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576A -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576A
KR20100057576A KR1020100043546A KR20100043546A KR20100057576A KR 20100057576 A KR20100057576 A KR 20100057576A KR 1020100043546 A KR1020100043546 A KR 1020100043546A KR 20100043546 A KR20100043546 A KR 20100043546A KR 20100057576 A KR20100057576 A KR 20100057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curved
ocher
straight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근술
Original Assignee
문근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근술 filed Critical 문근술
Priority to KR102010004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7576A/ko
Publication of KR2010005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2Expanded 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시멘트 바닥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온수배관을 보강 지지하면서 온수배관의 보온 활성화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황토 보강부재를 통한 바닥 시공에 있어서 신속하게 난방 배관을 보강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적외선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서 신체 리듬을 활성화시키고 신진 대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RAY CLAY REINFORCEMENT MEANS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시멘트 바닥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온수배관을 보강 지지하면서 온수배관의 보온 활성화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목을 재료로 하여 조립식 마루판재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는 모자이크식으로 재단된 원목조각들을 배열시켜 평면 고정식 마루바닥으로 시공하여서 주택의 거실을 꾸미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주택거실의 마루바닥 형태로써, 원목을 재료로 하여 평면 고정식 마루바닥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난방 배관이 내부에 내설된 시멘트 바닥의 상면에 단순히 원목 재료의 평면 고정식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그 바닥면을 형성하는 시멘트로부터 각종 유해물질이 마루바닥의 상면으로 배출되게 되므로 아토피 등의 각종 피부염에 거주자가 노출되게 되며, 수면 장애 등 환경적 장애에 쉽게 노출되고 각종 말초신경 장애를 일으키므로, 비록 원목의 평면 고정식 마루바닥을 시공한다고 하여도, 주거용 바닥으로서 개선된 점이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아파트나 단독주택에 시공되는 강화 마루의 경우에는 합판 형태로 강화 마루재를 제작하고, 그 강화 마루재를 일일이 접착제로 시멘트 바닥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였지만, 이 역시 합판에 무늬목 시트지를 부착한 강화 마루재가 상당량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강화 마루재를 시멘트 바닥 상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도 역시 상당한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 질환과 현기증, 두통, 말초신경 장애 등의 잘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우리의 고유한 주거문화인 한옥 및 초가에 사용되는 황토 흙벽돌의 유용성에 대하여 최근 과학적인 견지에서 새로운 인식이 일고 있으며, 이러한 유용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현대식 주택인 아파트에까지 이러한 황토흙바람이 불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황토흙은 화강암과 편마암이 풍화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습도조절성,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촉진해주는 원적외선방출, 축열효과, 탈취, 방습, 단열효과 등 건축재로써의 유용성이 인정됨과 아울러 인체의 각종 질병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시멘트 바닥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온수배관을 보강 지지하면서 온수배관의 보온 활성화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거용 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시멘트 바닥면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난방배관을 수용하면서 일정한 단위 길이를 갖고 다수개가 상호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직선형 보강부재와;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열의 직선형 보강부재를 각각 그 양단에 연결하고, 내부에 난방배관을 수용하는 곡선형 보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반원상의 제 1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마주보면서 육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반원상의 제 2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선형 보강부재는 굴곡진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반원상의 제 3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마주보면서 굴곡진 육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반원상의 제 4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하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는 그 상부판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주름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 및 곡선형 보강부재는 그 상면이 일부 절개된 절개부가 구성되며, 그 절개부를 덮는 한지층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시멘트 바닥면의 상면에 직선형 보강부재의 하부판을 종방향으로 연결하고, 직선형 보강부재가 연결된 열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다수열이 되게 배치하는 제 1과정과; 다수개의 직선형 보강부재가 연결된 각 열의 종단부를 연결할 수 있게 곡선형 보강부재의 하부판을 배치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와 곡선형 보강부재의 안착홈에 난방배관을 안착시키는 제 3과정과;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와 곡선형 보강부재의 하부판 상부에 상부판을 덮는 제 4과정과;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와 곡선형 보강부재를 제외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은 황토 보강부재를 통한 바닥 시공에 있어서 신속하게 난방 배관을 보강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적외선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서 신체 리듬을 활성화시키고 신진 대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에 포함되는 직선형 보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에 포함된 곡선형 보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의 원적외선 발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는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시멘트 바닥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온수배관을 보강 지지하면서 온수배관의 보온 활성화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는 주거용 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시멘트 바닥면(4)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난방배관(6)을 수용하면서 일정한 단위 길이를 갖고 다수개가 상호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직선형 보강부재(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는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열의 직선형 보강부재(8)를 각각 그 양단에 연결하고, 내부에 난방배관(6)을 수용하는 곡선형 보강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는 시멘트 바닥면(4)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일직선 형태의 열을 구성하고, 이러한 열이 다수개가 형성되게 배치하면서 각 열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각 직선형 보강부재(8)를 상호 연결함으로 인해 형성된 다수개의 열을 상기 곡선형 보강부재(10)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 및 곡선형 보강부재(10)의 내부가 상호 연통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 및 곡선형 보강부재(10)의 내부로 난방배관(6)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 및 곡선형 보강부재(10)가 난방배관(6)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실내에서 흡수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 및 곡선형 보강부재(10)는 모두 단위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신속하게 배치 및 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에 포함되는 직선형 보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에 포함된 곡선형 보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상부판(22)과 하부판(12)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부판(22)은 그 외형이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부판(22)은 원통형이 길이방향으로 반경부분이 절개된 반원통 형상을 갖는 상부몸체(24)를 이루며, 그 상부 몸체(24)의 외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표면층(26)이 외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의 상부판(22)은 그 하면에 반원상의 제 1 안착홈(28)이 형성되어 난방배관(6: 도 1참조)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그 상부몸체(24)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져 있다.
상기 하부판(12)은 그 외형이 육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하부판(12)은 일정길이를 갖는 육각면체 형상을 갖는 하부몸체(14)를 이루며, 그 하부 몸체(14)의 외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표면층(16)이 외부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의 하부판(12)은 그 하면에 반원상의 제 2 안착홈(18)이 형성되어 난방배관(6: 도 1참조)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그 하부몸체(14)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는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더불어, 각 직선형 보강부재(8)의 종방향 연결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열을 연결하기 위한 곡선형 보강부재(10)가 구비되는 바, 그 곡선형 보강부재(10)는 마찬가지로 상부판(40)과 하부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곡선형 보강부재(10)의 상부판(40)은 그 외형이 굴곡진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원형의 띠가 절반정도 절개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자 형상을 이루는 상부몸체(42)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판(40)의 하면에는 반원상의 제 3 안착홈(46)이 형성되어 난방배관(6)의 상부 표면을 감싸게 구성되고, 상부몸체(42)의 외부에는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44)이 구비되고, 그 상부몸체(42)의 내부에는 황토부재(20)가 채워져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32)도 그 외형이 굴곡진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원형의 띠가 절반정도 절개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자 형상을 이루며, 그 측면상에서 바라볼 때에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몸체(34)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판(32)의 상면에는 반원상의 제 4 안착홈(38)이 형성되어 난방배관(6)의 하부 표면을 감싸게 구성되고, 하부몸체(34)의 외부에는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36)이 구비되고, 그 하부몸체(34)의 내부에는 황토부재(20)가 채워져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를 구성하는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는 그 상부판(22)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주름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져 차후 콘크리트 타설시 결합력을 높힐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 및 곡선형 보강부재(10)는 그 상부판(22,40)의 상면이 각각 일부 절개된 절개부(미도시)가 구성되며, 그 절개부를 덮는 한지층(30,48)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한지층(30,48)은 내부에 구비된 황토부재(20)의 원적외선 발산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한 수단이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황토부재(20)는 황토흙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황토흙 70% 중량 및 물 25% 중량, 천연 접착제 5% 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고, 천연접착제는 천연 라텍스, 송진, 아교, 카제인 알긴산나트륨, 및 벤조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인 천연접착제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의 원적외선 발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를 이용하여 바닥층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멘트 바닥면의 상면에 직선형 보강부재(8)의 하부판(12)을 종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직선형태의 열로 배치하는 바, 이러한 직선형태의 열을 다수개 구성될 수 있게 각 열과 열사이는 일정길이로 이격시켜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다수개의 직선형 보강부재(8)가 연결된 각 열의 종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곡선형 보강부재(10)의 하부판(32)을 배치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곡선형 보강부재(10)의 하부판(12,32)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8,34)에 난방배관(6)을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곡선형 보강부재(10)의 하부판(12,32) 상부에 상부판(22,40)을 덮는다. 그러면,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곡선형 보강부재(10)의 내부에 난방배관(6)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곡선형 보강부재(10)가 상호 연결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곡선형 보강부재(10)를 제외한 공간에 콘크리트(50)를 타설한다. 그리고, 그 콘크리트(50)의 상면에 강화마루 등의 바닥재(52)를 배치하면 바닥층 시공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2)를 이용한 바닥층 시공 결과, 상기 황토 보강부재(2)는 그 몸체의 좌우측으로도 원적외선이 방사되지만,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8)와 곡선형 보강부재(10)의 상부판(22,40) 상면에 구성된 한지층(30,48)을 통해서 더 많은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되고 신체 리듬을 활성화시키며 유익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시멘트 바닥면, 6:난방배관,
8:직선형 보강부재, 10:곡선형 보강부재,
12,32:하부판, 22,40:상부판,
14,34:하부몸체, 24,42:상부몸체,
16,26,36,44:합성수지 표면층, 28,18,38,46:제 1, 2, 3, 4안착홈,
30,48:한지층.

Claims (4)

  1. 주거용 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시멘트 바닥면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난방배관을 수용하면서 일정한 단위 길이를 갖고 다수개가 상호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직선형 보강부재와;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열의 직선형 보강부재를 각각 그 양단에 연결하고, 내부에 난방배관을 수용하는 곡선형 보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반원상의 제 1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마주보면서 육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반원상의 제 2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선형 보강부재는 굴곡진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반원상의 제 3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마주보면서 굴곡진 육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반원상의 제 4 안착홈이 형성되며 표면에 합성수지 표면층이 구비된 하부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황토부재가 채워진 하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는 그 상부판의 외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주름돌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 및 곡선형 보강부재는 그 상면이 일부 절개된 절개부가 구성되며, 그 절개부를 덮는 한지층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
  4. 시멘트 바닥면의 상면에 직선형 보강부재의 하부판을 종방향으로 연결하고, 직선형 보강부재가 연결된 열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다수열이 되게 배치하는 제 1과정과;
    다수개의 직선형 보강부재가 연결된 각 열의 종단부를 연결할 수 있게 곡선형 보강부재의 하부판을 배치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와 곡선형 보강부재의 안착홈에 난방배관을 안착시키는 제 3과정과;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와 곡선형 보강부재의 하부판 상부에 상부판을 덮는 제 4과정과;
    상기 직선형 보강부재와 곡선형 보강부재를 제외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보강부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20100043546A 2010-05-10 2010-05-10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20100057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546A KR20100057576A (ko) 2010-05-10 2010-05-10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546A KR20100057576A (ko) 2010-05-10 2010-05-10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576A true KR20100057576A (ko) 2010-05-31

Family

ID=4228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546A KR20100057576A (ko) 2010-05-10 2010-05-10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75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34B1 (ko) * 2013-03-13 2013-08-08 김혜정 난방용 구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34B1 (ko) * 2013-03-13 2013-08-08 김혜정 난방용 구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6092A (ko) 양면 호환이 가능한 난방용 바닥단열패널 및 그 바닥단열패널을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CN201367662Y (zh) 复合轻型地暖
KR200415669Y1 (ko) 조립식 온돌 패널
RU2590962C1 (ru) Способ сокращения теплопотерь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го здания
KR100806646B1 (ko)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101192515B1 (ko) 원통형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20100057576A (ko)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101430986B1 (ko) 건축물의 온돌용 및 소음저감용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황토판재
CN211396066U (zh) 一种轻型木结构毛细管墙体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100994288B1 (ko) 통 원목마루 및 그 시공 방법
KR20100049524A (ko) 난방 수단이 구비된 황토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84495A (ko) 황토 온돌마루 시공방법
KR100751721B1 (ko) 황토 방바닥 및 그의 시공방법
CN203049863U (zh) 高性能吸音楼地板及地热系统吸音楼地板
KR102151232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KR100658497B1 (ko) 이동식 온돌
JP4756397B2 (ja) 木造住宅の籾殻壁断熱工法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101126934B1 (ko) 통기성을 갖는 황토벽 시공구조
KR101432702B1 (ko) 실내 습기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생태구조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생태건축물
KR200379656Y1 (ko) 이동식 온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