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243A -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 Google Patents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243A
KR20100058243A KR1020080116988A KR20080116988A KR20100058243A KR 20100058243 A KR20100058243 A KR 20100058243A KR 1020080116988 A KR1020080116988 A KR 1020080116988A KR 20080116988 A KR20080116988 A KR 20080116988A KR 20100058243 A KR20100058243 A KR 20100058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upport
membrane
electrolyte membrane
polyme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9731B1 (en
Inventor
문승현
이재영
우중제
서석준
윤성현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1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31B1/en
Publication of KR2010005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PURPOSE: A polymer membran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reof are provided to accelerate a catalyst reaction by enabling water generated from a reduction electrode to be absorbed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CONSTITUTION: A polymer membrane comprises the following: a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er(14) in a single layer with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a pore(15) exposed on the first or the second surface while penetrating the supporter. The size of the pore exposed on the firs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ore on the second surface. The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er contains a hydrophilic polymer located on the pore.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막,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막-전극 접합체{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with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전해질막,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연료전지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고효율 전기화학 시스템(Electrochemical system)이다. 여타의 전기 에너지 공급원에 비해 연료전지가 갖고 있는 우월한 이점은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이다.Fuel cells are highly efficient electrochemical systems that convert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 advantage of fuel cells over other sources of electrical energy is their high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이러한 연료전지는 수소이온이 이동하는 통로인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환원전극으로부터 발생되는 물에 의해 고분자 전해질막의 국부적인 면에 물이 축적되고 촉매 반응이 억제되므로, 연료전지의 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The fuel cell may includ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hydrogen ions move. However,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ter is accumulated on the local sid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water generated from the cathode, and the catalytic reaction is suppressed, thereby reducing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물관리가 가능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ich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fuel cell by enabling water management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t 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 상기 공극 내에 위치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nolayer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support is a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facing each other through the support It provide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pores exposed in the plane,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and comprises a hydrophilic polymer located in the pores.

상기 공극은 그의 크기가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는 BPPO, PI, PVDF 또는 IEC 1.5 이하의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IEC 1.5 이하의 고분자는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IEC 1.5 이상의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일 수 있다. The voids can gradually increase in size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The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may be prepared using a polymer of BPPO, PI, PVDF or IEC 1.5 or less, and the polymer of IEC 1.5 or less may be SPPO, SPES, SPEK, SPEEK or SPS. In addition, the hydrophilic polymer may be SPPO, SPES, SPEK, SPEEK or SPS of IEC 1.5 or higher.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 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 상기 공극 내에 친수성 고분자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p of forming a single layer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suppor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and facing each other of the support and A polymer having pores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is 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and comprising placing a hydrophilic polymer in the pores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lyte membrane.

상기 비대칭 지지체는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전이법은 용매와 비용매와의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극 내에 친수성 고분자를 위치시키는 것은 세공충진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symmetric support can be formed using a phase transition method. The phase transfer method may be performed by reaction of a solvent and a non-solvent. Positioning the hydrophilic polymer in the voids may be used in the pore filling method.

상술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및 상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 상기 공극 내에 위치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구비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환원전극은 상기 비대칭 지지체의 제2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is a single layer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the support is A pore penetrating the support and ex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facing surfaces of the support, wherein the size of the void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void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and It provides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 hydrophilic polymer located in the voids. The cathode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은 비대칭 지지체 및 상기 비대칭 지지체 내에 위치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그런 후, 상기와 같이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소수성이 높은 제1면을 산화전극과 접촉하 여 배치시키고, 친수성이 높은 제2면을 환원전극과 접촉하여 배치시켰다. 그 결과, 상기 환원전극에서 발생되는 물은 환원전극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친수성 영역의 고분자 전해질막 표면에서 흡수될 수 있으므로, 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친수성 영역에서 흡수된 물은 확산에 의해 산화전극 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산화전극에 계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가능해져, 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 void ex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size of the voids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being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a small asymmetric support and a hydrophilic polymer positioned in the asymmetric support was prepared, compared to the size of the pores. Then, the first hydrophobic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anode, and the second hydrophilic surface wa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duction electrode. As a result, water generated in the cathode may not be accumulated in the cathode, and may be absorbed from the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the hydrophilic region, and thus the catalytic reaction may be actively progres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In addition, since water absorbed in the hydrophilic region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moved toward the anode by diffus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moisture to the anode,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ion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실시예 1Example 1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A to 1D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소수성 고분자를 제1 용매에 용해하여 소수성 고분자 용 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BPPO(brominate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I(polyim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IEC(ion exchange capacity) 1.5 이하의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IEC(ion exchange capacity) 1.5 이하의 고분자는 술폰화된 고분자의 이온교환용량이 1.5 이하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IEC 1.5 이하의 고분자는 SPPO(sulfonate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SPES(sulfonated polythersulfone), SPEK(sulfonated poly(etherketone)), SPEEK(poly(etheretherketone)) 또는 SPS(sulfonated polystyrene)일 수 있다. 상기 제1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 NMP),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N,N-Dimethyl acetamide; DMAc)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a hydrophobic polymer solution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a hydrophobic polymer in a first solvent. The hydrophobic polymer may be a polymer of BPPO (brominated poly (2,6-dimethyl-1,4-phenylene oxide)), PI (polyimide),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or IEC (ion exchange capacity) 1.5 or less have. The polymer having an ion exchange capacity (IEC) 1.5 or less may exhibit an ion exchange capacity of 1.5 or less. Specifically, the polymer of IEC 1.5 or less may include sulfonated poly (2,6-dimethyl-1,4-phenylene oxide) (SPPO), sulfonated polythersulfone (SPES), sulfonated poly (etherketone) (SPEK), and poly (etheretherketone) SPEEK. ) Or sulfonated polystyrene (SPS). The first solvent may be N-methylpyrrolidone (NMP), dimethylformamide (DMF) or N, N -dimethylacetamide ( N, N -dimethyl acetamide; DMAc).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비대칭 지지체(도 1b의 14)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대칭 지지체(도 1b의 14)는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전이법은 소수성 고분자용액을 유리판(11) 상에 캐스팅하여 소수성 고분자막(12)을 형성한 후, 응고액(13) 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이 형성된 유리판(11)을 담금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응고액(13)은 비용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없는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응고액(13)은 상기 비용매와 함께 상기 소수성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응고액(13)으로서 비용매와 함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전이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의 공극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용매는 증류수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N-메틸피 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일 수 있다. By using the hydrophobic polymer solution it can be prepared an asymmetric support (14 in Fig. 1b). The asymmetric support (14 in Figure 1b) can be prepared using a phase transition method. Specifically, the phase transition method casts a hydrophobic polymer solution on the glass plate 11 to form a hydrophobic polymer film 12, and then immersed the glass plate 11 having the hydrophobic polymer film 12 formed in a coagulation solution 13. Can be done. The coagulating solution 13 may contain a non-solvent, specifically a solvent that cannot dissolve the hydrophobic polymer. The coagulating solution 13 may further contain a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hydrophobic polymer together with the non-solvent. When the solvent is mixed with the nonsolvent as the coagulating solution 13, the phase transition rate can be adjusted, and thus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12 can be controlled. The non-solvent may be distilled water, and the solvent may be N-methylpyrrolidone, dimethylformamide or N, N-dimethylacetamide.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이 형성된 유리판(11)을 비용매 및 용매의 혼합용액에 담가 1차 상전이 시키고, 상기 1차 상전이된 유리판(11)을 다시 비용매에 담가 2차 상전이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glass plate 11 on which the hydrophobic polymer film 12 is formed may be immersed in a mixed solution of a non-solvent and a solvent for first phase transition, and the first phase transition glass plate 11 may be immersed in a non-solvent for secondary phase transition. .

즉, 상기 유리판(11)에 캐스팅된 소수성 고분자막(12)을 응고액(13)에 침지시키면, 소수성 고분자막(12) 및 응고액(13)에 함유된 각각의 용매 및 비용매의 반응에 의해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의 표면이 상전이되어 겔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의 표면은 다수의 미세공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세공극은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 내부로 비용매가 유입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hydrophobic polymer film 12 cast on the glass plate 11 is immersed in the coagulation solution 13, the reaction is performed by the reaction of the respective solvents and nonsolvents contained in the hydrophobic polymer film 12 and the coagulation solution 13.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polymer film 12 may be phase shifted to gel.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polymer film 1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icropores. The micropores may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non-solvent flows into the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12.

상기 미세공극을 통해 유입되는 비용매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 내부를 겔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은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비용매-용매 반응이 느리므로 상전이 속도가 느릴 수 있다. 따라서, 상전이 속도가 느릴수록 기공의 크기가 커지므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막(12)의 공극(도 1b의 15)은 상기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The non-solvent introduced through the micropores may gel the inside of the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12. However, since the non-solvent-solvent reaction is slower as the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12 enters the surface, the phase transition speed may be slow. Therefore, since the pore size increases as the phase transition speed decreases, the voids (15 in FIG. 1B) of the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12 may gradually increase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를 통해 제조된 비대칭 지지체(14)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지지체(14)는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4)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14)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1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15)은 그의 크기가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 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an asymmetric support 14 made through FIG. 1A is provided. Asymmetric support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ingle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through the support 14 to the mutual support of the support 14 It may have a void 15 exposed in the oppos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In addition, the air gap 15 may gradually increase in size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direction.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비대칭 지지체(14)의 공극 내에 친수성 고분자(도 1d의 16)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도 1d의 16)는 IEC 1.5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도 1d의 16)는 세공충진법을 이용하여 상기 비대칭 지지체(14)의 공극(15)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C, a hydrophilic polymer (16 of FIG. 1D)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pores of the asymmetric support 14. The hydrophilic polymer (16 of FIG. 1D) may be a polymer of IEC 1.5 or higher, and specifically, may be SPPO, SPES, SPEK, SPEEK, or SPS. The hydrophilic polymer (16 in FIG. 1D) may be positioned in the cavity 15 of the asymmetric support 14 using pore filling.

구체적으로 상기 세공충진법은 친수성 고분자를 제2 용매에 용해하여 친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유리판(11)에 캐스팅하여 친수성 고분자막(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일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pore filling method, a hydrophilic polymer solution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a hydrophilic polymer in a second solvent and casting the same on a glass plate 11 to form a hydrophilic polymer membrane 17. The second solvent may be N-methylpyrrolidone, dimethylformamide or N, N-dimethylacetamide.

도 1a 및 도 1b를 통해 제조된 비대칭 지지체(14)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막(17)에 함유된 제2 용매에 의해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용매를 함유하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막(17)은 상기 비대칭 지지체(14)에 대해 친화도를 갖고 또한 상기 공극(15)으로 인한 모세관 힘으로 인해, 상기 친수성 고분자(도 1d의 16)가 상기 비대칭 지지체(14)의 공극(15) 내에 자발적으로 이동되어 세공충진될 수 있다. The asymmetric support 14 produced through FIGS. 1A and 1B may have solubility by the second solvent contained in the hydrophilic polymer film 17. Thus, the hydrophilic polymer film 17 containing the second solvent has an affinity for the asymmetric support 14 and also due to the capillary force caused by the voids 15, the hydrophilic polymer (16 in FIG. 1D). May be spontaneously moved and filled in the pores 15 of the asymmetric support 14.

그러나, 상기 비대칭 지지체(14)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막(17)의 제2 용매에 대해 용해도를 가져 상기 비대칭 지지체(14)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제2 용매에 대해 포화상태로 용해시킨 후 상기 친수성 고분자막(17)을 형성시켜, 상기 비대칭 지지체(14)가 상기 제2 용매에 대해 더 이상 용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However, the asymmetric support 14 may have solubility in the second solvent of the hydrophilic polymer film 17, thereby damaging the asymmetric support 14. Therefore, the hydrophilic polymer may be dissolved in a satura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olvent and then the hydrophilic polymer membrane 17 may be formed so that the asymmetric support 14 is no longer dissolved in the second solvent.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제2 용매에 대해 포화상태로 용해시키는 방법 외에도 도 1a에서 상기 비대칭 지지체(14)를 형성함에 있어 가교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issolving the hydrophilic polymer in a satura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olvent as described above, a crosslinking step may be performed in forming the asymmetric support 14 in FIG. 1A.

예컨대, 상기 가교는 상기 비대칭 지지체(14)를 가교용액 내에 침지시켜 공유결합 또는 이온결합을 유도함으로써 가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침지시간은 3시간 내지 15시간일 수 있다. 상기 가교용액은 암모니아 또는 디아민(diamine)계열의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디아민계열의 용액은 1,6-디아미노헥산(1,6-diaminohexan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또는 p-페닐렌디아민(p-phenylendiamine)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대칭 지지체(14)를 가교시키는 경우, 상기 비대칭 지지체(14)의 강도가 향상되어 상기 제2 용매에 의해 상기 비대칭 지지체(14)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rosslinking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asymmetric support 14 in the crosslinking solution to induce covalent or ionic bonds. The immersion time may be 3 hours to 15 hours. The crosslinking solution may be ammonia or diamine (diamine) solution, the diamine solution is 1,6-diaminohexane (1,6-diaminohexane), ethylenediamine (ethylenediamine) or p -phenylenediamine ( p- phenylendiamine). When the asymmetric support 14 is crosslinked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asymmetric support 14 may be improved so that the asymmetric support 14 may not be damaged by the second solvent.

이어 상기 친수성 고분자(도 1d의 16)가 공극(15) 내에 위치된 비대칭 지지체(14)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15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The hydrophilic polymer (16 of FIG. 1D) may then dry the asymmetric support 14 located in the void 15. The drying may be performed for 5 hours to 15 hours at a temperature of 50 ℃ to 80 ℃.

상기 건조된 친수성 고분자(도 1d 의 16)가 공극(15) 내에 위치된 비대칭 지지체(14)를 산처리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처리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된 술폰부분의 염이온(Na+, K+, alkyl amonium ion)을 수소로 치환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처리는 2N 농도의 황산(H2SO4) 수용액, 1N 질산(HNO3) 수용액 또는 1N 염산(HCl) 수용액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24시간 동안 담근 후 증류수에 세척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증류수에 담금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0.5몰 농도의 황산(H2SO4) 수용액에 넣어 2시간 동안 끓이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dried hydrophilic polymer (16 in FIG. 1D) may be acid-treated with the asymmetric support 14 positioned in the pore 15 to prepar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acid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replace the salt ions (Na + , K + , alkyl amonium ions) of the sulfone portion includ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ith hydrogen. In the acid treatment,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immersed in 2N aqueous sulfuric acid (H 2 SO 4 ) solution, 1N nitric acid (HNO 3 ) solution, or 1N hydrochloric acid (HCl) solution for 24 hours, washed in distilled water, and then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It can be performed as immersion in. In addi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added to a 0.5 molar sulfuric acid (H 2 SO 4 ) aqueous solution to boil for 2 hours.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도 1c를 통해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10)이 제공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은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14)의 공극(도 1b의 15) 내에 친수성 고분자(16)가 위치할 수 있다. 즉, 고분자 전해질막(10)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을 관통하여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14) 및 친수성 고분자(16)가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친수성 고분자(16)는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친수성 고분자(16)의 크기가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친수성 고분자(16)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친수성 고분자(16)는 그의 크기가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prepared through FIG. 1C is provid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the hydrophilic polymer 16 may be located in the pores (15 of FIG. 1B) of the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14. That i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is formed of a single layer hav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penetrates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to form a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14 and a hydrophilic polymer 16. May be formed to intersect. In addition, the hydrophilic polymer 16 ex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has the size of the hydrophilic polymer 16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Compared to the size of the hydrophilic polymer 16 can be. That is, the size of the hydrophilic polymer 16 may be gradually increas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은 서로 다른 친수도를 가질 수 있다. 즉, 비대칭 지지체(14)의 공극의 크기가 큰 제2면은 고분자 전해질막(10)의 총면적에 비해 비대칭 지지체(14) 내에 충진된 친수성 고분자(16)의 면적이 크므로 친수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비대칭 지지체(14)의 공극의 크기가 작은 제1면은 고분자 전해질막(10)의 총면적에 비해 소수성 고분자의 면적이 크므로, 소 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막(10)을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각각에서 발생되는 물에 대한 건조 및 홍수 현상을 방지하고,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Both surface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different hydrophilicities. That is, the second surface having the large pore size of the asymmetric support 14 may exhibit hydrophilicity because the area of the hydrophilic polymer 16 filled in the asymmetric support 14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The first surface having a smaller pore size of the asymmetric support 14 has a larger hydrophobic polymer area than the total area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and thus may exhibit hydrophobicity. Therefore,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prevent drying and flooding of water generated at each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

또한, 소수성 고분자에 비해 술폰화 정도가 높은 친수성 고분자(16)는 이온 전도성이 좋아 수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비대칭 지지체(14)를 통해서는 메탄올이 투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메탄올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ydrophilic polymer 16 having a higher degree of sulfonation than the hydrophobic polymer has good ion conductivity and facilitates the movement of hydrogen. On the other hand, since methanol cannot pass through the asymmetric support 14, wh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directly applied to a methanol fuel cell,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ethanol transmittance.

제조예 1: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소수성 고분자로서 BPPO를 N-메틸피롤리돈에 20wt%로 용해하여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유리판에 캐스팅 하고, N-메틸피롤리돈과 물을 4:6으로 혼합한 용액에 담가 1차 상전이 반응을 수행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1차 상전이 반응은 6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이어 상기 1차 상전이 반응이 수행된 막을 증류수에 담가 2차 상전이 반응을 수행하여 두께가 40㎛인 비대칭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2차 상전이 반응은 3시간동안 수행하였다. 그런후, 상기 비대칭 지지체를 암모니아 용액에서 3시간 침지하여 가교시킨 후 건조시켰다. 상기 비대칭 지지체의 건조는 50℃의 온도에서 12시간동안 수행하였다. As hydrophobic polymer, BPPO was dissolved in N-methylpyrrolidone at 20wt% to prepare a hydrophobic polymer solution. The hydrophobic polymer solution was cast on a glass plate and immersed in a solution of N-methylpyrrolidone and water in a 4: 6 mixture to perform a first phase transition reaction to prepare a membrane. In this case, the first phase transi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6 hours. Subsequently, the membrane subjected to the first phase transition reaction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to perform a second phase transition reaction to prepare an asymmetric support having a thickness of 40 μm. In this case, the second phase transition reaction was performed for 3 hours. The asymmetric support was then crosslinked by immersion in ammonia solution for 3 hours and then dried. Drying of the asymmetric support was carried out for 12 hours at a temperature of 50 ℃.

이어 친수성 고분자로서 IEC 2.5의 SPPO를 N-메틸피롤리돈에 40wt%로 용해하여 친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 용액을 유리판에 80㎛ 두께로 캐스팅 하였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 용액 상에 상기 비대칭 지지체를 올려놓은 후, 50℃의 온도를 가하여 세공 충진을 유도하였다. 상기 세공 충진 후 테플론 필름을 이용하여 비대칭 지지체의 표면에 묻어있는 친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거한 후, 8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이 후, 1N HCl 용액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담가 12 시간동안 산처리 후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하였다. Subsequently, SPPO of IEC 2.5 was dissolved in 40 wt% of N-methylpyrrolidone as a hydrophilic polymer to prepare a hydrophilic polymer solution. The hydrophilic polymer solution was cast on a glass plate with a thickness of 80 μm. After the asymmetric support was placed on the hydrophilic polymer solution, a temperature of 50 ° C. was added to induce pore filling. After the pore filling, the hydrophilic polymer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was removed using a Teflon film, and then dried at 80 ° C. for 12 hours to prepar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ubsequently,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immersed in 1N HCl solution, followed by acid treatment for 12 hours, followed by sufficient washing with distilled water.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지지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2A is a SEM image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symmetr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비대칭 지지체는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는 공극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은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 점차 증가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a, it can be seen that the asymmetric support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has a por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void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도 2b 및 도 2c는 비대칭 지지체의 표면을 나타내는 SEM이미지이다. 2B and 2C are SEM images showing the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비대칭 지지체의 제1면은 공극(13)의 크기가 작으며, 수십나노 크기를 가지며(도 2b), 비대칭 지지체의 제2면은 공극(13)의 크기가 크며, 수십마이크로 크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도 2c). 2B and 2C, the first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has a small size of the voids 13, and has tens of nanometers in size (FIG. 2B),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has a size of the voids 13. It can be seen that it is large and has a size of several tens of microseconds (FIG. 2C).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비대칭 지지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3 is an SEM image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symmetric support impregnat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법에 의해 친수성 고분자가 비대칭 지지체 내에 잘 함친된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hydrophilic polymer is well embedded in the asymmetric support by the method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비대칭 지지체의 양면에서의 접촉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contact angles on both sides of an asymmetric support impregnat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비대칭 지지체의 제1면은 친수성 고분자의 면적이 적어 친수도가 적으며, 물과 접촉되는 접촉각이 65°로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도 4a). 또한,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비대칭 지지체의 제2면은 친수성 고분자의 면적이 커 친수도가 높으며, 물과 접촉되는 접촉각이 52°로서 상기 도 4a의 면에 비해 접촉각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도 4b).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양면의 접촉각이 다르므로, 막에 대한 친수도를 이용하여 물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a and 4b,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philic polymer has a small hydrophilicity due to the small area of the hydrophilic polymer, and has a high contact angle of 65 ° in contact with water (FIG. 4a). ).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hydrophilic polymer has a large hydrophilic polymer and a high hydrophilicity, and a contact angle contacting with water is 52 °,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urface of FIG. 4A (FIG. 4A). 4b). Therefore, since the contact angles of both surface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it is determined that water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hydrophilicity of the membrane.

실시예 2Example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막-전극 접합체는 산화전극(20), 환원전극(30) 및 상기 산화전극(20) 및 환원전극(30)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 전해질막(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20, a cathode electrode 30, an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dispos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20 and the cathode electrode 30. .

상기 산화전극(20) 및 환원전극(30)은 담지촉매, 이오노머 및 제4 용매를 혼합하여 잉크촉매를 제조하고, 이를 다공성 지지체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담지촉매는 탄소재료 및 백금촉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양이온 교환기를 구비하는 물질로서 상기 양이온 교환기는 술폰산기 또는 카르복시기일 수 있다. 상기 제3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과염소산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산화전극(20) 및 환원전극(30)은 스프레이법, 페인팅법, 닥터블레이드법 또는 전사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anode 20 and the cathode 30 may be formed by mixing a supported catalyst, an ionomer, and a fourth solvent to prepare an ink catalyst, and coating the same on a porous support. The supported catalyst may be a mixture of a carbon material and a platinum catalyst. The ionomer is a material having a cation exchange group, and the cation exchange group may be a sulfonic acid group or a carboxyl group. The third solvent may be water, alcohol or perchloric acid solution. The anode 20 and the cathode 30 may be formed using a spray method, a painting method, a doctor blade method, or a transfer method.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1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14), 상기 지지체(14)는 상기 지지체(14)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14)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 상기 공극 내에 친수성 고분자(16)가 위치된 막일 수 있다.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may be the same a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That i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has a single layer of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14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the support 14 penetrates the support 14 to support the support ( 14) having pores exposed in opposite first and second faces, wherein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first 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second face and is hydrophilic in the pores. It may be a membrane on which the polymer 16 is located.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은 양면이 다른 친수도를 가질 수 있다. 즉, 공극의 크기가 큰 제2면은 친수성이 클 수 있으며, 공극의 크기가 작은 제1면은 소수성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막-전극 접합체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의 제1면을 상기 산화전극(20) 면과 접촉하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10)의 제2면을 상기 환원전극(30) 면과 접촉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Both surface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may have different hydrophilicities. That is, the second surface having a large pore size may have high hydrophilicity, and the first surface having a small pore size may have high hydrophobicity. Therefore, in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the first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xide electrode 20,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0 is the reduction electrode ( 30) can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face.

그 결과, 상기 환원전극(30)에서 발생되는 물은 환원전극(30)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제2면, 즉, 친수성 영역의 고분자 전해질막 표면에서 흡수될 수 있으므로, 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친수성 영역에서 흡수된 물은 확산에 의해 산화전극(20) 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산화전극(20)에 계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가능해져, 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a result, water generated in the reduction electrode 30 is not accumulated in the reduction electrode 30 and can be absorbed from the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the second surface, that is, the hydrophilic region, and thus the catalytic reaction proceeds actively. Thus,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water absorbed in the hydrophilic region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moved toward the anode 20 by diffus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the moisture to the anode 20,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ions. Can be.

제조예 2: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SPA)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Membrane-Electrode Assembly (SPA)

40wt% Pt/C 담지촉매, 5wt% 나피온 이오노머 용액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을 혼합하여 촉매잉크를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잉크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산 시킨 후 각각의 전극 지지체에 도포하여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을 제조하였다. 이 때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의 백금함량은 0.4mg/cm2 이었으며 전극 면적은 5 cm2 이었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되었다. A catalyst ink was prepared by mixing a 40 wt% Pt / C supported catalyst, 5 wt% Nafion ionomer solution, and isopropyl alcohol (IPA). The catalyst ink was dispersed using ultrasonic waves and then applied to each electrode support to prepare an anode and a cathode. In this case, the platinum content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was 0.4 mg / cm 2 and the electrode area was 5 cm 2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s prepa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소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1면을 산화전극과 접촉되도록 배치시키고, 친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2면을 환원전극과 접촉되도록 배치시켜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The first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howing hydrophobicity wa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anod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howing hydrophilicity wa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duction electrode to prepare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이와 같이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를 단전지에 설치하였다. 상기 단전지를 60℃의 온도로 수행하였으며, 산소 및 수소를 공급하며 성능을 측정하였다.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thus prepared was installed in a unit cell. The unit cell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60 ° C., and performance was measured while supplying oxygen and hydrogen.

제조예 3: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SPC)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Membrane-Electrode Assembly (SPC)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소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1면을 환원전극과 접촉되도록 배치시키고, 친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2면을 산화전극과 접촉되도록 배치시켜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first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hydrophobicity was placed in contact with the redu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hydrophilicity was placed in contact with the anode. Prepared.

도 6은 제조예들 2 및 3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I-V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I-V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s 2 and 3. FIG.

도 6을 참조하면, 가습조건에서 SPA로 배치하여 연료전지를 운전한 경우(제조예 2) 최대 전류밀도가 4.3 A/cm2를 나타냈다. 또한, SPC로 배치하여 연료전지를 운전한 경우(제조예 3), 최대 전류밀도가 3.2 A/cm2을 나타냈다. 따라서, 친수성이 높은 면을 환원전극과 접촉하여 배치시킨 경우(제조예 2), 소수성이 높은 면을 환원전극과 접촉하여 배치시킨 경우(제조예 3)에 비해 약 34%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FIG. 6, the maximum current density was 4.3 A / cm 2 when the fuel cell was operated by arranging SPA under humidification conditions (Production Example 2). Moreover, when the fuel cell was operated by arranging by SPC (Production Example 3), the maximum current density was 3.2 A / cm 2 . Therefore, when the surface having high hydrophilicity was placed in contact with the reduction electrode (Production Example 2),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bout 34% was show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urface having high hydrophobicity wa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duction electrode (Production Example 3). .

도 7은 제조예들 2 및 3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시간에 따른 전압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howing voltage characteristics over tim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s 2 and 3. FIG.

도 7을 참조하면, 무가습 조건에서 20분 동안 연료전지를 작동시킨 결과, SPA로 배치시킨 경우(제조예 2),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SPC로 배치시킨 경우(제조예 3), 전압이 감소하다 약 10분이 경과한 후에는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졌다. 따라서, 친수성을 높은 면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환원전극과 접촉하여 연료전지를 작동하는 경우(제조예 2),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되며,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정성이 유지되는 이유는 상기와 같이 친수성이 높은 면을 환원전극에 배치(제조예 2)시킴으로써 환원전극에서 생성되는 물이 친수성 고분자 전해질막에서 흡수하여 확산에 의해 산화전극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산화전극은 계속적인 수분의 공급이 가능해져 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전극은 물의 축적이 방지되어 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fuel cell was operated for 20 minutes in a non-humidified condition, the voltage was kept constant when placed in SPA (Production Example 2), and the voltage was maintained in SPC (Production Example 3). After about 10 minutes had elapsed, the voltage dropped sharply.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fuel cell is operated by bring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 high hydrophilicity into contact with a reduction electrode (Production Example 2),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is improved and stability is maintained. The reason why the stability is maintained is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a surface having high hydrophilicity on the reduction electrode (Production Example 2), since water generated in the reduction electrode can be absorbed in the hydrophili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oved to the anode by diffusion. In addition, the anode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wat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ions. In addition, since the cathode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water, the catalytic reaction may be actively progressed,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may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A to 1D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지지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2A is a SEM image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symmetr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b 및 도 2c는 비대칭 지지체의 표면을 나타내는 SEM이미지이다. 2B and 2C are SEM images showing the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비대칭 지지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3 is a SEM image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symmetric support impregnat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비대칭 지지체의 양면에서의 접촉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contact angles on both sides of an asymmetric support impregnat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조예 2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I-V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I-V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FIG.

도 7은 제조예 2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시간에 따른 전압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voltage characteristics over tim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고분자 전해질막 14: 비대칭 지지체10: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14: asymmetric support

15: 공극 16: 친수성 고분자15: pore 16: hydrophilic polymer

20: 산화전극 30: 환원전극20: anode 30: cathode

Claims (17)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A single layer of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acing each other, the support having air gaps passing through the support and ex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facing sides of the support; The size of the voids exposed in the first 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voids exposed in the second face; And 상기 공극 내에 위치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a hydrophilic polymer located in the void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극은 그의 크기가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The pore has a portion whose size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는 BPPO, PI, PVDF, 또는 IEC 1.5 이하의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The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i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using BPPO, PI, PVDF, or a polymer of IEC 1.5 or less.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IEC 1.5 이하의 고분자는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인 고분자 전해질막. The polymer of IEC 1.5 or less i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SPPO, SPES, SPEK, SPEEK or SP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IEC 1.5 이상의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인 고분자 전해질막. The hydrophilic polymer i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SPPO, SPES, SPEK, SPEEK or SPS of IEC 1.5 or higher.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Forming a monolayer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support having pores exposed through the support and ex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facing sides of the support, The size of the voids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voids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And 상기 공극 내에 친수성 고분자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placing a hydrophilic polymer in the pores.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비대칭 지지체는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The asymmetric suppor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med by using a phase transition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상전이법은 용매와 비용매와의 반응에 의해 수행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The phase transition method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carried out by the reaction of a solvent and a non-solven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공극 내에 친수성 고분자를 위치시키는 것은 세공충진법을 이용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Positioning the hydrophilic polymer in the pores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a pore filling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는 BPPO, PI, PVDF, 또는 IEC 1.5 이하의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The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using BPPO, PI, PVDF, or a polymer of IEC 1.5 or less.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IEC 1.5 이하의 고분자는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erein the polymer of IEC 1.5 or less is SPPO, SPES, SPEK, SPEEK or SPS.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IEC 1.5 이상의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인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The hydrophilic polymer is a method of produc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SPPO, SPES, SPEK, SPEEK or SPS of IEC 1.5 or higher.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및 An anode and a cathode; And 상기 산화전극 및 환원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 및 제2면을 구비하는 단일층의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 및 제2면 내에 노출되는 공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는 상기 제2면 내에 노출된 공극의 크기에 비해 작고 및 상 기 공극 내에 위치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구비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A single layer of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 support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e support penetrating the support within the first and second facing surfaces of the support; A membrane comprising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n exposed pores,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first surfac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ores exposed in the second surface, and has a hydrophilic polymer located in the pores- Electrode assembly.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환원전극은 상기 비대칭 지지체의 제2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막-전극 접합체.The cathode i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asymmetric support.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소수성 비대칭 지지체는 BPPO, PI, PVDF, 또는 IEC 1.5 이하의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막-전극 접합체. The hydrophobic asymmetric support is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prepared using BPPO, PI, PVDF, or a polymer of IEC 1.5 or less.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IEC 1.5 이하의 고분자는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인 막-전극 접합체. The polymer below the IEC 1.5 is SPPO, SPES, SPEK, SPEEK or SPS membrane-electrode assembly.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IEC 1.5 이상의 SPPO, SPES, SPEK, SPEEK 또는 SPS인 막-전극 접합체. The hydrophilic polymer is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of SPPO, SPES, SPEK, SPEEK or SPS of IEC 1.5 or higher.
KR1020080116988A 2008-11-24 2008-11-24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KR101499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988A KR101499731B1 (en) 2008-11-24 2008-11-24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988A KR101499731B1 (en) 2008-11-24 2008-11-24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243A true KR20100058243A (en) 2010-06-03
KR101499731B1 KR101499731B1 (en) 2015-03-09

Family

ID=4235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988A KR101499731B1 (en) 2008-11-24 2008-11-24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7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746A2 (en) * 2010-07-02 2012-01-05 광주과학기술원 Separator fil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6365A1 (en) * 2019-04-05 2020-10-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Ultrathin, flexible, solid polymer composite electrolyte with aligned nanoporous host for lithium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6353A1 (en) * 1999-06-10 2000-12-14 Daimler Chrysler Ag Fuel cell with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2499104A1 (en) * 2004-03-11 2005-09-11 Celgard Llc Direct methanol fuel cell
JP2005310697A (en) * 2004-04-26 2005-11-0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Forming method for inorganic-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inorganic-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membrane
JP2008010304A (en) * 2006-06-29 2008-01-17 Toshiba Corp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746A2 (en) * 2010-07-02 2012-01-05 광주과학기술원 Separator fil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12002746A3 (en) * 2010-07-02 2012-04-12 광주과학기술원 Separator fil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1235172B1 (en) * 2010-07-02 2013-02-20 광주과학기술원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731B1 (en)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30B1 (en) Polymer electrolyte for direct oxidation fuel cell,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direct oxidation fuel cell comprising same
KR100343209B1 (en) Reinforced compositie ion conducting polymer membrane and fuel cell adopting the same
KR20150135116A (en)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s thereof
KR100833056B1 (en) Reinforced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JP5547133B2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JP2006114502A (en) Polymer electrolyte film for direct oxidation type fuel cel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rect oxidation type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is
CN106532081A (en) Porous membrane for flow battery and with hierarchical pore structure, and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3503436A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707832A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preparation method,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2019507006A (en) Dipolar ionomer membrane
W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ayer-by-layer porous composite membrane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B) applications
KR20120128905A (en) Multi layer reinfored electrolyte membrane for solid polymer fuel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embrane-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fuel cell having them
Lee et al. Poly (ether imide) nanofibrous web composite membrane with SiO2/heteropolyacid ionomer for durable and high-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 fuel cells
CN113036174B (en) Organic framework copolymer supported porous ion-conducting membrane and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2004247182A (en) Electrolyte film for fuel cell, electrolyte film/electrode junction,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lyte film for fuel cell
KR101499731B1 (en) Ploymer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membrane
KR101018226B1 (en) Method for preparing organic/in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electrode comprising metal?-hydrogenphosphate
KR20110054607A (en) Reinfored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39615A (en)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JP5243051B2 (en) SOLID ELECTROLYTE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LECTRODE MEMBRANE COMPOSITION USING THE SOLID ELECTROLYTE FILM, FUEL CELL
JP3978669B2 (en)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317728A (en) Fuel cell electrode using porous carbon film, film- electrode bonded body and fuel cell
KR2020000505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carbon based reinforc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reinforc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nufactured thereby
KR101758960B1 (en) Electrolyte memb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mbrane eletrode assembly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KR100962933B1 (en) Organic/in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using apatit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