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721A - Rotary push button switch - Google Patents

Rotary push button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721A
KR20100053721A KR1020080112464A KR20080112464A KR20100053721A KR 20100053721 A KR20100053721 A KR 20100053721A KR 1020080112464 A KR1020080112464 A KR 1020080112464A KR 20080112464 A KR20080112464 A KR 20080112464A KR 20100053721 A KR20100053721 A KR 20100053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rotary
signal conducto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5205B1 (en
Inventor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205B1/en
Publication of KR2010005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rotary push button switch is provided to reduce the number of printed circuit boards needed by increasing freedom in the designing of a circuit pattern of a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ON: A signal conductor(60) controls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a fixed signal. A body(50) is supported in the inner part of the signal conductor. The body i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70). A switch knob(40) is moved perpendicularly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he switch board generates a corresponding by pressing a push switc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ile being pressed from outside. The rotary knob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ignal conductor according to an external operation. A breaking rib(110) supports the switch knob according to contact with the push switch. The breaking rib guides the switch knob and the rotary knob in the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depending on the occurrence of external shock.

Description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ROTARY PUSH BUTTON SWITCH}Rotary push button switch {ROTARY 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시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내부에서 파손되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을 없애며,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필요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damage the passenger inside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in the event of an external shock and to protect the occupant, and also to eliminate the space constraints when designing the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printing It relates to a rotary push button switch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circuit boards required.

차량에는 쾌적한 탑승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riding environment,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hicle indoor air.

일반적으로 차량의 계기판 중앙부에 설치된 센터 페시아 패널(기준면)에는 공조모드, 라디오 및 공조장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드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고, 모드 스위치들에는 이것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돌출물, 즉 노브들이 돌출되어 있다.In general, the center fascia panel (reference plan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de switches f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ing mode, the radio and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the like. Are protruding.

상기와 같은 노브는 자동차 안전법규로서 돌출물 규제에 대한 법규사항(기준면에 대하여 9.5mm이하)을 만족해야 한다.Knobs as described above must satisfy the legal regulations (9.5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for the regulation of protrusions as automobile safety regulations.

그런데, 탑승자의 조장 편의성 때문에 부득이 돌출도는 높이가 커야 하는 돌출물은, 상기의 돌출물 규제를 만족하기 위하여, 예컨대 자동차 충돌사고시 조수석 탑승자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38.5kgf)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돌출물이 기준면(센터 페시아 패널)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By the way, the protrusion that the height of protrusion must be large due to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protrusion regulation, for example, when the impac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38.5kgf) by the passenger seat occupant in a car crash accident, It is designed to protect the occupant by absorbing the shock 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reference plane (center fascia panel) to enter.

도 1은 일반적인 노브 충격흡수 구조가 적용된 모드스위치가 도시되어 있다.1 illustrates a mode switch to which a general knob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노브 충격흡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과 인쇄회로기판(1)의 전면에 형성되는 연결부(2)와, 상기 연결부(2)에 연결되어 각종 기능을 조작하는 노브(5)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knob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connection part 2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1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 to manipulate various functions. It consists of a knob (5).

인쇄회로기판(1)에는 상기 연결부(2)를 기준으로 둘레가 절개된 파단부(7)가 형성되고, 파단부(7)와 연결편(9)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 is formed with a fracture portion 7 whose circumference is cut off based on the connection portion 2, and is connected and connected by the fracture portion 7 and the connection piece 9.

이에 따라 노브(5)의 전측에서 일정 크기 이상(38.5kgf)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연결편(9)이 파손되면서 파단부(7)가 인쇄회로기판(1)에서 절개되고,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던 노브(5)는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는 구조를 지닌다.Accordingly, when an impact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38.5 kgf) is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knob 5, the breakage portion 7 is cut off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 while the connecting piece 9 is broken and protrudes from the reference plane. The knob 5 that was present has a structure that enters the inside.

종래 기술에 따른 노브 충격흡수 구조에 의하면, 외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파손되는 구조를 지니게 됨으로 회로패턴의 설계시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어 설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knob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a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ut and broken in order to alleviate external sho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is difficult due to the limitation of space in the design of the circuit pattern.

또한, 인쇄회로기판이 갖는 구조상 폭이 협소한 연결편이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작업시 연결편의 파손에 의해 경제적이지 못하고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narrow width of the connection piece can not be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not economical and difficult to work due to breakage of the connection piece.

아울러, 인쇄회로기판은 회로패턴의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2장 구비됨에 따라 조립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cost is increased as two pieces are provided to free the design of the circuit patter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외부 충격시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내부에서 파손되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을 없애며,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의 필요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damaged inside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in the event of an external shock to protect the occupant and eliminate space constraints when designing the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push button switch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printed circuit board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는: 하측에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시그널리브를 형성하여 회전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센서부재에 순서대로 겹쳐짐으로써 해당 신호의 강약을 조절하는 시그널 컨덕트, 이 시그널 컨덕트의 내측에 지지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바디, 이 바디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외부 누름시 인쇄회로기판의 누름스위치를 눌러 해당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노브, 이 시그널 컨덕트의 상측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시그널 컨덕트와 함께 회전되는 로터리노브 및 이 스위치노브의 내측에 형성되어 누름스위치에 접촉됨에 따라 스위치노브를 지지하며 외부 충격 발생시 파손됨에 따라 스위치노브와 로터리노브를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파단리브를 포함한다.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gnal conductor for controlling th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signal by forming a plurality of signal ribs along a circular trajectory on the lower side and overlapping the sensor members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rotation in order. A body that is supported inside the signal conductor and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witch knob that is formed to b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inside the body to press the push switc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signal when the external press is pressed. Rotary knob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ry knob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ignal conductor by external operation and is formed inside of the switch knob to support the switch knob as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ush switch, and when the external shock occurs, the switch knob and the rotary And break ribs to guide the knobs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스위치노브는 상기 파단리브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 노치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knob is preferably formed notched grooves on both sides based on the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break rib.

상기 바디는 상측으로 작동감지핀을 형성하고, 상기 로터리노브는 회전 작동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작동감지핀을 하측 내부에 수용하는 물결파형 형상의 세레이션부를 형성한다.The body forms an operation sensing pin at an upper side, and the rotary knob forms a serration portion having a wavy wave shape accommodating the operation sensing pin inside the lower side to give a rotational operation feeling.

상기 스위치노브는 외측 둘레면에 가이드리브를 돌출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리브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knob protrudes a guide rib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dy preferably forms a guide groove for receiving and guiding the guide rib.

상기 시그널 컨덕트는 내측면에 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시그널 컨덕트 내부에 지지되도록 외측 둘레면에 지지돌기를 돌출하며, 상기 시그널 컨덕트는 상기 로터리노브의 외부 충격 전달시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가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결속해지부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signal conductor forms a support groove on the inner side, and the body protrudes a support protru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upported inside the signal conductor, and the signal conductor supports the external shock of the rotary knob.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binding release portion for inducing the support protrusion to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아울러, 상기 결속해지부는 상기 시그널 컨덕트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터리노브의 하측을 지지하고 누름력 발생시 상기 시그널 컨덕트의 테두리와 함께 하향 휘어지는 지지리브 및 상기 지지리브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터리노브와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release portion extends outwardly of the signal conductor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knob, and extends upwardly from the support ribs and the support ribs bent downward together with the edge of the signal conductor when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It includes a coupling rib coupled to the rotary knob.

상기 로터리노브는 하부 외측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리브에 지지된다.The rotary knob is supported on the coupling rib by forming a locking step on the lower outer side.

본 발명의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에 따르면, 외부 충격시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내부에서 파손되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 설계에 자유로워 인쇄회로기판의 필요 개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impact is broken inside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can protect the occupa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space constraints when designing a circuit pattern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to design the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reduce the required number of printed circuit board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내부 파손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broken state of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는 로터리노브(20), 캡(30), 스위치노브(40), 바디(50), 시그널 컨덕트(60)를 포함한다.2 to 5,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ry knob 20, a cap 30, a switch knob 40, a body 50, and a signal conductor 60. It includes.

여기서, 로터리노브(20)와 시그널 컨덕트(60)는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됨에 따라 로터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고, 캡(30)과 스위치노브(40) 및 바디(50)는 서로 연결되어 외부 누름시 탄성적으로 하강하며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누름스위치(74)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rotary knob 20 and the signal conductor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otate together to perform a rotary switch function, and the cap 30 and the switch knob 40 and the body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ressed externally. When elastically lowere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ush switch 74 to generate a corresponding signal.

이때, 로터리노브(20)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외형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이 로터리노브(20)를 잡고 회전시킨다. 로터리노브(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원통 형상으로 도시한다.At this time, the rotary knob 20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The user grabs and rotates the rotary knob 20. Rotary knob 20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shapes are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for convenience.

아울러, 시그널 컨덕트(60)는 로터리노브(20)의 하측에 연결되어 로터리노브(20)와 함께 회전한다. 특히, 시그널 컨덕트(60)는 하측 테두리를 따라 원 궤적 상으로 시그널리브(62)를 다수 개 돌출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70)은 센서부재(72)를 형성한다. 이 센서부재(72)는 시그널 컨덕트(6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하여 볼륨의 강약 조절 등 해당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시그널 컨덕트(60)가 회전함에 따라, 시그널리브(62)는 순차적으로 센서부재(72)에 겹쳐짐으로써 해당 신호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signal conductor 6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knob 2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knob 20. In particular, the signal conductor 60 protrudes a plurality of signal ribs 62 on the circular locus along the lower edge.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forms a sensor member 72. The sensor member 72 detects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ignal conductor 60 and serves to generate a corresponding signal such as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volume. Thus, as the signal conductor 60 rotates, the signal rib 62 sequentially overlaps the sensor member 72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signal.

특히, 시그널 컨덕트(60)는 로터리노브(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캡(30)과 스위치노브(40) 및 바디(50) 등이 로터리노브(20) 내부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로터리노브(2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그널 컨덕트(60)는 로터리노브(20)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데, 편의상 후크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In particular, the signal conductor 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ry knob 20, but the cap 30, the switch knob 40, the body 50, and the like may be easily assembled inside the rotary knob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knob 20 is formed to be detachable. In this case, the signal conductor 60 is coupled to the rotary knob 20 by various methods, and is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by a hook coupling method for convenience.

시그널 컨덕트(60)와 시그널리브(62) 및 센서부재(7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signal conductor 60, the signal rib 62, and the sensor member 72 may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한편, 시그널 컨덕트(60)의 내측에는 바디(50)가 조립되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50 is assembled and supported inside the signal conductor 60.

바디(50)는 로터리노브(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바디(50)는 인쇄회로기판(70)에 지지된다. 특히, 바디(50)는 인쇄회로기판(70)에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시그널 컨덕트(60)는 바디(50) 둘레면에 지지되어 인쇄회로기판(70)과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시그널 컨덕트(60)는 회전 가능하게 바디(50)에 지지된다.The body 50 serves to support the rotary knob 20. In addition, the body 50 is supported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In particular, the body 50 is preferably firmly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by bolt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ignal conductor 60 is suppor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50 to maintain the clearance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Of course, the signal conductor 6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50.

특히, 로터리노브(20)는 회전시 회전되는 작동감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바디(50)는 상측으로 작동감지핀(132)을 형성하고, 로터리노브(20)는 내측면에 물결파 형상 또는 사인파 형상의 세레이션부(134)를 형성한다. 따라서, 로터리노브(20)가 회전될 경우, 세레이션부(134)는 작동감지핀(132)을 해당 궤적을 따라 연속적으로 안내한다. 그래서, 로터리노브(20)는 세레이션부(134)의 궤적에 의해 반복적으로 승하강하기 때문에 회전 작동감을 부여한다. 작동감지핀(132)은 바디(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작동감지핀(13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rotary knob 20 is preferably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operation when rotated. Thus, the body 50 forms an operation sensing pin 132 upwards, and the rotary knob 20 forms a serration portion 134 of a wave shape or a sinusoidal shap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refore, when the rotary knob 20 is rotated, the serration unit 134 continuously guides the operation detecting pin 132 along the corresponding trajectory. Thus, since the rotary knob 20 repeatedly moves up and down by the trajectory of the serration portion 134, the rotary knob 20 gives a rotational feeling of operation. The operation detecting pin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50 or may be detachably formed. In addition, the operation detection pin 132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shapes.

이때, 작동감지핀(132)이 바디(50)의 상측에 형성되는 이유는 외부 충격시 시그널 컨덕트(60)를 파손 유도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operation sensing pin 13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50 is to induce the damage to the signal conductor 60 during an external impact.

또한, 바디(50)의 내부에는 스위치노브(40)가 구비된다. 이 스위치노브(40)는 바디(50)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외부의 누름력 발생시 탄성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노브(40)와 인쇄회로기판(70) 사이에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됨에 따라 스위치노브(40)는 누르는 외력 제거시 초기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70)은 스위치노브(40)에 대응되게 누름스위치(74)를 구비한다. 그래서, 스위치노브(40)가 하강하며 누름스위치(74)를 누를 경우, 누름스위치(74)에 해당되는 공조기 온(ON)/오프(OFF) 등의 신호가 발생된다.In addition, a switch knob 4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50. The switch knob 40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body 50 to elastically lower when an external pressing force is generated. At this time, as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is mounted between the switch knob 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the switch knob 40 is raised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pressed. In particular,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includes a push switch 74 corresponding to the switch knob 40. Thus, when the switch knob 40 is lowered and the push switch 74 is pressed, a signal such as an air conditioner ON / OFF corresponding to the push switch 74 is generated.

아울러, 스위치노브(40)의 상측에는 캡(30)이 형성된다. 이 캡(30)은 스위치노브(40)가 로터리노브(20) 외측으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테리어 감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캡(30)은 다양하게 형상 변경 가능하다.In addition, a cap 30 is formed above the switch knob 40. The cap 30 prevents the switch knob 40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ry knob 20 and increases the interior sensation. The cap 30 can be changed in various shapes.

또한, 로터리노브(20)는 상측에 가이드링(10)을 더 형성한다. 이 가이드링(10)은 로터리노브(20) 상측으로 캡(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링(10)은 로터리노브(20)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이드링(10)은 로터리노브(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링(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rotary knob 20 further forms a guide ring 10 on the upper side. The guide ring 10 serves to prevent the cap 30 from being separated above the rotary knob 20. At this time, the guide ring 10 is preferably detachably fitted to the rotary knob 20. Of course, the guide ring 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ry knob 20. The shape of the guide ring 10 can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스위치노브(40)에는 파단리브(110)를 연장 형성한다. 이 파단리브(110)는 스위치노브(40)의 내측에서 하향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되어 누름스위치(74)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파단리브(110)는 스위치노브(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위치노브(40)가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파단리브(110)는 누름스위치(74)에 접촉하지 않고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외부로부터 눌려지는 충격을 받을 경우, 스위치노브(40)는 캡(30) 및 로터리노브(20)와 함께 강제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파단리브(110)는 위치 고정된 누름스위치(74)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쉽게 부서진다. 이때, 외부 충격이라 함은 탑승자가 캡(30)과 로터리노브(20)에 심하게 부딪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로터리노브(20)와 캡(30) 및 스위치노브(40)는 인쇄회로기판(70)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는 보호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knob 40 is formed to extend the break rib 110. The breaking rib 110 extend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switch knob 40 to be in contact with the push switch 74. Thus, the breaking rib 110 serves to support the switch knob 40. Of course, as the switch knob 4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the breaking rib 110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push switch 74. In addition, when the shock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he switch knob 40 is forcibly pressed together with the cap 30 and the rotary knob 20, accordingly, the breaking rib 110 is a push switch fixed in position ( 74) and easily breaks down. At this time, the external shock refers to the passenger hit the cap 30 and the rotary knob 20 severely. Thus, the rotary knob 20, the cap 30 and the switch knob 40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thereby protecting the occupant.

특히, 스위치노브(40)는 파단리브(110)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 노치홈(120)을 형성한다. 이 노치홈(120)은 파단리브(110) 자체의 부서짐과 동시에 파단리브(110)를 연결한 스위치노브(40)의 둘레면도 함께 파손되도록 함으로써 파단리브(110)가 최대한 빨리 파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switch knob 40 forms a notch groove 120 on both sides of the switch rib 40 on the basis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reak rib 110. The notch groove 120 serves to break the breaking rib 110 as soon as possible by breaking the breaking rib 110 itself and break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knob 40 connecting the breaking rib 110. do.

한편, 스위치노브(40)는 바디(50) 내부에서 직진 안내되면서 승하강되도록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스위치노브(40)는 외측 둘레면에 승하강되는 방향을 따라 가이드리브(142)를 돌출하고 바디(50)는 이 가이드리브(142)를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홈(144)을 함몰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리브(142)가 가이드홈(144)을 따라 승하강됨에 따라 스위치노브(40)는 바디(5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knob 40 is preferably assembled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straight inside the body (50). Thus, the switch knob 40 protrudes the guide rib 142 along the direction of lifting up and dow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dy 50 recesses the guide groove 144 to accommodate the guide rib 142. . Therefore, as the guide rib 14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44, the switch knob 40 is raised and lowered stably in the body 50.

특히, 시그널 컨덕트(60)는 바디(50)에 회전 가능하면서 견고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시그널 컨덕트(60)는 내측면에 지지홈(152)을 형성하고, 바디(50)는 시그널 컨덕트(60) 내부에 지지되도록 외측 둘레면에 지지돌기(154)를 돌출 형성한다. 따라서, 시그널 컨덕트(60)의 지지홈(152)은 바디(50)의 지지돌기(154)를 수용함에 따라 시그널 컨덕트(60)는 인쇄회로기판(70)과 간격을 유지하 며 회전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signal conductor 60 is preferably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50. Thus, the signal conductor 60 forms a support groove 152 on the inner side, and the body 50 protrudes the support protrusion 15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upported inside the signal conductor 60. Therefore, as the support groove 152 of the signal conductor 60 receives the support protrusion 154 of the body 50, the signal conductor 60 is rotatable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do.

이때, 지지돌기(154)가 지지홈(152)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 발생시, 시그널 컨덕트(60)는 인쇄회로기판(70)과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15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52,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the signal conductor 60 can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이에 따라, 시그널 컨덕트(60)는 로터리노브(20)의 외부 충격 전달시 지지홈(152)으로부터 지지돌기(154)가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결속해지부(156)를 더 형성한다.Accordingly, the signal conductor 60 further forms a binding release part 156 that guides the support protrusion 154 from the support groove 152 when the external impact of the rotary knob 20 is transmitted.

여기서, 결속해지부(156)는 지지리브(157) 및 결합리브(158)를 포함한다.Here, the binding release portion 156 includes a support rib 157 and the coupling rib 158.

지지리브(157)는 시그널 컨덕트(6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로터리노브(20)의 하측을 지지하고, 외부 충격에 따른 누름력 발생시 시그널 컨덕트(60)의 테두리와 함께 하향 휘어진다. 아울러, 결합리브(158)는 지지리브(157)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터리노브(20)와 결합된다.The support rib 157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ignal conductor 60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knob 20 and bend downward with the edge of the signal conductor 60 when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due to an external impact. In addition, the coupling rib 158 extends upward from the support rib 157 and is coupled to the rotary knob 20.

따라서, 캡(30)과 로터리노브(2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지지리브(157)가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지지돌기(154)가 지지홈(15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시그널 컨덕트(60)는 인쇄회로기판(70)까지 밀리게 된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ap 30 and the rotary knob 20, the support rib 157 is bent outwardly and the support protrusion 154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152. As a result, the signal conductor 60 is pus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이와 동시에, 스위치노브(40)의 파단리브(110)는 인쇄회로기판(70)이나 누름스위치(74)에 부딪히면서 파손되고, 이로 인해, 스위치노브(40)와 캡(30)은 인쇄회로기판(70)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break rib 110 of the switch knob 40 is damaged while hit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or the push switch 74, and thus, the switch knob 40 and the cap 30 are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 70) direction.

한편, 로터리노브(20)는 하부 외측에 걸림턱(160)을 형성하여 결합리브(158)에 지지된다. 이는, 로터리노브(20)가 안정적으로 지지리브(157)를 하향 휘게 밀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knob 20 is supported on the coupling rib 158 by forming a locking step 160 on the lower outer side. This is for the rotary knob 20 to stably push the support rib 157 downwar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눌려지는 충격이 가해지면, 로터리노브(20)는 인쇄회로기판(70)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 밀리는 힘은 지지리브(157)와 결합리브(158)를 하향 휘게 작용한다. 그러면, 시그널 컨덕트(60)의 지지홈(152)은 바디(50)의 지지돌기(154)와 분리되고, 이로 인해, 시그널 컨덕트(60)는 인쇄회로기판(70)과 접촉하는 만큼 하강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he rotary knob 2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the pushing force lowers the support rib 157 and the coupling rib 158. It bends. Then, the support groove 152 of the signal conductor 6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rotrusion 154 of the body 50, whereby the signal conductor 60 is lowered by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Done.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충격에 의해 로터리노브(20)가 인쇄회로기판(70)에 접함과 동시에 캡(30)과 스위치노브(40)는 인쇄회로기판(70)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파단리브(110)는 인쇄회로기판(70)이나 누름스위치(74)에 부딪히며 파손된다.Referring to FIG. 7, the cap 30 and the switch knob 40 are pushed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while the rotary knob 20 i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by an external impact. Due to this, the breaking rib 110 collides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or the push switch 74 and is damaged.

그래서, 스위치노브(40)는 인쇄회로기판(70)에 접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Thus, the switch knob 40 is lowered until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아울러, 순간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로터리노브(20)는 지지리브(157)를 휘어지게 한 채로 시그널 컨덕트(60)를 인쇄회로기판(70)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시그널 컨덕트(60)의 시그널리브(62)는 인쇄회로기판(70)에 부딪히며 접히게 되고, 시그널 컨덕트(60)와 로터리노브(20)는 시그널리브(62) 만큼 하강하게 된다. 물론, 시그널리브(62)는 자체적으로 파손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a momentary external shock is applied, the rotary knob 20 pushes the signal conductor 60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while bending the support rib 157. Then, the signal rib 62 of the signal conductor 60 collides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is folded, and the signal conductor 60 and the rotary knob 20 are lowered by the signal rib 62. Of course, the signal rib 62 may be broken by itself.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는 탑승자로부터 충격력 전달시 파단리브(110)와 시그널리브(62)가 단시간에 파손됨에 따라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Accordingly,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occupant from impact as the break rib 110 and the signal rib 62 are damaged in a short time when the impact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occupant.

아울러, 기존에 인쇄회로기판(70)이 파손되도록 인쇄회로기판(70)에 홀을 뚫는 구조에 비해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파손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70)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이 없이 설계가 가능하여 양산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induces itself to be broken in comparison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is broken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is damaged. It can be designed without restriction and mass production is eas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일반적인 노브 충격흡수 구조가 적용된 모드스위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de switch to which a conventional knob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의 내부 파손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internal broken state of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가이드링 20: 로터리노브10: guide ring 20: rotary knob

30: 캡 40: 스위치노브30: cap 40: switch knob

50: 바디 60: 시그널 컨덕트50: body 60: signal conductor

70: 인쇄회로기판 110: 파단리브70: printed circuit board 110: break rib

120: 노치홈 132: 작동감지핀120: notch groove 132: operation detection pin

134: 세레이션부 142: 가이드리브134: serration part 142: guide rib

144: 가이드홈 152: 지지홈144: guide groove 152: support groove

154: 지지돌기 156: 결속해지부154: support protrusion 156: binding

157: 지지리브 158: 결합리브157: support rib 158: combined rib

160: 걸림턱160: hanging jaw

Claims (7)

설정된 신호의 강약을 조절하는 시그널 컨덕트;A signal conductor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set signal; 상기 시그널 컨덕트의 내측에 지지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바디;A body supported inside the signal conductor and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바디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외부 누름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누름스위치를 눌러 해당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노브;A switch knob which is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body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ignal by pressing a push switc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an external press is pressed; 상기 시그널 컨덕트의 상측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바디에 지지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시그널 컨덕트와 함께 회전되는 로터리노브; 및A rotary knob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ignal conductor and supported by the body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signal conductor by external manipulation; And 상기 스위치노브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스위치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노브를 지지하며, 외부 충격 발생시 파손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노브와 상기 로터리노브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내려앉도록 유도하는 파단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A break rib formed inside the switch knob to support the switch knob as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ush switch, and to guide the switch knob and the rotary knob to fall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s it is damaged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Rotary push button switch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노브는 상기 파단리브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 노치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The switch knob is a rotary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notch groove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reak rib.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디는 상측으로 작동감지핀을 형성하고;The body forms an operation sensing pin upward; 상기 로터리노브는 회전 작동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작동감지핀을 하측 내부에 수용하는 물결파 형상의 세레이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The rotary knob is a rotary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rrated wave-like serration portion for receiving the operation sensing pin in the lower side to give a rotational operation feeling.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위치노브는 외측 둘레면에 가이드리브를 돌출하고;The switch knob protrudes a guide rib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리브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The body is a rotary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guide groove for receiving and guide the guide rib.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시그널 컨덕트는 내측면에 지지홈을 형성하고;The signal conductor forms a support groove on an inner side thereof; 상기 바디는 상기 시그널 컨덕트 내부에 지지되도록 외측 둘레면에 지지돌기를 돌출하며;The body protrudes a support protrus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upported inside the signal conductor; 상기 시그널 컨덕트는 상기 로터리노브의 외부 충격 전달시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가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결속해지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The signal conductor further comprises a binding release part for inducing the support protrusion from the support groove when the external impact transmission of the rotary knob to the rotary push button switch.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해지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inding termination unit, 상기 시그널 컨덕트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터리노브의 하측을 지지하고, 누름력 발생시 상기 시그널 컨덕트의 테두리와 함께 하향 휘어지는 지지리브; 및A support rib extending outwardly of the signal conductor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knob and bent downward together with an edge of the signal conductor when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And 상기 지지리브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터리노브와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And a coupling rib extending upward from the support rib and coupled to the rotary knob.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로터리노브는 하부 외측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리브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The rotary knob is a rotary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is supported by the coupling rib.
KR1020080112464A 2008-11-13 2008-11-13 Rotary push button switch KR101005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64A KR101005205B1 (en) 2008-11-13 2008-11-13 Rotary push butto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64A KR101005205B1 (en) 2008-11-13 2008-11-13 Rotary push button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721A true KR20100053721A (en) 2010-05-24
KR101005205B1 KR101005205B1 (en) 2010-12-31

Family

ID=4227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464A KR101005205B1 (en) 2008-11-13 2008-11-13 Rotary push button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20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04B1 (en) * 2010-10-22 2012-05-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Rotary switch assembly
CN110010399A (en) * 2019-04-01 2019-07-12 宁波福尔达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 rotary switch
WO2021132772A1 (en)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휴롬 Jog di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979B1 (en) * 2001-04-04 2004-12-14 한라공조주식회사 Impact absorbing structure of knob for mode switch in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04B1 (en) * 2010-10-22 2012-05-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Rotary switch assembly
CN110010399A (en) * 2019-04-01 2019-07-12 宁波福尔达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 rotary switch
CN110010399B (en) * 2019-04-01 2024-04-16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Knob switch for vehicle
WO2021132772A1 (en)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휴롬 Jog di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205B1 (en)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156B2 (en) Steering wheel having airbag apparatus attached thereto
EP2554439A1 (en) Airbag device
KR101005205B1 (en) Rotary push button switch
JP4313608B2 (en) Electronics
EP1908648B1 (en) Airbag device
MX2012009671A (en) Air bag device.
JP2008041654A (en) Switch for vehicle
EP2369607B1 (en) Switch for vehicle
EP1958849A1 (en) Steering wheel
KR101040327B1 (en) Dual rotary push switch
WO2008007695A1 (en) Switch for vehicle
JP4143213B2 (en) Speed change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JP2000085586A (en) Steering wheel
KR101014288B1 (en) Rotary knob member
JP2006066288A (en) Operating mechanism
KR101021949B1 (en) Rotary switch
JP4094282B2 (en) Operation device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JP2012208821A (en) Knob device
EP3566909B1 (en) Door trim
KR101144904B1 (en) Rotary switch assembly
KR101152804B1 (en) Rotary-push-switch module of vehicle
JP4617916B2 (en) Steering device support structure
JP2010153058A (en) Knob device and o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JP4729383B2 (en) Instrument panel mounting shift lever device
KR20100065883A (en) Mode switch assembl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