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638A -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638A
KR20100050638A KR1020080109628A KR20080109628A KR20100050638A KR 20100050638 A KR20100050638 A KR 20100050638A KR 1020080109628 A KR1020080109628 A KR 1020080109628A KR 20080109628 A KR20080109628 A KR 20080109628A KR 20100050638 A KR20100050638 A KR 20100050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message
encryption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149B1 (ko
Inventor
한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149B1/ko
Priority to US12/590,274 priority patent/US8892901B2/en
Priority to EP09174980A priority patent/EP2187330A1/en
Priority to CN200910220836.1A priority patent/CN101741563B/zh
Publication of KR2010005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user plane, e.g. user's 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7File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암호화 방법은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암호화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일부분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암호화 장치는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일부분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가 요청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일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제어부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비밀번호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 부분 암호화, 메시지 암호화, 공개키

Description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iphering user data}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들이 고급화되고 매우 다양해지면서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는 주로 휴대하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편리성을 위해 휴대 단말기에 여러 가지 개인적인 정보를 저장한다. 그런데 개인 정보를 저장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 사생활 노출이나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암호화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는 정보 중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사용자 개인의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사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스케 줄 정보, 메시지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메시지 서비스(Message service)에 의해 송수신된 메시지들 중 중요한 정보나 기억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삭제되지 않고 저장부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타인에 의해 저장된 메시지가 확인되면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요한 정보 등 사용자에 의해 타인의 노출을 꺼리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모든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되는 경우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도 일일이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제한 후 데이터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불필요하게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암호화 방법은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암호화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일부분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암호화 장치는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일부분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가 요청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일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제어부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비밀번호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메시지뿐만 아니라 발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분도 암호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예로써 메시지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메시지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화번호부, 스케줄 등 데이터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암호화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 데이터에 적용 가능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은 무선으로 메시지를 송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도시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 국한되지 않고, 부분적인 암호화 설정이 가능한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 가능함에 유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부(11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로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무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고 증폭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무선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나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등을 처리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해 모뎀(MOdulator/ DEModulator: Modem) 및 코덱(COder/DECoder: CODEC)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된 메시지 뷰 기능 수행 중 혹은 전송될 메시지 작성 중 부분적인 암호화 설정/해제 요청이 입력되면 비밀번호(Password)입력을 요청한 후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선택된 부분을 암호화하거나 암호화를 해제하는 동작들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저장된 메시지 혹은 작성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부분 암호화/해제와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메시지 암호화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호화를 위해 이용되는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Security)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즉, 부분 암호화 설정시 요청되는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들에 대한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이다. 이때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시 초기화 된 값, 예를 들어 '0000'으로 부여된 후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들을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Program Memory), 이러한 기능 수행 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Data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부분 암호화 정보 즉, 부분적인 암호화가 설정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만약 부분 암호화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아닌 다른 비밀번호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부분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숫자/문자 데이터 입력을 받는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에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이다. 도 2의 화면들은 저장된 메시지에 대한 뷰(View) 실행 중 부분 암호화 기능이 요청되는 경우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면(210)은 도 1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들 중에서 하나의 메시지(메시지 #1)에 대해 뷰(View) 실행이 요청된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화면예이다. 메시지 #1이 포함하는 내용(211)에 대해 부분적인 암호화 설정을 위해 '메뉴' 키와 같은 특정키가 입력되면 화면(220)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부(150)에 구비된 '메뉴'키가 입력되면 암호화 기능을 포함한 메시지에 관련된 기능들이 표시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메뉴'키 입력으로 화면(220)과 같이 메시지에 관련된 기능들의 목록(221)이 표시된 상태에서 목록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222)이 선택되면 부분 암호화 기능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230)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은 '부분 암호화 설정', '부분 암호화 해제', '부분 암호화 비밀번호 변경' 기능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분 암호화 기능은 상기 기능들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이외에 설정에 따라 부분 암호화 기능에 관련된 다른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화면(230)과 같이 '부분 암호화 설정' 기능이 선택되면 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을 설정할 부분이 선택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데이터 의 일부분 선택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화면(240)과 같이 입력부(150)에 구비된 방향키들에 의해 포인터(242)를 이동시키면서 선택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16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된 경우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하는 표시부(160)의 일정 영역을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선택가능하다. 또한 부분 암호화가 요구되는 종류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사이트 주소에 대해서는 화면(240)으로 전환 시 포인터 등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방향키에 의한 이동없이 상기 정보가 선택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블록으로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화면(240)과 같이 부분 암호화 기능을 설정할 메시지의 일부분(241)이 선택된 후 선택된 일부분(241)에 대한 암호화 설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250)으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며, 숫자뿐만 아니라 설정에 따라 문자, 아이콘 등 입력가능한 모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화면(250)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선택된 부분에 대한 부분 암호화가 설정되고 화면(260)과 같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여기에서는 부분 암호화 설정 완료 여부가 표시부(16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스피커(Speaker)(미도시) 등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는 등 다른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음에 유의한다. 데이터의 일부분에 대한 부분 암호화 설정이 완료된 후 메시지 뷰가 실행되면 화면(270)과 같이 설정된 부분 암호화(271)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표시부(160)에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에 설정된 부분 암호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310)은 도 1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들 중에서 하나의 메시지(메시지 #1)에 대해 뷰(View) 실행이 요청된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화면예이다. 이때 메시지 #1에 포함된 데이터(311)는 부분 암호화(312)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메시지 뷰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메뉴' 키가 입 력되면 화면(320)으로 전환된다. '메뉴' 키 입력에 의해 화면(320)과 같이 메시지에 관련된 기능들의 목록(321)이 표시된 상태에서 목록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322)이 선택되면 부분 암호화 기능들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해 화면(330)으로 전환된다.
화면(330)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들의 목록(331)이 표시된 상태에서 '부분 암호화 해제' 기능이 선택되면 설정된 부분 암호화 기능 해제를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340)으로 전환된다. 화면(340)에서 부분 암호화 설정시 입력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부분 암호화 설정시 입력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일 수 있다.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350)으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화면(350)으로의 전환은 화면(340)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부분 암호화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전환된다. 만약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부분 암호화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350)은 요청된 부분 암호화 해제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화면이다. 부분 암호화 설정 완료에서와 같이 화면(350)과 같이 부분 암호화 해제 완료 여부를 표시부(16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스피커(Speaker)(미도시) 등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는 등 다른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의 일부분에 대해 설정된 부분 암호화 기능이 해제된 후 메시지 뷰가 실행되면 화면(360)과 같이 메시지 #1에 포함된 데이터 전체가 표시부(160)에 표시된다. 비밀번호(Password) 변경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만약 화면(330)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들의 목록(331)이 표 시된 상태에서 '부분 암호화 P.W. 변경'이 선택되면 설정된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될 비밀번호 입력 과정 수행 후 비밀번호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에 설정된 부분 암호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410)은 도 1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들 중에서 하나의 메시지(메시지 #1)에 대해 뷰(View) 실행이 요청된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화면예이다. 이때 메시지 #1에 포함된 데이터(411)는 부분 암호화(412)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에서 메시지 #1에 포함된 데이터(411)는 하나의 부분 암호화(412)를 포함하지만 둘 이상의 암호화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뷰가 실행되는 화면(410에서 포인터(413) 등이 설정된 부분 암호화(412) 주변에 위치하면 부분 암호화(412)를 해제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이 요청될 수 있다. 부분 암호화(412)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 요청은 화면(420)의 팝업(Popup)(422)과 같이 부분 암호화(412)가 위치하는 영역의 주변에 표시될 수 있다. 생성된 팝업(422)에서 부분 암호화 설정시 입력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화면(430)으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화면(410)의 데이터(411)가 둘 이상의 부분 암호화가 설정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화면(420)과 같이 한번의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모든 암호화된 부분들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화면(420)으로의 전환은 팝업(422)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부분 암호화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전환된다. 만약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부분 암호화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팝 업(422)이 사라지지 않고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화면(430)은 설정된 부분 암호화(412)가 해제된 상태로 실행중인 메시지 뷰 기능을 계속하여 실행 즉, 메시지 #1에 포함된 데이터 전체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를 포함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10)은 도 1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들 중에서 하나의 메시지(메시지 #2)에 대해 뷰(View) 실행이 요청된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화면 예이다. 이때 메시지 #2에 포함된 데이터(511)는 둘 이상의 부분 암호화들(512 및 513)을 포함하는 예이다. 즉,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설정되는 부분 암호화는 하나 이상의 부분 암호화가 가능하다. 이렇게 다수의 부분 암호화들을 설정하는 과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예로써 도 2의 화면(240)에서 다수의 부분들을 선택하여 블록화한 후 암호화를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부분들에 대한 암호화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해제의 경우에도 도 4의 화면(4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번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하나의 메시지가 포함하는 데이터에 설정된 모든 부분 암호화들이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부분 암호화 기능 즉, 부분 암호화 설정기능, 부분 암호화 해제기능, 비밀번호 변경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제어부(130)는 605 단계에서 저장된 메시지의 뷰(View)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610 단계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이 요청되면,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615 단계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 설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부분 암호화 기능 설정이 요청되면 620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에 따라 부분 암호화가 설정될 일부분을 선택한다. 625 단계에서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에 의해 부분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부분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이다. 630 단계에서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입력 요청과정을 추가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부분 암호화 설정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635 단계에서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입력된 비밀번호에 의해 선택된 부분에 대한 부분 암호화를 설정한다. 64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설정된 부분 암호화를 포함하는 메시지 뷰를 실행, 즉 메시지를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부분 암호화 기능 설정 요청이 아닌 경우 645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부분 암호화 기능의 해제가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부분 암호화 기능의 해제가 요청되면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650 단계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이 설정된 부분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부분 암호화 기능이 설정된 부분(412)에 포인터(413)가 위치하는지 확인한 후 부분 암호화 기능이 설정된 부분(412)에 포인터(413)가 위치하면 화면 전환 또는 팝업을 생성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5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655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후 일치하면, 660 단계에서 설정된 부분 암호화 기능을 해제한다. 이때 입력된 비밀번호가 부분 암호화를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청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665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부분 암호화가 해제된 메시지 뷰를 실행, 즉 메시지를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부분 암호화 기능의 해제 요청이 아닌 경우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670 단계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의 비밀번호 변경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비밀번호 변경이 요청되면 675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부분 암호화 기능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부분 암호화 기능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일 수 있다.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680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만약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부분 암호화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청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685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된 새로운 비밀번호를 부분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로써 저장한다. 69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실행 중인 메시지 뷰, 즉 메시지를 표시부(160)에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710)은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화면예이다.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작성된 데이터(711)에 대해 부분적인 암호화 설정을 위해 '메뉴' 키와 같은 특정키가 입력되면 화면(720)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부(150)에 구비된 '메뉴'키가 입력되면 암호화 기능을 포함한 메시지에 관련된 기능들이 표시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메뉴'키 입력으로 화면(720)과 같이 메시지에 관련된 기능들의 목록(721)이 표시된 상태에서 목록에서 부분 암호화 기능(722)이 선택되면 부분 암호화 기능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화면(730)으로 전환된다. 화면(730)과 같이 암호화 기능(722)이 선택되면 암호화 설정과 관련된 기능의 목록(731)이 표시되고, 암호화 설정과 관련된 기능의 목록(731)이 표시된 상태에서 블록설정 항목(732)이 선택되면 화면(740)으로 전환된다. 화면(740)에서 암호화를 설정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일부분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면(740)과 같이 데이터(741) 상에 언더바(Underbar)(742)가 표시될 수 있고, 입력부(150)에 구비된 방향키 등에 의해 언더바(742)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블록을 설정할 수 있다. 블록(743)과 같이 원하는 부분이 블록화되면 미리 설정된 키 예를 들어, '확인(OK)'키를 입력함으로써 암호화를 위한 부분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분 암호화가 요구되는 종류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사이트 주소에 대해서는 화면(740)으로 전환시 언더바나 포인터 등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방향키에 의한 이동없이 상기 정보가 선택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블록으로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암호화를 위한 부분 선택이 완료되면 화면(750)으로 전환되어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며, 숫자뿐만 아니라 설정에 따라 문자, 아이콘 등 입력가능한 모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화면(750)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선택된 부분에 대한 부분 암호화가 설정되고 화면(760)과 같이 부분 암호화(761)를 표시하면서 작성중인 메시지의 작성 입력을 계속하여 수신한다.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수신측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770)으로 전환되고 수신측 정보가 입력되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정보에 의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 후 화면(78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분 암호화(761)에 설정된 비밀번호는 공개키(Public key)로 전환되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공개키는 송신측 단말기에 설정된 송신측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에 의해 상기 암호화가 해제되도록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이다. 공개키로 전환되어 암호화된 부분 암호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는 수신측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부분 암호화를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메시지 작성시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8 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제어부(130)는 805 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모드가 선택되면 81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에 의해 메시지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작성한다. 815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부분 암호화 설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부분 암호화 설정이 요청되면 820 단계에서 부분 암호화를 설정할 부분을 선택한다. 이때 암호화를 설정할 부분의 선택은 도 7의 화면(730) 내지 화면(740)과 같은 과정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요청된 기능이 부분 암호화 설정 기능이 아니면, 제어부(130)는 850 단계에서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고 840 단계로 진행한다.
부분 암호화를 선정할 부분이 선택되면 화면(750)과 같이 825 단계에서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부분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는 휴대 단말기의 보안을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이다. 제어부(130) 특히,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830 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입력 요청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835 단계에서 메시지 암호화부(135)는 선택된 부분에 대한 부분 암호화를 설정한다. 84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는지 확인하고, 완료되면 84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10 단계로 되돌아간다. 845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부분 암호화의 해제시 수신측 단말기에 설정된 보안 비밀번호가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부분 암호화 설정시 입력된 비밀번호를 공개키로 전환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측 단말기에 의해 부분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개키로 전환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된 비밀번호를 알 수 있거나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부분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는 경우 공개키로의 전환없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부분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도록 다른 방법에 의해 수신측 단말기에 비밀번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을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에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에 설정된 부분 암호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에 설정된 부분 암호화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를 포함하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화면들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부분 암호화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Claims (17)

  1.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암호화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일부분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분은,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암호화될 시작부분을 선택한 후 이동 입력에 의해 블록(Block)화함으로써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블록화된 일부분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 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은 하나의 암호화 비밀번호에 의해 암호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상기 암호화된 일부분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작성된 후 상기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공개키로 전환하여 송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키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설정된 단말기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에 의해 상기 암호화가 해제되도록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암호화된 후 상기 메시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암호화된 일부분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
    암호화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번호들이 일치하면, 상기 일부분의 암호화가 해제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방법.
  9.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일부분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가 요청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일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암호화를 위해 설정될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 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상기 비밀번호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데이터에서 암호화 시작부분 및 이동 입력을 수신하여 블록(Block)화함으로써 상기 일부분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블록화된 일부분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은,
    하나의 암호화 비밀번호에 의해 암호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 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상기 암호화된 일부분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작성된 후 상기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공개키로 전환하여 무선부를 통해 송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키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설정된 단말기 암호화를 위한 비밀번호에 의해 상기 암호화가 해제되도록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가 암호화된 후 상기 메시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암호화 해제를 위해 입력된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암호화 장치.
KR1020080109628A 2008-11-06 2008-11-06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27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628A KR101277149B1 (ko) 2008-11-06 2008-11-06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US12/590,274 US8892901B2 (en) 2008-11-06 2009-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user data
EP09174980A EP2187330A1 (en) 2008-11-06 2009-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user data
CN200910220836.1A CN101741563B (zh) 2008-11-06 2009-11-06 对用户数据加密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628A KR101277149B1 (ko) 2008-11-06 2008-11-06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638A true KR20100050638A (ko) 2010-05-14
KR101277149B1 KR101277149B1 (ko) 2013-06-20

Family

ID=4142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628A KR101277149B1 (ko) 2008-11-06 2008-11-06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2901B2 (ko)
EP (1) EP2187330A1 (ko)
KR (1) KR101277149B1 (ko)
CN (1) CN10174156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63A1 (ko) * 2013-06-10 2014-12-18 Kim Do-Hyung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는 정보 암호화 시스템 및 정보 암호화 방법
WO2017039102A1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US10650827B2 (en) 2015-09-01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701A (ja) * 2009-06-29 2011-01-13 Sony Corp 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2185969B (zh) * 2011-04-21 2014-01-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键盘密码锁的设置方法及采用键盘密码锁的解锁方法
US20120297182A1 (en) * 2011-05-18 2012-11-22 Sherisse Hawkins Cipher and annotation technologies for digital content devices
US9003544B2 (en) 2011-07-26 2015-04-07 Kaspersky Lab Zao Efficient securing of data on mobile devices
CN102638459B (zh) * 2012-03-23 2018-01-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认证信息传输系统、认证信息传输服务平台及传输方法
WO2013185303A1 (en) * 2012-06-13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Encryption bitmap for a device-to-device expression
CN102867149A (zh) * 2012-08-01 2013-01-09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信息保护方法
CN103593624A (zh) * 2013-11-26 2014-02-19 中国汽车工业国际合作有限公司 一种展会服务平台加密方法
US9396355B2 (en) 2013-12-17 2016-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art encrypted messages for support of sensitive systems
KR102195900B1 (ko) * 2013-12-20 202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281560B2 (ja) * 2014-12-25 2018-02-2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161762A (zh) * 2015-04-24 2016-11-23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显示数据的解密方法
CN105069364B (zh) * 2015-06-30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片展示方法及移动终端
US10419444B2 (en) * 2015-08-24 2019-09-17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messages utilizing a hidden restriction mechanism
CN105303120B (zh) 2015-09-18 2020-01-1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短信读取方法及装置
CN105260673A (zh) * 2015-09-18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短信读取方法及装置
CN105307137B (zh) 2015-09-18 2019-05-0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短信读取方法及装置
CN105898054A (zh) * 2016-04-08 2016-08-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验证的消息显示方法及通信终端
CN107508786A (zh) * 2016-06-14 2017-1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加密、解密方法、装置及终端
CN106548082A (zh) * 2016-11-08 2017-03-29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及装置
CN109145552B (zh) * 2018-07-0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加密方法及终端设备
US11115213B1 (en) * 2020-01-28 2021-09-07 NortonLifeLock Inc. Thwarting one-time password thef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990A1 (en) * 1997-02-19 2001-12-13 Frank Wells Sudia Method for initiating a stream-oriented encrypted communication
US7426054B1 (en) * 1999-05-13 2008-09-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image processing and image reproduction
TWI308306B (en) * 2001-07-09 2009-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work protection system, record/playback device, recording medium device, and model change device
US7346769B2 (en) * 2003-10-23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ve encryption within documents
US7260380B2 (en) * 2003-12-18 2007-08-21 Sap Aktiengesellschaft Storing and synchronizing data on a removable storage medium
KR100650680B1 (ko) * 2005-11-16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세부잠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70064694A (ko) * 2005-12-19 2007-06-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CN100578532C (zh) 2007-04-19 2010-01-06 上海复旦天臣新技术有限公司 用于物品标识及识别的系统、标识方法及识别方法
US8700907B2 (en) * 2007-06-06 2014-04-15 Cisco Technology, Inc. Us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redentials to protect the transfer of posture data
US8160247B2 (en) * 2007-09-27 2012-04-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oviding local storage service to applications that run in an application execution environ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63A1 (ko) * 2013-06-10 2014-12-18 Kim Do-Hyung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는 정보 암호화 시스템 및 정보 암호화 방법
US10019913B2 (en) 2013-06-10 2018-07-10 Poze Co., Ltd. Information encryption system and information encryption method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O2017039102A1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US10650827B2 (en) 2015-09-01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1563A (zh) 2010-06-16
CN101741563B (zh) 2015-07-08
US20100115289A1 (en) 2010-05-06
KR101277149B1 (ko) 2013-06-20
US8892901B2 (en) 2014-11-18
EP2187330A1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149B1 (ko)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EP3605989A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880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CN113242224B (zh) 授权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7766701B (zh) 电子设备、动态库文件保护方法及装置
US2019014716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of encrypting and decrypting information
JP6101863B2 (ja) 音声サービスでの情報送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8900553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55169B (zh) 数据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43000B (zh) 应用数据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7235755A (ja) 携帯電話機、及び、電子メール送受信用プログラム
CN111818466A (zh) 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878112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distributing updated key material
CN107302519B (zh) 一种终端设备的身份认证方法、装置和终端设备、服务器
CN115277117A (zh) 文件查看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088219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2524730A (ja) 電話番号の伝達、取得、保存、及び使用
KR20150069835A (ko) 전자 장치에서 오브젝트 제어 방법 및 장치
CA2738555C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distributing updated key material
KR20100130847A (ko) 개인통신단말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및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방법
JP2010191668A (ja) 情報処理装置
CN116167042A (zh) 密码的输入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883061A (zh) 密钥生成方法、浏览器、终端及存储介质
CN115879123A (zh) 私密数据的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39454A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