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454A -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454A
KR20130139454A KR1020120061573A KR20120061573A KR20130139454A KR 20130139454 A KR20130139454 A KR 20130139454A KR 1020120061573 A KR1020120061573 A KR 1020120061573A KR 20120061573 A KR20120061573 A KR 20120061573A KR 20130139454 A KR20130139454 A KR 20130139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service
terminal device
specif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075B1 (ko
Inventor
노해강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75B1/ko
Priority to EP12878299.2A priority patent/EP2860689A4/en
Priority to CN201280072977.3A priority patent/CN104272342B/zh
Priority to PCT/KR2012/008291 priority patent/WO2013183818A1/ko
Priority to CN201810026319.XA priority patent/CN108038675A/zh
Priority to JP2015515924A priority patent/JP6209599B2/ja
Priority to US14/344,184 priority patent/US9338645B2/en
Publication of KR2013013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에서 분실되거나 관리되지 못한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시지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단말 장치로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에, 다수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ssage service method for protecting user privacy in multi-device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에서 분실되거나 관리되지 못한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성능 향상을 통해서,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더하여,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방형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편리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오픈 마켓의 활성화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성능화로 스마트 폰은 PC에서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융복합 추세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에까지 확장되고 있으며, 일 예로서 단순히 영상 수신 기기로서 동작하던 TV에도 개방형 OS를 탑재함으로써, 스마트 폰이나 PC에서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이 융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자/통신 장치의 기능이 유사해짐에 따라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단말 장치를 통해서 동시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단말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말 장치, 예를 들어, TV,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을 통해서 동일한 서비스 및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간에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등록한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단말 장치를 통해서도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제공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에서 분실되거나 관리되지 못한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다수의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메시지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에,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거나, 사용자 인증 후에만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하고, 다수의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장치에 등록되어, 서비스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받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통신망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 대한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에,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거나, 사용자 인증 후에만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한 후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이 해제되면, 해제되는 시점까지 전송되지 못한 메시지를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한 단말 장치로부터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수신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메시지 서비스 이용이 없는 단말 장치를 특정 단말 장치로 추출하여, 서비스 제한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시에만 복호화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되, 메시지에 대한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시에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서비스 제한 요청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서비스 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메시지의 송수신 상태를 알지 못하도록 은닉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은닉한 메시지가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거나, 송수신한 메시지의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없는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거나, 서비스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메시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중에,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제한이 요청된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되 사용자 인증시에만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시에만 특정 단말 장치에서 복호화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는, 서비스 장치가 특정 단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되, 메시지의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시에만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를 멀티 디바이스로 등록하여 상기 메시지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를 분실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환경에 놓아두게 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서 상기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의한,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한,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400)을 통해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 다수의 단말 장치(200) 및 상대 단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해서 임의의 다수 사용자에 대하여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이다. 여기서, 메시지 서비스는,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장문 메시지 서비스(L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임의의 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대한 정보(식별 정보, 접속 정보를 포함함)를 등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송수신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단말 장치(200)로 상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에,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서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볼 수 없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제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서버-클라이언트 기반의 컴퓨팅 방식,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 등 다양한 컴퓨팅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서, 다수의 단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 장치로서, 특히,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에 등록되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다수의 단말 장치(200)는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자/통신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이용가능하며, 특히, 동종 또는 이종의 다양한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단말 장치(200)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통신 기능을 내장한 TV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을 요청하거나,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200)의 주요 구성 및 작용은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상대 단말(400)은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메시지를 교환하는 상대방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대방도 다수의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의 구성 및 동작은 사용자의 다수 단말 장치(200)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망(400)는,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와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인터넷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및 2G, 3G, 4G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저장부(120)와,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곳에서도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해서는 사용자 본인만이 메시지를 확인하고,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에게는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통신망(300)을 통해서 다수의 단말 장치(200) 및 상대 단말(400) 간에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상대 단말(400)이 전송한 사용자에게 전송한 메시지를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로 동시에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한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대 단말(400)로 전송한다.
저장부(120)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멀티 디바이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대한 정보(식별 정보 및 IP 주소와 같은 접속 정보 포함)를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단말 장치(200) 별로 서비스 제한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서비스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웹 페이지를 통해서 또는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함께 등록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곳에서도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상대 단말(400)이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로 동시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에서 임의의 한 단말 장치로부터 상대방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대 단말(400)로 전달한다.
상기 상태에서,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해서는 사용자 본인만이 메시지를 확인하고,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에게는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은,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가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한 단말 장치(202)로부터 수신함에 의해 발생하거나,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가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 이용 상태(예를 들어, 메시지 송신 여부)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 시간) 이상 메시지 서비스 이용이 없는 단말 장치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 추출하여, 서비스 제한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서비스 제한이 요청된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해서는 상기 저장부(120)에 서비스 제한 상태로 설정된다.
더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의 메시지 노출 제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고, 이후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이 해제되면, 상기 차단되어 전송되지 못한 메시지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 전송한다. 즉, 서비스 제한 요청이 있는 동안에는 특정 단말 장치(201)로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으며, 서비스 제한 요청이 해지된 이후에, 이전에 전송되지 못한 메시지를 한번에 혹은 나눠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메시지 노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해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서 사용자 본인 인증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메시지가 복호화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130)는,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메시지 노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특정 단말 장치(201)는, 해당 메시지 자체 및 그 수신 상태를 은닉하거나, 메시지의 일부(예를 들어, 발신자, 수신자, 또는 메시지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인지할 수 없는 형태(예, 모자이크 형식)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상기 은닉된 메시지를 표시하여 주거나, 상기 인지하지 못하는 형태로 표시된 부분을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와, 입력부(220)와, 저장부(230)와, 출력부(240)와,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10)는, 통신망(30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 메시지 서비스 특히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210)는 통신망(300)과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1G, 2G, 3G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상대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400)로 전송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 장치(2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모션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0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 및 사이드 키나 별도의 핫 키, 단축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20)는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제한을 요청하거나, 메시지 확인을 위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및 동작 결과로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보호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수단으로서,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출력부(240)는 단말 장치(2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송수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출력부(240)는 서비스 제한 요청 및 은닉 또는 표시 제한된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제조 형태에 따라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5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OS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혹은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혹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출력부(240)를 통해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되, 입력부(21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제한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서비스를 제한할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정보(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250)는 단말 장치(200)가 서비스 제한 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의 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50)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서 상대 단말(400)이 사용자에게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메시지와 함께 서비스 제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송수신 상태를 알지 못하도록 은닉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은닉한 메시지가 출력부(24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메시지 수신 및 저장 상태를 알 수 없도록 예를 들어, 히든 파일로 처리하고, 이후,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은닉 상태를 해제하여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250)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서 상대 단말(400)이 사용자에게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되, 상기 메시지와 함께 서비스 제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없는 상태(예를 들어, 모자이크 처리)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메시지 수신 상태는 누구나 알 수 있으나, 메시지의 상세 내용은 사용자만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시지의 수신 상태만을 통지(표시)하며, 사용자 인증 성공 시에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복호화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 본인 이외에는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이하 상술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 및 단말 장치(200) 간에 이루어지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할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대한 정보(식별 정보 및 접속 정보 포함)를 수신하여 등록한다(S110).
이어서, 상기 등록한 다수의 단말 장치(20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S120). 더 구체적으로는, 상대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에 동시에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중 어느 하나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상대 단말(40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로 상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이 발생하는 지를 확인한다(S130).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한 요청은,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 중 어느 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하거나,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200)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이용 상태, 더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송신 상태를 확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메시지 서비스 이용이 없는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하여 서비스 제한 요청을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서비스 제한이 요청된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해서 서비스 제한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20)에 등록한(S140) 후에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S150).
상기 단계(S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는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메시지 노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해서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인증된 사용자만이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메시지 노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즉, 메시지는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은닉 또는 표시 제한과 같은 서비스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함으로써, 특정 단말 장치(201)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 특정 단말 장치(201)를 통해 사용자 프라이버시 노출을 제어하는 중에,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에 대한 해지 요청을 확인하고(S160), 서비스 제한에 대한 해지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에 대한 서비스 제한 설정을 해지함으로써, 이후 다른 단말 장치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메시지가 제공되도록 한다(S170).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는, 서비스 제한 설정의 해지 후에, 앞서 차단되어 전송되지 못한 메시지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201)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다수의 단말 장치(200) 각각은, 기본적으로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를 통해서 사용자와 관련된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받아 출력부(240)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S210).
상기와 같이 동작 중에, 입력부(210)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제한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말 장치(200)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받은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제한 대상으로 설정되어, 메시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제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20). 상기 서비스 제한 요청은,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의 송수신 시, 각 메시지와 함께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의 수신 전에 별도로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한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 장치(230)는 메시지 표시 제한을 설정하고(S230), 이후 사용자와 관련된 송수신 메시지의 발생 시(S240), 상기 발생한 메시지를 은닉 저장한다(S250). 여기서, 은닉 저장은,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의 내용뿐만 아니라 메시지의 수신 여부까지 알 수 없도록 히든 파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자체를 은닉하지 않고, 메시지의 일부(예를 들어,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의 내용 중 일부)만을 인지할 수 없는 형태(예를 들어, 모자이크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암호화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은닉되거나 인지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환 표시되거나 암호화된 메시지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S260), 은닉 상태가 해지되거나, 인지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거나 복호화된 후(S270) 출력부(240)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S28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를 멀티 디바이스로 등록하여 상기 메시지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를 분실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환경에 놓아두게 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서 상기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말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100: 메시지 서비스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 200: 단말 장치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저장부 240: 출력부
250: 제어부 251: 프라이버시 보호 모듈
200: 상대 단말 400: 통신망

Claims (15)

  1. 사용자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등록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상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에,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거나,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에 등록되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2. 통신망을 통해서 다수의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가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 대한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에,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에 따라서,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거나,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한 후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이 해제되면, 해제시점까지 전달되지 못한 메시지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 중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메시지 서비스 이용이 없는 단말 장치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추출하여, 서비스 제한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 후 상기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 후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장치.
  8.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서비스 제한 요청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송수신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의 송수신 상태를 알지 못하도록 은닉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은닉한 메시지가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한 메시지의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없는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 내용의 일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단말 장치.
  12. 메시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가 등록한 다수의 단말 장치로 상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로 상기 사용자의 송수신 메시지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다수의 단말 장치 중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한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제한이 요청된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거나,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해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특정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 후 상기 메시지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서비스 장치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의 은닉 또는 표시 제한 요청을 함께 전송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가 사용자 인증 후에만 상기 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61573A 2012-06-08 2012-06-08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4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73A KR101941075B1 (ko) 2012-06-08 2012-06-08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2878299.2A EP2860689A4 (en) 2012-06-08 2012-10-12 METHOD AND SYSTEM FOR MESSAGING SERVICE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OF
CN201280072977.3A CN104272342B (zh) 2012-06-08 2012-10-12 用于多设备环境中的消息服务的方法和系统及其设备
PCT/KR2012/008291 WO2013183818A1 (ko) 2012-06-08 2012-10-12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CN201810026319.XA CN108038675A (zh) 2012-06-08 2012-10-12 用于多设备环境中的消息服务的服务设备和消息服务方法
JP2015515924A JP6209599B2 (ja) 2012-06-08 2012-10-12 マルチデバイス環境でのメッセージ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このための装置
US14/344,184 US9338645B2 (en) 2012-06-08 2012-10-12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service in multi-device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73A KR101941075B1 (ko) 2012-06-08 2012-06-08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11A Division KR102088219B1 (ko) 2019-01-16 2019-01-16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454A true KR20130139454A (ko) 2013-12-23
KR101941075B1 KR101941075B1 (ko) 2019-01-22

Family

ID=4998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73A KR101941075B1 (ko) 2012-06-08 2012-06-08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57A (ko) * 2019-05-29 2020-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은닉 정보 임베딩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189A (ko) * 2007-10-15 2009-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사용자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10141276A1 (en) * 2009-12-14 2011-06-16 Apple Inc. Proactive Security for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189A (ko) * 2007-10-15 2009-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사용자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10141276A1 (en) * 2009-12-14 2011-06-16 Apple Inc. Proactive Security for Mobi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57A (ko) * 2019-05-29 2020-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은닉 정보 임베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075B1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95970B (zh) 处理组件的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605989B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880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CN108769027B (zh) 安全通信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563473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其系统
US20180288593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JP6209599B2 (ja) マルチデバイス環境でのメッセージ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このための装置
CN111563251B (zh) 一种终端设备中私密信息的加密方法和相关装置
CN107766701B (zh) 电子设备、动态库文件保护方法及装置
US201701717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routing information
KR20120080860A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4200163A1 (ko)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는 정보 암호화 시스템 및 정보 암호화 방법
CN109246110B (zh) 数据共享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83402A (zh) 加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055169B (zh) 数据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076362B (zh) 业务执行方法及装置
CN114218510A (zh) 业务页面显示方法、装置和设备
KR101173583B1 (ko)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보안방법
KR102088219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242779B (zh) 基于小程序的文件传输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101941075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82609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5277117A (zh) 文件查看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8924136B (zh) 授权认证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6268355B2 (ja) 中継装置、中継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