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080A - 높이 조절형 농구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형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080A
KR20100058080A KR1020080116763A KR20080116763A KR20100058080A KR 20100058080 A KR20100058080 A KR 20100058080A KR 1020080116763 A KR1020080116763 A KR 1020080116763A KR 20080116763 A KR20080116763 A KR 20080116763A KR 20100058080 A KR20100058080 A KR 2010005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ack board
shaft
hoo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근
Original Assignee
곽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인근 filed Critical 곽인근
Priority to KR102008011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080A/ko
Publication of KR2010005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2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variable in siz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형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서 중량으로 고정상태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농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 및 보관시에는 회전시켜 누운 상태로 면적과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링(41)을 설치한 백보드(40)를 연결하는 농구대에 있어서,
내부에 중량물(11)을 설치하며 상부몸체(20)가 위치하는 고정축(14)과 하부 고정대(16)를 설치한 고정장치(10)와; 상기 고정장치(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바(21)의 내부에 안내축(22)이 설치되는 상부몸체(20)와; 상기 안내축(22)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대(31)의 하측 스크류 안내대(45)와 연결한 스크류축(44)을 회전시켜 백보드(4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장치(40)와; 상기 높이 조절대(31)의 상측에 설치하는 백보드 연결대(33)의 전방에 백보드 고정대(35)를 설치하여 백보드(40)를 연결하며, 상기 백보드(40)의 상부 연결대(43)에 연결하는 백보드 지지대(38)를 높이 조절대(31)의 한 부분에 연결하는 기둥(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농구대, 높이조절, 기둥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농구대{Level control style basketball unit}
본 발명은 높이 조절형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서 중량으로 고정상태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농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 및 보관시에는 회전시켜 누운 상태로 면적과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농구경기는 각각 5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직사각형의 코트에서 상대팀의 농구대 백보드에 설치한 바구니에 공을 던져 넣어 득점을 겨루는 경기로 백보드가 농구코트의 양쪽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백보드(40)의 후방으로 기둥(30)을 연결하게 되고, 상기 기둥(30)의 하측으로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전방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설치딘 농구대의 경우에는 성인용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어린 아이들이 사용하는 학교 운동장과 같은 곳에도 링의 높이가 매우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농구를 즐기는 것에 흥미를 갖지 못하게 되고, 관심이 있는 경우에도 골을 넣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2미터 60센티, 고등학교의 경우 3미터 5센티의 높이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제작단계에서부터 설정된 높이로 제작하게 되므로 한번 제작한 후에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용처에 한계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농구대는 모든 구조물이 파이프를 사용하여 용접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운반시에는 하나의 농구대를 1톤 트럭에 적재할 수 없어서 한 세트의 농구대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큰 차량에 적재해야만 하고, 이로 인하여 운송비의 부담이 너무 크게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백보드에 설치하는 링의 높이에 따라서 높이 조절장치에 의한 구동으로 간편하게 농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둥을 세워놓은 상태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누운 상태로 보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링을 설치한 백보드를 연결하는 농구대에 있어서,
내부에 중량물을 설치하며 상부몸체가 위치하는 고정축과 하부 고정대를 설치한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바의 내부에 안내축이 설치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안내축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대의 하측 스크류 안내대와 연결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백보드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높이 조절대의 상측에 설치하는 백보드 연결대의 전방에 백보드 고정대를 설치하여 백보드를 연결하며, 상기 백보드의 상부 연결대에 연결하는 백보드 지지대를 높이 조절대의 한 부분에 연결하는 기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백보드에 설치하는 링의 높이에 따라서 높이 조절장치에 의한 구동으로 기둥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농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둥을 세워놓은 상태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누운 상태로 보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보관토도록 하며, 이동시에는 1톤 트럭에 5대 정도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둥을 조립식을 설치하며, 고정장치의 내부에 중량물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소정의 힘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 명하기로 한다.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용접하거나 나사식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장치(10)와 상부몸체(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장치(10)는 사방향의 코너부분에 고정너트(13)를 설치하여 바닥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때 사용하고, 상기 고정너트(13)의 안쪽으로 바퀴(12)를 설치하여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장치(10)의 내부에는 물을 채운 물통이나 콘크리트, 석재 등으로 이루어진 중량물(11)을 올려 놓아 작용하는 중량에 견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장치(10)의 상측 한부분에 설치한 고정축(14)에는 상부몸체(20)의 회전축(23)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축(14)과 회전축(23)에 회전 안내판(24)을 경첩과 같은 형태로 설치하여 상부몸체(20)가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할 때에는 세운 상태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동할 때에는 도 1과 도 2의 도면상 우측으로 회전하여 고정장치(10)의 상측에 누운상태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장치(10)의 좌측 한 부분에는 하부 고정대(16)를 설치하고 그 상측으로 상부몸체(20)의 상부 고정대(25)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 고정대(16)와 상부 고정대(25)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고 외측에서 연결바(26)를 설치하여 고정볼트(27)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고정대(16)와 상부 고정대(25)는 상부몸체(20)를 세워 고정하는 경우에만 연결바(26)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부몸체(20)는 세로방향으로 상부바(21)가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에 다수의 형강을 연결하여 보강 용접하는 것이며, 중앙에 원형 또는 사각형의 안내축(22)을 설치하였다.
상기 안내축(22)의 내부에는 기둥(30)의 일부인 높이 조절대(31)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대(31)의 하측 한 부분에는 스크류 안내대(4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안내대(45)에는 스크류축(44)이 연결되어서 백보드(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장치(40)를 형성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40)는 스크류축(44)의 하측 선단에 스프라켓(43)을 설치하고, 상측 스프라켓(43)의 하측으로 스크류축 연결구(41)를 연결하여 필요시에만 볼트(42)로 고정장치(10)의 스크류 고정대(15)에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고정대(25)의 상측에는 스프라켓(46)을 설치하여 체인(48)으로 스프라켓(43)에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스프라켓(46)의 상측에는 작동축(47)을 설치하여 통상적인 작동대를 사용하여 작동축(47)을 회전시켜 스크류축(44)의 회전으로 백보드(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40)는 스프라켓(43, 46)과 체인(48)을 작동축(47)의 구동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모터를 사용하거나 기어장치 또는 유압장치를 사용하여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크류축(44)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축(44)이 연결된 스크류 안내대(45)는 높이 조절대(31)에 연결되어 스크류축(44)에 의해서 안내축(22)의 내부에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30)은 안내축(22)의 내부에 설치한 높이 조절대(31)의 상측에서 조립축(32)을 결합하여 조립볼트(31a)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립축(32)의 상측은 백보드 연결대(33)가 경사지게 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백보드 연결대(33)의 하측 한 부분과 높이 조절대(31)의 한 부분에는 받침대(34)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받침 볼트(34a)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백보드 연결대(33)의 상측 선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백보드 연결대(35)를 설치하고, 상기 백보드 고정대(35)의 하측에 연결공(36a)을 형성한 연결부재(36)를 설치하여 하부 연결대(42)와 연결하며, 백보드 고정대(35)의 하측은 연결축(37)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백보드(40)는 한 부분에 링(41)을 설치하는 것이며, 하부 연결대(42)는 연결부재(36)에 연결하고, 상부 연결대(43)는 백보드 지지대(38)에 연결하되, 상기 백보드 지지대(38)의 한 부분은 백보드 연결대(33)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정장치(10)의 바퀴(12)를 사용하여 필요한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한 후에는 고정너트(13)를 사용하여 설치 장소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장치(10)의 내부에 있는 중량물(11)은 전체적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재질이나 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장치(10)의 고정축(14)과 상측에서 상부몸체(20)의 회전축(23)에 회전 안내판(24)을 연결하여 상부몸체(20)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부몸체(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몸체(20)를 회전시키면 회전 안내판(24)을 축으로 고정장치(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몸체(20)가 자유롭게 회전운동이 가능하므로 상부몸체(20)를 도면상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부바(21)가 고정장치(10)의 상측에 누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장치(10)가 누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면 높이와 면적이 펼친 상태보다 크게 작아지게 되므로 농구대를 2톤 트럭에 6개 정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운송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면서 안정된 형태로 접어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농구대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부몸체(20)를 일으켜 세우면 회전 안내판(24)을 축으로 회전 이동하여 세워지게 되며, 세워진 상태에서는 하부 고정대(16)와 상부 고정대(25)의 전방에 연결바(26)를 설치하여 고정볼트(27)로 각각 고정하여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몸체(20)가 회전 이동하며 세워지면 높이 조절장치(40)의 스크류축 연결구(41)가 스크류 고정대(15)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크류축 연결구(41)에서 볼트(42)를 사용하여 스크류 고정대(15)에 나사식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40)는 작동축(47)에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작동축(47)에 가해지는 동력으로 스크라켓(46)이 회전되어 체인(48)을 구동하게 되 고, 상기 체인(48)이 연결된 스프라켓(43)이 회전하면서 스크류축(44)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류축(44)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류 안내대(4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크류축(44)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높이 조절대(31)를 상측이나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백보드(4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 조절대(31)는 안내축(22)의 내부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백보드(4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며, 높이가 조절된 후에는 작동축(47)을 회전을 정지시키고, 필요한 경우에는 안내축(22)의 한 부분에 스톱퍼를 설치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 조절대(31)의 이동에 따른 높이의 조절은 사용자의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높이 조절대(31)의 상측에는 조립축(30)이 삽입된 상태로 조립볼트(31a)가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30)은 필요에 따라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백보드(40)를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구대로 사용하는 것이며, 고정장치에서 중량물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설치위치를 유지하거나 필요한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몸체를 회전이동시켜 운반 및 보관시에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운송비용을 줄이며, 사용연령에 따라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상부몸체에 대한 회전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둥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장치 11 : 중량물
12 : 바퀴 13 : 고정너트
14 : 고정축 15 : 스크류 고정대
16 : 하부 고정대 20 : 상부몸체
21 : 상부바 22 : 안내축
23 : 회전축 24 : 회전 안내판
25 : 상부 고정대 26 : 연결바
27 : 고정볼트 30 : 기둥
31 : 높이 조절대 32 : 조립축
33 : 백보드 연결대 34 : 받침대
35 : 백보드 고정대 36 : 연결부재
36a : 연결공 37 : 연결축
38 : 백보드 지지대 40 : 백보드
41 : 링 42 : 하부 연결대
43 : 상부 연결대

Claims (5)

  1. 링(41)을 설치한 백보드(40)를 연결하는 농구대에 있어서,
    내부에 중량물(11)을 설치하며 상부몸체(20)가 위치하는 고정축(14)과 하부 고정대(16)를 설치한 고정장치(10)와;
    상기 고정장치(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바(21)의 내부에 안내축(22)이 설치되는 상부몸체(20)와;
    상기 안내축(22)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대(31)의 하측 스크류 안내대(45)와 연결한 스크류축(44)을 회전시켜 백보드(4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장치(40)와;
    상기 높이 조절대(31)의 상측에 설치하는 백보드 연결대(33)의 전방에 백보드 고정대(35)를 설치하여 백보드(40)를 연결하며, 상기 백보드(40)의 상부 연결대(43)에 연결하는 백보드 지지대(38)를 높이 조절대(31)의 한 부분에 연결하는 기둥(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몸체(20)는 고정축(14)과 연결된 회전축(23)의 사이에 회전 안내판(24)을 설치하여 누워지도록 접거나 펼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
  3. 제 1항에 있어서, 높이 조절장치(40)는 스크류축(44)의 하측으로 스프라켓 (43)과 볼트(42)로 스크류 고정대(15)에 연결하는 스크류축 연결구(41)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라켓(43)과 체인(48)으로 연결된 스프라켓(46)에 작동축(47)이 연결되어 높이 조절대(31)의 높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장치(10)의 하부 고정대(16)와 상부몸체(20)의 상부 고정대(25)는 연결바(26)와 고정볼트(27)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
  5. 제 1항에 있어서, 기둥(30)은 백보드 연결대(33)의 전방에 설치한 백보드 고정대(35)의 하측으로 연결공(36a)에서 하부 연결대(42)를 조립하는 연결부재(36)를 설치하고, 높이 조절대(31)에 하측이 설치된 백보드 지지대(38)의 상측을 상부 연결대(43)와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형 농구대.
KR1020080116763A 2008-11-24 2008-11-24 높이 조절형 농구대 KR2010005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63A KR20100058080A (ko) 2008-11-24 2008-11-24 높이 조절형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763A KR20100058080A (ko) 2008-11-24 2008-11-24 높이 조절형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80A true KR20100058080A (ko) 2010-06-03

Family

ID=4235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763A KR20100058080A (ko) 2008-11-24 2008-11-24 높이 조절형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0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511A (zh) * 2017-12-08 2018-03-27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防卡球功能的篮球架
CN108031086A (zh) * 2018-01-18 2018-05-15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篮球架中的篮板高度调节装置
CN108815815A (zh) * 2018-09-04 2018-11-16 王文戈 一种体育教育用篮球架
CN110237511A (zh) * 2019-07-18 2019-09-17 成都体育学院 一种带有计数装置的可移动便于安装的篮球架
KR102432602B1 (ko) * 2021-07-06 2022-08-18 시설코리아 주식회사 높이조절식 농구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511A (zh) * 2017-12-08 2018-03-27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防卡球功能的篮球架
CN107837511B (zh) * 2017-12-08 2023-09-12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防卡球功能的篮球架
CN108031086A (zh) * 2018-01-18 2018-05-15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篮球架中的篮板高度调节装置
CN108815815A (zh) * 2018-09-04 2018-11-16 王文戈 一种体育教育用篮球架
CN110237511A (zh) * 2019-07-18 2019-09-17 成都体育学院 一种带有计数装置的可移动便于安装的篮球架
KR102432602B1 (ko) * 2021-07-06 2022-08-18 시설코리아 주식회사 높이조절식 농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8080A (ko) 높이 조절형 농구대
US4759545A (en) Portable basketball goal
US3341197A (en) Adjustable game target mast apparatus
KR20000004576U (ko) 경사조절 가능한 발판을 구비한 골프연습장치
US20050239607A1 (en) Treadmill with front and rear inclination adjustment unit
JP2008515492A (ja) ゴルフ練習台
US6135901A (en) Compression crank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sketball goal assembly
US20070026976A1 (en) Portable basketball system
US20070042843A1 (en) Portable basketball system
US6419597B1 (en) Electromechanical compression crank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sketball goal assembly
US20070010356A1 (en) Basketball hoop system
JP2013517832A (ja) 競技用移動式バスケットボール台
CN105709431B (zh) 可变换玩具车玩具组
US20060183574A1 (en) Portable basketball system
JP2007159879A (ja) 運動器具
US20110070966A1 (en) Practice platform for golfer
KR101839752B1 (ko) 골프연습장치
KR200413112Y1 (ko) 테니스 심판대
EP2421616B1 (en) Height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assembly with a basket
US6520874B2 (en) Swimming pool water game goal apparatus
KR200402949Y1 (ko) 탁구 연습기
KR100818128B1 (ko) 레저용 롤러와 이를 이용한 레저용 롤러보드
KR20090117562A (ko) 직립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골프 연습기용 플레이트
CN112755489B (zh) 一种排球扣球训练用辅助设备
KR20110007252U (ko) 유아용 씽씽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