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531A -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구조 - Google Patents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531A
KR20100048531A KR1020080107736A KR20080107736A KR20100048531A KR 20100048531 A KR20100048531 A KR 20100048531A KR 1020080107736 A KR1020080107736 A KR 1020080107736A KR 20080107736 A KR20080107736 A KR 20080107736A KR 20100048531 A KR20100048531 A KR 20100048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opener
opening
support ring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709B1 (ko
Inventor
서승현
Original Assignee
서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현 filed Critical 서승현
Priority to KR102008010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7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식 개봉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캔뚜껑을 변형시켜 음용방식을 다양화, 편리화 시킨 것으로, 특히 스트로우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캔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쉽게 캔을 개봉할 수 있는 소위 스테이 온 탭(STAY ON TAB)을 가진 이지 오픈 캔(EASY OPEN CAN)이라 불리는 원터치식 캔개봉 수단을 가지는 캔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리벳에 의해 캔의 상판에 결합된 캔 따개를 상부로 들어 올려 분할선에 의해 상기 상판과 구획된 개봉부를 밀어 이 개봉부가 절취부를 따라 상판과 분할되어 개봉되도록 함으로써 캔 내부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통상의 캔뚜껑 구조에다 스트로우용 개봉구를 따로 만들고, 캔 따개의 형태를 개조하여 스트로우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로써 활용하여 스트로우 사용상의 편리성 및 안정성 을 증대시킨 것이다.
캔따개, 스트로우

Description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구조 {can structure adaptable for use with straws}
본 발명은 원터치식 개봉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캔 뚜껑을 변형시켜 음용방식을 다양화, 편리화 시킨 것으로, 특히 스트로우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캔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steel)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캔은 몸체 부분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캔 뚜껑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캔 뚜껑은 캔 따개와, 캔 따개에 의해 절취 개방되는 부분이 형성되는 상판, 및 캔 따개를 상판에 고정시켜 주는 리벳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캔은 내포되는 내용물을 이용하고자 할 때 캔 따개의 손잡이 부분을 상부로 들어올려 상판에 구획된 개방 부분을 압박하여 개방 부분이 절취선을 따라 상판에서 절취되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캔에 있어서, 캔 뚜껑 및 상기 캔 뚜껑에 구비되는 캔 따개와 상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첨부한 도면1은 종래의 캔과 캔 뚜껑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캔 뚜껑(100)은 캔 따개(102), 상판(104) 및 리벳(10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캔 따개(102)는 손잡이부(112)와, 리벳고정부(114)와, 누름부(116) 및 공간부(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04)는 개방부(130), 절취부(132) 및 도시되지 않았으나 잔여연결부, 리벳구멍 및 포밍(Forming)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벳고정부(114)는 공간부(118)의 내측에 형성되며, 리벳(106)에 의해 캔 따개(102)가 상판(104)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116)는 캔 따개(102)의 손잡이부(112)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104)에 형성되는 개방부(130)를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8)는 리벳(106) 둘레에 일정 두께의 구멍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112)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아당길 경우 손잡이부(112)가 캔 상면 방향에 대해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하며, 상기 손잡이부(112)를 잡아당겼을때 리벳(106)을 중심으로 누름부(116)가 탄력적으로 휘어져 개방부(130)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개방부(130)는 절취선 (132)을 따라서 캔따개(102)에 의해 절취되어 개방되는 부분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캔은 내용물의 이용을 위해 손잡이부(112)를 상기 리벳(106)을 중심으로 상부로 들어올리면 누름부(116)가 개방부(130)를 압박하게 되며, 그로인해 절취선(132)상의 특정지점을 시발점으로 해서 절취 개시되어 상기 개방부(130)는 하향 절곡되어 개방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캔뚜껑구조는 스트로우의 사용은 용이하지 않다.
개방부(130)(또는 음용구)의 폭이 스트로우의 폭보다 넓으므로, 캔을 일정 각도이상 들어 입으로 마시기에는 편리하나 스트로우를 이용할 경우에는 음용구에 스트로우가 고정되지 않고 스트로우가 비교적 넓은 음용구 범위내에서 여러각도로 이동하는, 불안정하고 불편한 사용상황이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스트로우를 지지할(고정할) 장치가 없기 때문에 캔음료에 스트로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스트로우를 안정감 있게 장치시킬 수 없다.
또한, 음용구에 스트로우를 투입할 경우 음용구가 넓어 스트로우가 측면으로 기울어지므로 무게중심이 맞지 않는데다, 실수로 스트로우를 건드릴 경우 음용 개방구를 통해 다량의 내용물을 엎지를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캔음료는 스트로우 이용에 있어서, 기존의 스트로우용 용기(스트로우가 동봉된 스트로우 투입구가 있는 음료용기)의 장점인, 용기를 쓰러뜨려 내용물을 쏟을 위험이 적은 '안정성'이 부족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 캔의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로우를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와 스트로우 투입 및 사용이 용이한 개봉구를 만들어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뚜껑 구조를 제공하 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의 달성과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판에 리벳으로 결합된 캔따개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에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음용개방부를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캔에 있어서, 상기 캔따개에 대해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캔따개와 연결되는 스트로우지지링을 포함하는 캔이 제공된다.
상기 스트로우지지링은 상기 캔따개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에는 스트로우용개방부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판에 리벳으로 결합된 캔따개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에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음용개방부를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캔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스트로우용개방부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캔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주된 효과로는, 상기한 캔 뚜껑 구성에 의하여 스트로우 이용시 안정감을 확보, 캔음료의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데에 있다.
이를 만족시키는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스트로우 이용의 안정성
스트로우지지대와 스트로우용 개방구에 스트로우를 장치, 고정시키고 유동시 내용물을 쏟을 위험감소시킨다
-지지대 : 캔따개와 캔따개에 구비된 스트로우지지링이, 투입된 스트로우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고 스트로우와 개봉구와의 일정한 각도를 유지시켜주며, 스트로우가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실시예에 대한 도면 6을 참고)
- 좁은 스트로우용 개봉구: 기존의 음용 개봉구보다 좁은 스트로우용 개봉구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로우용 개봉구의 개봉후, 용기가 넘어졌을 때 쏟아지는 내용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4의 음용 개봉구와 스트로우용 개봉구의 크기 참고)
2.캔 개봉의 편리성
또한 본 발명의 캔 구조에 의하면, 음용 개봉구와 스트로우용 개봉구를 하나의 원터치식 오픈 캔따개 수단으로 쉽게 개봉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3.음용 법 선택의 다양성
음용 개봉구와 스트로우용 개봉구가 분리되어 있어 스트로우 이용법과 일반 캔음료 음용법 중 선택하여 기호에 맞는 음용법을 선택할 수 있다.
4.경제성
통상의 캔 재질, 추가부착물 등 큰 비용없이 캔뚜껑의 구조만을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5.환경 보호효과
상기 발명한 캔의 전 부분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스트로우 사용을 위한 용기의 뚜껑이나 그 용기 자체는 재활용되지 않는 재질이 많기 때문에, 캔의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하게 되면 대체효과로써 환경보호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6. 캔 음료시장의 확장; 나아가, 음료 시장에 있어서, 스트로우의 사용 영역이 캔용기의 범위까지 확대되어 음용법의 다양성이 증대됨으로 인해 캔의 활용영역이 넓어지고 캔음료 시장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캔(200)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상판(204)에 캔 따개(202)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상판(204)에 형성되어지는 절취선(232a, 232b)을 나타내기 위해 캔 따개(202)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스트로우지지링(220)의 형태 구성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을 살펴보면, 크게 캔따개(202), 상판(204) 및 리벳(20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캔 따개(202)는 손잡이부(212)와, 리벳고정부(214)와, 누름부(216)와, 공간부a(218a) 및 스트로우지지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04)은 음용 개방부(230a),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 절취선(232a, 232b) 및 참조번호를 들지 않은 잔여연결부, 리벳구멍 및 포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는 상판(204)에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캔따개(202)에 대해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캔따개 (202)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캔따개(202)에 대해 소정의 고정된 기울기를 가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제작 시에는 캔따개(202)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었다가 사용 시 외력에 의해 캔따개(202)에 대해 접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는 후자의 경우를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캔따개(202)와 일체로 제작된다. 또한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캔따개(202)의 손잡이부(212)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212)에는 공간부b(218b) 및 스트로우투입용 공간부(218c)의 형성이 수반된다.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외력에 의해 캔따개(202)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스트로우지지링(220)과 캔따개(202)의 연결부에는 지지링 접기선(221)이 구비된다. 지지링 접기선(221)은 이를 따라 홈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타 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선을 의미한다. 지지링 접기선(221)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스트로우지지링(220)과 캔따개(202)의 연결부를 타 부위보다 얇거나 가늘게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트로우지지링(220)이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캔따개(202)에 대해 쉽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스트로우지지링(220)을 캔따개(202)에 대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 접어올린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스트로우지지링(220)을 캔따개(202)에 대해 접음으로써,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캔따개(202)에 대해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실질적인 기능이 스트로우의 이동 범위를 제한 하는 데 있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링의 형상을 갖더라도 그 개방된 부분이 스트로우가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크기에 불과한 것을 포함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달리, 스트로우지지링(220)은 캔따개(202)와 일체로 제작하지 않을 수도 있고, 캔따개(202)의 손잡이부(21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캔 따개(202)는 스트로우지지링(220)을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캔따개(102)보다 그 길이와 말단부의 너비가 다소 증대된 형태를 지닐 수 있다.(도면 1과 도면 2의 비교)
리벳고정부(214)는 공간부(218)의 내측에 형성되며, 리벳(206)에 의해 캔 따개(202)가 상판(204)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누름부(216)는 캔 따개(202)의 손잡이부(212)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판(204)에 형성되는 개방부(230)를 압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폭이 좁은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 캔의 누름부(116)에 비하여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도면 1과 도면 2의 비교)
상판(204)에는 리벳(206)의 주위에 캔따개받침용돌출부(208)가 형성될 수 있다. 캔따개받침용돌출부(208)는 캔따개(202)와 상판(204)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캔따개(202)의 회전 이동 및 개봉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첨부한 도 4를 참고하여 보면, 리벳(206)을 중심으로 캔따개(202)의 360도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음용, 스트로우용 양측 개방부(230a, 230b)에 캔따개(202)의 누름부(216)의 접근이 용이하며 양 개방부(230a, 230b)에 대한 선택 개봉이 가능하 다.
이와 같은 캔따개(202)의 회전 및 개봉의 용이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204) 상의 캔따개받침용돌출부(208)가 보조해준다.
첨부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이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캔따개(202)의 손잡이부(212)를 상기 리벳(206)을 중심으로 화살표①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동시에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가 화살표①의 방향으로 개봉되고, 도면과 같이 캔따개(202)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스트로우지지링(220)을 화살표②의 방향으로 90도 가량 잡아당겨 상하로 통하는 스트로우 투입공간을 확보하여, 스트로우를 스트로우 투입공간부(218c)를 통해 화살표③의 방향을 따라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 안으로 장치한다.
스트로우의 크기에 따라 스트로우 지지링(220)을 접는 각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로우를 캔따개(202)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200)에 스트로우를 장치한 실시 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스트로우는 위쪽으로는 스트로우지지링(220), 아래쪽으로는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의 양 지점에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캔따개(202)의 한쪽 면에 기댈 수 있게 되므로, 캔(200)에 장치된 상태의 안정성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캔따개(202)에 구비된 스트로우지지링(220)의 또 다른 형태의 예시로써, 상술한 예시와는 대향하는 쪽으로 접히는 스트로우지지링(22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캔따개(202)에 대해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캔따개(202)와 연결되는 스트로우지지링(220)은 포함하되,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스트로우지지링(220) 및 음용 개방부(230a)를 통해 캔(200)에 삽입된 스트로우는 스트로우지지링(220) 및 음용 개방부(230a) 양쪽에서 이동 범위가 제한되므로, 종래에 비해 상당한 정도로 높은(스트로우지지링(220) 및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보다는 낮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캔의 상판(204)에는 음용개방부(230a)보다 작은 크기의 스트로우용개방부(230b)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나, 스트로우지지링(220)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스트로우용개방부(230b)를 통해 캔(200)에 삽입된 스트로우는 음용개방부(230a)보다 작은 크기의 스트로우용개방부(230b)에 의해 이동 범위가 제한되므로, 종래에 비해 상당한 정도로 높은(스트로우지지링(220) 및 스트로우용 개방부(230b)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보다는 낮은) 안정성과, 기존의 스트로우용 용기(스트로우가 동봉된 스트로우 투입구가 있는 음료용기)의 장점인 용기를 쓰러뜨려 내용물을 쏟을 위험이 적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과 캔 따개의 구조는 종래의 캔의 취약점이었던 스트로우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캔음료 음용법의 다양성이 증대되며 캔의 활용영역을 넓힐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 뚜껑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상판(204)에 캔 따개(202)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상판(204)에 형성되어지는 절취선(232a, 232b)을 나타내기 위해 캔 따개(202)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A) 및 스트로우지지링(220)의 형태 구성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따개의 회전이동 및 선택개봉에 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에 구비된 스트로우용 장치의 이용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200)에 스트로우를 장치한 실시 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캔(200)의 캔따개(202)에 구비된 스트로우지지링(220)의 또 다른 형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캔 / 202: 캔 따개 / 204: 상판 / 206: 리벳 / 208:캔 따개 받침용돌출부 / 212: 손잡이부 / 214: 리벳고정부 / 216: 누름부 / 218a, 218b: 공간부a,b / 218c: 스트로우 투입 공간부 / 220: 스트로우지지링 / 221: 지지링 접기선 / 230a: 음용 개방부 / 230b: 스트로우용 개방부 / 232a,b: 개방부의 절취선

Claims (4)

  1. 상판에 리벳으로 결합된 캔따개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에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음용개방부를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캔에 있어서,
    상기 캔따개에 대해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캔따개와 연결되는 스트로우지지링을 포함하는 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지지링은 상기 캔따개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스트로우용개방부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캔.
  4. 상판에 리벳으로 결합된 캔따개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에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음용개방부를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캔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스트로우용개방부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캔.
KR1020080107736A 2008-10-31 2008-10-31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KR10103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736A KR101036709B1 (ko) 2008-10-31 2008-10-31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736A KR101036709B1 (ko) 2008-10-31 2008-10-31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531A true KR20100048531A (ko) 2010-05-11
KR101036709B1 KR101036709B1 (ko) 2011-05-24

Family

ID=4227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736A KR101036709B1 (ko) 2008-10-31 2008-10-31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292B1 (ko) * 2015-10-14 2016-07-08 고한덕 음료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630U (ko) * 1990-02-19 1991-11-08
US5285919A (en) * 1992-12-30 1994-02-15 Donald Recchia Beverage container with air access for direct drinking
KR19990083816A (ko) * 1999-08-09 1999-12-06 이향제 캔의 스트로 개봉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292B1 (ko) * 2015-10-14 2016-07-08 고한덕 음료캔
WO2017065425A1 (ko) * 2015-10-14 2017-04-20 고한덕 음료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709B1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8950C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RU2378173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RU2638502C1 (ru) Вентилируемая ё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 ее открывания
NO20032115L (no) Blander for drikkevarer
US20140237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KR101036709B1 (ko)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US7086556B1 (en) Two-piece juice box holder
JP5534429B2 (ja) 蓋付きカップ容器
US20210300618A1 (en) A container with an improved closure arrangement restricting spillage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0789491B1 (ko) 음료용기 개방구조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US2110697A (en) Serving device for cans
US20150183547A1 (en) Shotgun accessible beer can
KR102238587B1 (ko) 절첩식 다용도 홀더
KR200386475Y1 (ko) 돌려 따는 캔뚜껑
KR200341592Y1 (ko)
KR200289208Y1 (ko) 문고리형 따개를 가진 캔뚜껑
KR200408947Y1 (ko) 음료수 보관용 캔
KR20050074704A (ko) 이지 오픈 캔용 오프너
KR200315085Y1 (ko)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KR20220125730A (ko) 식음료 용기의 탭
KR20040067108A (ko)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