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203A -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 Google Patents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203A
KR20100049203A KR1020080108275A KR20080108275A KR20100049203A KR 20100049203 A KR20100049203 A KR 20100049203A KR 1020080108275 A KR1020080108275 A KR 1020080108275A KR 20080108275 A KR20080108275 A KR 20080108275A KR 20100049203 A KR20100049203 A KR 2010004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late
shaft
clutch
force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64629B1 (en
Inventor
김이수
Original Assignee
김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수 filed Critical 김이수
Priority to KR102008010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29B1/en
Publication of KR2010004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Abstract

PURPOSE: A water gate weight falling device for a winch is provided to ascend and descend a water gate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applying in a winch. CONSTITUTION: If the water gate is operated with the electro-motive force, one or more second friction plates and one or more first friction plates(2080) are fixed with the mutual friction. A second shaft is fixed with the manual part to fix a first shaft. A second friction plate(209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in which the electro-motive force is delivered. The first friction pl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connected to a manual part. A first friction pl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in which the manual force is delivered.

Description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Hydrologic self-lowering device for hoisting machine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본 발명은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대형 수문 등에 사용되는 권양기에 사용되는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logic weight dropping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drologic weight dropping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used in a hoisting machine used for a medium-large hydrologic and the like.

수자원 관리는 홍수로 인한 하천의 범람 또는 역류로 인한 피해와 제방의 붕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수방대책의 일환으로서의 유수지 및 배수지(배수펌프장) 관리, 저수지 등의 물을 가두어 농업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농업 용수 관리, 및 하천의 역류를 차단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 등을 포함하며, 특히, 농경지가 많고, 수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used to manage the reservoir and drainage (drainage pumping station) as a part of the countermeasures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flooding or backflow of rivers and the collapse of the dike, and to use the agricultural water as a confined reservoir. Water management, and management to prevent flooding of agricultural lands by blocking the backflow of river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agricultural lands and abundant water resources.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관리에 있어서, 대표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수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댐, 저수지, 하천, 해안가, 및 수로 등에서 수자원을 각종 용수로 사용하거나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문은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기술이 발전 및 개량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management of rivers and reservoirs for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the main role is the hydrology, and the use of water resources in various types of water in dams, reservoirs, rivers, shores, and waterways, or in preparation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The very important hydrology i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s a trend that the technology is developing and improv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수문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문의 구성은 배수로의 입구에 양측으로 수직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에는 횡방향으로 승강작동부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승강로드가 형성되며, 승강로드의 하부에 수문이 체결되어 개폐 작동함으로써 배수로를 개폐토록 구성된다.There are many kinds of sluice gates, and the most widely used sluice gates are vertical guide rail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drainage channel, and the guide rails are lift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unit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rod is formed, and the water gate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rod to open and close the drainage passage.

이때, 권양기는 구동 모터나 구동 기관에 의한 전동력 또는 수동 핸들 등에 의한 수동력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수문의 개폐에 있어서 권양기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며, 특히 구동 모터를 사용하는 권양기의 운용 과정에서 정전이나 고장으로 인한 전동 모터의 고장 시에 수동으로 수문을 여닫을 수 있고, 동시에 자동으로 수문을 닫을 수 있으며, 수문의 하강 시에는 하강 속도가 과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권양기의 운용이 매우 편리하고, 폭우, 낙뢰, 하천 범람 또는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수문의 폐쇄가 대단히 용이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winch is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by raising or lowering the water gate by using the rotational power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force by the drive motor or the drive engine or the manual force by the manual handle or the like. Therefore, the role of the winch 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the operation of the winch using the drive motor, in case of failure of the electric motor due to power failure or failure, it can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If there is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falling speed is not excessive during the descending of the gate,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is very convenient, and it will be very easy to close the gate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heavy rain, lightning, river overflow or blackout. .

본 발명은 권양기에 적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문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that can be applied to a winch and automatically raise or lower the gate.

또한,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수문을 자유 하강시킬 수 있는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that can freely lower the gate by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또한, 수문의 자유 하강 시, 수문의 하강 속도가 과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free fall of the gate, the falling speed of the gate is not excessive.

또한, 비상시 원격 자동 조작으로 수문을 하강 시킬 수 있는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that can lower the gate by remote automatic operation in an emergency.

본 발명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는, 전동부에 의한 전동력 또는 수동부에 의한 수동력으로 수문을 조작하는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력으로 상기 수문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전동력이 전달되는 제1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마찰판과, 상기 수동부와 연결되는 제2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마찰판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축이 상기 수동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축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동력으로 상기 수문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수동력이 전달되는 상기 제2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 마찰판과, 상기 전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축과 기계 역학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 마찰판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hydrostatic weight drop device for a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isting machine which operates a hydrologic by electric force by an electric motor or a manual force by a manual part, and when the hydrological is operated by the electric force, the first electric power is transmitted. At least one second friction plat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haft and at least one first friction plat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passive part are fixed by mutual frictional force, and the second shaft is fixed to the passive part. The first shaft may be fixed by the first friction plate,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to which the manual force is transmitted, when the hydrostatic force is operated by the manual force, and the transmission unit. The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friction plate and the mechanically connected second friction plate are fixed by mutual friction force to rotate the first shaft. .

본 발명의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에 따르면, 전동으로 수문을 상승시키는 권양기에 적용함으로써 전동 또는 수동에 의한 수문 상승과 하강, 수동 조작 또는 전동 조작에 의한 수문 자유 하강, 및 수문 자유 하강 시의 과도한 하강 속도 방지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를 이용한 원격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폭우, 낙뢰, 하천 범람 시, 또는 정전시에도 현장 접근이 없이 원거리에서 수문을 자동으로 하강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the winch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electric hoist to raise the gate by the electric moto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gate by the electric or manual, the free fall of the hydrology by manual or electric operation, and the excessive free at the time of free passag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falling spe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by providing a remote control using a battery, it is very convenient to automatically lower the water gate at a long distance without access to the site even during heavy rain, lightning, river overflow, or power outage, and it is very convenien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ydrostatic weight drop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는, 입출력 축(1000), 전자 클러치(2000), 원심 브레이크(3000), 수동 조작부(4000) 및 케이스(5000)를 포함한다.The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 output shaft 1000, an electromagnetic clutch 2000, a centrifugal brake 3000, a manual operation unit 4000, and a case 5000.

입출력 축(1000)은 중공 축(1010)과 내부 축(1011)으로 구성되고, 중공 축(1010)은 가운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내부 축(1011)이 중공 축(1010)의 중공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put and output shaft 1000 is composed of a hollow shaft 1010 and the inner shaft 1011, the hollow shaft 1010 is hollow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rotation axis, the inner shaft 1011 is hollow of the hollow shaft 1010 It is inserted in and configured to be free to rotate.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전자 클러치(200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클러치(2000)는 코일(2033), 코일 홀더(2030), 클러치(2040), 클러치 디스크(2050), 8개의 스프링(2022), 제1 마찰판 홀더(2060), 제2 마찰판 홀더(2070), 6개의 제1 마찰판(2080), 6개의 제2 마찰판(2090), 마찰판 지지대(2100), 및 커플러(211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2000 of the hydrostatic self-lowering device for a winch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000 includes a coil 2033, a coil holder 2030, a clutch 2040, a clutch disk 2050, eight springs 2022, a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nd a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And six first friction plates 2080, six second friction plates 2090, a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nd a coupler 2110.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코일(2033)이 구성된 코일 홀더(203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코일 홀더(2030)는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곡선판(2031, 2032)이 수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서, 돌출한 수직의 양 곡선판(2031, 2032) 사이에 코일이 감겨 구성된다. 또한, 내주연의 곡선판(2032)은 얇게 형성되어 코일(2033)에 전원이 인가될 때 발생하는 자기장이 내주연 측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coil holder 2030 in which the coil 2033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e coil holder 2030 is a shape in which the curved plates 2031 and 2032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ces of the disc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The coil holder 2030 has a coil between the protruding vertical curved plates 2031 and 2032. It is made up of wound. 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curved plate 2032 is formed thin so tha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2033 can be transfer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well.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클러치(204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러치(2040)는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곡선판(2041, 2042)이 수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서, 클러치(2040) 내주연의 곡선판(2042)은 코일 홀더(2030) 내주연의 곡선판(2032)의 외측과, 그리고 클러치(2040) 외주연의 곡선판(2041)은 코일 홀더(2030) 외주연의 곡선판(2031)의 외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클러치(2040) 내주연의 곡선판(2042)에는 중공 축(1010)과 핀 결합하기 위한 홈(2043)이 형성된다. 이때, 클러치(2040)의 중심 회전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원판을 관통하는 4개의 자성 차단 관통공(2044)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자성 차단 관통공(2044)은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clutch 2040 of the hydrostatic self-lowering device for a winch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utch 2040 is a shape in which the curved plates 2041 and 2042 protrude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ces of the disc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curved plate 2042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lutch 2040 has a coil holder ( 2030) the outer side of the curved plate 2032 of the inner periphery, and the curved plate 2041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lutch 20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curved plate 2031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il holder 2030, The curved plate 2042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clutch 2040 is provided with a groove 2043 for pin engagement with the hollow shaft 1010. At this time, four magnetic blocking through-holes 2044 penetrating the disc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rotation axis of the clutch 2040. Each magnetic blocking through-hole 2044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an extended shape.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클러치 디스크(205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러치 디스크(2050)는 원판으로서,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그리고 서로 동일한 각도인 45°의 각도를 가지는 위치에 8개의 스프링 홈(2051)이 형성된다. 스프링 홈(2051)이 형성되는 측의 반대 측 클러치 디스크(2050) 면에는 스프링 홈(2051)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르는 원주를 따라 소정 높이의 스프링 돌출부(2052)가 형성된다. 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clutch disk 2050 of the hydrostatic self-lowering device for a winch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utch disc 2050 is a disc,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eight spring grooves 2051 are formed at a same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and at an angle of 45 ° which is the same angle to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clutch disk 2050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pring groove 2051 is formed, a spring protrusion 205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ring groove 2051.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1 마찰판 홀더(206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마찰판 홀더(20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으로서,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복수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2061)가 톱니 바퀴 형상으로 형성된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is a cylind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rst friction plate holder recesses 2061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og wheel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2 마찰판 홀더(207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마찰판 홀더(2070)는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의 외주연에 곡선판(2071)이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수직으로 돌출한 곡선판(2071)에 8개의 수직 절개부(2072)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구성된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is formed by vertically protruding the curved plate 2071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eight vertical cutouts 2072 on the vertically protruding curved plate 207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1 마찰판(208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마찰판(2080)은 원판의 중심부가 제1 마찰판 홀더(2060) 외주연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2061)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개되어 제1 마찰판 홀더(206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disc cu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recess 2061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to engage with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It is formed to be.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2 마찰판(209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마찰판(2090)은 지름이 제1 마찰판(2080)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원판의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지름은 제1 마찰판 홀더(2060) 외주연 요부를 포함하는 제1 마찰판 홀더(2060)의 지름과 동일하여 제2 마찰판(2090)과 제1 마찰판 홀더(206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마찰판(2090)의 외면에는 제2 마찰판 요부(209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제2 마찰판 홀더(2070)에 형성되는 8개의 수직 절개부(2072)와 대응하는 크기와 위치에 톱니 바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마찰판 홀더(207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ncludes a first friction plate inclu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recess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The diameter of the holder 2060 is the same as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ddition, a second friction plate recess 209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at equal intervals, and has a siz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ight vertical cutouts 2072 formed on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g wheel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마찰판 지지대(210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찰판 지지대(2100)는 원판의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마찰판 지지대(2100)의 지름은 제1 마찰판 홀더(2060) 외주연 요부(2061)를 포함한 제1 마찰판 홀더(2060)의 지름보다 크며, 제2 마찰판 홀더(2070) 수직 돌출 곡선판(2071)의 내면까지의 지름보다 작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is a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 the diameter of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including the outer peripheral recessed portion 2061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ly protruding curved plate 2071.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커플러(2110)의 단면,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커플러(2110)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판의 관통공을 따라 수직 곡선판이 돌출하여 형성되며, 수직 곡선판에는 내부 축(1011)과 핀으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r 211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2110 is formed by protruding a vertical curved plate along the through hole of the disc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groove for fixing and fixing the inner shaft 1011 and the pin to the vertical curved plate.

클러치(2040), 클러치 디스크(2050),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2021), 8개의 스프링(2022), 제1 마찰판 홀더(2060), 제2 마찰판 홀더(2070), 6개의 제1 마찰판(2080), 6개의 제2 마찰판(2090), 마찰판 지지대(2100), 커플러(2110), 및 8개의 클러치 고정 나사(2023)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Clutch 2040, clutch disc 2050, clutch disc moving pin 2021, eight springs 2022,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six first friction plate 2080 Combination of the six second friction plates 2090, the friction plate supports 2100, the couplers 2110, and the eight clutch fixing screws 2023 are as follows.

클러치(2040)의 일면에 클러치 디스크(2050)가 위치하는데, 클러치 디스크(2050)의 스프링 홈(2051)이 형성된 면이 클러치(2040) 측을 향하고, 클러치 디스크(2050)에 형성된 8개의 스프링 홈(2051)에는 각각 한 개의 스프링(2022)이 삽입된다. 클러치 디스크(2050)의 타면에는 제1 마찰판 홀더(2060)가 위치하며, 제1 마찰판 홀더(2060)에는 제1 마찰판(2080)과 제2 마찰판(209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끼워진다. 이때, 제1 마찰판(2080)은 제1 마찰판 홀더(2060) 외주연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2061)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끼워지지만, 제2 마찰판(2090)의 관통공은 요부가 없으므로 자유 회전하도록 끼워진다. 마찰판 지지대(2100)는 제1 마찰판 홀더(2060)의 일면에 위치한다. The clutch disk 2050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clutch 2040,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spring groove 2051 of the clutch disk 2050 is formed faces the clutch 2040 side, and eight spring grooves formed on the clutch disk 2050. One spring 2022 is inserted into the 2051.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lutch disk 205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and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fitted into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t this time,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is fitted so as not to rotate with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main portion 2061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but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is free to rotate because there is no recess To be fitted.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클러치(2040), 클러치 디스크(2050), 제1 마찰판 홀더(2060), 및 마찰판 지지대(2100)는 모두 공통되는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각각 8개의 나사공이 등각도로 위치하여 형성된다. 클러치(2040), 클러치 디스크(2050), 제1 마찰판 홀더(2060), 및 마찰판 지지대(2100)의 나사공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마찰판 지지대(2100)로부터 삽입되는 8개의 클러치 고정 나사(2023)에 의하여 모두 결합된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2050)에 형성되는 8개의 나사공은 다른 나사공들보다 더욱 큰 지름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관 형상의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2021)이 삽입되는데,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2021)의 외주연은 클러치 디스크(2050)의 나사공에 밀착되고, 내주연은 클러치 고정 나사(2023)와 밀착된다. 이때,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2021)의 높이는 클러치 디스크(2050)의 두께보다 크고,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2050)는 클러치(2040)와 제1 마찰판 홀더(2060) 사이에서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2021)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전후 이 동할 수 있다. The clutch 2040, the clutch disk 2050,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nd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re each formed with eight threaded holes at equal distances from the common central axis at equal distances. Since the screw holes of the clutch 2040, the clutch disk 2050,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nd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eight clutches are inserted from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ll are joined by screws 2023. In addition, the eight screw holes formed in the clutch disk 2050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screw holes, and a cylindrical disk disk moving pin 202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inserted into the clutch disk moving pin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20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w hole of the clutch disk 205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utch fixing screw 2023.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clutch disk moving pin 2021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lutch disk 2050, so that the clutch disk 2050 is the clutch disk moving pin 2021 between the clutch 204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I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제2 마찰판 홀더(2070)는 마찰판 지지대(2100) 측으로부터 제1 마찰판 홀더(2060)와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을 감싸면서 끼워지는데, 제2 마찰판(2090)의 외주연에 형성된 8개의 제2 마찰판 요부(2091)가 제2 마찰판 홀더의 8개의 수직 절개부에 끼워진다. 또한, 커플러는 제2 마찰판 홀더와 핀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is fitted to surround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nd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from the side of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The eight second friction plate recesses 2091 formed are fitted to eight vertical cutouts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In addition, the coupler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by a pin.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원심 브레이크(3000)의 구성도이며, 원심 브레이크(3000)는 브레이크 슈 홀더(3130), 3개의 브레이크 슈(3140), 및 링 스프링(3144)을 포함한다.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entrifugal brake 300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ifugal brake 3000 includes a brake shoe holder 3130, three brake shoes 3140, and Ring spring 3144.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브레이크 슈 홀더(313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브레이크 슈 홀더(3130)는 원판의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그리고 서로 동일한 각도인 180°의 각도를 가지는 위치에 3개의 브레이크 슈 체결공(3131)이 형성되며, 관통공에는 내부 축(1011)과 핀 결합하기 위한 홈(3132)이 형성된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brake shoe holder 313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shoe holder 3130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 Three brake shoe fastening holes 3131 are form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and at an angle of 180 ° which is the same angle to each other, and the groove 3132 for pin coupling with the inner shaft 1011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브레이크 슈(3140)의 정면, 및 단면, 그리고 링 스프링(3144)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브레이크 슈(3140)는 일측에 브레이크 슈 관통공(3141)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라이닝(3142)이 구성된다. 브레이크 슈 관통공(3141)과 브레이크 슈 체결공(3131)을 통하여 3개의 브레이크 슈(3140)는 브레이크 슈 홀더(3130)와 회전 가능하도록 핀으로 체결된다. 원형의 링 스프링(3144)은 링 스프링(3144) 중심 축선이 브레이크 슈 홀더(3130)의 중심 축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링 스프링(3144)의 외 측은 브레이크 슈(3140)의 일면에 구성되는 링 스프링 지지핀(3143)과 맞닿아 브레이크 슈(3140)에 외측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며, 링 스프링(3144)과 맞닿는 링 스프링 지지핀(3143)은 나사머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링 스프링 지지핀(3143)으로부터 링 스프링(3144)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FIG. 14 is a front view and a cross section of the brake shoe 3140 and the front of the ring spring 3144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shoe 3140 is located at one side. A brake shoe through hole 3141 is formed, and a lining 314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three brake shoes 3140 are fastened to the brake shoe holder 3130 by pins through the brake shoe through holes 3141 and the brake shoe fastening holes 3131. The circular ring spring 3144 is configured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axis of the ring spring 3144 coincides with the center axis of the brake shoe holder 3130, and the outer side of the ring spring 3144 is configured on one surface of the brake shoe 3140. The ring spring support pins 3143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pply tension to the brake shoe 3140 in an outward direction, and the ring spring support pins 3143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ring springs 3144 are formed in a screw head shape to form a ring spring support pin ( Support ring spring 3144 not to be separated from 3143.

수동 조작부(4000)는 푸쉬링 부(4150)와 수동 레버부(4170)로 구성되며, 푸쉬링 부(4150)는 푸쉬링(4151), 2개의 출력 롤러(4162), 2개의 출력 롤러 핀(4161), 및 푸쉬링 지지핀(4160)을 포함한다. The manual operation unit 4000 includes a push ring unit 4150 and a manual lever unit 4170, and the push ring unit 4150 includes a push ring 4151, two output rollers 4422, and two output roller pins ( 4161, and a push ring support pin 4160.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푸쉬링 부(4150)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푸쉬링(4151)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판으로서 외주연에는 소정의 지름과 깊이를 가지는 제1 홈(4152)이 외주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고무링의 삽입을 위한 제2 홈(4153) 또한 외주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푸쉬링(4151)의 일측에는 푸쉬링(415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제1 홈(4152)을 관통하는 푸쉬링 지지핀 관통공(4154)이 형성되고, 푸쉬링(415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푸쉬링(415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제1 홈(4152)을 관통하는 2개의 출력 롤러 핀 관통공(4155)이 형성되는데, 2개의 출력 롤러 핀 관통공(4155)은 푸쉬링(415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푸쉬링 지지핀 관통공(4154)과 90°의 각도를 이루어 위치한다.Figure 1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side of the push ring portion 415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 ring (4151) is a disk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groove (4152)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y, the second groove for insertion of the rubber ring (4153) is also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n one side of the push ring 4141, a push ring support pin through hole 4154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groove 4222 from the inside of the push ring 4141 to the outside thereof, and is formed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push ring 4141. Two output roller pin through holes 4155 ar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groove 4222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push ring 4151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two output roller pin through holes 4155 are pushed. Each of the push ring support pin through holes 4154 is positioned at an angle of 90 °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ring 4141.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푸쉬링 지지핀(4160), 출력 롤러(4162), 및 출력 롤러 핀(4161)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푸쉬링 지지핀(4160)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개의 원기둥이 결합된 형상으로서 더욱 큰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측 일단이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푸쉬링(4151)의 외주연 측으로부터 푸쉬링 지지핀 관통공(4154)과 고정 결합된다. 출력 롤러 핀(4161)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세 개의 원기둥이 지름 크기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결합된 형상이며, 출력 롤러(4162)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출력 롤러(4162)는 출력 롤러 핀(4161)에 의해서 푸쉬링(4151)의 내주연으로부터 출력 롤러 핀 관통공(4155)에 결합되는데, 출력 롤러 핀(4161) 상에서 자유 회전 하도록 결합되며, 출력 롤러(4162)의 관통공에는 출력 롤러 핀(4161)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4163)이 형성되어 출력 롤러 핀(416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Figure 16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the output roller 4422, and the output roller pin 4411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is a shape in which two cylind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upled, and one end of the cylinder side having a larger diameter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push ring support pins are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ush ring 4251. It is fixedly coupled with the through-hole 4154. The output roller pins 4141 are in the form of three cylind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in sequence in the diameter size order, and the output roller 4422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output roller 4422 is coupled to the output roller pin through hole 4155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ush ring 4141 by an output roller pin 4141, which is coupled to freely rotate on the output roller pin 4141, and the output roller In the through hole of 4422, a locking jaw 440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put roller pin 4411 is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put roller pin 4141.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수동 레버부(4170)의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7 is a front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manual lever unit 417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동 레버부(4170)는 수동 레버(4201), 하우징(4190), 하우징 커버(4200), 입력부(4180), 입력 롤러(4178), 입력 롤러 핀(4177), 푸쉬 버튼(4174), 푸쉬 로드(4173), 푸쉬 로드 스프링(4172), 및 스토퍼(4171)를 포함한다.The manual lever portion 4170 includes a manual lever 4201, a housing 4190, a housing cover 4200, an input portion 4180, an input roller 4178, an input roller pin 4177, a push button 4174, and a push rod. 4417, a push rod spring 4422, and a stopper 4417.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입력부(4180)의 정면, 측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부(4180)는 지름이 서 로 다른 두 개의 원기둥이 결합된 형상이고, 지름이 작은 원기둥에는 외주연으로부터 중심 축을 지나 관통하는 관통공(4181)이 형성되고, 지름이 큰 원기둥에는 외주연으로부터 중심 축을 지나고 소정 깊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푸쉬 로드 홈(4182)이 형성된다. 또한, 지름이 큰 원기둥 외주연에는 원통 형상 홈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와 길이를 가지는 스토퍼 홈(4183)이 형성된다. 지름이 큰 원기둥의 하면에는 소정 깊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입력 롤러 핀 홈(4184)이 형성되는데, 지름이 큰 원통의 중심 회전 축과 편향되어, 즉 중심 회전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18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and bottom of the input unit 418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4180 has a shape in which two cylind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mbined, and a small diameter cylinder has a through hole 4141 penetrating through the central axi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large cylinder has a center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Cylindrical push rod grooves 4142 passing through the axis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Further, a stopper groove 418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cylindrical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arge diameter. A cylindrical input roller pin groove 414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arge-diameter cylinder, which is deflected from the central rotational axis of the large-diameter cylinder, that is,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central rotational axis. .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하우징(4190)의 정면, 및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을 참고하면 입력부(4180)는 하우징(4190) 내측에서 하우징(419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우징(4190) 측면의 관통공(4191)을 통하여 하우징(4190)의 내측으로 삽입 돌출되는 스토퍼(4171)가 구성되는데, 입력부(418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4183)과 맞물려서 입력부(418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저지한다. 하우징(4190)의 일측에는 입력부(4180)에 형성되는 푸쉬 로드 홈(4182)과 대응하여 통하도록 푸쉬 버튼 관통공(4192)이 형성되는데, 푸쉬 로드 홈(4182) 내측으로부터 푸쉬 로드 스프링(4172), 및 푸쉬 로드(4173)가 위치하고, 푸쉬 버튼 관통공(4192)에는 푸쉬 버튼(4174)이 푸쉬 로드(4173)와 맞닿아 위치한다. 하우징(4190) 내측을 향하는 푸쉬 버튼(4174)의 일측에는 나사 머리 형상의 돌출부(4175)가 형성되고, 푸쉬 버튼 관통공(4192)의 일측에는 푸쉬 버튼(4174)의 나사 머리 형상의 돌출부(4175)에 대응하는 걸림턱(4193)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4193)의 깊이는 푸쉬 버튼(4174)의 나사 머리 모양의 돌출부(4175) 두께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푸수 버튼 스프링(4172)에 의한 장력을 받은 푸쉬 로드(4173)의 일부가 하우징(4190)의 푸쉬 버튼 관통공(4192)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력부(4180)는 푸쉬 로드(4173)가 하우징(4190)의 푸쉬 버튼 관통공(4192)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4190)에 대한 회전 운동이 불가능하며, 하우징(4190)의 외측으로부터 푸쉬 버튼(4174)을 밀어서 푸쉬 로드(4173)를 하우징(4190)의 푸쉬 버튼 관통공(4192)으로부터 이탈 시킨 후에 하우징(4190)에 대한 입력부(4180)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FIG. 19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housing 419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7, the input unit 418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4190 inside the housing 4190, and is inserted into and protruded into the housing 4190 through the through hole 4191 of the side of the housing 4190. The stopper 4171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stopper groove 4183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put unit 4180 to prevent the input unit 4180 from rotating over a predetermined angle. A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419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ush rod groove 4142 formed in the input unit 4180. The push rod spring 4422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push rod groove 4422. And a push rod 4417 are positioned, and a push button 4174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push rod 4417 in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A screw head-shaped protrusion 417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ush button 4174 fac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4190, and a screw head-shaped protrusion 4175 of the push button 417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The engaging jaw 4193 is formed.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locking jaw (4193)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crew head-shaped projection (4175) of the push button (4174), a part of the push rod (4173) subjected to tension by the push button spring 4417 is housing It is possible to be inserted into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of 4190. Accordingly, the input unit 4180 is not rotatable relative to the housing 4190 when the push rod 4417 is caught in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of the housing 4190, and is push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90. After pushing the button 4174 to disengage the push rod 4417 from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of the housing 4190,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put unit 418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190 is possible.

입력 롤러 핀(4177)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세 개의 원기둥이 지름 크기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결합된 형상이며, 입력 롤러(4178)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입력 롤러(4178)는 입력 롤러 핀(4177)에 의해서 입력 롤러 핀 홈(4184)에 결합되는데, 입력 롤러 핀(4177) 상에서 자유 회전 하도록 결합되며, 입력 롤러(4178)의 관통공에는 입력 롤러 핀(4177)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4179)이 형성되어 입력 롤러 핀(4177)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The input roller pin 4177 is a shape in which three cylind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sequentially coupled in order of diameter size, and the input roller 4178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input roller 4178 is coupled to the input roller pin groove 4184 by the input roller pin 4177, which is coupled to freely rotate on the input roller pin 4177, and the input roller pin in the through hole of the input roller 4178. A latching jaw 4179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4177 is formed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input roller pin 4177.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하우징 커버(4200)와 수동 레버(4201)의 정면, 및 하우징 커버(420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우징(4190)으로부터 돌출되는 입력부(4180)는 하우징 커버(4200)와 결합되는데 입력부(4180)의 관통공(4181)과 핀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 커버(4200)의 외측에는 수동 레버(4201)가 고정 결합된다. 20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housing cover 4200 and the manual lever 420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420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4180 protruding from the housing 4190 is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4200,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4141 of the input unit 4180 by a pin. In addition, the manual lever 4201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cover 4200.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케이스(5000)의 정면, 단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케이스 커버(522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푸쉬링 조절핀(5230)의 평면,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 및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커플러 지지판(524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5000)에는 커플러 지지판(5240), 푸쉬링 조절핀(5230), 및 케이스 커버(5220)가 구성되며, 입축력 축 관통공(5210), 푸쉬링 조절핀 관통공(5211), 및 수동 레버부 관통공(5212)이 형성된다. 커플러 지지판(5240)은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 형상이고, 푸쉬링 조절핀(5230)은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에는 푸쉬링 조절핀(5230)의 회전 중심축에 편향된 위치에 푸쉬링 지지핀 홈(52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드라이버의 삽입이 가능한 드라이버 홈(5232)이 형성된다. Figure 21 is a view showing a front, a cross-section, and the back of the case 5000 of the hydrostatic weighting device for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hydrological weighting device for a lif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case cover 5220 of FIG. 23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bottom surface of a push ring adjusting pin 5230 of a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upler support plate 5240 and a rear surface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5000 includes a coupler support plate 5240, a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and a case cover 5220, and include a shaft force axis through hole 5210, a push ring adjustment pin through hole 5211, and a manual operation. A lever part through hole 5212 is formed. Coupler support plate 5240 is a disk shape having a through-hole in the center,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is a cylindrical shape at one end of the push ring support pin groove in a position biased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5231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driver groove (5232) for inserting the dri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는 입출력 축 관통공(5210)에 대응하는 위치의 케이스(5000) 내측에 코일 홀더(2030)가 고정 결합되고, 코일에는 코일 홀더를 관통하여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며, 클러치 디스크(2050), 제1 및 제2 마찰판 홀더(2060, 2070),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 마찰판 지지대(2100), 및 커플러(2110)가 결합되는 클러치(2040) 내측으로 코일 홀더가 삽입된다. 커플러 지지판(5240)은 커플러(21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면서 케이스(500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입출력 축(1000)은 케이스(5000)의 입출력 축 관통공(5210)으로 삽입되는데, 중공 축(1010)은 클러치(2040)의 관통공까지 삽입되어 클러치(2040)와 핀 결합되고, 중공 축(1010)보다 더욱 연장되는 내부 축(1011)은 클러치 디스크(2050), 제1 마찰판 홀더(2060), 마찰판 지지대(2100), 및 커플러(2110)의 관통공을 지나도록 삽입되어 커플러(2110)와 핀결합한다. 또한, 커플러(2110)를 지나 돌출되는 내부 축(1011)의 일단은 원심 브레이크(3000)의 브레이크 슈 홀더(3130) 관통공과 핀 결합한다. 이때, 중공 축(1010)과 케이스(5000), 내부 축(1011)과 마찰판 지지대(2110), 및 내부 축(1011)과 커플러 지지판(5240)의 사이에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구성된다. In the hydrological weight drop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holder 203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50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shaft through hole 5210, and the coil penetrates the coil holder. Wires for applying power are connected to the clutch disk 2050,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 holders 2060 and 2070,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 2080 and 2090,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nd the coupler ( The coil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lutch 2040 to which the 2110 is coupled. The coupler support plate 524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5000 while rotatably supporting the coupler 2110. The input / output shaft 1000 is inserted into the input / output shaft through hole 5210 of the case 5000, and the hollow shaft 1010 is inser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clutch 2040 to be pin-coupled with the clutch 2040 and the hollow shaft ( The inner shaft 1011, which extends further than 101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clutch disk 2050,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nd the coupler 2110 to be coupled with the coupler 2110. Pin it together. In addition, one end of the inner shaft 1011 protruding beyond the coupler 2110 is pin-coupled with the through-hole of the brake shoe holder 3130 of the centrifugal brake 3000. At this time, the bear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hollow shaft 1010 and the case 5000, the inner shaft 1011 and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10, and the inner shaft 1011 and the coupler support plate 5240.

즉, 클러치 디스크(2050), 클러치(2040), 제1 마찰판(2080), 제1 마찰판 홀더(2060), 및 마찰판 지지대(2100)는 중공 축(1010)과 함께 회전 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2 마찰판(2090), 제2 마찰판 홀더(2070), 커플러(2110), 및 원심 브레이크(3000)는 내부 축(10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된다.That is, the clutch disk 2050, the clutch 2040,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nd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re mechanically coup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hollow shaft 1010.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the coupler 2110, and the centrifugal brake 3000 are mechanically coup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inner shaft 1011.

수동 레버부(4170)는 케이스(5000) 상부의 수동 레버부 관통공(5212)에 고정 결합되고, 푸쉬링 조절핀(5230)은 케이스(5000) 하부의 푸쉬링 조절핀 관통공(5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푸쉬링 부(4150)의 푸쉬링 지지핀(4160)은 푸쉬링 조절핀(5230)의 푸쉬링 지지핀 홈(5231)과 자유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수동 레버부(4170)의 입력 롤러(4178)는 푸쉬링(4151)의 제1 홈(4152)에 자유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푸쉬링 부(4150)의 2개의 출력 롤러(4162)는 클러치 디스크(2050)로부터 제1 마찰판 홀더(2060) 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2 홈(4153)에는 고무링이 구성되어 케이스(5000) 내측으로부터 푸쉬링(4151)을 지지한다. 이때, 푸쉬링 조절핀(5230)은 푸쉬링(4151)과 결합하는 푸쉬링 지지핀(4160)을 지지함과 동시에 푸쉬링(4151)의 정밀한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푸쉬링 지지핀 홈(5231)은 푸쉬링 조절핀(5230)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편향되어 위치하므로, 드라이버를 드라이버 홈(5232)에 삽입하여 푸쉬링 조절핀(5230)을 회전시키면, 푸쉬링 지지핀(4160)은 편심 회전 운동하고, 푸쉬링 지지핀(4160)과 일체로 결합된 푸쉬링(4151)은 제1 홈(4152)에 끼워진 입력 롤러(4178)를 지지축으로하여 전후로 각회전 이동한다. 푸쉬링(4151)의 바람직한 위치는 클러치 디스크(2050)와 접하는 2개의 푸쉬링 출력 롤러(4162)가 클러치 디스크(2050)의 스프링(2022) 장력에 반하여 클러치 디스크(2050)를 클러치(2040) 측으로 밀지 않는 정도의 위치이다. 한편, 케이스 커버(5220)는 케이스(50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케이스(5000) 내부를 봉한다. The manual lever part 4170 is fixedly coupled to the manual lever part through hole 5212 of the upper part of the case 5000, and the push ring adjusting pin 5230 is connected to the push ring adjusting pin through hole 5121 of the lower part of the case 5000. It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of the push ring portion 4150 is coupled to the push ring support pin groove 5231 of the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to allow free movement. The input roller 4178 of the manual lever portion 4170 is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4152 of the push ring 4151 so as to allow free movement, and the two output rollers 4422 of the push ring portion 4150 are clutched.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from the disk 2050, a rubber ring is formed in the second groove 4415 to support the push ring 4251 from the inside of the case 5000. At this time, the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supports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coupled with the push ring (4151)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adjust the precise position of the push ring (4151). Since the push ring support pin groove 5231 is biased from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the push ring support pin 5230 is rotated by inserting a driver into the driver groove 5252 to rotate the push ring adjustment pin 5230. The pin 4160 rotates in an eccentric manner, and the push ring 4141,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moves angularly back and forth using the input roller 4178 fitted in the first groove 4252 as the support shaft. do. Preferred position of the push ring 4151 is that two push ring output rollers 4162 in contact with the clutch disc 2050 move the clutch disc 2050 to the clutch 2040 side against the tension of the spring 2022 of the clutch disc 2050. It is position not to push. Meanwhile, the case cover 522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5000 to seal the inside of the case 5000.

작동 과정은 다음 네 가지로 구분된다. ①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 외부로부터 내부 축(1011)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②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 외부로부터 중공 축(1010)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③ 코일(2033)에 전압을 인가하여 내부 축(1011)의 자유 회전이 가능한 경우, 및 ④ 수동 조작부(4000)에 의하여 내부 축(1011)의 자유 회전이 가능한 경우이다.The oper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parts. ①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ner shaft 1011 from the outside of the hydrologic weight-lowering device for the winch, ②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hollow shaft 1010 from the outside of the hydrostatic weighting device for the winch, ③ In the coil 2033 This is the case where free rotation of the internal shaft 1011 is possible by applying a voltage, and (4) the free rotation of the internal shaft 1011 is possible by the manual operation unit 4000.

①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 외부로부터 내부 축(1011)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①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the winch through the inner shaft 1011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공 축(1010)은 웜 기어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중공 축(1010)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클러치(2040) 및 클러치(2040)와 고정 결합된 클러치 디스크(2050), 제1 마찰판 홀더(2060), 제1 마찰판(2080), 및 마찰판 지지대(2100)도 회전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때, 제1 마찰판(2080)과 제2 마찰판(2090)은 서로 상호 회전하지 못하도록 압착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클러치 디스크(2050)가 클러치 디스크(2050)에 삽입되는 스프링(2022)에 의하여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 쪽으로 장력을 받고,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2050)의 스프링 돌출부(2052)가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 마찰판(2080)과 제2 마찰판(2090)이 압착되어, 상호간의 마찰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외부로부터 내부 축(1011)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은 내부 축(1011)과 고정 결합 되는 커플러(2110), 커플러(2110)와 고정 결합되는 제2 마찰판 홀더(2070), 제2 마찰판 홀더(207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2 마찰판(2090) 및 제2 마찰판(2090)과 압착 고정되는 제1 마찰판(2080)의 순으로 차례대로 전달되는데 제1 마찰판(2080)이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이므로 내부 축(1011)도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hollow shaft 1010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by a worm gear, and the clutch 2040 mechanically coupled to the hollow shaft 1010 and the clutch disk 2050 fixedly coupled to the clutch 2040.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and the friction plate support 2100 are also in a non-rotable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and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are fix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rotate with each other, which is the first and second by the spring 2022, the clutch disk 2050 is inserted into the clutch disk 2050. Tension is applied toward the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so that the spring protrusions 2052 of the clutch disc 2050 apply pressure to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This is because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is compressed to increase the mutual frictional forc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shaft 1011 is coupler 2110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haft 1011, a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2110, and a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And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mechanically coupled to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that are press-fixed and fixed, in order.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The shaft 1011 also does not rotate and is fixed.

②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 외부로부터 중공 축(1010)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②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hollow shaft 1010 from the outside of the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the winch

외부로부터 중공 축(1010)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은 클러치(2040), 클러치 디스크(2050), 제1 마찰판 홀더(2060), 및 제1 마찰판(2080)으로 전달되고, 제1 마찰판(2080)과 압착 고정되어 있는 제2 마찰판(2090), 제2 마찰판 홀더(2070), 및 커플러(2110)로 전달되어 내부 축을 회전시킨다.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ollow shaft 1010 is transmitted to the clutch 2040, the clutch disk 2050,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and the first friction plate 2080.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70, and the coupler 2110, which are pressed and fixed, to rotate the inner shaft.

③ 코일(2033)에 전압을 인가하여 내부 축(1011)의 자유 회전이 가능한 경우③ When free rotation of the internal shaft 1011 is possible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coil 2033.

코일(2033)에 전압을 인가하면 클러치(2040)는 자성을 띄게 되고, 클러치 디스크(2050)는 자기력에 의하여 클러치(2040)에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2050)로부터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고, 압착 고정되어 있던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은 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마찰판(209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축(1011)은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내부 축(1011)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내부 축(1011)은 자유롭게 회전하는데, 일정 회전 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에는 내부 축(1011)과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심 브레이크(3000)의 브레이크 슈(3140)가 브레이크 슈 관통공(314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슈(3140)의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슈(3140)의 라이너(3142)가 케이스(5000) 내부면과 압착되고, 라이너(3142)와 케이스(5000) 내부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내부 축(1011)의 회전 속도가 너무 빨라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클러치(2040) 외주연의 곡선판(2041) 측과 클러치(2040) 내주연의 곡선판(2042) 측은 4개의 자성 차단 관통공(2044)의 면적만큼 분리되어 있으므로, 코일(2033)의 자기장에 의해 클러치(2040) 내주연의 곡선판(2042)이 띄게 되는 자성은 클러치(2040) 외주연의 곡선판(2041) 측으로 일부만 전달된다. 따라서, 자기력의 손실을 최대한 막을 수 있고, 클러치(2040) 내주연의 곡선판(2042) 측에서 더욱 강한 힘으로 클러치 디스크(2050)를 당길 수 있다. 이때, 제1 마찰판 홀더(2060), 클러치 디스크 이동핀(2021), 및 클러치 고정 나사(2023)는 자성을 띄지 않는 STS304 또는 STS316의 재질로 구성되어 자기력의 손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비자성이고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는 금속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coil 2033, the clutch 2040 becomes magnetic and the clutch disk 20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utch 2040 by magnetic force. As a resul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is released from the clutch disk 2050, and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that are pressed and fixed are freely rotated. do. Therefore, the inner shaft 1011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is in a state capable of free rotation. At this time,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shaft 1011 from the outside, the inner shaft 1011 rotates freely. When rotating above a certain rotational speed, the inner shaft 1011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haft 1011 to rotate together. The brake shoe 3140 rotates outwardly about the brake shoe through hole 3141. As the brake shoe 3140 rotates, the liner 3142 of the brake shoe 314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000, and the inner shaft 1011 is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liner 314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000. )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is not too fast. Since the curved plate 2041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lutch 2040 and the curved plate 2042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clutch 2040 are separated by the area of the four magnetic blocking through-holes 2044,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2033 As a result, the magnetism of the curved plate 2042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lutch 2040 is transferred to the curved plate 2041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utch 2040. Therefore, the loss of the magnetic force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clutch disc 2050 can be pulled with a stronger force on the curved plate 2042 sid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clutch 2040. In this case,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60, the clutch disk moving pin 2021, and the clutch fixing screw 2023 are made of a material of STS304 or STS316 which is not magnetic,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oss of magnetic force. And any metal having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can be used.

④ 수동 조작부(4000)에 의하여 내부 축(1011)의 자유 회전이 가능한 경우④ When free rotation of the inner shaft 1011 is possible by the manual operation unit 4000

수동 레버부(4170)의 입력부(4180)는 하우징(4190)의 푸쉬 버튼 관통공(4192)에 일부 삽입되는 푸쉬 로드(4173)에 의하여 하우징(4190)과 서로 회전 불가능하므로, 푸쉬 버튼(4174)을 눌러서 푸쉬 로드(4173)를 푸쉬 버튼 관통공(4192)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수동 레버(4201)를 돌린다. 수동 레버(4201)가 회전함에 따라 수동 레버(4201)와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4200)가 회전하고, 하우징 커버(4200)와 고정 결합되는 입력부(4180)도 함께 회전한다. 입력부(4180)의 하부에 구성된 입력 롤러(4178)는 입력부(4180)의 회전 축에 편향되어 위치하므로 푸쉬링(4151)의 제1 홈(4152)을 따라 이동하면서 푸쉬링(4151)을 클러치 디스크(205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푸쉬링(4151)은 푸쉬링 지지핀(4160)에 의해 지지되므로 푸쉬링(4151)은 푸쉬링 지지핀(4160)을 축으로 하여 각 회전한다. 푸쉬링(4151)이 각 회전함에 따라 푸쉬링(4151)에 구성되는 2개의 출력 롤러(4162) 는 클러치 디스크(2050)에 압력을 가하고, 클러치 디스크(2050)는 코일(2033)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러치(2040)에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2050)로부터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고, 압착되어 있던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은 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마찰판(209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축(1011)은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하여 내부 축(1011)이 일정 회전 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에는 내부 축(1011)과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심 브레이크(3000)에 의해 내부 축(1011)의 회전 속도가 너무 빨라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입력부(4180)는 스토퍼(4171)와 스토퍼 홈(4183)에 의하여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입력부(4180)에 무리한 회전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Since the input portion 4180 of the manual lever portion 4170 is not rotatable with the housing 4190 by a push rod 4417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of the housing 4190, the push button 4174 Press to release the push rod 4417 from the push button through hole 4192 and then turn the manual lever 4201. As the manual lever 4201 rotates, the housing cover 4200 fixedly coupled to the manual lever 4201 rotates, and the input unit 4180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4200 also rotates. Since the input roller 4178 formed below the input portion 4180 is positioned to be defl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input portion 4180, the clutch ring moves the push ring 4415 along the first groove 4252 of the push ring 4171. Move in the (2050)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push ring 4141 is supported by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the push ring 4251 rotates about the push ring support pin 4160 as the axis. As each of the push rings 4151 rotates, the two output rollers 4222 configured on the push rings 4141 apply pressure to the clutch disc 2050, and the clutch disc 2050 applies a voltage to the coil 2033. As in this case, the clutch 20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utch 2040. As a resul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is released from the clutch disk 2050, and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that are pressed are freely rotated with each other. . Therefore, the inner shaft 1011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riction plate 2090 is in a state capable of free rotation. In addition, when the inner shaft 1011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or more by a rotation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ner shaft 1011 is fixed by the centrifugal brake 3000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haft 1011 and rotates together. Is controlled so as not to be too fast. In addition, the input unit 4180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topper 4141 and the stopper groove 4183,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 of the input unit 418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1 및 제2 마찰판(2080, 2090)의 개수와 클러치 디스크(2050)에 구성되는 스프링(2022)의 개수는 사용자의 요구 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와 수문 강하 조작 버튼이 구성되는 원격 제어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수문 강하 조작 버튼의 조작을 통해 코일(2033)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 클러치(2000)를 조작함으로써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에 접근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수문을 자동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폭우, 낙뢰, 하천 범람 시에 감전이나 홍수로 인한 인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현장 접근이 필요없 으므로 매우 안전하고 침수 피해를 신속히 막을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수문을 하강 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 기능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와 수문 하강 조작 버튼을 포함하고 코일(203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원격 제어부는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number of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2080 and 2090 and the number of springs 2022 configured in the clutch disk 2050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quired performance of the user. Subject to chang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stall a remote control that is configured with a battery and the hydrologic lowering operation button. By applying power to the coil 2033 through manipulation of the water drop operation button, the hydro clutch can be automatically lowered from a distance without accessing the hydrologic weight dropping device for the winch.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on-site access, which can cause electric shock or flood-induced human life in case of heavy rain, lightning and river overflow, so it is very safe and can prevent flooding damage quickly, and it can lower the flood gate even in case of power failure. The coping function is very good. On the other hand, a remote control including a battery and a hydrologic lowering operation button and capable of applying power to the coil 2033 will be omitted since it is only a well-known conventional techniqu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ydrolog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전자 클러치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the front, and a part of the back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코일이 구성된 코일 홀더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back side of a coil holder configured with a coil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클러치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the front, and a part of the back of the clutch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클러치 디스크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the front side, and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clutch disk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1 마찰판 홀더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first friction plate holder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2 마찰판 홀더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part of a front side and a part of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1 마찰판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a first friction plate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제2 마찰판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a second friction plate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마찰판 지지대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nd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iction plate support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커플러의 단면,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11 is a cross-sectional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coupler of a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원심 브레이크의 구성도,12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ifugal brake of a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브레이크 슈 홀더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1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brake shoe holder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브레이크 슈의 정면, 및 단면, 그리고 링 스프링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14 is a front view and a cross section of a brake shoe of a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ront view of a ring spring;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푸쉬링 부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Figure 1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and side of the push ring portion of the hydrostatic weight drop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푸쉬링 지지핀, 출력 롤러, 및 출력 롤러 핀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Figure 16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push ring support pin, the output roller, and the output roller pin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수동 레버부의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bottom of the manual lever portion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입력부의 정면, 측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18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and bottom of the input unit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하우징의 정면, 및 평면을 나타낸 도면,19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housing of a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하우징 커버와 수동 레버의 정면, 및 하우징 커버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20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housing cover and the manual lever, 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cover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케이스의 정면, 단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2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the cross-section, and the back of the case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케이스 커버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front view of a case cover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푸쉬링 조절핀의 평면,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 및Figure 23 is a view showing the plane, front, and bottom of the push ring control pin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의 커플러 지지판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2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nd a part of the back of the coupler support plate of the hydrostatic weight lowering device for a wi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0: 입출력 축1000: input and output shaft

2000: 전자 클러치2000: electronic clutch

2030: 코일 홀더 2040: 클러치 2030: coil holder 2040: clutch

2050: 클러치 디스크 2060: 제1 마찰판 홀더2050: clutch disc 2060: first friction plate holder

2070: 제2 마찰판 홀더 2080: 제1 마찰판 2070: second friction plate holder 2080: first friction plate

2090: 제2 마찰판 2100: 마찰판 지지대2090: second friction plate 2100: friction plate support

2110: 커플러 2110: coupler

3000: 원심 브레이크 3000: centrifugal brake

3130: 브레이크 슈 홀더 3140: 브레이크 슈3130: brake shoe holder 3140: brake shoe

4000: 수동 조작부 4000: manual control panel

4150: 푸쉬링 부 4170: 수동 레버부4150: push ring part 4170: manual lever part

4180: 입력부 4190: 하우징4180 input unit 4190 housing

4200: 하우징 커버 4200: housing cover

5000: 케이스 5230: 푸쉬링 조절핀 5000: Case 5230: Push ring adjustment pin

Claims (8)

전동부에 의한 전동력 또는 수동부에 의한 수동력으로 수문을 조작하는 권양기에 있어서,In the hoisting machine which operates a water gate by the electric force by a transmission part or a manual force by a manual part, 상기 전동력으로 상기 수문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전동력이 전달되는 제1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마찰판과, 상기 수동부와 연결되는 제2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마찰판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축이 상기 수동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축이 고정되고,When operating the hydrogate with the electric force, at least one second friction plat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to which the electric force is transmitted, and at least one first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to be connected to the passive part. The friction plate is fixed by mutual frictional force, and the second axis is fixed by the passive part, thereby fixing the first axis, 상기 수동력으로 상기 수문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수동력이 전달되는 상기 제2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 마찰판과, 상기 전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 마찰판이 상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축을 회전시키는 것When operating the floodgate with the manual force, the first friction plat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through which the manual force is transmitted, and th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The second friction plate being fixed by mutual frictional forces to rotate the first axis 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Hydrologic weighting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마찰판과 상기 제2 마찰판은 상기 상호 마찰력에 의한 고정으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And the first friction plate and the second friction plate are manually or automatically released from the fixing by the mutual frictional for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축이 자유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원심 브레이크가 상기 제1 축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And a centrifugal brak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to control the speed of the first shaft when the first shaft is free to rotate. 하나 이상의 제1 마찰판;At least one first friction plate;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마찰판 측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한 클러치 디스크;A clutch disk that is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at least one first friction plate side;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마찰판과 마주하여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마찰판;At least one second friction plate positioned opposite the at least one first friction plate; 상기 제1 마찰판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전동력이 전달되는 제2 축; 및A second shaft which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riction plate to transmit electric force; And 상기 제2 마찰판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수동력이 전달되는 제1 축A first shaft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riction plate to transmit a manual force 을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을 압착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에 의한 압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And said clutch disk presses said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by an elastic member, and said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are fixedly coupled by pressing by said clutch disk.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클러치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마찰판과 마주하여 위치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A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by an applied power source, which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friction plate with the clutch disk interposed therebetween. 을 더 포함하고,More, 상기 클러치 디스크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are separated by the clutch disk being moved by the magnetic for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동력을 젼달하기 위한 수동 레버부; 및A manual lever unit for transmitting power; And 상기 수동 레버부와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는 푸쉬링 부A push ring part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manual lever part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lutch disc;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수동 레버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푸쉬링 부가 상기 클러치 디스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friction plates are separated by the push ring portion moving the clutch disk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manual lev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축과 기계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Centrifugal brak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xis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axis 를 더 포함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The hydrologic descending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용전원의 정전시 원격지에서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원격 제어부Remote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il from a remote locatio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including a battery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문 강하 장치.The hydrologic descending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KR1020080108275A 2008-11-03 2008-11-03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KR101064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275A KR101064629B1 (en) 2008-11-03 2008-11-03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275A KR101064629B1 (en) 2008-11-03 2008-11-03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03A true KR20100049203A (en) 2010-05-12
KR101064629B1 KR101064629B1 (en) 2011-09-15

Family

ID=4227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275A KR101064629B1 (en) 2008-11-03 2008-11-03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143B1 (en) * 2020-12-18 2021-07-22 윤연홍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258A (en) 1976-09-09 1978-03-30 Kito Corp Motor-driven and manual chain block
KR200212556Y1 (en) 2000-08-31 2001-02-15 신현준 Brake system for the floodgate shutters
KR100570669B1 (en) * 2004-09-02 2006-04-17 오성산업 (주) Hoist with electric clutch for electric and manual changeover
KR100647425B1 (en) * 2004-12-09 2006-11-23 김상국 Emergency Descendable Act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143B1 (en) * 2020-12-18 2021-07-22 윤연홍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629B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300B1 (en) Centrifugal brake for winch
KR102020925B1 (en) Floodgate winch with manual descent control
KR101064629B1 (en) Floodgate dead load descent apparatus for winch
KR100939790B1 (en) Winch with centrifugal brake for floodgate
KR101257758B1 (en) Drum type automatic winch
KR100904484B1 (en) Device for prevention overload of winch for floodgate
KR100924451B1 (en) Pin rack type automatic winch
KR100570669B1 (en) Hoist with electric clutch for electric and manual changeover
KR101112036B1 (en) Floodgate open/close input apparatus for winch
KR100823211B1 (en) Floodgate winch
KR101179213B1 (en) Water door of roll lift equipment
CN211948288U (en) Over-and-under type water sluicegate for hydraulic engineering
KR20170035205A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f Gate
KR100570703B1 (en) Safety device to prevent overload of hoist
KR102028695B1 (en) Floodgate switchgear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overload
KR200445977Y1 (en) Clutch of floodgate winch
KR102325195B1 (en) Emergency shut-off type floodgate winch including instant-type overload detec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KR101674430B1 (en) Retarder brake apparatus and floodgate winch including the same
KR100647425B1 (en) Emergency Descendable Actuator
KR101429103B1 (en) Two-way brake device for floodgate winch
CN111827214A (en) Normally-open overflow drainage gate structure
KR102326219B1 (en) Self-weight descent type emergency shutoff floodgate winch
KR200370091Y1 (en) Winch with electronic clutch for changing by electromotive and hand-operrated
KR200313349Y1 (en) A brake of floodgate winch
CN210710481U (en) Special hoist engine of building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