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825A - 면발용 분말 - Google Patents

면발용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825A
KR20100053825A KR1020080112633A KR20080112633A KR20100053825A KR 20100053825 A KR20100053825 A KR 20100053825A KR 1020080112633 A KR1020080112633 A KR 1020080112633A KR 20080112633 A KR20080112633 A KR 20080112633A KR 20100053825 A KR20100053825 A KR 20100053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oodle
starch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구
정판석
김길수
문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라미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라미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라미식품
Priority to KR102008011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825A/ko
Publication of KR2010005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가루(소맥분)를 제거한 면발용 분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자전분 22.0 ~ 28.0중량부, 글루텐 21.0 ~ 27.0중량부, 백미 20.0 ~ 24.0중량부, 흑미 4.0 ~ 7.0중량부, 실크단백 0.2 ~ 2.0중량부 및 식이섬유 5.0 ~ 7.0중량부를 포함하는 면발용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 원료의 성분들이 적정 조성되어, 밀가루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면발의 형성이 가능하며, 탄수화물의 함량이 감소되어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도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은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발 제조용으로 유용하게 보급, 사용된다.
라면, 국수, 면발, 전분, 탄수화물, 혈당

Description

면발용 분말 {POWDER FOR MANUFACTURING NOODLES}
본 발명은 면발용 분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발 제조(성형)에 사용되는 원료 분말의 종류를 예의 선택하고, 이들을 적정 함량으로 조성함으로써, 밀가루를 사용하지 않아도 면발의 형성이 가능하고, 또한 탄수화물의 함량이 낮아 취식 시 혈당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면발용 분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류(면발류) 식품은 식사대용으로서 현대인들에게 애용되는 식품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라면이나 국수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발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주원료로서 밀가루(주로, 소맥분)가 사용된다. 밀가루는 수분과 화합하여 사상구조를 형성하여 면발이 성형되게 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면이 처음 개발되고 나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최근, 면류 식품의 면발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량을 낮추거나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52928호(특허문헌 1)에는 열량을 낮추기 위해 감자전분을 이용한 감자라면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1960호(특허문헌 2)에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비만 예방용 감자라면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3556호(특허문헌 3)에는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 라면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9603호(특허문헌 4)에는 생선살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한 어육분말에 쌀가루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 어묵라면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 특허문헌들을 포함한 종래의 면발(라면 등)에는 반드시 밀가루가 혼합된 원료(분말)를 사용하고 있으며, 밀가루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면발의 제조 기술은 아직 전무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발 원료에는 필수적으로 밀가루가 포함되어 있다. 밀가루 속의 전분은 반죽 시 수분과 결합되어 부드러움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분의 함량이 원료 전체(반죽수를 제외한 원료 전체) 100중량부 중에 70 ~ 80중량부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면대의 형성이 어렵게 되며, 면발의 경도가 높아져 굳어지거나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전분의 함량이 낮은 경우, 반죽 시의 유연함과 면발의 쫄깃함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면발을 젓가락으로 집을 경우 끊어지게 되거나 딱딱하게 되는 현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라면이나 국수의 면발에는 전분이 약 70 ~ 80중량부 정도까지 함유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면발은 위와 같이 밀가루 전분의 함량이 높아 특히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에게는 섭취의 제한을 주고 있다. 밀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전분은 탄수화물의 일종이다. 탄수화물은 고분자의 다당류로서, 탄수화물은 이를 구성 하는 단당류, 즉 포도당으로까지 분해되어 당화(糖化, saccharification)의 영향으로 혈당을 높여 혈당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인체 소화기관에서 단당류로 분해된 포도당(글루코스)은 장벽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간 후, 체내의 각 조직으로 보내져 산화(解糖)되어 생활 에너지가 되는데, 이때 과도한 포도당이 체내에 흡수될 경우에는 혈당이 높아져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혈당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포도당의 생성에 기여하는 탄수화물의 함량, 즉 전분의 함량을 낮춰야 한다. 라면에 포함된 탄수화물의 함량을 5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로 낮추게 되면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도 면류 식품(예, 라면이나 국수 등)의 섭취가 가능하다. 그러나 면발의 원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분을 함유한 밀가루의 함량을 낮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죽 시 유연함이 없고, 면발의 형성이 어렵다. 또한, 면발이 형성되더라도 젓가락으로 집을 경우 쉽게 끊어지고, 젓가락으로 집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단단함)와 쫄깃함을 갖지 못하게 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5292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1960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3556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9603호
따라서 면발을 제조함에 있어서, 당을 관리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도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밀가루의 함량을 낮춰 전분(탄수화물)의 함량이 낮게 유지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전분의 함량이 낮아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성형상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전분의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면발의 형성이 어렵게 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전분의 함량이 낮아지더라도 반죽 시의 유연함과 쫄깃함을 갖게 함과 동시에 젓가락으로 집을 경우 딱딱하거나 끊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면발의 원료를 구성하는 성분을 예의 선택하고, 이들을 적정 함량으로 조성함으로써, 전분의 함량이 낮게 조성되어도 면발의 형성이 가능하고, 유연함과 쫄깃함을 가지며, 단백질 및 섬유질 등의 함량이 높아 고영양을 제공하면서 탄수화물(전분)의 함량(탄수화물의 함량 5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 낮아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에게도 섭취가 가능한 면발용 분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자전분 22.0 ~ 28.0중량부, 글루텐 21.0 ~ 27.0중량부, 백미 20.0 ~ 24.0중량부, 흑미 4.0 ~ 7.0중량부, 실크단백 0.2 ~ 2.0중량부 및 식이섬유 5.0 ~ 7.0중량부를 포함 하는 면발용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은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발용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로 성형되는 면발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50 ~ 55중량%로 함유되어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발 원료의 성분들이 적정 조성되어 밀가루가 포함되지 않아도 면발의 형성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은 밀가루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전분의 함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면발로의 성형 시 유연함과 쫄깃함을 가져 젓가락으로 집을 경우 딱딱하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분(탄수화물)의 함량이 낮아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에게도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탄수화물의 함량이 55중량% 이하로 낮게 함유되어 혈당의 상승을 완만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단백질(실크단백) 및 섬유질(식이섬유) 등이 보충되어 고영양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은 면류 식품의 면발 제조(성형)용 원료로 사용되며, 바람직한 예를 들어 라면, 국수, 스파게티(spaghetti) 등의 면발 제조용 원 료로 보급,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원료란 반죽수(물)를 제외한 면발의 원료를 의미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함량 단위 '중량부'는 반죽수를 제외한 원료(면발용 분말) 전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은 감자전분, 글루텐, 백미, 흑미, 실크단백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며, 반죽수(물)와 혼합, 반죽되어 면발의 제조(성형)에 사용된다.
상기 감자전분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2.0 ~ 28.0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감자전분의 함량이 22.0중량부 미만이면 면발의 형성이 어렵고 유연함과 쫄깃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분의 함량이 28.0중량부를 초과한 경우 면발 형성에 유리하고 쫄깃함이 상승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탄수화물 저감 효과(탄수화물의 함량 55중량% 이하)를 얻기 어렵다. 즉, 전분의 함량이 높은 경우 탄수화물의 함량이 많아져 혈당을 높이므로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은 섭취가 불가능해진다. 상기 감자전분의 함량 범위(22.0 ~ 28.0중량부)는 탄수화물의 함량을 높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면발의 성형에 최적합한 범위로서, 최소의 양으로 최대의 성형성(면발 형성 용이성)을 도모하는 범위이다.
상기 글루텐(gluten)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 ~ 27.0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글루텐의 함량이 27.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탄성이 떨어져 면발의 경도가 증가하거나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글루텐의 함량이 21.0중량부 미만이면 면발 형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글루텐은, 바람직하게는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23.0 ~ 2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백미 및 흑미는 영양소 보급과 면발의 바디(body)감 등을 위해 첨가되 며,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미는 20.0 ~ 24.0중량부로 포함되고 흑미는 4.0 ~ 7.0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백미의 함량이 20.0중량부 미만인 경우 영양소 및 바디감이 떨어지고, 2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아져 당의 상승을 높일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흑미의 함량 또한 상기 백미와 마찬가지로 상기 함량 범위보다 낮거나 높으면 영양소 및 바디감이 떨어지거나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실크단백(silk peptide)은 누에고치에서 얻어진 단백질로서, 이는 18가지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많이 먹을수록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값이 비싼 것이 단점이다. 일본에서는 10여년전부터 고영양식품이나 의료 및 치료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 국내에서도 당뇨치료, 암예방, 간보호 등에 효과를 인증 받아 시판되고 있는 치료용이면서도 고영양소의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실크단백은 탄수화물을 섭취하였을 경우, 탄수화물로 인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실크단백은, 위와 같은 효능을 도모하기 위해 첨가되며,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 2.0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실크단백의 함량이 0.2중량부 미만이면, 그의 함유에 따른 효과(단백질 공급 등)가 미미하며, 이와 함께 탄수화물 섭취에 따른 혈당 상승 억제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실크단백의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격이 비싸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면발의 성형성을 저하시키거나 경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실크단백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 ~ 1.5중량부가 좋다.
상기 식이섬유는 인체에 섬유질을 공급함은 물론 대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음식이 내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며, 장운동량을 증가시키고, 배변 개선에 도움이 되는 식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이섬유는 수용성으로서, 본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 7.0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식이섬유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섬유질의 공급량이 적고, 7.0중량부를 초과한 경우 면발의 성형이 어려우며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원료들의 입자의 크기는, 구체적으로 감자전분, 글루텐, 백미, 흑미, 실크단백 및 식이섬유의 입자 크기는 70메쉬(mesh) ~ 500메쉬(mesh)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원료의 입자 크기로 미세화된 경우, 입자 표면에 반데르발스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입자간의 응집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면발이 보다 쫄깃해지고 점탄성이 좋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들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핀밀(pin mill) 등의 초미분쇄기를 통해 밀링되어 미세 분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발의 원료가 위와 같이 조성된 경우, 밀가루가 포함되지 않아도 면발의 성형이 가능하면서, 탄수화물의 함량이 저감된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원료로부터 제조된 면발은, 탄수화물이 50 ~ 55중량%로 함유되어 당을 관리해야 되는 사람들에게도 섭취가 가능하며, 유연성과 쫄깃함을 갖는다. 그리고 단백질(실크단백) 및 섬유질(식이섬유) 등이 보충되어 고영양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원료에 밀가루가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밀가루 알러지(allergy)가 있는 사람에게도 면류 식품 섭취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에는 바디감 등을 증가시키는 변성전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변성전분은 특히 라면이나 국수의 면발 제조 시에 포함되면 좋다. 변성전분이 포함된 경우, 면발의 점착성 및 점도이 증가되고 유화안정성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변성전분은,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 1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변성전분은 통상적으로 식품에 첨가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성전분은 여러 가지 곡물이나 근경에서 유래한 일반 천연 전분(감자전분, 옥수수전분 등)을 소량의 화학물질(산, 알칼리, 효소, 산화제 등)로 처리하여 전분의 히드록시기와 반응물질사이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것 또는 이를 호화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텍스트린(dextrin), 산화전분(Oxidized Starch), 아세틸아디핀산이전분(Acetylated Distarch Adipate), 아세틸인산이전분(Acetylated Distarch Phosphate), 옥테닐호박산나트륨전분(Starch Sodium Octenyl Succinate), 인산이전분(Distarch Phosphate), 인산일전분(Monostarch Phosphate), 인산화인산이전분(Phosphated Distarch Phosphate), 초산전분(Starch Acetate), 히드록시프로필인산이전분(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 및 히드록시프로필전분(Hydroxypropyl Starc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전분으로서 다른 곡물전분(옥수수전분 등)보다는 감자전분을 사용하고, 선택적으로는 변성전분(특히, 라면이나 국수의 면발 제조 시에 첨가될 수 있음)을 더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은 타전분에 비해 점도가 높아 소량으로 함유되어도 바디(body)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즉, 전분을 사용함에 있어, 다른 곡 물전분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서 감자전분(및 변성전분)을 사용하게 되면, 동일 함량 대비 바디감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은 라면이나 국수 등 생산 목적 및 수요자의 기호에 따라 기타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물은 타피오카(Tapioca), 유연제, 결면제 및 식염(정제염, 천일염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타피오카는 전분의 소량 첨가에 따른 성형성을 개선하고, 부드러움성, 쫄깃함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타피오카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타피오카 1.0 ~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제 및 결면제는 면발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연제는 0.5 ~ 2.0중량부로 포함 될 수 있고, 상기 결면제는 0.5 ~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유연제는 구아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결면제는 포타지움 카보네이트, 소디움 카보네이트 및 소디움 피로포스페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식염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면발 제조용 원료)은 반죽수(물)와 혼합되어 면발로 제조되는데, 이때 반죽수와 일정 비율로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면발용 분말과 반죽수는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 반죽되는 것이 좋다. 반죽수의 사용량이 너무 작거나 많을 경우, 글루텐의 수분 함수율이 적절치 못하여 입자간 응집이 어려워 면발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반죽수에 유연제, 결면제 및 식염을 미리 풀어 녹인 다음, 원료 분말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면발은 통상적인 면발 제조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1.0 ~ 1.5㎜의 굵기를 갖는 것이 좋다. 면발의 굵기가 작을수록 면발 사이의 공극이 작아 수분 흡수율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 흡수율이 낮으면 면발의 퍼짐을 방지하여 쫄깃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면발의 굵기는 1.5㎜ 이하로 작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나 면발의 굵기가 1.0㎜ 미만으로서 너무 작은 경우 쉽게 끊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먼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원료를 조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원료와 반죽수를 혼합(60 : 40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통상의 면발 성형기를 이용하여 면발을 성형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첨가물(3.0중량부)은 구아검(유연제) 1.0중량부, 소디움 카보네이트(결면제) 1.0중량부 및 정제염(식염) 1.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하기 [표 1]에서, 변성전분으로는 초산전분(Starch Acetate)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면발(혼합 반죽)에 대하여, 탄수화물의 함량(중량%)을 평가하고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5]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원료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원료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 라면 원료의 성분 및 함량에 따른 결과(단위 : 중량부) >

비 고
감자
전분

글루텐

백미

흑미
실크
단백
식이
섬유
변성
전분
첨가물 탄수
화물
(중량%)

결 과
비교예1 9 47 7 10 1 4 19 3 37 면발 형성 안됨
목표치의 탄수화물
비교예2 15 43 8 8 1 4 18 3 40 면발 형성 (불량)
목표치의 탄수화물
실시예1 22 27 20 7 1 5 15 3 50 면발 형성(양호)
목표치의 탄수화물
실시예2 28 21 24 4 1 7 12 3 55 면발 형성(양호)
목표치의 탄수화물
비교예3 35 18 20 4 1 7 12 3 62 면발 형성 안됨
탄수화물 초과
비교예4 40 17 15 4 1 8 12 3 63 면발 형성 안됨
탄수화물 초과
비교예5 46 16 11 4 1 8 11 3 65 면발 형성 안됨
탄수화물 초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료가 적절한 함량으로 조성된 경우 면발의 형성이 가능하고 탄수화물의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감자전분의 함량은 22.0 ~ 28.0중량부, 글루텐의 함량은 21.0 ~ 27.0중량부에서 면대가 형성되고, 경도가 증가하거나 끊어짐이 없이 쫄깃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조성된 경우, 영양분석 결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55중량% 이내로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면발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관능 평가 결과는 건강한 성인 남녀 각 5명을 선정하여, 제조된 면발에 대하여 쫄깃함, 퍼짐정도, 경도 및 맛 등을 판정하게 하여 평균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라면 면발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관능 평가 결과 >
평가 항목
본 발명(실시예 1) 일반 라면
쫄깃함 3 4
퍼짐정도 3 3
경도 3 3.5
4 3.5
<평가기준>
5:매우양호, 4:양호, 3:보통, 2:약간 나쁨, 1:좋지 않음
상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시중 일반 라면과 비교하여 쫄깃함에 있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퍼짐정도와 경도에 있어서는 동등 수준을 나타냈으며, 맛에 있어서는 우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면발을 평소 식후 2시간 내에 혈당이 200~300mg/dL 정도인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섭취하게 하였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혈당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혈당 평가는 원터치울트라 혈당체크기(제조사 : 존슨앤존슨메디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동일한 피시험자에게 시중의 일반 라면을 섭취하게 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른 혈당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 혈당 변화 결과(단위 : mg/dL) >
항 목
식 전 식 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실시예 1
130 145 155 144 135 129
일반 라면
130 272 290 282 212 165
차이
0 127 135 138 77 3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료 분말을 이용한 면발(실시예 1)을 섭취한 경우, 일반 라면을 섭취한 경우와 대비하여 소화과정에서 혈당이 급히 올라가거나 빠른 시간 내에 급속히 떨어지는 현상이 없고,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자전분 22.0 ~ 28.0중량부, 글루텐 21.0 ~ 27.0중량부, 백미 20.0 ~ 24.0중량부, 흑미 4.0 ~ 7.0중량부, 실크단백 0.2 ~ 2.0중량부 및 식이섬유 5.0 ~ 7.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용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용 분말은 변성전분을 더 포함하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자전분 22.0 ~ 28.0중량부, 글루텐 21.0 ~ 27.0중량부, 백미 20.0 ~ 24.0중량부, 흑미 4.0 ~ 7.0중량부, 실크단백 0.2 ~ 2.0중량부 및 식이섬유 5.0 ~ 7.0중량부 및 변성전분 10.0 ~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용 분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용 분말은 라면이나 국수의 면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용 분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용 분말로 성형되는 면발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50 ~ 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용 분말.
KR1020080112633A 2008-11-13 2008-11-13 면발용 분말 KR20100053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633A KR20100053825A (ko) 2008-11-13 2008-11-13 면발용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633A KR20100053825A (ko) 2008-11-13 2008-11-13 면발용 분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825A true KR20100053825A (ko) 2010-05-24

Family

ID=4227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633A KR20100053825A (ko) 2008-11-13 2008-11-13 면발용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1253A (zh) * 2021-02-02 2022-08-02 上海究本科技有限公司 一种低血糖冲击面条及制备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1253A (zh) * 2021-02-02 2022-08-02 上海究本科技有限公司 一种低血糖冲击面条及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637B1 (ko) 기능성 소재가 포함된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EP2779841B1 (en) Reconstituted cereal grain
CN107853577A (zh) 青稞杂粮挂面及其制备方法
JP2017023050A (ja) 糖質を低減した麺類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0310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KR20060120335A (ko) 난소화성 전분이 함유된 가공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0818B1 (ko) 소화가 용이한 재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소화가 용이한 재성형쌀
KR101293279B1 (ko) 보리국수의 제조 방법
KR102211798B1 (ko) 모링가 분말을 함유한 재성형쌀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34073B2 (ja) 高食感健康ゆで麺
JP6703864B2 (ja) 難消化性澱粉含有そば及びその製造方法
JP2911048B2 (ja) 食物繊維含有澱粉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法
KR101409212B1 (ko) 식이섬유 함량이 강화된 면류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류 제조방법
KR20100053825A (ko) 면발용 분말
KR101180711B1 (ko) 사과를 함유한 쌀국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135121A1 (en) Noodles and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noodles
KR101934450B1 (ko) 새고아미와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를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20090129648A (ko) 인조미 및 그 제조방법
JP2021184704A (ja) 穀物風粒状物
JP2004242567A (ja) 消化吸収抑制剤及び食品のgi値低減剤、並びにこれらが含まれた食品
CN112772838A (zh) 一种适合糖尿病人群食用的挂面及其制法
CN104222819A (zh) 糊粉层挂面及其制作工艺
KR102470878B1 (ko) 기능성이 증진된 도담쌀을 함유하는 쌀국수 면의 제조방법
KR102648055B1 (ko) 고단백 라이스 스낵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단백 라이스 스낵볼
KR101389063B1 (ko) 쌀국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