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124A -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124A
KR20100052124A KR1020080111014A KR20080111014A KR20100052124A KR 20100052124 A KR20100052124 A KR 20100052124A KR 1020080111014 A KR1020080111014 A KR 1020080111014A KR 20080111014 A KR20080111014 A KR 20080111014A KR 20100052124 A KR20100052124 A KR 2010005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electrolytic cell
unit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진
정인조
Original Assignee
이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08011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124A/en
Publication of KR2010005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1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PURPOSE: A water cleaner equipped with blocking function is provided to prevent unnecessary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by electrolysis in case water is controlled by an external factor, and to prevent breeding of virus of water by creating silver ion. CONSTITUTION: A water cleaner comprises the following: a filter(90) filtering water which is flowed through a pipe; an electrolytic cell(10) in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lows in; an anode plate(31) and a negative plate(32) having silver content, mounted on an electrolytic cell; a water tank(40) where water is electrolyzed in the electrolytic cell, contains the silver ion, and is saved; a flowmeter(70) installed at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water tank; a power supply unit(110); a controller(120) controlling the power provided to an anode plate and a negative plate; and a water inflow sens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on the pipe, senses water inflow to the electrolytic cell, transmits to the controller.

Description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Water purifier with cut-off function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본 발명은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이나 악취를 발생시키는 성분 등을 다단의 필터를 통해 걸러줄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에 의해 은(Ag) 나노 이온을 생성하여 원수에 공급하여 세균의 박멸, 번식억제를 하고 활성수소를 원수에 공급하여 이를 음용하였을 때 인체 내부의 활성산소를 체외로 배출해 줄 수 있도록 한 전해조를 구비하되, 외부요인(물탱크 청소 등)에 의해 단수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과잉의 은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block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filter out silver (Ag) nano ions by electrolysis as well as to filter out impurities or odor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rough a multi-stage filter. Produce and supply to raw water to eradicate germs, suppress reproduction, and supply active hydrogen to raw water, and when it is consumed, it is equipped with an electrolytic cell that can discharge the active oxygen inside the body, but it is an external factor (water tank cleaning, etc.). In the event of a singular situation caused by a), electrolysis is prevented from occurring, preventing excess silver ions from being produced.

양극판과 음극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어느 한 극판의 은(Ag) 성분이 먼저 소멸되지 않도록 한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blocking function in which the silver (Ag) component of one of the pole plates is not first disappeared by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e plates.

주지하다시피 환경오염과 공해 등에 의한 부산물로 야기되는 수돗물은 정화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며, 근래에 들어 물의 중요도가 확산되면서 정수기와 생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As is well known, tap water caused by by-product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ollution is very low in pur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water purifier and bottled water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mportance of water.

이와 함께 취사는 물론 샤워나 마사지 및 의료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 또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물에 함유된 성분에 따라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과 관련하여 물의 중요도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Along with cooking, water used for showering, massage, and medical treatment also has a direct effect on the skin upon contact with the skin, which can cause skin diseases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water. Therefore, the importance of water is increasing.

이러한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불순물이나 악취 제거를 위한 필터뿐만 아니라 살균을 위한 자외선램프를 도입한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다. Due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water purifiers that introduce ultraviolet lamps for sterilization as well as filters for removing impurities or odors have been released.

자외선램프는 순간적인 살균력은 우수하지만, 살균처리 후에 저수조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살균수에는 잔류성이 있는 살균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일반세균 및 생물학적 오염에 대하여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다. 즉, 대기나 주변환경에 상존하여 세균 및 미생물이 저장탱크 내부로 침투하여 서식하게 되거나, 자외선 살균기를 통해 미처리된 미생물에 의해 저장탱크의 물이 재오염되며 특히, 정수기의 사용이 없는 야간 시간동안 균의 재성장이 이루어진다. Ultraviolet lamps have excellent instantaneous sterilizing power, but since sterilizing water is not present in the sterilizing water stored and supplied to the reservoir after sterilization, they are exposed to general bacteria and biological contamination. That is, bacteria and microorganisms exist in the storage tank due to the presence in the atmosphere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is recontaminated by untreated microorganisms through an ultraviolet sterilizer. Regrowth of bacteria occurs.

이와 같은 자외선램프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분해를 위한 전해조를 도입하여 원수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정수기가 최근 제안되고 있다.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ultraviolet lamp system, a water purifier for introducing functionality into electrolyzer has been recently proposed.

이러한 전해조를 구비하고 있는 정수기의 일례가 등록실용 제0392681호 "전해 정수시스템", 등록실용 제0412166호 "정수기 부착형 이온수기"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such an electrolytic cell include the registration room No. 0392681 "electrolytic water purification system", the registration room No. 0412166 "water purifier attached ionizer", and the like.

상기 두 특허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전기분해식 정수기는 전해조에 유량감지센서를 구비시켜 전해조에 원수가 일정 이상 채워지면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외부의 단수상황 시(예를 들어, 정수기 유지보수를 위해 원수공급을 차단하거나, 수자원 공사에서 수도(원수)의 공급을 차단한 경우나, 수도관 교체 등을 위해 원수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등)에도 전해조에 원수가 채워져 있으면 전기분해가 행해지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유발하고, 과잉의 은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General electrolytic water purifiers including the two patents are provided with a flow rate sensor in the electrolytic cell so that electrolysis is performed when raw water is fi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us, in case of external water shortage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supply of raw water is blocked for water purifier maintenance, the supply of water (raw water) is blocked by water resources construction, or the supply of raw water is blocked for water pipe replacement, etc.) ), If the electrolyzer is filled with raw water, electrolysis is performed, caus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excessive silver ions may be generated.

따라서 전해조에 채워진 운수의 양뿐만 아니라 전해조에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함께 체크하여 전기분해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의 정수기에는 이러한 기능(즉, 단수차단기능)이 구비도어 있지 않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heck whether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electrolyzer as well as the amount of the cloud filled in the electrolyzer to control the electrolysis.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does not have such a function (that is, a single cutoff function).

또한, 상기 두 특허는 전해조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배치하고, 두 극판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여 원수에 은 이온을 공급하고 있는데,In addition, the two patents provid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side the electrolytic cell, and supply the power to the two electrode plates so that the electrolysis is performed to supply silver ions to the raw water.

상기 두 특허는 양극판과 음극판에 동일한 극성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고 있어, 양극판의 은은 점차 소멸되나 음극판의 은은 거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늘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두 극판을 가지고 은 이온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기간이 짧고, 음극판은 계속 사용할 있음에도 두 극판을 함께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The two patents continuously apply power of the same polarity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silver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gradually disappears, but the silver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hardly changes or increases. This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silver ions with the two pole plates, and the replacement of the two pole plates together, even though the negative plate continues to be used, is a waste of resour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관로를 통해 전해조에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원수의 유입이 되는 경우에만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고 일정시간 이상 원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에는 전해조에 원수가 가득 채워져 있어도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전력소모를 줄이고 과잉의 은 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두 극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서 보다 오랜 시간 은 이온을 공급하고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줄인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heck whether or not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pipe so that the electrolysis is carried out only when the raw water is introduced and there is no inflow of raw water for a certain time Even if the electrolyzer is filled with raw water, electrolysis does not occur, reducing power consumption, preventing excess silver ions from being generated, and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two plates to supply silver ions for a longer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ith a singular cutoff function that reduces unnecessary waste of resourc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는Water purifier with a single cut off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 특정성분을 여과시키는 필터;A filter for filtering a specific component of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ipeline;

상기 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전해조;An electrolytic cell that temporarily stores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상기 전해조에 장착되는 은(Ag)의 성분을 갖는 양극판 및 음극판;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having a component of silver (Ag) mounted on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은(Ag)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A reservoir for electrolyzing in the electrolytic cell to store raw water containing silver (Ag) ions;

상기 전해조 및 저수조에 설치되고, 유입된 원수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A flow rate sensor insta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reservoir to detect an amount of raw water introduced;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그리고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ump;

상기 전해조의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A controller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flow sensor of the electrolytic cell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조에의 원수 유입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 롤로에 전송하는 원수유입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raw water inflow detecting member installed on the pipe to sense the inflow of raw water into the electrolytic cell and to transmit the raw water to the controller;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원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ut off when there is no raw water inflow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aw water inflow detection member.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는And the raw water inflow detection member

상기 관로가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와,A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ipeline is connected and introduced and discharged from raw water,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커버와,A cover covering the opening and coupled to the body;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아프램과,A diaphragm provided in the opening and expanded by water pressure of raw water flowing in;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라 전후진하는 누름부재와,A pressing membe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as the diaphragm is expanded;

상기 커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전진 접촉에 의해 작동되어 원수의 유입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it is operated by the forward contact of the pressing member to detect whether the inflow of raw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극판에 정전류를 공급하고,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a constant current to the electrode plate during the electrolysis in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 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periodically changes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상기 전원공급부는The power supply unit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 표시부 및 극성변환부에 공급하는 정전압부와,A constant voltage unit for supplying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polarity converting unit to a constant voltage input commercial AC power;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절연변압기와, An insulated transformer receiving a commercial AC power and having a primary side and a secondary sid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절연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화하는 평활부와, A smoothing part for smoothing the output power of the insulation transformer;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정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It includes a constant current portion for supplying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lytic cell by constant current output power of the smoothing unit,

상기 컨트롤러는The controller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과,A number of buttons for the user's operation,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음극판 및 양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키는 극성변환부와,A polarity conversion unit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상기 극성변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utton unit and the flow senso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olarity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a predetermined program.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단의 필터를 통해 원수에서 유해한 성분을 걸러주고, 전해조를 통해 은 이온을 생성해 원수에 용출시킴으로서 세균을 박멸 및 번식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filter out harmful components from raw water through a multi-stage filter, to produce silver ions through the electrolytic cell to elute the raw water to suppress the eradication and reproduction of bacteria to benefit the health of the user.

또한, 원수유입감지부재를 통해 원수가 전해조에 유입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원수가 일정기간 이상 유입되지 않는 경우 즉, 외부요인에 의해 단수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하고 과잉의 은 이온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it checks whether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raw water inflow sensing member, and if the raw water does not flow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at is, when the singular situation occurs due to external factors, the electrolysis is not performed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performed. To prevent excess silver ions from being produced.

그리고 정전류 제어방식에 의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기분해가 이루어지고, 전극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이온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하면서도 전기판의 사용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table and continuous electrolysis is achieved by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ethod, and the polarity of the electrode plate is periodically changed to generate ions more efficiently, but the service life of the electric plate is lon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도1a) 및 구성도(도1b)이고, 도2는 전해조의 사시도이고, 도3은 원수유입부재의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IG. 1A) and a configuration diagram (FIG. 1B) of a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tic cell,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w water inflow member.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전해조(10), 양극판(31) 및 음극판(32), 저수조(40), 펌프(50), 유량센서(70), 필터(90), 원수유입감지부 재(80) 그리고 전원공급부(110)와 컨트롤러(120)를 포함하는 회로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케이스(1)에 내장되어 보호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cell 10,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2, the reservoir 40, the pump 50, the flow sensor 70, the filter 90, raw water inflow detection It includes a part 80 and the circuit unit 100 including the power supply 110 and the controller 120, these are embedded in the case (1) and protected.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전면에는 온수와 냉수가 배출되는 배수코크(2)가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 내의 저수조(40)에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5)와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조(6)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수조(5) 및 온수조(6)와 배수코크(2)를 연결하는 관로 상에는 배수밸브(3,4)가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 is provided with a drainage cock 2 for discharging hot water and cold water. In addition, the reservoir 40 in the case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5) for storing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tank (6) for storing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tank (5) and hot water tank (6) and drainage coke (2). The drain valves 3 and 4 are mounted on the pipes connecting the c).

그리고 참고로, 필터(90)와 전해조(10)는 관로 상에서 배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그리하여 도1a는 필터가 전해조 앞에 도시되어 있고, 도1b는 필터가 전해조 뒤에 도시되어 있다.  For reference, the arrangement of the filter 90 and the electrolytic cell 10 may be changed on the conduit. Thus, Figure 1A shows a filter in front of an electrolyzer, and Figure 1B shows a filter behind an electrolyzer.

상기 필터(90)는 전해조(10) 또는 저수조(40)의 입구나 출구에 설치되어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미세먼지, 부유물 등)뿐 아니라 유해한 특정 성분을 여과시킨다.The filter 90 is installed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electrolytic cell 10 or the reservoir 40 to filter not only particulates (fine dust, suspended matter, etc.) contained in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but also certain harmful components.

상기 필터(90)에는 전처리 필터와 같은 필터로서 녹이나 흙, 먼지를 비롯한 각종 찌꺼기와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침전필터와,The filter 90 includes a precipitation filter for removing various debris and fine impurities such as rust, soil, and dust as a filter such as a pretreatment filter;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냄새를 흡착, 제거하는 선 카본필터와,Sun carbon filter that adsorbs and removes odor using adsorption method of activated carbon,

중공사막필터와 같은 섬유 형태의 여과막으로서 표면 기공이 초정밀 성능으로 유해 성문은 거르고 미네랄 성분은 살아 있는 물(원수)로 만들어 줄 수 있는 UF필터와,It is a fibrous filtration membrane like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the surface pores are ultra-precise, which can filter out harmful gates and make mineral components from living water (raw water),

필터부의 마지막 단계로 물속에 잔류한 불쾌한 맛, 냄새 등을 제거하여 물맛을 제대로 유지시키며 색소성분 등을 제거하여 무취의 깨끗한 물을 만들 수 있는 후 카본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final stage of the filter unit may remove the unpleasant taste, odors, etc. remaining in the water to maintain the water taste properly, and may remove the pigment components and the like may include a carbon filter after the odorless clean water.

상기 전해조(10)는 상기 필터(90)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어 일시저장되고,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물론, 상기 필터가 저수조측에 설치되는 경우 필터를 통하지 않은 원수가 유입된다. The electrolyzer 10 is a place wher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90 is temporarily stored therein and is electrolyzed. Of course, when the filter is installed on the reservoir side, raw wa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is introduced.

그리고 전해조(10)에는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급수관(11)과, 원수를 상기 저수조(40)로 배출하는 배수관(13)이 연결되어 있고, 전해조(10)에 채워진 원수의 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70)가 장착되어 있고, 전기분해를 위한 두 극판(31,32)이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And the electrolytic cell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is connected to the pipe line and the raw water is introduced, the drain pipe 13 for discharging the raw water to the reservoir 40 is connected, the amount of raw water fi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10 A flow rate sensor 70 for sensing is mounted, and two pole plates 31 and 32 for electrolysis ar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양극판(31) 및 음극판(32)은 은(Ag)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판 형태로서 순수 은(Ag)판 또는 전도성물질 표면에 은이 도금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양극판과 음극판은 두 극판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양극판에는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고 음판판에는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것은 아니다.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2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containing a silver (Ag) component and may be in the form of silver plated on the surface of a pure silver (Ag) plate or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for distinguishing the two electrode plates, and the positive electrode (+) power i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power is not applied to the negative plate.

두 극판(31,32)의 전기분해에 의해 원수에 은 이온이 공급된다. 살균기능을 갖는 이온수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은(Ag) 나노 이온은 살균 능력이 뛰어나고, 박테리아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번식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항균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Silver ions are supplied to the raw water by the electrolysis of the two electrode plates 31 and 32. There are many types of ionized water with bactericidal function. Among them, silver (Ag) nano ions are known to be excellent because they have excellent bactericidal ability and stop the reproduction of enzymes involved in the metabolism of bacteria. have.

은이 도금되어 있는 극판(31,32)의 경우(순수 은판을 포함함)에는, (+)극성의 전류가 인가되는 극판(31,32)에서는 도금되어 있는 은(Ag)이 전기분해되어 은(Ag) 이온과 전자가 생성되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극성의 전류가 인가되는 극판(31,32)에서는 원수에 녹아 있는 수소 이온이 (+)극성의 극판(31,32)에서 생성된 전자와 결합되어 수소 가스가 생성되는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그리고 미세한 양이지만 (+)극성에서 생성된 은(Ag) 이온의 일부는 (-)극성의 극판(31,32)에 흡착되기도 한다. In the case of the pole plates 31 and 32 plated with silver (including pure silver plate), the plated silver Ag is electrolyzed in the pole plates 31 and 32 to which a positive current is applied. In the pole plates 31 and 32 to which Ag) ion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and a negative current is applied, hydrogen ions dissolved in raw water are generated in the pole plates 31 and 32.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which hydrogen gas is combined with electrons. A small amount of silver (Ag) ions generated in the positive polarity may be adsorbed onto the negative polar plates 31 and 32.

따라서 어느 한 극판(31,32)의 극성이 동일한 극성으로 장기간 유지되어 전기분해가 진해되면, (+)극성의 극판(31,32)은 도금되어 있는 은이 점차 소멸되어 얇아지고, (-)극성의 극판(31,32))은 도금되어 있는 은이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늘어 두꺼워지게 된다. Therefore, if the polarity of one of the pole plates 31 and 32 is maintained at the same polarity for a long time, and the electrolysis becomes thicker, the positive pole plates 31 and 32 become thinner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plated silver and the negative polarity. The pole plates 31 and 32 of the plated silver become thick or unchanged or rather stretched.

그리하여 (-)극성의 극판(31,32)은 충분한 양의 은이 도금되어 있음에도, (+)극성의 극판(31,32)은 은이 없어 은 이온을 방출하지 못하게 되므로 극판(31,32)의 교체시기가 앞당겨지게 된다. Thus, although the positive polar plates 31 and 32 are plat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silver, the positive polar plates 31 and 32 do not have silver and thus do not emit silver ions. The timing will be advanced.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극판(31,32)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두 극판(31,32)에 도금되어 있는 은이 비슷한 속도로 소멸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120)가 이와 같이 극판(31,32)의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환되도록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desirable to periodically change the polarity of the pole plates 31 and 32 so that the silver plated on the two pole plates 31 and 32 dissipate at a similar speed.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supply of power so that the polarities of the pole plates 31 and 32 are periodically converted.

상기 저수조(40)는 상기 필터(90) 및 전해조(10)를 통과하여 은 이온이 함유된 원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수가 음용을 위해 배출된다. The reservoir 40 passes temporarily through the filter 90 and the electrolytic cell 10 to temporarily store the crude oil containing silver ions, and is discharged for drinking by the user's operation.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80)는 전해조(10)의 급수관(11)에 연결되는 관로상에 설치되어 전해조에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원수의 유입이 일정시간 이상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가 이를 외부 단수상황으로 인식하여 전해조에 원수가 채워져 있어도 전기분해가 행해지지 않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한다. The raw water inflow detecting member 80 is installed on a pipelin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of the electrolytic cell 10 to detect whether raw water flows into the electrolytic cell,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thereby introducing raw water. If it does not flow i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is as an external singular situation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electrolysis is not performed even if raw water is fi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80)는 결합사시(도3a)도 및 분해사시도(도3b)를 도시한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디(81), 커버(83), 다이아프램(85), 누름부재(87), 감지센서(89), 캡(8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raw water inflow detecting member 80 has a body 81, a cover 83, a diaphragm 85, and a pressing member as shown in FIG. 3 showing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IG. 3A)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3B). 87, the sensor 89, the cap 88 is made.

상기 바디(81)에는 상기 관로가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81a)와 배출구(81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디(81)의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81a) 및 배출구(81b)와 연통되고 유입된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내부 공간부(81c)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81c)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즉, 내부 공 간부는 개구부(81d)를 갖는다. The body 81 is provided with an inlet 81a and an outlet 81b through which the pipeline is connected and the raw wat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the inlet 81a and the outlet 81b and the inner side of the body 81. An internal space portion 81c communicating with the introduced raw water is temporarily provided, and the internal space portion 81c is open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inner space has an opening 81d.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부(81c) 중앙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부딪히고, 부딪힌 원수가 외벽을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원기둥(8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기둥(82)의 중앙 내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 공간부(82c)가 형성되어 있다. An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portion 81c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is hit, a cylinder 82 is formed so that the impacted raw water is rotated along the outer wall, the center inside of the cylinder 82 is the outlet The discharge space 82c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이처럼 내부 공간부(81c) 중앙에 배출 공간부(82c)를 갖는 원기둥(82)을 형성시킴으로서, 유입구(81a)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개구부(81d)에 결합되는 다이아프램(85)을 보다 강하게 밀게(팽창시키게) 된다. By forming the cylinder 82 having the discharge space 82c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81c,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81a pushes the diaphragm 85 coupled to the opening 81d more strongly. (Expanded).

상기 커버(83)는 상기 개구부(81d)를 덮으면서 상기 바디(81)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누름부재(87)가 수용되는 수용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ver 83 is coupled to the body 81 while covering the opening 81d and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83a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87 is accommodated.

상기 다이아프램(85)은 상기 커버(83)와 상기 바디(81)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내부 공간부의 개구부(81d)를 폐쇄한다. The diaphragm 85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83 and the body 81. That is, the opening 81d of the inner space portion is closed.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85)은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부(81c)에 유입된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커버(83)쪽으로 팽창된다. In addition, the diaphragm 85 is expanded toward the cover 83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81c of the body.

상기 누름부재(87)는 상기 커버(83)의 내측 수용부(83a)에 전후진 가능하게 수용되고, 원수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아프램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85a)와 결합되어 다이아프램(85)의 팽창에 연동되어 전후진하게 된다. The pressing member 87 is received in the inner receiving portion 83a of the cover 83 so a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85a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diaphragm expand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raw water. 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frame 85.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85)과 접촉되는 반대면에는 상기 감지센서(89)를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돌출부(87a)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ressure protrusion 87a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aphragm 85 to contact and press the sensing sensor 89.

상기 캡(88)은 상기 커버(83)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감지센서(89)가 내장된다. The cap 88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83, the inside of the detection sensor 89 is built.

그리고 내장되어 있는 상기 감지센서(89)는 상기 누름부재(87)의 가압돌출부(87a)의 전진에 의해 작동되어,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20)로 전송한다. And the built-in sensor 89 is operated by the advance of the pressure projection (87a) of the pressing member 87, detects whether the raw water is introduced,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20 do.

상기 감지센서에는 상기 가압돌출부에 접촉 가압되는 접촉부(89a)가 구비된다. Th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89a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pressure protrusion.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회로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5의 a,b,c는 보다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ircuit portion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 and c of FIG. 5 are more specific circuit diagrams.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로부(100)는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ircuit unit 100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조의 두 극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제어부, 펌프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와, A pow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two pole plates of the electrolytic cell by constant current inputting commercial AC power, and supplying driving power to a control unit, a pump, etc.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두 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고, 펌프를 구동시키고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등 회로부를 전체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controller 120 which controls the circuit unit as a whole, such as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two pole plates, driving a pump, and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두 극판(31,32)과 펌프(50)를 포함하여 전원이 필요한 곳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때 전원의 공급은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된다.The power supply 110 includes two pole plates 31 and 32 and a pump 50 to supply power where power is needed, and the supply of pow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20.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111)와,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a constant voltage unit 111 for outputting a constant voltage to the commercial AC power input;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고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절연변압기(T)와, 상기 절연변압기(T)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113)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주의 두 극판(31,32)(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정전류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constant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transformer power source, the insulation transformer T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side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moothing unit 113 for smoothing the output power of the insulating transformer T, and the output power of the smoothing unit. And a constant current section 115 for supplying the two pole plates 31 and 32 (anode plate and cathode plate) of the electrolytic column.

상기 정전압부(111)는 제어부(121), 펌프(50), 표시부(123)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전압부가 24V와 5V의 두 정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The constant voltage unit 111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21, the pump 50, the display unit 123, and the lik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ant voltage unit generates and supplies two constant voltages of 24V and 5V.

상기 절연변압기(T)는 입력측(1차측)과 출력측(2차측)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사용자의 감전을 예방한다. The insulation transformer T electrically separates an input side (primary side) and an output side (secondary side) to prevent a user from electric shock.

상기 평활부(113)는 브릿지다이오드(BD)와 커패시터(C1)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하여 정전류부로 공급한다. The smoothing unit 113 is composed of a bridge diode (BD) and a capacitor (C1) to smooth the output power of the insulation transformer to supply to the constant current unit.

상기 정전류부(115)는 전해조(10)의 두 극판(31,32)에 항시 일정한 크기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평활부(113)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 한다. The constant current unit 115 constant currents the output power of the smoothing unit 113 so that a current having a constant magnitude is always supplied to the two pole plates 31 and 32 of the electrolytic cell 10.

상기 정전류부(115)는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양단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션트 레귤레이터(SR)와, The constant current unit 115 is a shunt regulator (SR) for maintaining a constant voltage of both ends regardless of the load fluctuations,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에 병렬 연결되어 부하측(전해조의 두 극판)에 공급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저항(R1)과, A resistor R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hunt regulator SR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constant current supplied to the load side (two pole plates of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에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션트 레귤레이터를 보호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transistor that protects the shunt regulator by preventing a current above the allowable value from flowing into the shunt regulator SR.

상기 션트 레이귤레이터로(SR)는 'TL431'이 대표적이다. The shunt regulator (SR) is representative of 'TL431'.

예를 들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의 양단이 유지하는 정격전압이 2.4V이고, 상기 전해조의 두 극판에 공급하고자하는 전류가 40mA일 때,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 양단에 60옴의 저항(R1)을 연결하면 두 극판에는 지속적으로 40mA가 공급된다. For example, when the rated voltage maintained at both ends of the shunt regulator SR is 2.4V and the current to be supplied to the two pole plates of the electrolytic cell is 40 mA, a resistance of 60 ohms R1 across the shunt regulator SR is R1. ), Both pole plates are continuously supplied with 40 mA.

상기 컨트롤러(120)는 다수의 버튼(122), 표시부(123), 메모리(124), 음성출력부(125), 극성변환부(127), 제어부(121), 펌프구동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roller 12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122, a display unit 123, a memory 124, a voice output unit 125, a polarity conversion unit 127, a control unit 121, and a pump driving unit 126. Is done.

상기 버튼(122)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버튼을 조작하여 전기분해시간, 두 극판(31,32)에 공급하는 정전류의 세기 등을 설정하고, 펌프(50)를 구동시켜 저수조(40)에 저장되어 있는 원수의 출수시키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The button 122 is for the user's operation,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to set the electrolysis time, the strength of the constant current supplied to the two pole plates (31, 32), and drive the pump 50 to store the reservoir ( Operations such as discharge of raw water stored in 40) can be performed.

상기 버튼(122)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각종 조작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버튼으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또는 임피던스를 변화하여 사용자의 누름을 감지하는 터치스위치(TS1~TS6)를 사용하였고, 버튼으로 터치스위치 를 사용함에 따라 터치스위치 감지IC(U1)가 버튼(터치스위치)(122)과 제어부(121)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위치 감지IC(U1)는 정전압부(111)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The button 12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various operation signals to the control unit. As the button, a touch switch (TS1 ~ TS6) for detecting the user's pressing by changing the capacitance or impedance by the user's touch was used, and the touch switch sensing IC (U1) is a button as the touch switch is used as the button. The touch switch 122 and the controller 121 are connected. The touch switch sensing IC U1 is driven by receiving a driving voltage from the constant voltage unit 111.

상기 표시부(123)는 작동상태 또는 버튼의 조작상태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는 숫자로 상태를 표시하는 세그먼트(Seg1,Seg2)와, 램프 점멸로 상태를 표시하는 LED(발광다이오드)(L1~L14)를 포함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화면에 문자로 표시하는 LCD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3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r an operation state of a butt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The display unit includes segments (Seg1, Seg2) for displaying the status by numbers, and LEDs (light emitting diodes) L1 to L14 for displaying the status by flashing lamps, which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are displayed in text on the screen. LCD screen may be included.

상기 세그먼트(Seg1,Seg2)는 상기 제어부(121)에 연결되어, 설정된 두 극판의 전기분해 시간, 전기분해 중에는 남은 전기분해 시간을 표시하고, 기타 현재시각 등과 같이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사항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The segments Seg1 and Seg2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1 to display the set electrolysis time of the two electrode plates, the remaining electrolysis time during electrolysis, and other matters that can be displayed numerically, such as the current time. Inform the user.

상기 LED(L1~L14)는 점등 또는 점멸하여 정수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The LED (L1 ~ L14) is lit or flashing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purifier.

상기 LED(L1~L14)로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A power lamp indica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LEDs L1 to L14,

펌프(50)가 구동되어 원수가 전해조(10)에 공급되고 있는지, 전해조(10)에서 조수조(40)로 배출되고 있는지, 또는 원수가 저수조(40)에서 외부로 출수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급수램프, 배수램프, 출수램프, A water supply indicating whether the pump 50 is driven to supply raw water to the electrolytic cell 10,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10 to the water tank 40, or whether the raw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reservoir 40 to the outside. Lamps, drainage lamps,

필터(90)의 수명이 다했는지를 표시하는 필터램프, A filter lamp indicating whether the filter 90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전기분해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기분해표시램프, An electrolysis indicator lamp for indicating whether electrolysis is being performed,

음성출력부(125)를 통해 안내멘트가 출력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음성표시 부, Voic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the announcement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125,

전기분해 진행 중에 설정된 전기분해 시간 중에 남은 전기분해 시간을 대, 중, 소로 표시하여 알려주는 잔존시간알림램프 등이 있다. There is a remaining time notification lamp for indicating the remaining electrolysis time during the electrolysis time in large, medium, and small.

상기 메모리(124)는 상기 제어부(121)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122)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대한 안내멘트와, 펌프(50)의 작동에 따른 급,배수 상태에 대한 안내멘트, 전기분해 상태를 알리는 안내멘트, 필터(90)의 교체여부를 알리는 안내멘트 등이 저장되고, 기타 정수기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12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1, the guidement for the various signals input through the button 122, the guidement for the supply and drainage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50, electrical A guide message indicating a disassembly state, a guide mess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filter 90 is replaced, and the like may be stored, and a program necessary for operation of other water purifiers may be stored.

상기 음성출력부(125)는 상기 제어부(121)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124)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멘트가 작동상태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 음성출력부(125)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SP)와, 상기 스피커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1)를 통해 상기 메모리(12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볼륨을 조절하여 스피커(1SP)로 전성하는 AMP회로(125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MP회로(125a)는 통상의 AMP회로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voice output unit 12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1, and the guidement stored in the memory 124 is output as vo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voice output unit 125 is connected to the speaker (SP) for outputting voice, and the speaker to remove the noise of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emory 124 through the control unit 121 and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peaker And an AMP circuit 125a that is formed at 1SP. Since the AMP circuit 125a is a conventional AMP circui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극성변환부(127)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전류부(115)가 상기 전해조의 두 극판(31,32)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The polarity converting unit 127 periodically changes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by the constant current unit 115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two pole plates 31 and 32 of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극성변환부(127)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해조(10)의 양극판(31) 및 음극판(32)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 정전류부(115)의 음극선 또는 양극선에 연결되는 두 릴레이스위치(RS4,RS5)와, 상기 제어부로(121)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두 릴레이스위치(RS4,RS5)를 각각 스위칭하여 릴레이스위치(RS4,RS5)를 상기 정전류부(115)의 양극선 또는 음극선에 연결시키는 두 구동코일(RC4,RC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larity conversion unit 127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2 of the electrolytic cell 10, respectively, and the two relay switches connected to the negative line or the positive line of the power supply constant current unit 115. RS4 and RS5 and the two relay switches RS4 and RS5 by receiving signals from the controller 121 to connect the relay switches RS4 and RS5 to the positive line or the negative line of the constant current unit 115, respectively. It consists of two drive coils (RC4, RC5).

상기 펌프구동부(126)는 상기 버튼(12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나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50)를 구동시킨다. The pump driver 126 drives the pump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1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button 122 or a set condition.

상기 펌프구동부(126)는 펌프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정전압부(111)에 연결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스위치(RS1,RS2,RS3)와, 상기 제어부(121)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릴레이스위치(RS1,RS2,RS3)를 스위칭하여 릴레이스위치(RS1,RS2,RS3)가 상기 정전압부(111)에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구동코일(RC1,RC2,RC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ump driving unit 126 may include relay switches RS1, RS2, and RS3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pump to the constant voltage unit 111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receiving the signals from the controller 121 and relay switches RS1 and RS2. The switch coils RS1, RS2, and RS3 are connected to the constant voltage unit 111, or the driving coils RC1, RC2, and RC3 to switch off.

상기 펌프구동부(126)는 상기 전해조(10)에 원수를 급수하는 급수펌프를 구동시키는 급수펌프구동부(126a),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원수를 외부로 출수시키는 출수펌프를 구동시키는 출수펌프구동부(126b)와, 상기 전해조의 원수를 상기 저수조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또는 배수밸브)를 구동시키는 배수펌프구동부(126c) 등을 포함한다. The pump driving unit 126 may include a water supply pump driving unit 126a for driving a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raw water to the electrolytic cell 10, and a water extraction pump driving unit for driving an extraction pump for extracting raw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outside ( 126b) and a drain pump driver 126c for driving a drain pump (or drain valve) for draining the raw water of the electrolytic cell to the reservoir.

상기 컨트롤러(120)는 전해조(10)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센서(70)로부터 전해조(10)에 원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졌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정전류부가 두 극판(31,3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기분해가 행해지도록 하고, When the controller 12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raw water is fill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from the flow sensor 70 insta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10, the constant current unit supplies power to the two pole plates 31 and 32. So that electrolysis is done,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원수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해조에 원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져 있어도 상기 전원공급부의 두 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기분해를 중단시키고, If there is no signal of inflow of raw water from the raw water inflow detecting member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electrolysis is stopped by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to the two pole plates of the power supply unit even if the raw water is fi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above a certain level.

전해조의 원수를 저수조로 배출시킨다. Drain the raw water from the electrolyzer into the reservoir.

그리고 전원공급부(110)는 정전류 제어방식에 의해 전해조(10)의 극판(31,32)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정전류의 전원을 공급하고, 컨트롤러(120)의 극성변환부(127)는 극판(31,32)으로 공급되는 정전류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전기분해에 의해 특정 극판(31,32)에 도금되어 있는 금속이 다른 극판(31,32)에 도금되어 있는 금속 보다 빨리 방출되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a stable and continuous constant current power to the pole plates 31 and 32 of the electrolytic cell 10 by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ethod, and the polarity conversion unit 127 of the controller 120 is the pole plate 31, 32) Periodically change the polarity of the constant current supplied to the 32 to prevent the metal plated on certain pole plates 31 and 32 from being released and extinguished faster than the metal plated on the other pole plates 31 and 32 by electrolysis. do.

전원공급부(60)의 정전류 제어방식은 정전압 제어방식에 비해 회로가 복잡하지만, 외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덜 받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고, 과열이 방지되고, 용수의 온도에 영향(일반적으로 화학반응(전기분해)는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을 거의 받지 않고 일정한 농도의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전원공급부(60)는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해조(10)에 공급되는 정전류의 세기가 조절되어 극판(31,32)이 생성하는 은 이온의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constant current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unit 60 has a more complicated circuit than the constant voltage control method, but can be stably supplied with less influence due to external factors, prevent overheating, and aff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generally, a chemical reaction). (Electrolysis) has the advantage of generat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ions almos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60 may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silver ions generated by the pole plates 31 and 32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constant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10 by the controller 120.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urifier having a single cut-off function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b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및 구성도.1, a and b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a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purifier with a wat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전해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tic cell.

도 3 은 원수유입감재부재의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w water influx member.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ircui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b,c 는 도4의 구체적인 회로도.5, a, b, and c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해조 31,31 : 극판 10: electrolytic cell 31,31: electrode plate

40 : 저수조 50 : 펌프40: reservoir 50: pump

80 : 원수유입감지부재 81 : 바디80: raw water inflow detection member 81: body

83 : 커버 85 : 다이아프램83: cover 85: diaphragm

87 : 누름부재 89 : 감지센서87: pressing member 89: detection sensor

90 : 필터 100 : 회로부90 filter 100 circuit part

110 : 전원공급부 111 : 정전압부110: power supply unit 111: constant voltage unit

115 : 정전류부 120 : 컨트롤러115: constant current unit 120: controller

121 : 제어부 122 : 버튼121: control unit 122: button

123 : 표시부 124 : 메모리123: display unit 124: memory

125 : 음성출력부 127 : 극성변환부125: voice output unit 127: polarity conversion unit

Claims (4)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 중 특정성분을 여과시키는 필터;A filter for filtering a specific component of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ipeline; 상기 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전해조;An electrolytic cell that temporarily stores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상기 전해조에 장착되는 은(Ag)의 성분을 갖는 양극판 및 음극판;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having a component of silver (Ag) mounted on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은(Ag)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A reservoir for electrolyzing in the electrolytic cell to store raw water containing silver (Ag) ions; 상기 전해조 및 저수조에 설치되고, 유입된 원수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A flow rate sensor installed in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reservoir to detect an amount of raw water introduced;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그리고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ump; 상기 전해조의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A controller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flow sensor of the electrolytic cell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상기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조에의 원수 유입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로에 전송하는 원수유입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raw water inflow detection member installed on the pipe to sense the inflow of raw water into the electrolytic cell and to transmit it to the control furnac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원수 유입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And the controller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of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re is no source water inflow signal from the raw water inflow detecting me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감지부재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w water inflow detection member 상기 관로가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바디와,A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ipeline is connected and introduced and discharged from raw water,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커버와,A cover covering the opening and coupled to the body;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아프램과,A diaphragm provided in the opening and expanded by water pressure of raw water flowing in;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팽창에 따라 전후진하는 누름부재와,A pressing membe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as the diaphragm is expanded; 상기 커버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전진 접촉에 의해 작동되어 원수의 유입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it is operated by the forward contact of the pressing member to detect the inflow of raw water, and has a singular block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One water purifi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극판에 정전류를 공급하고,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a constant current to the electrode plate during the electrolysis in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unit with a water block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iodicall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원공급부는The power supply unit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 표시부 및 극성변환부에 공급하는 정전압부와,A constant voltage unit for supplying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polarity converting unit to a constant voltage input commercial AC power;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절연변압기와, An insulated transformer receiving a commercial AC power and having a primary side and a secondary sid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절연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화하는 평활부와, A smoothing part for smoothing the output power of the insulation transformer;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정전류화하여 상기 전해조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공급하는 정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It includes a constant current portion for supplying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lytic cell by constant current output power of the smoothing unit, 상기 컨트롤러는The controller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과,A number of buttons for the user's operation,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음극판 및 양극판에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환시키는 극성변환부와,A polarity conversion unit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 및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상기 극성변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차단기능을 구비한 정수기.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utton unit and the flow senso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olarity change uni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a predetermined program.
KR1020080111014A 2008-11-10 2008-11-10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KR201000521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014A KR20100052124A (en) 2008-11-10 2008-11-10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014A KR20100052124A (en) 2008-11-10 2008-11-10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24A true KR20100052124A (en) 2010-05-19

Family

ID=4227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014A KR20100052124A (en) 2008-11-10 2008-11-10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12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470B1 (en) * 2017-12-14 201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470B1 (en) * 2017-12-14 201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955B1 (en) A water purifier
KR100691380B1 (en) Water sterilizing purifier filter module with electrolyzer
KR20100080645A (en) Bidet equipped with iniizer
KR20090096326A (en)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JPH10180259A (en) Wate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KR20100052124A (en)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JP4462157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sink equipped with the same
KR20130086717A (en) Apparatus for reducing water by electroly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06788B2 (en) Alkaline ion water conditioner
KR200484473Y1 (en) Ion water producer having separate outlets fordischarging purified water and ionic water
KR101145975B1 (en) Water Purifier
KR101326321B1 (en) Water purifier
KR20100034344A (en) Feeder of sterilized water contained ag-ion
KR200292242Y1 (en) An Apparatus Generating Ion Water
KR20100116852A (en) Feeder of sterilized water contained ag-ion
KR20100034418A (en) Feeder of sterilized water contained ag-ion for restaurant
KR20100080646A (en) Electrolytic bath
KR101603214B1 (en) Water purifier
KR20090096325A (en) Unit for shower equipped ionizer
KR200366505Y1 (en) A water purifier&#39;s filter equipted pasteurization device
WO2012132600A1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JP4936423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sink equipped with the same
JP2007090179A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and sink equipped therewith
KR20100034419A (en) Feeder of sterilized water contained ag-ion
KR20100051984A (en) Unit for shower equipped io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