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122A - 냉장고용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122A
KR20100055122A KR1020080114048A KR20080114048A KR20100055122A KR 20100055122 A KR20100055122 A KR 20100055122A KR 1020080114048 A KR1020080114048 A KR 1020080114048A KR 20080114048 A KR20080114048 A KR 20080114048A KR 20100055122 A KR20100055122 A KR 20100055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frigerator
duct
doo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석호
장형건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5122A/ko
Publication of KR2010005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정온으로 유지되며,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열의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고, 소비전력이 낮아지는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어, 덕트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Doo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김치냉장고의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는 인너케이스(1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설치되는 인너케이스(1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면이 열린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도어(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20)는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냉기누설 방지 및 식품의 수납시 이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20)는 본체(10)의 상면 후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12)의 외측면에는, 냉매관(16)이 감겨져 있어서, 실질적으로 증발기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냉매관(16)의 내부에는, 저온 저압상태의 액상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인너케이스(12)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과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케이스(12)의 내부는, 열교환된 냉기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소정의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냉매관(16)에 의하여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김치를 저온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완전히 숙성된 김치는, 저온상태에서 보관되어야만 장기간 제맛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냉매관(16)은, 이러한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김치의 숙성과 정에 있어서는 저온상태하에서 김치를 숙성시키는 저온숙성과정이 필요한데, 상기 냉매관(16)은 이와 같은 저온숙성과정에서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매관(16)을 통과하면서, 주위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 및 응축기(도시 생략), 그리고 모세관을 통하여 다시 저온 저압상태의 액상 냉매로 상변화한 후, 다시 상기 냉매관(16)으로 공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인너케이싱(12)의 하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18)는, 김치의 최초 투입시 상대적으로 고온상태를 유지 하는 것에 의하여, 김치를 처음 숙성시킬 때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투입되는 김치는, 상기 히터(18)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에 의하여 최초 고온숙성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저온숙성과정을 거쳐서 완전히 숙성된다. 이렇게 숙성된 김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저온상태의 보관과정을 통하여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김치냉장고의 내부에는, 인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15)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에 기초하여, 인너케이싱(12)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너케이싱(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은, 직접냉각 방식에 의하여 냉각된다. 즉 인너케이싱(12)의 외측면에 감겨진 냉매관(16)과의 열교환이 직접 이루어져서 저온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히터(18)에 의하여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직접 냉각방식의 김치냉장고에 있어서는, 내부의 공기 유동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냉매관(16)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은 저온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반면, 냉매관(16)과 위치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상태가 된다. 더욱이 상기 인너케이싱(12)의 내부에 김치를 담고 있는 김치용기가 들어있는 경우에는,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가 상기 김치용기에 의하여 방해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편차는 더욱 심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히터(18)에서 발생하는 열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고온숙성시에도 고내의 온도편차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온도편차는 실질적으로 김치의 숙성 및 보관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동일한 투입 및 저장 조건하에서도 보관되는 김치의 위치에 따라 맛이 달라지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온으로 유지되며,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열의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고, 소비전력이 낮아지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두개 이상의 상기 유출구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내벽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용 도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정온으로 유지되며,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열의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고, 소비전력이 낮아진다.
두개 이상의 상기 유출구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냉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외부 열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내벽이 유선형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냉기가 받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냉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덕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덕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용 도어는, 도어본체(미도시)와,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가 형성되는 덕트와, 상기 유입구(210)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220)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220)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220)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어본체(미도시)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미 냉장고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덕트는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220)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220)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덕트는 제1판넬(100)과, 제1판넬(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판넬(20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넬(100)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원호부(103)가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판넬(100)에는 원호부(103)의 양측 및 상하부에 상면(102)이 연결되며, 상면(102)의 양측 하부에는 측벽(101)이 연결된다.
상면(103)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벽(101)은 유선형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벽(101)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101)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냉기가 받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냉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덕트의 측벽(101)의 사이 간격은 유출구(220)로 향할수록 커지게 된다.
또한, 제1판넬(100)에는 두개의 상면(102) 사이에 배치되도록 체결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10)는 제2판넬(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후크가 삽입되는 홈 또는 볼 트가 체결되는 체결공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판넬(200)은 유입구(210)가 중앙에 형성되며, 유입구(2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두개 이상의 유출구(220)가 방사방향으로 배치된다.
유입구(210)는 원호부(103)의 하부에 배치되며, 여러개의 구멍으로 구비된다.
제2판넬(200)에서 유입구(210) 부분은 아래로 볼록하게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유출구(220)는 상면(102)의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각 유출구(220)는 여러개의 구멍으로 구비되며, 각 구멍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로인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면(102)으로 인해 상기 덕트의 단면적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작아지더라도, 외측으로의 냉기 배출도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미도시)은 상기 유입구(210)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220)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이러한, 상기 송풍팬은 원호부(103)에 설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면, 중앙의 유입구(210)를 통해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상기 덕트로 유입된다. 이어서, 냉기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를 통해 이동되다가 유출구(22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냉기가 상기 덕트를 통해 이송될 때, 측 벽(101)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사이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정온으로 유지되며,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열의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고, 소비전력이 낮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는, 특히, 상부 개폐식의 김치 냉장고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덕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덕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판넬 101 : 측면
102 : 상면 110 : 체결부
200 : 제2판넬 210 : 유입구
220 : 유출구

Claims (3)

  1.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
    상기 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거나 상기 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구는 두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덕트의 양 측벽 사이간격은 유출구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상기 유출구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냉장고용 도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KR1020080114048A 2008-11-17 2008-11-17 냉장고용 도어 KR20100055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48A KR20100055122A (ko) 2008-11-17 2008-11-17 냉장고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48A KR20100055122A (ko) 2008-11-17 2008-11-17 냉장고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22A true KR20100055122A (ko) 2010-05-26

Family

ID=4227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48A KR20100055122A (ko) 2008-11-17 2008-11-17 냉장고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5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34B1 (ko) * 2010-07-15 2013-07-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34B1 (ko) * 2010-07-15 2013-07-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33999B (zh) 冰箱及其温度控制方法
US8261572B2 (en) Food heat-exchan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02174480A (ja) 冷蔵庫の冷気流路装置
JPH10238925A (ja) エアカーテン生成装置を利用したドアからの冷気吐出機能を有する冷蔵庫
WO2016082622A1 (zh) 冰箱
JP2009250476A (ja) 冷蔵庫
JP2009236474A (ja) 冷蔵庫
KR20020087682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JP2004293991A (ja) 冷蔵庫
KR20100055122A (ko) 냉장고용 도어
KR100487317B1 (ko) 직냉식 냉장고
KR100688975B1 (ko) 냉장고
KR20190019428A (ko) 냉장고
KR20040025131A (ko) 내부 냉기순환기능을 가지는 김치냉장고
KR20050004926A (ko)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냉기공급장치
KR100220970B1 (ko) 도어로부터 냉기를 토출하는 냉장고
KR100817328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시스템
KR100516633B1 (ko) 냉장고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30018840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339274Y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기순환장치
KR20070075835A (ko) 냉장고.
KR100549080B1 (ko) 냉장고
KR20140043597A (ko) 식품저장고
KR100347360B1 (ko) 냉장고의 냉장실용 냉기 유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