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370A -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370A
KR20100050370A KR1020090013031A KR20090013031A KR20100050370A KR 20100050370 A KR20100050370 A KR 20100050370A KR 1020090013031 A KR1020090013031 A KR 1020090013031A KR 20090013031 A KR20090013031 A KR 20090013031A KR 20100050370 A KR20100050370 A KR 20100050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semble
broadcast
transmission interface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687B1 (ko
Inventor
배병준
양규태
임종수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5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T-DMB(Advance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스템에서 추가 확보된 전송 용량을 이용하여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수신기의 위치 정보 및 설정에 의해서 권역에 따른 수많은 데이터 중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저장 및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T-DMB, Advance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역방송 서비스, 위치 정보

Description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s in AT-DMB}
본 발명은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P1-07-07K70, 과제명: DMB 메타데이터 표준개발].
AT-DMB(Advance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추가 확보된 전송 채널을 통해, T-DMB보다 더 많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T-DMB는 유럽의 유레카-147(Eureka-147) 기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에 비디오 서비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추가하여 상용화된 서비스이며, AT-DMB는 T-DMB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계층 변조 방법을 추가하여 전송 데이터의 용량을 최대 2배까지 확장시킨 방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AT-DMB는 기존의 T-DMB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늘어난 전송 용량을 통해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방송 서 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T-DMB와 마찬가지로 AT-DMB도 동일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서 주파수를 달리하는 권역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AT-DMB에서는 기본 영역을 통해서는 동일한 T-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추가된 향상 영역을 통해서는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 영역으로 전송하는 T-DMB 방송 서비스의 경우, 전송 용량이 매우 작아서 데이터 방송용으로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없다. 그리고, 작은 전송 용량으로 많은 데이터를 보내려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전국 방송을 하는 T-DMB 방송 서비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AT-DMB의 추가된 전송용량을 사용하면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보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주로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많은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는 극히 일부분이므로, 사용자가 모든 데이터 컨텐츠를 다 전송받아 저장 및 재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추가 확보된 전송 용량을 이용하여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지역 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송신하는 시스템은,
제1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 및 제1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각각 추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 및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로 생성하는 앙상블 다중화부; 및 상기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와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계층 변조하여, 상기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는 제1 계층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는 제2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모듈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시스템은,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모듈레이션하여,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앙상블 역다중화부; 상기 제1 스트림을 처리하여 주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하는 제1 스트림 처리부; 상기 제2 스트림을 처리하고, 입력받은 식별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신호를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하는 제2 스트림 처리부; 및 상기 주 방송용 데이터 신호와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모듈레이션 및 역다중화를 수행 하여 기본 영역 앙상블과 향상 영역 앙상블로 출력하는 단계; 다수의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들로 이루어진 상기 향상 영역 앙상블과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와 일치하는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 정보와 일치하는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와 상기 기본 영역 앙상블로부터 출력된 주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T-DMB 시스템에서 추가 확보된 전송 채널을 통해서 지역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데이터 중 AT-DMB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만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특정 지역에서 지역과 관련된 원하는 정보만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AT-DMB에서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DMB 송신부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DMB 송신부(100)는 데이터 서버(110), 앙상블 다중화부(120) 및 모듈레이터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서버(110)는 지역 방송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작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한 데이터를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Ensemble Transport Interface, 이하 ETI라 지칭) 프레임으로 변환한 후 앙상블 다중화부(12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설명의 편의상 지역 방송용 ETI 신호라 지칭한다. 여기서 ETI 신호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등의 여러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지역 방송용 ETI 신호에는 해당 지역의 지도 정보, 날씨 및 교통 정보, 음식점 및 병원 등의 다양한 지역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 서버(110)는 도 1과 같이 AT-DMB 송신부(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송신부 외부에 위치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110)가 다수 포함될 수도 있다.
앙상블 다중화부(120)는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지역 방송용 ETI 신호와 주 방송국에서 제작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T-DMB ETI 신호(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 방송용 ETI라 지칭)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두 개의 ETI 신호를 수신한 앙상블 다중화부(120)는 주 방송용 ETI 신호의 구성 정보인 고속 정보 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 이하 FIC라 지칭함)에 추가 채널에 대한 정보를 삽입하여 기본 영역의 ETI 신호를 발생시킨다.
AT-DMB 수신부에서는 기본 영역 ETI 신호를 먼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송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지역 방송용 ETI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지역 방송용 ETI 신호가 존재할 경우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추가 채널 정보를 주 방송용 ETI 신호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앙상블 다중화부(120)는 지역 방송용 ETI 신호 내에 있는 FIC 정보를 가공하여 향상 영역 ETI 신호로 발생시킨다. 여기서 지역 방송용 ETI 신호의 FIC 정보 가공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데이터 서버(110)가 다수 존재하여 전송해야 할 지역 방송용 ETI 신호가 여러개일 경우, 이를 하나의 향상 영역 ETI 신호로 생성시켜 하나의 채널에서도 많은 지역 방송용 ETI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하나의 지역 방송용 ETI 신호는 다른 지역 방송용 ETI 신호와 구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앙상블 다중화부는 각각의 데이터 앞단에 식별자 정보를 추가한다. 이 식별자 정보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모두 알고 있는 형태로 삽입되며, 식별자 정보 삽입에 대한 사항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모듈레이터부(130)는 앙상블 다중화부(120)로부터 발생된 두 개의 ETI 신호(기본 영역 ETI 신호, 향상 영역 ETI 신호)를 계층 변조하여 AT-DMB 무선 주파수 신호로 생성하고, 생성한 신호를 공중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AT-DMB 송신부(100)로부터 전송된 향상 영역 ETI 신호의 앙상블에는 다양한 지역 방송 ETI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수신기가 모든 ETI를 받아서 저장하고 재생하면 수신기 내의 저장 장치 및 재생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사용자가 필요한 내용의 데이터를 검색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기반으로, 많은 데이터 중 원하는 데이터만을 선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선별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부의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DMB 수신부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DMB 수신부(200)는 디모듈레이터부(210), 앙상블 역다중화부(220), 기본 영역 앙상블 처리부(230),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 시스템 제어부(250) 및 재생부(260)를 포함한다.
디모듈레이터부(210)는 송신부의 모듈레이터부(130)를 통해 전송된 AT-DMB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한후, 기본 영역 앙상블 프렐임과 향상 영역 앙상블 프레임으로 출력한다.
앙상블 역다중화부(220)는 디모듈레이터부(210)로부터 출력된 기본 영역 앙상블 프레임과 향상 영역 앙상블 프레임을 입력받아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기본 영 역 스트림과 향상 영역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때, 앙상블 역다중화부(220)는 주 방송용 데이터 신호의 FIC 정보를 확인하여 추가 채널에 대한 정보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도 판단한다.
기본 영역 스트림 처리부(230)(제1 스트림 처리부라고도 지칭)는 앙상블 역다중화부(220)로부터 출력된 기본 영역 스트림을 처리한다. 즉, 기본 영역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주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향상 영역 스트림 처리부(240)(제2 스트림 처리부라고도 지칭)는 앙상블 역다중화부(220)로부터 출력된 향상 영역 스트림을 시스템 제어부(250)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정보와 비교하여 처리한다. 이때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의 구조에 대해 먼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는 식별자 정보 비교기(241) 및 데이터 선별기(242)를 포함한다.
식별자 정보 비교기(241)는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 내에서 다양한 지역 방송 데이터와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선별 데이터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앙상블 역다중화부(220)로부터 출력되는 향상 영역 앙상블과 시스템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식별자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식별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향상 영역 앙상블이 존재할 경우, 데이터 선별기(242)는 이 향상 영역 앙상블을 수신기에서 실행할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선별하여 재생부(260)로 전달한다. 여기서 재생부(260)로 전달되는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에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상기 도 2의 시스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수신부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토대로 변환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도 1의 앙상블 다중화부(12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신부와 수신부가 모두 알고있는 사전에 약속된 형태의 정보이다.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로부터 제어 정보로의 변환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재생부(260)는 기본 영역 앙상블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주 방송용 프로그램 또는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로부터 출력된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AT-DMB 시스템에서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DMB 송신부(100)는 주 방송용 ETI 신호 및 지역 방송용 ETI 신호를 수신하고(S100), 수신한 신호를 토대로 기본 영역 ETI 신호 및 향상 영역 ETI 신호를 생성한다.(S110). 각각의 ETI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앙상블 다중화부(120)는 주 방송용 ETI 신호의 FIC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를 삽입하 고, 지역 방송용 ETI 신호의 FIC 정보에 식별자 정보의 삽입 및 다수의 지역 방송용 ETI 신호의 병합 등의 FIC 정보 가공을 통해 기본 영역 ETI 신호 및 향상 영역 ETI 신호를 생성한다.
모듈레이터부(130)는 앙상블 다중화부(120)로부터 생성된 기본 영역 ETI 신호 및 향상 영역 ETI 신호를 계층 변조하여 AT-DMB 무선 주파수 신호로 송출한다(S120).
AT-DMB 수신부(200)는 AT-DMB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디모듈레이터부(210)와 앙상블 역다중화부(220)에서 디모듈레이션 수행 후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본 영역 스트림과 향상 영역 스트림으로 출력한다(S13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력된 향상 영역 스트림은 다수의 지역 방송용 ETI 신호가 하나로 병합된 형태라 가정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240)의 식별자 정보 비교기(241)는 앙상블 역다중화부(220)로부터 수신한 향상 영역 스트림과 시스템 제어부(250)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향상 영역 앙상블에 식별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이 있는지 판단한다(S140). 여기서 시스템 제어부(250)에서 생성한 식별자 정보는, 현재 수신기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정보이다.
만약 다수의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들 중에 시스템 제어부(250)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이 있다면, 향상 영역 스트림 처리부(240)의 데이터 선별부(242)는 해당 향상 영역 스트림을 선택, 지역 방 송용 프로그램으로 추출하여 재생부(2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재생부는 기본 영역 스트림 처리부(230)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용 프로그램 및 향상 영역 스트림 처리부(240)로부터 수신한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50). 그러나, 일치하는 식별자 정보가 없다면 재생부(260)는 주 방송용 프로그램만 수신하고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6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DMB 송신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DMB 수신부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 영역 앙상블 처리부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송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 및 제1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각각 추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 및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로 생성하는 앙상블 다중화부; 및
    상기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와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계층 변조하여, 상기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는 제1 계층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는 제2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모듈레이터
    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송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앙상블 다중화부는,
    상기 제1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의 고속 정보 채널에 상기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주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의 고속 정보 채널에 상기 제1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식별자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지역 방송용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송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은 기본 계층이고, 상기 제2 계층은 향상 계층인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송신 시스템.
  4.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모듈레이션하여,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출력하는 앙상블 역다중화부;
    상기 제1 스트림을 처리하여 주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하는 제1 스트림 처리부;
    상기 제2 스트림을 처리하고, 입력받은 식별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신호를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출력하는 제2 스트림 처리부; 및
    상기 주 방송용 데이터 신호와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수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스트림 처리부로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수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림 처리부는,
    상기 제2 스트림 및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스트림 내에 상기 식별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식별자 정보 비교기; 및
    제2 스트림 내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 중 상기 식별자 정보 비교기의 판단을 통해 선택된 신호를 지역 방송용 프로그램으로 선별하는 데이터 선별기
    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수신 시스템.
  7. 지역에 특화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모듈레이션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기본 영역 앙상블과 향상 영역 앙상블로 출력하는 단계;
    다수의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들로 이루어진 상기 향상 영역 앙상블과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와 일치하는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 정보와 일치하는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와 상기 기본 영역 앙상블로부터 출력된 주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영역 앙상블과 향상 영역 앙상블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모듈레이션하여 기본 영역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와 향상 영역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영역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와 향상 영역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영역 앙상블과 향상 영역 앙상블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영역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송출한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 영역 앙상블 전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다수의 지역 방송용 데이터 신호들 각각에 대한 다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토대로 생성되는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제공 방법.
KR1020090013031A 2008-11-05 2009-02-17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24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9433 2008-11-05
KR1020080109433 2008-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370A true KR20100050370A (ko) 2010-05-13
KR101024687B1 KR101024687B1 (ko) 2011-03-25

Family

ID=4227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31A KR101024687B1 (ko) 2008-11-05 2009-02-17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6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687B1 (ko)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042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20090031014A (ko)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지털방송 시스템
AU2006256486A1 (en) Signaling network ID in TPS bits
CN102984625B (zh) 汽车音响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75632B1 (ko)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70062144A (ko)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채널정보 제공 방법
KR101024687B1 (ko) 지역 특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106099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93840A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US11818433B2 (en) System for the reproduction of a multimedia content using an alternative network if poor quality in first network
KR20100123808A (ko)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과 수신 장치
KR10111220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지역 방송 제공 방법및 그 장치
KR20150102498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218792B2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mitting data for use in a vehicle
JP2007074723A (ja) 地上波dmbシステムと衛星dmbシステムとの間のサービスリンク情報提供方法及びdmb端末機におけるサービスリンク情報を用いたサービス変更方法
KR10051155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101368468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76343B1 (ko)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39218B1 (ko) 광대역 전송으로 운반되는 전송 스트림에 대한 계층 모드를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네트워크 엔티티
KR100882508B1 (ko) 계층적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진화된 dmb 제한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02096A (ko) 방송 스트림 저장/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93227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EP3503441A1 (en) Provision of a regional radio program
KR101232600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