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457A -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457A
KR20100057457A KR1020080116505A KR20080116505A KR20100057457A KR 20100057457 A KR20100057457 A KR 20100057457A KR 1020080116505 A KR1020080116505 A KR 1020080116505A KR 20080116505 A KR20080116505 A KR 20080116505A KR 20100057457 A KR20100057457 A KR 2010005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ater pressure
self
standby power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문석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7457A/ko
Publication of KR2010005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 비데, 연수기와 같은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모드상태일 때 충전된 전원에 의해 전력을 소모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은,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자가발전부; 및 상기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116505
자가발전, 대기전력, 충전, 수압활용장치, 수압

Description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zero of standby power using private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 비데, 연수기와 같은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모드상태일 때 충전된 전원에 의해 전력을 소모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각종 환경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원수를 사용하는 가정이나 업소가 거의 없고, 가정에서는 식수용 생수를 구입하여 먹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으로 식수용 물이 필요한 경우에는 경제적 부담으로 인하여 정수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수도관에서 공급받은 물을 필터에 연결시키고, 이러한 필터는 여러 개로 구성되어 공급된 물이 통과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을 여과한다. 여과된 물은 저수관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외부에 설치된 디스펜서에 컵을 밀어넣음으로써 물을 마시거나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수기는 수도 직결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냉 정수기인 경우에는 내부에 냉수를 마시거나 사용하기 위하여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편리성을 갖는 정수기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일 때에도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에 의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되고, 전력의 수요가 많아 전력량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력의 낭비가 여전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력의 낭비는 정수기뿐만 아니라, 비데, 연수기 등에도 마찬가지로 해당되는 사항이므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정수기, 비데, 연수기와 같은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모드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에 의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수압활용장치의 동작에 의해 충전된 전원에 의해 전력을 소모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자가발전부; 및 상기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가발전부는,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상기 발생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직류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안정부;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 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안정부는 레귤레이터, 벅-컨버터, SMPS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단계; 상기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충전에 의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충전에 의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의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 비데, 연수기와 같은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모드상태일 때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에 의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수압활용장치의 동작에 의해 충전된 전원에 의한 전력을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여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의 수요가 많을 때 전력량의 과부하 방지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은 전원공급부(100), 자가발전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00)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수압활용장치(50)로는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과 같이 수압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이용된다.
자가발전부(200)는 수압활용장치(50)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하는데, 발전부(210), 정류부(220), 전원안정부(230), 충전부(240)를 포함한다.
발전부(210)는 회전자(211)와 발전기(212)로 구성되는데, 수압활용장치(50)에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교류전류를 발생시킨다. 회전자(211)는 수압활용장치(50) 내부의 물에 접촉되어 물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고, 발전기(212)는 회전자(211)의 회전에 의해 교류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정류부(220)는 발전기(212)에서 발생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고, 전원안정부(230)는 정류부(220)에서 변환된 직류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킨다. 전원안정부(230)는 레귤레이터(regulator), 벅-컨버터(buck converter), SMPS(Switch Mode Power Supply)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자가발전부(200)에 전원안정부(230)를 구성하지 않는다면, 전류가 충전부(240)로부터 발전기(212)로 역으로 흐르게 되어 발전기(212)가 모터로써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단수시에는 전력공급이 중단되어 수압이 약화되어 대기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충전부(240)는 배터리(battery)로 구성되는데, 전원안정부(230)에서 안정화된 전원을 충전한다.
제어부(300)는 수압활용장치(50)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어부(300)가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의 차단을 해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100)가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한다 (S100).
이후에, 자가발전부(210)가 수압활용장치(50)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한다(200).
이후에, 제어부(300)가 수압활용장치(50)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300). 대기전력모드상태는 수압활용장치(50)가 동작하지 않고 전력만을 소모하고 있는 상태에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여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이후에, 제어부(300)가 수압활용장치(50)의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한다(S400).
이후에, 제어부(300)가 수압활용장치(50)의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500).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이유는, 수압활용장치(50)의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는 다시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이후에, 제어부(300)가 수압활용장치(50)의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의 차단을 해제한다(S600).
S100 내지 S600 단계의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은, 수압활용장치(50)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에서는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하도록 하고, 대기전력모드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전원을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하도록 한 것으로, 대기전력모드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기전력모드상태가 아닌 경우의 제어동작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대기전력모드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전원이 제어부(30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이 제어부(30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된 전원은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되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은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대기전력모드상태가 아닌 경우에 대기전력모드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하기 도 4와 같은 상태로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기전력모드상태인 경우의 제어동작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대기전력모드상태인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전원이 제어부(30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이 제어부(30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된 전원은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되지 않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은 수압활용장치(50)에 공급된다. 이때, 전원공급부(100)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자가발전부(200)에서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기전력모드상태인 경우에 대기전력모드상태가 아닌 경우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기전력모드상태가 아닌 경우의 제어동작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기전력모드상태인 경우의 제어동작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수압활용장치 100 : 전원공급부
200 : 자가발전부 210 : 발전부
211 : 회전자 212 : 발전기
220 : 정류부 230 : 전원안정부
240 : 충전부 300 : 제어부

Claims (6)

  1.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자가발전부; 및
    상기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부는,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하여 교류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상기 발생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직류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전원안정부; 및
    상기 안정화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 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안정부는 레귤레이터, 벅-컨버터, SMPS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5. 외부의 전원을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단계;
    상기 수압활용장치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대기전력모드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충전에 의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전력모드상태가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충전에 의한 전원을 상기 수압활용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의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방법.
KR1020080116505A 2008-11-21 2008-11-21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7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05A KR20100057457A (ko) 2008-11-21 2008-11-21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05A KR20100057457A (ko) 2008-11-21 2008-11-21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57A true KR20100057457A (ko) 2010-05-31

Family

ID=4228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505A KR20100057457A (ko) 2008-11-21 2008-11-21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74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66A3 (ko) * 2010-06-14 2012-04-19 Kim Chang Ho 온/오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66A3 (ko) * 2010-06-14 2012-04-19 Kim Chang Ho 온/오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9356468B2 (en) 2010-06-14 2016-05-31 Chang-ho Kim On/off switch and standby power shutoff device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69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切替装置
JP5253967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0822342B1 (ko) 절전형 전원 안정화 및 전원 자동 차단장치
JP2009033802A (ja) 電力貯蔵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30114619A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33797A (ja) 電力貯蔵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9879879B2 (en) Co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693590A1 (en)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15065009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3759151B1 (ja) 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8152997A (ja) 燃料電池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62927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電源制御装置
KR101417492B1 (ko)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10130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752333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al and/or electronic user devices
JP2007116830A (ja) 電力制御方法
KR20100057457A (ko) 자가발전을 이용한 대기전력 제로화 시스템 및 방법
JP2005245185A (ja) 電力貯蔵システム
WO2013136655A1 (ja) 充放電制御装置
JP2013153572A (ja)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KR200379840Y1 (ko) 수력발전기능의 자동세정장치
JP7004135B2 (ja) 水栓システム
JP2005292941A (ja) 家庭用給電装置
CN205483126U (zh) 一种水力发电型多功能水表
CN206112218U (zh) 一种水力自发电脉冲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