 없으며, 감압을 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체(110)에는 전압감압부(165)가 구비되어 있다. 전압감압부(165)는 일종의 변압기 또는 트랜스 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이 사용하는 전동공구 중에는 공기압을 이용하는 공압 공구 등도 있는데, 이러한 공압 공구에 공기압 내지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압축기(190) 및 공기 탱크(192)도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기(190)는 전원공급부(150)의 직류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즉, 전원변환부(160)에 의해 전원변환 과정을 거친 교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원공급부(150)의 직류 전원을 바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전원변환부(160) 또는 전압감압부(165)의 전원을 조명 장비(100)에서 떨어져 있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공구 등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선이나 콘센트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체(110)에는 제1 및 제2전선릴(162,164)이 구비되어 있다.
제1전선릴(162)은 전원변환부(160)에서 나온 교류 전원을 작업자 등이 사용하는 외부 공구 등에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권취되며(감기며), 제2전선릴(164)은 전압감압부(165)에서 나온 전원을 외부 공구 등에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권취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전선릴(162,164)은 전선이 자동으로 감길 수 있도록 릴(Reel) 원리로 구동된다. 이 때, 전선을 감는 릴의 작동 원리는 가정용 진공청소기의 코드를 감는 릴 등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전선릴(162,164)에 감기는 전선의 끝단부에는 외부 공구 등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162a,164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0)가 완전히 방전된 경우 전원공급부(150)를 교체하지 않고 다 시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는 전원충전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충전부(170)는 충전기로서 전원공급부(150)를 다시 재충전하는데 사용된다. 전원공급부(150)가 8개의 배터리로 구성된 경우 전원충전부(170)는 1개의 충전기로 구성되어 8개의 밧데리를 충전할 수도 있으며, 2개의 충전기로 구성될 경우에는 각각 4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조명 장비(100)를 작동시키고 작동을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CP)이 설치되며, 컨트롤 패널(CP)의 내부에는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ariable frequency drive)가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100)는 공항의 항공기 계류장에서 항공기의 야간 정비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데, 겨울철의 경우에는 공항 계류장은 매우 춥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운 작업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따뜻한 열풍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100)에는 열풍공급부(180)가 구비되어 있다.
열풍공급부(180)는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열풍을 방출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열풍기(181),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185), 공기흡입부(185)를 구동하는 모터(184), 열풍기(181)에 연결되어 작업자에게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호스(189,도 4 참조) 및 열풍기(181)에 연결된 연통(188)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18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본체(11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150) 또는 전원변환부(160)에서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10)에 설치된 연료탱크(187)의 연료를 이용하여 열풍공급부(18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얻을 수도 있다. 연료탱크(187)의 연료를 이용하기 위해 본체에(110)에 발전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풍기(181)의 일측에는 열풍기(181)에 연결되는 열풍공급호스(189)를 수납하기 위한 호스수납봉(183)은 힌지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프레임에 연결되며 호스수납봉(183)을 들어 올린 후, 플렉서블(flexible)한 열풍공급호스에 호스수납봉(183)을 넣은 후 호스수납봉(183)을 원위치시켜서 열풍공급호스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풍공급호스는 대략 340 mm의 직경을 가지며, 10 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데, 호스수납봉(183)을 열풍공급호스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열풍공급호스를 본체(110)에 수납할 수 있다.
작업자들이 사용하는 외부 공압공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에어호스를 위해 제2전선릴(164)의 일측에 호스릴(166)을 설치할 수도 있다. 호스릴(166)에 의해 길이가 긴 공압공구용 에어호스가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다. 호스의 끝단에는 호스 노즐(166a)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열풍공급부(180)가 과열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에는 소화기(182a), 소화기(182a)에 연결된 배관(182b) 및 배관(182b)의 끝단에 연결된 분사노즐(182c)을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소화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호스(189)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는 본체(110)에 보관되어 있다가, 열풍공급부(180)를 가동하여 작업자에게 열풍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에 보관된 열풍공급호스(198)를 꺼낸 후 열풍기(18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풍공급호스(189)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원거리에 있는 작업자까지 충분히 연장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비에 구비된 소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소화장치(182)는 조명 장비(100)의 열풍공급부(180) 등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소화장치(182)는 본체(110)에 설치된 소화기(182a), 소화기(182a)에 연결된 배관(182b) 및 배관(182b)의 끝단에 연결된 분사노즐(182c)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182c)은 스프링쿨러 타입으로 형성되어 보다 넓은 영역으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의 소화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소화장치(182)의 분사노즐(182c)은 열풍공급부(180) 등의 과열 상태에 의해 분사노즐(182c)을 막고 있는 촛농 또는 파라핀 등이 녹아 내려 분사노즐(182c)이 개방되거나, 분사노즐(182c) 자체에 열풍공급부(180)의 열기가 전달되면 열팽창과 열에 의한 녹아 내림으로 인해 분사노즐(182c)이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182c)이 열리게 되면, 소화기(182a)와 분사노즐(182c)을 연결하는 배관(182b)을 통해 소화물질이 배출되면서 분사된다. 이 때, 소화기(182a)는 일반적인 형태의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화기(182a)의 손잡이 레버는 항상 분사가 가능하도록 눌려져 있기 때문에 분사노즐(182c)만 개방되면 소화물질이 분사될 수 있다.
분사노즐(182c)은 분사 영역을 보다 키우기 위해 본체(110)의 상단부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지지하는 바퀴(111)에 판스프링(PS)으로 된 현가장치를 적용하여, 지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각종 작업 환경에서도 본체(110)를 견고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타워부(140) 및 조명부(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타워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비의 조명부를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100)의 타워부(140)는 조명부(130)가 연결되고 중첩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타워(141), 복수개의 타워(141)를 연결하는 와이어(143) 및 와이어(143)를 권취하여 타워(141)를 승강시키는 윈치(1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타워부(140)는 타워부(1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워부(140)가 수평방향으로 본체(110)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경우이다.
복수개의 타워(141)는 직경이나 단면적이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복수개의 타워를 구비하고, 가장 큰 타워 안에 중간 크기의 타워를 삽입하고 중간 크기의 타워 안에 가장 작은 크기의 타워를 삽입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상태의 타워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각 타워(141)들을 와이어(143)로 연결한다. 와이어(143)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타워(141)에는 롤러(143a)를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워(141)는 타워지지부(116)에 힌지(149)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타워지지부(116)의 하단부로 연장되는 와이어(143)의 끝부분은 윈치(145)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의 타워부(140)는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이며, 윈치(145)를 돌리면 윈치(145)에 의해 와이어(143)가 감기면서 복수개의 타워(141)가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일반적인 텔레스코픽 타워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와이어를 이용하여 타워부(140)를 승강시킬 뿐만 아니라 유압이나 공기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타워(141) 내부에 유압이나 공기압을 주입하여 타워부(1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유압 방식으로 타워부(140)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타워(141) 내부에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설치하고 타워부(140)의 일측에는 유체 탱크(미도시)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압 방식으로 타워부(140)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타워(141) 내부에 밀봉된 공기 주입부(미도시)를 마련하고 타워부(140)의 일측에는 공기탱크(미도시)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타워부(140) 중 가장 작은 타워(141)의 끝단에는 조명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조명부(130)를 타워(141)에 장착하기 위해 타워(141)의 끝단에는 가로바(147, 도 1 참조)를 부착하고 가로바(147)에 조명부(13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조명부(130)의 반사갓(132)에는 고정프레임(135)이 연결되고, 이 고정프레임(135)을 가로바(147)에 고정한다. 반사갓(132)은 고정프레임(135)에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반사갓(132) 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바(147)와 고정프레임(135) 간의 연결상태, 또는 고정프레임(135)과 반사갓(132) 간의 연결상태가 헐거워져 반사갓(132)이 분리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반사갓(132)과 가로바(147)를 연결하는 보조연결수단(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a의 부분 확대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연결수단(133)은 체인으로 구성되며, 반사갓(132)에는 브라켓(134)이 볼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보조연결수단(133)의 일단은 가로바(147)에 연결되고 타단은 브라켓(13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인으로 된 보조연결수단(133)과 고정프레임(135)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조명부(130) 내지 반사갓(132)을 타워(141)에 연결함으로써, 조명부(130)가 타워부(1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조명부(130)는 타워(141)의 끝단에 연결된 반사갓(132) 및 반사갓(132) 내에 구비된 LED 램프(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으로 LED(발광 다이오드) 램프(136)를 사용함으로써 조명부(130)가 소비하는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조명부(130)의 수명을 늘일 수 있다.
여기서, LED 램프(136)의 외주부에는 반사갓(132)에 LED 램프(136)를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랜지(137)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플랜지(137)를 이용하여 LED 램프(136)와 반사갓(132)을 연결 고정함으로써 조명 장비(100)의 이동 중에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LED 램프(136)가 반사갓(13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체(110)의 전방부에 구비된 견인부(120)에 대 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비의 견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비(100)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는 없으며 차량에 견인되어 원하는 작업지까지 이동되는 견인식 조명 장비(100)이며, 견인을 위해 본체(110)의 전방부에는 견인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111)를 구비하며, 바퀴(111) 중 전방부에 구비된 바퀴에 견인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견인부(120)는 전방 바퀴(111)를 회전시켜 조명 장비(100)의 진로를 변경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전방 바퀴(111)가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할 수도 있다.
견인부(120)는 견인하는 차량 등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바퀴 프레임(128)에 연결되는 견인로드(121), 바퀴 프레임(128)에 설치되어 견인로드(121)에 걸리는 후크(122)를 포함한다. 후크(122)와 접촉하는 견인로드(121)에는 후크걸림부(124)가 형성되며, 견인로드(121)가 움직임에 따라 후크(122)는 후크걸림부(124)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바퀴 프레임(128)과 연결되는 견인로드(121)의 끝부분에는 회전힌지부(127)가 구비되어, 견인로드(121)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바퀴 프레임(128)과 연결되는 견인로드(121)의 끝부분에는 브레이크(126)가 구비되어 있다. 브레이크(126)는 바퀴(111)와 직접 접촉하여 바퀴(111)를 제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111)에 별도의 브레이크 내지 제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견인부(120)가 바퀴(111)에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바퀴(111)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8a에는 브레이크(126)가 바퀴(111)와 접촉하여 바퀴(111)가 브레이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바퀴(111)를 제동하기 위해 작업자가 견인로드(121)를 들어 올리면 브레이크(126)와 바퀴(111)가 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바퀴(111)는 굴러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크(122)가 후크걸림부(12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후크걸림부(124)에는 후크(122) 모양에 대응하는 후크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b에는 바퀴(111)의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조명 장비(100)가 견인되거나 작업을 위해 멈춘 경우에는 견인로드(121)가 내려오게 되므로 브레이크(126)는 바퀴(111)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견인부(120)에 의해 바퀴(111)의 구름 운동 뿐만 아니라 회전 운동을 제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전원공급부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바꾸기 위한 전원변환부 및 전원공급부를 재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충전부를 포함하는 전원계통을 구비한 다기능 조명 장비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전원공급부, 전원변환부 및 전원충전부 대신 발전기(미도시)를 포함하는 전원계통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부 대신 발전기를 이용하여 조명부, 열풍공급부 및 압축기가 필요로 하는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교류 전원을 발전기에서 바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변환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전원충전부가 없어도 된다. 다만, 발전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공압공구를 위한 전압감압부는 있 어야 한다.
발전기를 이용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조명 장비에서 전원공급부, 전원변환부 및 전원충전부만 발전기로 대체하는 것이므로 나머지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된 다기능 조명 장비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비에 구비된 소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비의 타워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비의 조명부를 측면도 및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비의 견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다기능 조명 장비 110:본체
120 : 견인부 130 : 조명부
140:타워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전원변환부 170 : 전원충전부
180 : 열풍공급부 190:압축기
CP : 컨트롤 패널

Claims (19)

  1. 이동 가능한 바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상기 조명부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변환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공급 받은 교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
    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직류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충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나온 교류 전원의 전압을 낮추며, 외부 공구 연결되는 전압감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나온 교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권취되는 제1전선릴 및 상기 전압감압부에서 나온 교류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권취되는 제2전선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상승하는 에어 펌프형 타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7. 견인이 가능하도록 견인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공급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공급 받은 교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
    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외부 공압공구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호스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호스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열풍공급부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소화기 및 상기 소화기와 연결되어 상기 열풍공급부로 소화 물질을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바퀴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견인부의 일단에는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타워부에 연결되고,
    상기 타워부는 중첩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타워, 상기 타워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타워를 승강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타워부가 세워졌을 때 상기 타워를 지지하거나, 상기 타워부를 눕힐 때 밀어주기 위한 완충 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타워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타워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워분리방지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타워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타워의 자세를 고정하기 위한 타워직립유지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타워의 끝단에 연결된 반사갓 및 상기 반사갓 내에 구비된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은 상기 타워의 끝단과 이중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의 외주부에는 상기 반사갓에 상기 LED 램프를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8. 견인이 가능하도록 견인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공급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열풍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서 공급 받은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공압공구에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압축기;
    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상기 열풍공급부 또는 상기 압축기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 장비.
KR1020080118008A 2008-11-26 2008-11-26 다기능 조명 장비 KR10102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08A KR101024713B1 (ko) 2008-11-26 2008-11-26 다기능 조명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08A KR101024713B1 (ko) 2008-11-26 2008-11-26 다기능 조명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285A true KR20100059285A (ko) 2010-06-04
KR101024713B1 KR101024713B1 (ko) 2011-03-24

Family

ID=4236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008A KR101024713B1 (ko) 2008-11-26 2008-11-26 다기능 조명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710B1 (ko) * 2019-11-08 2020-06-03 최진민 안전을 위한 안개 작업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96B1 (ko) * 2013-05-27 2014-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트레일러형 다기능 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292U (ko) * 1998-04-09 1998-07-06 김윤수 온냉풍기
KR19990080775A (ko) * 1998-04-21 1999-11-15 최길호 조명차량
JP2006351486A (ja) * 2005-06-20 2006-12-28 Ntt Facilities Inc 移動式投光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710B1 (ko) * 2019-11-08 2020-06-03 최진민 안전을 위한 안개 작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713B1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438B2 (en) Low-profile collapsible lighting system
CN102199910A (zh) 道路建筑机器,特别是道路修整机或道路修整机供料机
CA2251302C (en) Aerial work platform with removably attachable support structure for auxiliary power plant
KR101024713B1 (ko) 다기능 조명 장비
US20220098017A1 (en) Elevating nacelle suitable for indoor and all-terrain outdoor use
US7989980B2 (en) Portable self regenerating power system
CN210309987U (zh) 一种公共充电桩
KR1010701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 타워
US2022021468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assisted hanging ring robot for live installation and grounding
CN217178325U (zh) 一种便携多功能野营灯
CN107554281B (zh) 清洁车混合动力系统及清洁车
CN113224591B (zh) 一种可升降式多功能机动电源电缆盘结构
CN201297515Y (zh) 具有多种充电模式的野营灯
CN207555423U (zh) 高低随调照明装置
CN209782471U (zh) 一种具有智能弱电供电系统的路灯
CN209801343U (zh) 一种可移动式照明设备
AU2017100963A4 (en) Light Tower
CN112389226A (zh) 一种人工智能充电装置
CN218216777U (zh) 一种可维护的大容量电力储能装置
AU2007234483C1 (en) A Lighting System
KR101266419B1 (ko) 태양광 충전식 조명스탠드
CN211829586U (zh) 一种智能灯控的电力环网柜
JP2008088642A (ja) 散水機
CN216769207U (zh) 一种吸顶式免维护防暴平台灯
CN217519000U (zh) 一种云梯作业车用油电混合动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0520

Effective date: 2013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