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108A -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108A
KR20040067108A KR1020030004086A KR20030004086A KR20040067108A KR 20040067108 A KR20040067108 A KR 20040067108A KR 1020030004086 A KR1020030004086 A KR 1020030004086A KR 20030004086 A KR20030004086 A KR 20030004086A KR 20040067108 A KR20040067108 A KR 2004006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everage
cover
drink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영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오인영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영, 김성수 filed Critical 오인영
Priority to KR102003000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108A/ko
Publication of KR2004006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구의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음료가 담겨지는 원통형 모양의 음료용 컵 몸체(202), 상기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 둘레에 덮여져 체결되는 덮개(220) 및 상기 덮개(220)에 덮여지는 뚜껑(204)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220)는 상기 음료가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이 잘려져 있고, 상기 덮개(2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10) 및 덮개 상부면(222)에 대해 상향으로 꺾여져 있는 레버(Lever)(208)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7)의 일측은 덮개 둘레부(224)에 연결되며, 다른 측은 상기 덮개(220)의 잘려진 끝단면(223)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204)은 상기 걸림턱(210)에 끼워지는 상기 음료의 배출구인 음용구(236) 및 상기 레버(208)에 끼워지는 레버 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208)가 꺾여지면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한 음료용 컵은 음료가 누출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음료의 맛, 향기, 온도 등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A Drinking Glass Capable of Opening and Shutting}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가 가능하되 음료용 컵에 담긴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용구가 형성된 뚜껑과 음료용 컵 몸체의 상단부 원형 둘레부에 부착되고 음용구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가 결합되어 음용자의 입술의 미는 힘에 의해 음용구와 걸림턱의 체결이 풀려 음료의 음용이 가능하게 되는 음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컵은 자동 판매기나 음료 매장에서 판매되는 과일 쥬스,콜라,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담기 위한 일회용 종이컵을 말한다. 이러한 음료용 컵은 대부분 일회용이라는 특성 때문에 자원 낭비,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사용의 편리함, 사용자의 요구 등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사람들은 답답한 실내에서 커피, 차, 탄산음료 등을 마시기보다는 실외로 나가 길을 걸으면서 마시거나 음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차량의 운전 중에도 음용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투고(To Go) 문화는 새로운 음료 문화로서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음료용 컵은 뚜껑이 없는 관계로 내용물의 맛, 향기, 온도, 신선도를 유지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음용 시에도 음료가 얼굴에 묻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안정된 자세에서 음료용 컵에 담긴 음료를 음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음용자의 사소한 부주의에 의해 담겨져 있는 음료를 쏟거나 흘리는 등의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더군다나 음료용 컵에 담긴 음료가 예컨대, 뜨거운 커피, 차 등인 경우 쏟거나 흘리게 되면 음용자나 주위 사람들에게 화상을 입힐 수도 있어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또한, 음용자가 차량 운전 중인 경우에는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음료를 흘리게 되면 예기치 않은 교통 사고와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푹 패인 도로, 과속 방지턱, 비포장 도로 등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상하로 흔들리는 정도가 심해 음용자의 주의력과 관계없이 음료가 예기치 않게 유출될 수 있어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렇게 뚜껑이 없는 음료용 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뚜껑이 있는 음료용 컵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뚜껑이 있는 음료용 컵의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면 두 종류의 음료용 컵이 예시되고 있는데, 두 종류 모두 음료용 컵 몸체(미도시)의 상단에 덮혀져 음료용 컵에 담겨지는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뚜껑이 음료용 컵에 결합된 상태, 즉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뚜껑 상단면의 가장자리의 일측에 소정의 음용구(110, 1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음용구를 통해 흘러나오는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을 갖는 음료용 컵은 컵이 쓰러졌을 경우 뚜껑이 없는 음료용 컵에 비해 유출되는 음료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유출 속도를 줄일 수 있어 음료를 보관하는 데 있어 보다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뚜껑의 구조는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도 음용구(110, 120)의 상하가 항상 뚫려져 있으므로 음료용 컵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경우에 담겨져 있는 음료의 유출을 완전하게 막을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용구(110, 120)의 상하가 항상 뚫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음료의 향, 맛, 온도 등의 보존 성능이 뛰어나지 못하고, 대기 중의 이물질이 음용구(110, 120)를 통해 음료용 컵 안으로 침투되어 음료와 섞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용자가 심한 갈증이나 더위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내용물을 순간적으로 다량을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작은 음용구(110, 120)를 통한 음용 방법은 적절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닫혀져 있는 뚜껑을 개봉해야 하는데, 뚜껑 개봉시 음용자가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여 한손으로는 음료용 컵 몸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뚜껑을 잡아서 개봉을 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하되 음료용 컵에 담긴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용구가 형성된 뚜껑과 음료용 컵 몸체의 상단부 원형 둘레부부에 부착되고 음용구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가 결합되어 음용자의 입술의 미는 힘에 의해 음용구와 걸림턱의 체결이 풀려 음료의 음용이 가능하게 되는 음료용 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뚜껑이 있는 음료용 컵의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의 뚜껑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의 음용구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에 뚜껑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의 이중 누출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의 뚜껑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의 음용구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600 : 음료용 컵 202, 602 : 음료용 컵 몸체
204, 604 : 뚜껑 206, 606 : 상부면
207 : 지지부재 208 : 레버
210, 608 : 걸림턱 212, 610 : 누출 방지 홈
220, 620 : 덮개 222 : 덮개 상부면
223 : 끝단면 224, 621 : 덮개 둘레부
234 : 레버 홀 236, 710 : 음용구
310 : 꺽임부 510, 605 : 뚜껑 둘레부
607 : 손잡이부 612 : 뚜껑 돌출부
622 : 제 1 지지부재 624 : 제 2 지지부재
626 : 덮개 돌출부 720 : 뚜껑 경사부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음료가 담겨지는 음료용 컵(200)에 있어서, 음료가 담겨지는 원통형 모양의 음료용 컵 몸체(202), 상기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 둘레에 덮여져 체결되는 덮개(220) 및 상기 덮개(220)에 덮여지는 뚜껑(204)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220)는 상기 음료가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이 잘려져 있고, 상기 덮개(2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10) 및 덮개 상부면(222)에 대해 상향으로 꺾여져 있는 레버(Lever)(208)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7)의 일측은 덮개 둘레부(224)에 연결되며, 다른 측은 상기 덮개(220)의 잘려진 끝단면(223)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204)은 상기 걸림턱(210)에 끼워지는 상기 음료의 배출구인 음용구(236) 및 상기 레버(208)에 끼워지는 레버 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208)가 꺾여지면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각종 음료가 담겨지는 음료용 컵(600)에 있어서, 음료가 담겨지는 원통형 모양의 음료용 컵 몸체(602), 상기 음료용 컵 몸체(602)의 상단부 둘레에 덮여져 체결되는 덮개(620) 및 상기 덮개(620)에 덮여지는 뚜껑(604)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620)는 덮개 둘레부(621)에 양측 끝단이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제 1 지지부재(622) 및 제 2 지지부재(624)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지지부재(622)의 일측은 일정 높이를 갖는 상향 굴곡 구조이되, 걸림턱(608)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덮개 둘레부(621) 방향으로 덮개 돌출부(626)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604)에는 상기 걸림턱(608)에 끼워지는 상기 음료의 배출구인 음용구(7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608)과 상기 음용구(710)의 체결을 푸는 데 사용되는 뚜껑 돌출부(612)가 뚜껑 둘레부(605)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돌출부(612)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턱(608)과 상기 음용구(71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의 뚜껑(204)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뚜껑(204)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은 커피, 차, 콜라, 쥬스 등과 같은 음료가 담겨지는 음료용 컵 몸체(202)와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의 원형 둘레부에 덮혀지는 뚜껑(204)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뚜껑(204)의 상부면(206)에는 음용자의 입술로 뚜껑(204)을 열기 위한 레버(Lever)(208), 레버(208)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걸림턱(210) 및 음용 중 누출된 음료가 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고이게 하기 위해 움푹 패인 누출 방지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는 뚜껑(204)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로서, 음료의 과다 누출과 음료의 보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 둘레부에 결합되고 뚜껑(204)과 밀착되는 원형의 덮개(220)가 추가되어 있다. 덮개(220)는 음용자가 음료를 음용시 음료가 흘러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덮개 상부면(222)이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 부분이 잘려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덮개 둘레부(224)는 음료용 컵 몸체(202)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굴곡진 형태로 제작되어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 둘레를 감싸고 있다. 이렇게 덮개 둘레부(224)가 굴곡진 형태로 된 덮개(220)가 음료용 컵 몸체(202)에 덮혀지면 음료용 컵(200)에 담긴 음료가 누출될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덮개(220)의 잘려진 측의 끝단면(223)은 레버(208)와 걸림턱(210)이 형성되고, 덮개 둘레부(224)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207)와 밀착된다. 따라서, 지지부재(207)는 덮개(220)의 끝단면(223)과의 강한 밀착으로 인해 레버(208)가 음용구(210) 쪽으로 당겨질 때, 끝단면(223)에 의해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뚜껑(204)의 하부면(230)에는 도 2a에서 설명한 레버(208)가 끼워지는 레버 홀(234) 및 음료용 컵(200)에 담긴 음료가 배출되는 음용구(236)가 누출 방지 홈(212)에 형성되어 있다. 레버 홀(234) 및 음용구(236)는 레버(208)와 걸림턱(2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고, 레버(208)와 걸림턱(210)이 꽉 끼여서 음료가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용구(236)의 직경은 음료용 컵(200)에 담겨지는 음료의 종류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고, 형태 역시 원형 모양이 아닌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레버 홈(234)은 음용자가 입을 벌려 윗입술로 레버(208)를 당기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음용구(236)와 일직선상에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된 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의 음용구(236)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a는 음용구(236)가 닫혀져 음료용 컵(200)에 담긴 음료의 음용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걸림턱(210)과 음용구(236)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다. 음용구(236)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레버(208)가 뚜껑(204)의 상부면(206)과 직각 상태를이룬다. 또한, 지지부재(207)는 덮개(220)의 둘레부(224)로부터 걸림턱(210)에 이르기 전 임의의 지점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꺽여질 수 있는 꺽임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207)는 레버(208)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꺾일 수 있도록 레버(208)에 연결된 부분보다 꺽임부(310)의 위치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음용구(236)가 열리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음용자 등이 윗입술로 레버(208)에 걸림턱(210) 방향(①)으로 힘을 가하면 레버(208)는 걸림턱(210) 방향(①)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때, 지지부재(207)의 일측은 끝단면(22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지지부재(207)는 하향 방향(②)으로 힘을 받기 시작한다. 따라서, 레버(208)에 가해지는 힘이 꺽임부(310)를 하향으로 꺾을 수 있을 정도가 되면 꺽임부(310)가 순간적으로 꺾이면서 걸림턱(210)과 음용구(236)의 체결이 풀려 이격된다.
도 3b는 음용구(236)가 열려져 음료용 컵(200)에 담긴 음료의 음용이 가능한 상태로서, 닫힌 상태에서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던 걸림턱(210)과 음용구(236)가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b를 보면, 닫힌 상태의 도 3a에서 지지부재(207)의 양측이 꺽임부(310)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에서 꺽임부(310)가 꺾임에 따라 상향 경사진 상태로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음용구(236)가 다시 닫히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음용자가 윗입술로 레버(208)에 걸림턱(210) 반대 방향(③)으로 힘을 가하면 레버(208)는 걸림턱 반대 방향(③)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 3a에서 설명한 원리와 마찬가지로,레버(208)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 정도를 초과하면 꺽임부(310)가 상향으로 순간적으로 꺾이면서 걸림턱(210)이 음용구(236)에 체결되고, 레버(208)는 덮개의 상부면(222)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207)는 외부로부터 일정한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탄력적으로 꺾일 수 있는 재질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에 뚜껑(204)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보면, 레버(208)가 끼워지는 레버 홈(234)의 네 면이 모두 잘려져 있는 상태가 아니라 한 면이 잘려져 있지 않아 잘려진 부분(410)이 덮개의 상부면(222)에 붙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레버 홈(234)이 'ㄷ'자 모양을 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덮개의 세 면만 잘라내는 형태로 레버 홈(234)을 제작하면, 잘려진 부분(410)이 레버(208)가 레버 홈(234)과 체결시 생기는 공극을 막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만일의 경우에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의 이중 누출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은 도 2에서 설명하였듯이, 덮개(220)와 뚜껑(204)에 의해 이중으로 덮여진다. 음료용 컵(200)의 상단부에 일차적으로 덮여지는 덮개(220)는 덮개 둘레부(224)가 음료용 컵(200)의 상단부 둘레부를 밀착하여 감싸기 위한 굴곡진 구조로 되어 있어 음료가 음료용 컵 몸체(202)의 내부를 따라 누출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덮개(220)에 밀착하여 덮여지는 뚜껑(204) 역시 덮개 둘레부(224)를 밀착하여 감싸기 위해 뚜껑 둘레부(510)가 덮개 둘레부(224)와 동일하게 굴곡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둘레부(224)에 의해 방지되지 못하고 누출된 음료는 덮개 둘레부(224)를 감싸면서 덮고 있는 뚜껑 둘레부(510)에 의해 누출이 이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600)의 뚜껑(604)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뚜껑(604)이 닫힌 상태의 음료용 컵(600)의 사시도로서,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음료가 담겨지는 음료용 컵 몸체(602)와 음료용 컵 몸체(602)의 상단부의 둘레부에 덮혀지는 뚜껑(604)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604)의 상부면(606)의 일측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손잡이부(607)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607)에는 음용 중 누출된 음료가 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고이게 하기 위해 움푹 패인 누출 방지 홈(6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출 방지 홈(610)의 중심 부근에는 음용구(미도시)에 끼워지는 걸림턱(608)이 돌출되어 있고, 뚜껑(604) 외주면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뚜껑 돌출부(6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의 걸림턱(608)은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하였듯이 음용구(미도시)와 꽉 끼인 상태로 체결된다.
음용자가 음료용 컵(600)에 담긴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뚜껑(604)에 입을 갖다 대고 아랫입술로 뚜껑 돌출부(612)에 힘을 가해 안쪽으로 약간 눌러주면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600)에서 음용구가 열리는 원리는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b는 뚜껑(604)이 열린 상태의 음료용 컵(600)의 사시도로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덮개(620)가 음료용 컵 몸체(602)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600)의 덮개 둘레부(621)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덮개(220)와 마찬가지로 음료용 컵 몸체(602)의 상단 둘레부를 감싸는 굴곡 구조로 되어 있지만, 덮개(620)의 모양이 중심부가 서로 부착되어 있는 제 1 지지부재(622) 및 제 2 지지부재(624)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십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제 1 지지부재(622) 및 제 2 지지부재(624)의 양 끝단은 각각 덮개 둘레부(621)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지지부재(622)의 일측은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구부러진 제 1 지지부재(622)의 상면을 따라 걸림턱(608)과 덮개 돌출부(626)가 각각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620)가 덮여 있는 음료용 컵(600)에 뚜껑(604)이 닫혀지면 걸림턱(608)은 음용구에 끼워져 체결되고, 덮개 돌출부(626)는 뚜껑 돌출부(612)와 밀착된다.
뚜껑(604)이 닫혀져 있는 음료용 컵(600)에 담겨 있는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음료용 컵(200)과 마찬가지로 걸림턱(608)과 음용구의 체결을 풀어야 한다. 걸림턱(608)과 음용구의 체결을 풀기 위해서 음용자는 자신의 아랫입술로 뚜껑 돌출부(612)에 소정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600)이 걸림턱(608)과 음용구의 체결 및 체결을 푸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600)은 도 5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200)처럼 뚜껑 둘레부(605) 및 덮개 둘레부(621)에 의해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600)의 음용구(710)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7a는 음용구(710)가 닫혀져 음료용 컵(600)에 담긴 음료의 음용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걸림턱(608)과 음용구(236)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있다. 또한, 걸림턱(608)은 뚜껑(604) 안쪽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음용구(710)와의 체결 및 체결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음료용 컵(600)에 담긴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음용자 등은 아랫입술을 뚜껑 둘레부(612)에 대고 음료용 컵(600)의 안쪽 방향으로 힘을 주기 시작한다. 음용자 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뚜껑 둘레부(612)에 밀착되어 있는 덮개 둘레부(626)로 전달되고, 덮개 둘레부(626)는 음료용 컵(600)의 안쪽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음용구(710)에 체결되어 있는 걸림턱(608)은 음료용 컵(600)의 밑받침(미도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체결이 풀리게 된다. 여기서, 제 1 지지부재(622)는 뚜껑(604)의 뚜껑 경사부(720)에 의해 꺾이는 부분이 고정되므로 힘을 받는 방향대로 이동되지 않고 휘어지면서 이동되는 것이다. 즉, 뚜껑(604)의 뚜껑 경사부(720)는 일종의 고정 지지대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도 7b는 음용구(710)가 개방되어 음료용 컵(600)에 담긴 음료의 음용이 가능한 상태로서, 도 7a에서 설명한 과정에 의해 걸림턱(608)과 음용구(710)의 체결이 풀려져 이격된 상태이다. 음용자가 걸림턱(608)과 음용구(710)를 다시 체결하기 위해서는 손이나 윗입술 등으로 뚜껑 경사부(720)를 음료용 컵(600)의 바깥 방향으로 눌러 주면 도 7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제 1 지지부재(622)가 상향으로 휘어지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제 1 지지부재(622)에 형성된 걸림턱(608)도 상향으로 이동되다가 일정 높이에 다다르면 음용구(710)에 끼워져 결합된다. 물론, 이 때는 제 1 지지부재(622)의 양측 끝단이 덮개 둘레부(621)에 연결되어 있어 고정되므로 힘을 받는 방향대로 이동되지 않고 휘어지면서 이동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음료용 컵은 음용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 음료가 누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컵은 음용구가 항상 닫혀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음용자가 음료를 마시는 동안만 간단하게 음용구를 개방할 수 있어 음료가 누출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한, 음용구를 개방할 경우에도 음용자가 양손을 모두 사용할 필요없이 한손으로만 음료용 컵을 쥐고 윗입술이나 아랫입술 사용하여 약간의 힘을 가하면 음용구가 개방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음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은 덮개와 뚜껑이라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담겨지는 음료의 향, 맛, 온도 등을 탁월하게 보존할 수 있고, 덮개와 뚜껑이 이중으로 음료용 컵의 상단부 둘레부를 감싸듯이 굴곡져 덮혀지므로 음료가 누출될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된다.

Claims (16)

  1. 각종 음료가 담겨지는 음료용 컵(200)에 있어서,
    음료가 담겨지는 원통형 모양의 음료용 컵 몸체(202), 상기 음료용 컵 몸체(202)의 상단부 둘레에 덮여져 체결되는 덮개(220) 및 상기 덮개(220)에 덮여지는 뚜껑(204)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220)는 상기 음료가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 면적이 잘려져 있고, 상기 덮개(2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10) 및 덮개 상부면(222)에 대해 상향으로 꺾여져 있는 레버(Lever)(208)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7)의 일측은 덮개 둘레부(224)에 연결되며, 다른 측은 상기 덮개(220)의 잘려진 끝단면(223)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204)은 상기 걸림턱(210)에 끼워지는 상기 음료의 배출구인 음용구(236) 및 상기 레버(208)에 끼워지는 레버 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208)가 꺾여지면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236)와 상기 레버 홀(234)은 일직선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4)의 상부면(206)에는 상기 음용구(236)를 통해 흘러 나온 상기 음료가 고일 수 있도록 움푹 패인 형태의 누출 방지 홈(212)이 상기 음용구(236)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7)는 상기 덮개 둘레부(224)에 연결된 면과 상기 걸림턱(210)이 형성된 지점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207)가 상하로 꺽일 수 있는 꺽임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7)는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가 끼워진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꺽임부(310)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의 체결이 풀린 상태에서는 상기 꺽임부(310)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7)의 재질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홀(234)은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변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의 체결이 풀린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뚜껑(204)의 안쪽 방향으로 상기 레버(208)에 힘을 가하면 상기 지지부재(207)가 상향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걸림턱(210)과 상기 음용구(23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9. 각종 음료가 담겨지는 음료용 컵(600)에 있어서,
    음료가 담겨지는 원통형 모양의 음료용 컵 몸체(602), 상기 음료용 컵 몸체(602)의 상단부 둘레에 덮여져 체결되는 덮개(620) 및 상기 덮개(620)에 덮여지는 뚜껑(604)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620)는 덮개 둘레부(621)에 양측 끝단이 연결되어 서로 교차되는 제 1 지지부재(622) 및 제 2 지지부재(624)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지지부재(622)의 일측은 일정 높이를 갖는 상향 굴곡 구조이되, 걸림턱(608)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덮개 둘레부(621) 방향으로 덮개 돌출부(626)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604)에는 상기 걸림턱(608)에 끼워지는 상기 음료의 배출구인 음용구(7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608)과 상기 음용구(710)의 체결을 푸는 데 사용되는 뚜껑 돌출부(612)가 뚜껑 둘레부(605)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돌출부(612)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턱(608)과 상기 음용구(71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20)에는 상기 음용구(710)를 통해 흘러 나온 상기 음료가 고일 수 있도록 움푹 패인 형태의 누출 방지 홈(610)이 상기 음용구(710)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 홈(610)은 뚜껑 상부면(606)에 대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608)은 상기 음용구(7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604)이 상기 덮개(620)에 덮여진 상태에는 상기 뚜껑 돌출부(612)와 상기 덮개 돌출부(626)는 서로 밀착되어 포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622) 및/또는 상기 제 2 지지부재(624)의 재질은 폴리스티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5.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둘레부(224, 621)는 상기 음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음료용 컵 몸체(202, 602)의 상단부 둘레에 밀착하여 감싸면서 덮여질 수 있는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16. 제 1 항 도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둘레부(510, 605)는 상기 덮개 둘레부(224, 621)에 밀착하여 감싸면서 덮여질 수 있는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KR1020030004086A 2003-01-21 2003-01-21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KR20040067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86A KR20040067108A (ko) 2003-01-21 2003-01-21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86A KR20040067108A (ko) 2003-01-21 2003-01-21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98U Division KR200315085Y1 (ko) 2003-01-21 2003-01-21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08A true KR20040067108A (ko) 2004-07-30

Family

ID=3735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086A KR20040067108A (ko) 2003-01-21 2003-01-21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587A1 (en) * 2007-07-12 2009-01-15 Guem Duck Park A cup lid
CN109502166A (zh) * 2018-11-30 2019-03-22 格来纳塑料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带气饮料的防漏杯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587A1 (en) * 2007-07-12 2009-01-15 Guem Duck Park A cup lid
CN109502166A (zh) * 2018-11-30 2019-03-22 格来纳塑料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带气饮料的防漏杯盖
CN109502166B (zh) * 2018-11-30 2023-12-29 格来纳塑料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带气饮料的防漏杯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8033420B2 (en) Anti-splash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US5894952A (en) Spill-resistant cup lid with condiment funnel and stirring rod
EP2432349B1 (en) Dispensing cap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US6164485A (en) Container lid
US20150041480A1 (en) Handle
US20090283535A1 (en) Sipper lid with straw capability
US5732851A (en) Detachable beverage can attachment
US20050230404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7828170B2 (en) Rim-mounted drinking aid for liquid containers
US20190276199A1 (en) Lid for a container
US20060249521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11111059B2 (en) Drink-through reclosable spill resistant beverage cup lid with vent structure
US20040089629A1 (en) Anti-spill drinking apparatus
KR200315085Y1 (ko)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KR20040067108A (ko)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US8708187B2 (en) Container with an annular ridge locking feature
US20140305953A1 (en) Cup Lid Apparatus
JP2004244051A (ja) 使いすて蓋
CA2916496A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92184B1 (ko)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