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592A -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및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및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592A
KR20100051592A KR1020097024798A KR20097024798A KR20100051592A KR 20100051592 A KR20100051592 A KR 20100051592A KR 1020097024798 A KR1020097024798 A KR 1020097024798A KR 20097024798 A KR20097024798 A KR 20097024798A KR 20100051592 A KR20100051592 A KR 2010005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protective member
laser
laser l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후쿠자와
시게루 도이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34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 A61B5/15136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by use of radiation, e.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5Decreasing the barrier function of skin tissue by radiated energy, e.g. using ultrasound, using laser for skin perf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r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21), 및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4)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보호 부재(4)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음과 아울러,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부재(4)는 레이저광의 투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레이저 천공 장치, 보호 부재, 카트리지, 레이저광 발진 장치, 레이저광 투과부

Description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및 카트리지{LASER DRILLING DEVICE, AND PROTECTIVE MEMBER AND CARTRIDGE FOR LASER DRILLING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광에 의해 피부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천공 장치 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광에 의해 피부에 천공을 형성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는 이미 실용에 제공되어 있다. 레이저 천공 장치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에 의해 피부 및 혈관을 태워 절개함으로써 손가락 등으로부터의 소용량의 혈액 등의 체액의 채취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채취된 체액은 예를 들면, 간이형 혈당 측정기에 의한 자기 혈당 측정에 이용된다. 실용에 제공되어 있는 레이저광을 이용한 천공 장치는 혈액 등의 체액을 채취한다는 점에서는 실용상 충분한 성능을 갖고 있다.
레이저광에 의한 체액 채취에 있어서 레이저광의 조사시에 태워진 피부로부터 연기가 발생되므로 그 연기가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부착되는 일이 있다. 연기가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렌즈에 부착된 경우에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발진되는 레이저광의 출력이 저하되어 적절한 체액의 채취가 곤란해지기도 한 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천공 장치(9A,9B)가 있다.
도 19에 나타낸 천공 장치(9A)는 팬 장치(90A)를 설치한 것이다. 이 천공 장치(9A)에서는 팬 장치(90A)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함으로써 천공 부위 부근에 기류를 만들어 연기가 레이저광 발진 장치(91A)의 렌즈(92A)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낸 천공 장치(9B)는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부재(90B)를 갖는 커버(91B)를 부착한 것이다. 이 천공 장치(9B)에서는 커버(91)에 의해 피부(92B)와 레이저광 발진 장치(93B)가 격리된다.
그러나, 도 19에 나타낸 천공 장치(9A)에서는 팬 장치(90A) 및 공기의 유로(93A)가 필요하므로 천공 장치(9A)가 대형화되어 비용적으로도 불리하게 된다. 천공 장치(9A)에서는 또한 피부(94A)에 접촉되는 부위(95A)에 혈액이 부착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한편, 도 20에 나타낸 천공 장치(9B)에서는 천공 조작마다 커버(91B)의 교환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 부담이 커진다.
특허 문헌 1: US5947957A
특허 문헌 2: WO98/47435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면서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의 연기 등의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천공 장치의 대형화나 비용 증가를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천공 장치에 있어서의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로의 혈액 등의 체액의 부착을 억제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경감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는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 및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로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를 구비하고 있는 레이저 천공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의 투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직선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상기 보호 부재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열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갖는 복수개의 개별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각 개별 영역은 인접하는 개별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취약부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레이저 천공 장치는 상기 보호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보호 부재에 형성된 피맞물림부에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를 갖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별 영역은 예를 들면, 상기 맞물림부를 상기 피맞물림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취약부에 있어서 분리된다.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동일 원주 상에 정렬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회전가능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의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상기 보호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정렬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이저 천공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보호 부재를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캡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의 주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구 을 통하여 노출되는 볼록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개구는 상기 볼록부의 전체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부는 예를 들면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 부재는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의 상기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케이스 내에 있어서 권취된 상태로 수용된다.
본 발명의 레이저 천공 장치는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는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 및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지 않는 위치로부터 상기 출사 부위를 덮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레이저 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천공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보호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는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이저 천공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수용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캡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의 상기 케이스는 예를 들면 상기 캡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있어서는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로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를 구비하고 있는 보호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예를 들면 동일 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갖는 복수개의 개별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각 개별 영역은 인접하는 개별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취약부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동일 원주 상에 정렬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있어서는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 부재는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케이스 내에 있어서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있어서는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호 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보호 부재는 예를 들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레이저 천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천공 장치에 있어서 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에 사용하는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보호 부재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1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레이저 천공 장치의 주요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1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레이저 천공 장치의 주요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레이저 천공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에 사용하는 보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레이저 천공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에 사용하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4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도 14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레이저 천공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레이저 천공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레이저 천공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6, 8: 레이저 천공 장치 21: 레이저광 발진 장치
22: 반송 장치 27: 회전체
28: (회전체의) 훅(맞물림부) 3: 캡
32: 개구 4, 50: 보호 부재
40: (보호 부재의) 분할 홈(취약부) 41: (보호 부재의) 개별 영역
42, 52: (보호 부재의) 레이저광 투과부
43, 52A: (보호 부재의) 환상 벽(볼록부)
44: (보호 부재의) 슬릿(피맞물림부)
60: 카트리지 61: (카트리지의) 케이스
62: 시트(보호 부재) 80: 카트리지
81: (카트리지의) 케이스 82: 보호 부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천공 장치(1)는 피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피부로부터 혈액 등의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천공 장치(1)는 장치 본체(2), 캡(3), 및 보호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는 하우징(20), 레이저광 발진 장치(21) 및 반송 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레이저광 발진 장치(21) 및 반송 기구(22)를 수용한 것이며, 가이드(23)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23)는 보호 부재(4)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는 것이며,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집광 위치에 후술하는 보호 부재(4)에 있어서의 레이저광 투과부(42)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 드(23)는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24)을 갖고 있다.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는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발진하기 위한 것이고, 레이저광 발진원(25) 및 렌즈(26)를 구비하고 있다. 레이저광 발진원(25)은 YAG 레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26)는 레이저광 발진원(25)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피부 표면에 집광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송 장치(22)는 보호 부재(4)를 후술하는 레이저광 투과부(42)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반송 장치(22)는 회전체(27)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27)는 도면 외의 모터 등으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이며, 4개의 훅(hook)(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체(27)는 보호 부재(4)를 목적으로 하는 거리[후술하는 개별 영역(41)의 길이 치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에 90도씩 회전하도록 도면 외의 제어 수단에 의해 그 회전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각 훅(28)은 후술하는 보호 부재(4)에 있어서의 슬릿(44)에 맞물리기 위한 것임과 아울러, 후술하는 보호 부재(4)에 있어서의 개별 영역(41)을 절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도 6 내지 도 8 참조). 4개의 훅(28)은 회전체(27)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회전체(27)의 둘레 방향으로 90도씩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은 장치 본체(2)[하우징(20)]에 장착되는 것이며 보호 부재(4)를 유지하고 있다. 이 캡(3)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구(30), 가이드(31), 및 개구(32)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구(30)는 캡(3)에 보호 부재(4)를 유지시킬 때에 이용되는 것이며 보호 부재(4)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 삽입구(30)는 캡(3)의 둘레벽부(33)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31)는 보호 부재(4)를 유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삽입구(30)과 함께 보호 부재(4)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31)는 캡(3)의 둘레벽부(33)로부터 안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플랜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개구(32)는 피부에 대한 천공의 형성시에 손가락끝 등이 적재되는 부분이다. 이 개구(32)는 후술하는 보호 부재(4)의 레이저광 투과부(42) 및 환상 벽(43)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캡(3)의 원형 벽(34)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개구(32)의 최소 직경(D1)은 환상 벽(43)의 외경(D2)보다 크고 예를 들면, 10~20㎜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부재(4)는 주로 피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했을 때에 발생하는 연기가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하고 버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보호 부재(4)는 전체로서 단책(短冊)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호 부재(4)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도면 상에서는 5개)의 개별 영역(41)을 갖고 있다. 보호 부재(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최하류에 위치되는 개별 영역(41)은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광출사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각 개별 영역(41)은 일반적으로 1회의 레이저광의 조사마다 개별 영역(41)의 길이 치수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동된다. 인접하는 개별 영역(41)의 사이에는 절단 홈(40)이 형성되어 있고, 각 개별 영역(41)은 절단 홈(40)에 있어서 절단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개별 영역(41)은 레이저광 투과부(42) 및 환상 벽(43)을 갖고 있다. 즉,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42) 및 환상 벽(43)은 보호 부재(4)의 이동 방향으로 열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광 투과부(42)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것이며, 원형 형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레이저광 투과부(42)는 그 두께가 예를 들면 0.1~0.5㎜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레이저광 투과부(42)의 직경은 예를 들면 2~5㎜로 설정된다. 물론, 레이저광 투과부(42)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여도 좋다.
환상 벽(43)은 캡(3)의 개구(32)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이며(도 1 및 도 5 참조) 레이저광 투과부(4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상 벽(43)은 개구(32)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개구(32)에 손가락끝 등을 적재한 경우에는 환상 벽(43)에 피부가 접촉된다.
보호 부재(4)는 또한 복수개의 슬릿(44)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개의 슬릿(44)은 보호 부재(4)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열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44)은 반송 장치(22)에 있어서의 회전체(27)의 훅(28)이 맞물리는 부분이다(도 3 참조). 슬릿(44)에 훅(28)을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체(27)를 회전시킴으로써 보호 부재(4)를 이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개별 영역(41)을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4)는 예를 들면 투명 수지 재료를 사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레이저 천공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부재(4)를 유지시킨 캡(3)을 장치 본체(2)에 장착한 경우에는 보호 부재(4)의 개별 영역(41)이 하우징(20)의 가이드(23)에 대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23)에 대향한 개별 영역(41)의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슬릿(44)에는 회전체(27)의 훅(28)이 맞물려 있다.
레이저 천공 장치(1)에 있어서 피부에 천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캡(3)의 개구(32)에 손가락끝을 적재한 상태에서 레이저광 발진원(25)으로부터 레이저광을 발진시키면 좋다. 레이저광 발진원(25)으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은 렌즈(26)에 있어서 집광된 후에 보호 부재(4)의 레이저광 투과부(42)를 투과하여 피부에 조사된다. 피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한 경우, 레이저광의 에너지에 의해 피부나 혈관이 태워져 천공이 형성되어 피부로부터 혈액 등의 체액이 출액된다.
천공 장치(1)에서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광출사 부분은 보호 부재(4)의 개별 영역(41)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 때문에, 피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했을 때에 발생되는 연기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광출사 부분에 도달되기 어렵다.
천공 장치(1)에서는 또한 캡(3)의 개구(32)에 의해 보호 부재(4)의 레이저광 투과부(42) 및 환상 벽(43)이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시에 있어서 손가락끝 등의 피부는 레이저광 투과부(42)를 둘러싸는 환상 벽(43)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레이저광은 환상 벽(43)에 의해 둘러싸여진 레이저광 투과부(42)를 투과한 후 피부에 조사된다. 즉, 피부에 있어서의 천공 형성 부위(출액 부위)는 환상 벽(43)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이 된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피부로부터 체액이 출액되었을 때에 캡(3)에 있어서의 개구(32)의 내면에 체액이 부착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피부로의 천공의 형성이 종료된 경우, 천공 장치(1)에서는, 도 9A 내지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27)를 90도 회전시켜 개별 영역(41)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보호 부재(4)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완료된 개별 영역(41)이 보호 부재(4)로부터 분리됨과 아울러, 앞의 것과는 다른 개별 영역(41)이 장치 본체(2)[하우징(20)]의 가이드(23)에 대응한 위치로 이동시켜진다(도 2 및 도 3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27)의 훅(28)이 보호 부재(4)에 있어서의 개별 영역(41)의 양 사이드의 슬릿(44)에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체(27)의 회전에 의해 훅(28)의 위치를 원주 궤적 상에서 변화시킨 경우에는 보호 부재(4)가 이동시켜진다. 보호 부재(4)는 캡(3)의 가이드(31) 및 하우징(20)의 가이드(23)에 의해 이동 경로가 규정되어 있으므로(도 3 참조)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좌측 방향)으로 직진하려고 한다.
이에 대하여, 훅(28)은 원주 궤적 상을 이동하므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28)이 슬릿(44)에 걸린 상태에서는 훅(28)이 보호 부재(4)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한다. 그 결과, 보호 부재(4)에는 절단 홈(40)에 응력이 집중되고,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28)이 맞물려 있는 개별 영역(41)이 절단 홈(40)에 있어서 분리된다. 분리된 개별 영역은 훅(28)에 맞물린 채가 된다.
한편, 보호 부재(4)를 이동시킴으로써 앞의 것과는 다른 개별 영역(41)이 장치 본체(2)[하우징(20)]의 가이드(23)에 대응한 위치로 이동시켜진다. 이에 따라,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광출사 부위는 새로운 개별 영역(41)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그 결과, 앞서 사용한 개별 영역(41)에 체액 등의 오염이 부착되었어도 다음에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의해 천공을 형성할 때에는 혈액 등의 부착이 없는 위생적인 개별 영역(41)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개의 개별 영역(41)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4)를 사용하여 각 회의 천공 형성마다 보호 부재(4)[개별 영역(41)]를 이동시키도록 하면 감염 등의 우려를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천공 형성후에 다시 회전체(27)를 90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보호 부재(4)가 개별 영역(41)의 길이 치수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동시켜짐과 아울러, 사용완료된 개별 영역(41)이 보호 부재(4)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훅(28)에 맞물린 상태였던 개별 영역(41)은 훅(28)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전체(27)로부터 이탈된다. 이탈된 개별 영역(41)은 하우징(20) 내에 형성된 폐기 박스에 수용되거나 또는 하우징(20)에 형성된 폐기구로부터 폐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완료된 개별 영역(41)을 분리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사용완료된 개별 영역(41)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개별 영역(41)에 접촉할 필요성이 경감되므로 위생면에 있어서도 뛰어난 것이 된다.
여기서, 보호 부재(4)에 있어서의 모든 개별 영역(41)을 사용한 경우에는 새 로운 보호 부재(4)를 캡(3)에 유지시킴으로써 보호 부재(4)의 개별 영역(41)에 의해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광출사 부위를 덮은 상태를 반복해서 유지할 수 있다. 즉, 보호 부재(4)를 사용할 경우에는 1회의 천공 형성 조작마다 보호 부재(4)를 교환할 필요는 없고 일정수의 천공 형성 조작후에 새로운 보호 부재(4)를 장착 하면 되어 보호 부재(4)의 교환에 필요한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보호 부재(4)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천공 장치(1)에 팬 장치나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천공 장치(1)를 대형화할 필요도 없어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보호 부재(4)의 이동[회전체(27)의 회전]의 시작은 천공 장치에 설치된 레버나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거나, 또는 천공 장치(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회의 천공 형성마다 보호 부재(4)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복수회의 천공 형성마다 보호 부재(4)를 이동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보호 부재(4)가 반드시 개별 영역(41)을 절단 홈(40)에 있어서 절단가능하게 구성할 필요는 없고, 보호 부재에 있어서의 모든 개별 영역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 보호 부재를 분할하지 않고 폐기하도록 해도 좋고, 보호 부재(4)를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장치(22)도 앞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광 투과부를 둘러싸는 환상 벽은 일부가 노치된 것이어도 좋고 생략되어도 좋다. 환상 벽을 생략할 경우 보호 부재는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요소 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두고 이하에 있어서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낸 레이저 천공 장치(5)는 원반 형상의 보호 부재(50)를 사용하는 것이며 모터(51)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부재(50)는 캡(3)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것이며,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도면 상에서는 8개)의 레이저광 투과부(52)가 둘레 방향으로 정렬해서 배치된 것이다. 이들 레이저광 투과부(52)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되고 있고, 환상 벽(52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50)는 예를 들면 투명 수지 재료를 사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의 개구(32)는 레이저광 투과부(52)가 배치된 원주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52) 및 환상 벽(52A) 각각은 캡(3)의 개구(32)로부터 노출가능하게 되어 있고, 보호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개구(32)로부터 노출되는 레이저광 투과부(52)를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모터(51)는 보호 부재(50)의 관통 구멍(53)을 이용하여 보호 부재(5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터(51)는 도면 외의 제어 수단에 의해 축(54) 의 회전이 제어되고 있다. 보호 부재(50)에서는 레이저광 투과부(52)가 8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54)의 회전 각도는 45도씩 제어된다. 즉,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52)는 모터(51)로부터의 회전 출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어 순차적으로 캡(33)의 개구(32)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보호 부재(50)의 회전은 천공 동작에 연동시켜서 천공 장치(5)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사용자가 천공 장치(5)에 설치된 레버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1회의 천공 형성마다 보호 부재(50)를 회전시켜도 좋고, 복수회의 천공 형성마다 보호 부재(50)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천공 장치(5)에 있어서는 보호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레이저광 발진 장치(5)의 광출사 부위가 다른 레이저광 투과부(52)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그 때문에, 앞서 이용한 레이저광 투과부(52)에 체액 등의 오염이 부착되었어도 다음에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의해 천공을 형성할 때에는 위생적인 레이저광 투과부(52)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감염 등의 우려를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50)는 모든 레이저광 투과부(52)를 이용한 경우에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면 되므로 보호 부재(50)의 교환 빈도를 낮게 하여 보호 부재(50)의 교환에 필요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천공 장치(5)는 관통 구멍(53)을 이용하여 모터(51)의 회전력을 보호 부재(50)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관통 구멍(53)의 둘레에 형성된 긴 구멍(55)을 이용하여 모터(51)의 회전력을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51)의 축(54)에 연결된 클로부(56)(도 11의 2점 가상선)을 긴 구멍(55)에 맞물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천공 장치(6)는 카트리지(60)를 이용하여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를 연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60)는 케이스(61)의 내부에 롤 형상으로 권회된 필름(62)을 수용한 것이다. 필름(62)은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의해 두께 10~250㎛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1)는 롤 수용부(63,64), 연결부(65) 및 개구(66)를 구비한 것이며, 롤 수용부(63)로부터 롤 수용부(64)를 향해서 연결부(65)를 통과시켜서 필름(62)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롤 수용부(63)는 필름(62)에 있어서의 미사용 부분을 권회한 롤(63A)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 것이다.
롤 수용부(64)는 필름(62)에 있어서의 사용완료된 부분을 권회한 롤(64A)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 것이며, 원웨이 클러치 등에 의해 일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64A)에는 피입력 부재(67)가 부착되어 있다. 피입력 부재(67)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롤(64A)과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피입력 부재(67)는 피입력 부재(67)의 반경 방 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리브(68)를 갖고 있다. 복수개의 리브(68)는 피입력 부재(67)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둘레 방향의 90도에 상당)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68)는 후술하는 입력 부재(72)와 간섭하는 것이며, 입력 부재(72)에 의해 입력된 부하에 의해 피입력 부재(67)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피입력 부재(67)의 직경은 피입력 부재(67)의 회전 피치에 대응한 필름(62)의 이동 거리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피입력 부재(67)를 90도씩 회전시켰을 때의 필름(62)의 이동 거리를 케이스(61)의 개구(66)의 최대 직경과 같은 정도로 설정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경우, 피입력 부재(67)의 직경은 개구(66)의 최대 직경과 같은 정도로 설정되거나 또는 1.25배 정도로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61)의 개구(66)의 최대 직경을 10~20㎜ 정도로 설정한 경우에는 피입력 부재(67)의 직경은 10~25㎜ 정도로 설정된다.
연결부(65)는 롤 수용부(63)와 롤 수용부(64)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이며, 공간(65A) 및 관통 구멍(65B)을 갖고 있다. 공간(65A)은 필름(62)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며, 롤 수용부(63,64)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관통 구멍(65B)은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것이며, 공간(65A)에 연통되어 있음과 아울러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66)는 피부에 대한 천공의 형성시에 손가락끝 등이 적재되는 부분이다. 이 개구(66)는 테이퍼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필름(62)에 있어서의 연결부(65)에 위치되는 부분을 노출시키고 있다. 필름(62)에 있어서의 노출 부 분은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어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있어서의 광출사 부분을 덮고 있다. 한편, 필름(62)은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노출 부분은 레이저광 투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7)는 하우징(70), 지지 블록(71), 입력 부재(72) 및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0)은 지지 블록(71), 입력 부재(72) 및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를 수용한 것이며, 스토퍼(73,74)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73,74)는 지지 블록(71)의 이동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다.
지지 블록(71)은 카트리지(60)가 적재되는 부분이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지지 블록(71)은 코일 스프링(75)에 의해 상방을 향해서 바이어싱(biasing)되어 있다. 즉, 지지 블록(71)은 부하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토퍼(73)에 맞물려 있다. 한편, 지지 블록(71)은 하방을 향해서 부하가 입력된 경우에 코일 스프링(75)이 압축되어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지지 블록(71)의 하방으로의 최대 이동 거리는 스토퍼(74)에 의해 규정된다. 지지 블록(71)으로의 부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75)이 탄성 복귀되어 지지 블록(71)은 스토퍼(73)에 간섭하는 위치까지 복귀된다.
입력 부재(72)는 피입력 부재(67)에 부하를 입력하여 피입력 부재(67), 나아가서는 롤(64A)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입력 부재(72)는 탄성부(76) 및 맞물림부(77)를 갖고 있다. 탄성부(76)는 맞물림부(77)의 위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맞물림부(77)는 피입력 부재(67)의 리브(68)에 맞물리는 부분이다.
이어서, 천공 장치(6)의 동작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끝 등의 피부에 천공을 형성할 경우에는 카트리지(60)의 개구(66)에 피부를 적재한 상태에서 지지 블록(71)이 스토퍼(74)에 간섭될 때까지 카트리지(6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피입력 부재(67)도 하방으로 이동되므로 입력 부재(72)에 의해 리브(68)가 밀어 올려진다. 이 과정에 있어서는 입력 부재(72)의 탄성부(76)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맞물림부(77)의 위치가 적절하게 변위되므로 다른 요소에 저해되지 않고 입력 부재(72)에 의해 적절하게 피입력 부재(67)가 밀어 올려진다(회전된다).
피입력 부재(67)가 회전된 경우 롤(64A)도 동시에 회전되므로 필름(62)이 롤(64A)에 의해 권취된다. 그 결과, 필름(72)에 있어서의 연결부(65)에 위치하는 부분이 롤 수용부(66)에 수용된다. 지지 블록(71)의 최대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피입력 부재(67)의 회전 각도는 도시한 예에서는 90도로 한다.
한편, 지지 블록(71)이 스토퍼(74)에 간섭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 레이저광이 출사된다. 이에 따라, 피부에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피부가 절개되어서 피부로부터 혈액 등의 체액이 출액된다.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출사는 지지 블록(71)이 스토퍼(74)에 간섭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레이저 천공 장치(6)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함으로써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 17A 내지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블록(71)[카트리지(60)]으로의 부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75)이 탄성 복귀되어 지지 블록(71)은 스토퍼(73)에 간섭하는 위치까지 복귀된다. 이때, 입력 부재(72)는 피입력 부재(6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변위되지만, 피입력 부재(67)가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피입력 부재(67)가 회전되지는 않는다. 또한, 입력 부재(72)는 탄성부(76)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적절하게 맞물림부(77)를 위치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 블록(71)의 복귀 후에는 맞물림부(77)가 리브(68)를 밀어 올릴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리브(68)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공 장치(6)에서 필름(62)에 있어서의 연결부(65)에 위치하는 부분은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를 덮는 레이저광 투과부에 상당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필름(62)에 의해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에 있어서의 광출사 부분을 연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천공 장치(6)에서는 또한 필름(62)을 이동시킴으로써 필름(62)에 있어서의 연결부(65)에 위치하는 부분을 미사용 부분으로 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
또한, 카트리지(60)의 교환은 필름(62)을 다 사용한 후에 행하면 좋기 때문에 1회의 천공 형성 작업마다 필름(62)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롤(63A)로부터 롤(64A)로의 필름(62)의 이동이 반드시 입력 부재(72)와 피입력 부재(67)를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공지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롤(63A,64A)을 회전시켜도 좋다. 이 경우, 지지 블록(71)은 상하 방향 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천공 장치(8)는 카트리지(80)를 이용하여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를 연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카트리지(80)는 케이스(81)의 내부에 복수개의 보호 부재(82)를 수용한 것이며, 캡(83)에 유지된 상태로 하우징(84)에 수용되어 있다.
복수개의 보호 부재(82)는 케이스(81)의 내부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코일 스프링(85)에 의해 상방을 향해서 바이어싱되어 있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보호 부재(82)를 이동시켜서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바로 위(천공 형성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80)로부터 보호 부재(82)를 인출한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나머지의 보호 부재(82)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최상부에 위치하는 보호 부재(82)가 인출가능한 상태로 된다.
케이스(81)로부터 천공 형성 위치로의 보호 부재(82)의 이동은 공지의 기구 예를 들면, 링크 기구, 자력이나 전자력을 이용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각 보호 부재(82)는 레이저광 투과부(86) 및 환상 벽(87)을 갖고 있다.
레이저광 투과부(86)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21)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것이며 원형 형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레이저광 투과부(86)는 그 두께가 예를 들면 0.1~0.5㎜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레이저광 투과부(86)의 직경은 예를 들면 2~5㎜로 설정된다. 물론, 레이저광 투과부(86)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 되지 않고 직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여도 좋다.
환상 벽(87)은 캡(83)의 개구(88)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이며, 레이저광 투과부(86)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상 벽(87)은 개구(88)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개구(88)에 손가락끝 등을 적재한 경우에는 환상 벽(87)에 피부가 접촉된다.
천공 장치(8)에서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광출사 부분은 천공 형성시에 있어서 보호 부재(82)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피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했을 때에 발생되는 연기는 레이저광 발진 장치(21)의 광출사 부분에 도달하기 어렵다.
천공 장치(8)는 또한 캡(83)의 개구(88)에 의해 보호 부재(82)의 레이저광 투과부(86) 및 환상 벽(87)이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시에 있어서 손가락끝 등의 피부는 레이저광 투과부(86)를 둘러싸는 환상 벽(87)에 접촉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광은 환상 벽(87)에 의해 둘러싸여진 레이저광 투과부(86)를 투과한 후 피부에 조사된다. 즉, 피부에 있어서의 천공 형성 부위(출액 부위)는 환상 벽(87)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이 된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피부로부터 체액이 출액되었을 때에 캡(83)에 있어서의 개구(88)의 내면에 체액이 부착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천공 장치(8)에서는 또한 카트리지의 모든 보호 부재(82)를 사용했을 경우에 카트리지(80)를 새로운 것으로 바꾸면 된다. 그 때문에, 1회의 천공 형성 조작마다 사용자가 보호 부재(82)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복수개의 보호 부재(82)가 반드시 카트리지(80)의 형태로 캡(83)에 보관 유 지될 필요는 없고, 캡(83)이나 하우징(84)에 복수개의 보호 부재(82)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보호 부재(82)를 일괄하여 보충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Claims (25)

  1.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 및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로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의 투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상기 보호 부재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열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 를 갖는 복수개의 개별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각 개별 영역은 인접하는 개별 영역 사이에 형성된 취약부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보호 부재에 형성된 피맞물림부에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를 갖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맞물림부를 상기 피맞물림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취약부에 있어서 상기 개별 영역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동일 원주 상에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회전가능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상기 보호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를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캡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캡은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의 주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볼록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볼록부의 전체를 노출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케이스 내에 있어서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4.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 및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지 않는 위치로부터 상기 출사 부위를 덮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호 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호 부재를 수용한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는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수용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캡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캡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
  18.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로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출사 부위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레이저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동일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 투과부를 갖는 복수개의 개별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각 개별 영역은 인접하는 개별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취약부에 있어서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광 투과부는 동일 원주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22.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피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 부재는 레이저광이 투과가능한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카트리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케이스 내에 있어서 권취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카트리지.
  24. 피부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기 위한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구비한 레이저 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레이저광 발진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호 부재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카트리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호 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천공 장치용 카트리지.
KR1020097024798A 2007-04-27 2008-04-27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및 카트리지 KR20100051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19412 2007-04-27
JP2007119412 2007-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592A true KR20100051592A (ko) 2010-05-17

Family

ID=3994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798A KR20100051592A (ko) 2007-04-27 2008-04-27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및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306957A1 (ko)
EP (1) EP2153792A1 (ko)
JP (1) JPWO2008136450A1 (ko)
KR (1) KR20100051592A (ko)
TW (1) TW200911317A (ko)
WO (1) WO2008136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90B1 (ko) * 2011-03-31 2013-04-08 (주)아이소텍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레이저 채혈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일회용 캡
KR102144930B1 (ko) 2018-03-09 2020-08-14 (주)라메디텍 레이저 채혈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864A (en) * 1980-07-24 1982-02-10 Tokyo Shibaura Electric Co Laser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US5034010A (en) * 1985-03-22 1991-07-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ptical shield for a laser catheter
KR910009016B1 (ko) * 1987-07-20 1991-10-26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레이저 가동장치
US5993439A (en) * 1994-08-29 1999-11-30 Cell Robotics, Inc. Lens shield for laser skin perforation
US5947957A (en) * 1994-12-23 1999-09-07 Jmar Technology Co. Portable laser for blood sampling
US5746738A (en) * 1996-11-20 1998-05-05 Cleary & Oxford Associates Laser surgical device
US6233269B1 (en) * 1998-12-16 2001-05-15 Cell Robot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mponents of a light source
AUPR044000A0 (en) * 2000-09-28 2000-10-26 Norwood Abbey Ltd Diagnostic device
US6733493B2 (en) * 2000-11-16 2004-05-11 Innotech Usa, Inc. Laser skin perfo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3860B (ko) 2011-12-11
US20110306957A1 (en) 2011-12-15
EP2153792A1 (en) 2010-02-17
WO2008136450A1 (ja) 2008-11-13
TW200911317A (en) 2009-03-16
JPWO2008136450A1 (ja)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9315B (zh) 带传送柳叶刀取样器
CN101677903B (zh) 针灸针的包装容器
ES2353677T3 (es) Disposición para el pinchado repetido de la piel con un aparato manual y un módulo de aguja.
KR20100051592A (ko)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장치용 보호 부재 및 카트리지
JP2003199731A (ja) 針アセンブリ
EP2446966B1 (en) Lid array and microtube array set including same
KR20150117682A (ko) 패닝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내시경
JP5899777B2 (ja) サンプル液注入治具セット
US20060052811A1 (en) Surgical actuator and locking system
WO2004017844A1 (en) Spring-actuated, retractable-bladed surgical scalpel
CA2964913C (en) Sterile barrier for surgical lightheads
CA1317447C (en) Dry-shaving apparatus comprising a slidable shutter
EP2481533B1 (en) Blade snap-off holder
WO2014148062A1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送り装置
JP7078248B2 (ja) 生検試料キャリア
KR102501435B1 (ko) 마스크 소독기구
JP4128136B2 (ja) 医療検査用カセット
JP5424454B2 (ja) 縫合針ケースセット
JP2005253781A (ja) 穿刺具用キャップ
EP2334235B1 (en) Flat lancet immobilization
JP2005521042A (ja) サンプリング・「プレート」のサンプルに近接できるようにしたデバイスとその蓋
US10987188B2 (en) Sterile barrier for surgical lightheads
JP2021005615A (ja) 呼吸栓及び呼吸栓を備える電子制御装置
JP2004037347A (ja) 医療検査用カセット
JP2022148848A (ja) プレート貼付け構造および操作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