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375A -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375A
KR20100048375A KR1020080107496A KR20080107496A KR20100048375A KR 20100048375 A KR20100048375 A KR 20100048375A KR 1020080107496 A KR1020080107496 A KR 1020080107496A KR 20080107496 A KR20080107496 A KR 20080107496A KR 20100048375 A KR20100048375 A KR 2010004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es
function
touch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627B1 (ko
Inventor
박종화
강영희
홍상혁
정승기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6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그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하여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하나의 터치 입력에 의한 동작만이 인식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능할 수 있던 것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용이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스크린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METHOD OF OPERATING FUNCTIONS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이 포함된 기종이 계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구비되어 기존의 키패드에 의한 입력방식과는 다른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본 발명도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상에 기능이나 키패드 등이 표시되어, 표시된 기능 또는 키패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원하는 기능이나 키패드의 문자 또는 숫자가 위치한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동작 또는 문자나 숫자를 화면 상에 입력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방식에 의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터치 앤드 플리킹(touch & flicking)을 이용한 입력 방식 이 등장하게 되었다. 터치 앤드 플리킹 방식은 손가락 등을 터치스크린에 터치하고 터치한 손가락 등을 일정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방식을 말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6874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등에서 개시하고 있다.(선행기술에서는 '터치 앤드 드래그'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비롯하여 이와 같은 기존의 터치방식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동일 시점에 한 개의 터치만이 유효하게 인식될 수 있었으므로, 둘 이상의 터치가 동시에 인식되는 경우에는 둘 이상의 터치 중 하나의 터치만이 유효하게 입력되거나 모두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한 개의 터치만 유효한 입력으로 인식되어 동작되는 기존의 터치방식에 의해서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으며, 키패드에 의한 입력방식에서 진일보한 터치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만의 더 편리한 입력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추가적 기능의 구현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개의 터치입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터치동작감지단계; 상기 터치동작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하는 터치동작판단단계; 및 상기 터치동작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두 개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화면이 확대되는 화면확대기능으로,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줄어들면 화면이 축소되는 화면축소기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욱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화면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화면모드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모드전환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크기보다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통신 단말 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에서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두 개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제어부는 화면이 확대되는 화면확대기능으로,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줄어들면 제어부는 화면이 축소되는 화면축소기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화면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화면모드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모드전환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크기보다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둘 이상의 터치가 유효하게 입력될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터치에 의해 기존의 방식에서는 구현될 수 없는 추가적인 다양한 기능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둘 이상의 터치에 의해 기존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익숙한 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학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대한 기능구현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10) 및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부(110)를 통해서 입력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10)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터치하면,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해당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대한 기능구현장치에서의 터치스크린부(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 및 이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둘 이상의 터치 앤드 플리킹(touch & flicking)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터치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두 개의 터치를 가정하면, 두 개의 터치가 이루어진 후 두 개의 터치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특정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터치를 고정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터치를 플리킹하여 특정한 기능이나 어떤 편집 등에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셋 이상의 터치에 의할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터치스크린부(110)에서 감지된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20)에 전달이 된다.
제어부(120)는 둘 이상의 터치의 일정한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들을 기억하고 있으며, 터치스크린부(110)에서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되는 기능을 판단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120)는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하여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이 될 것이며, 화면전환기능이나 모드전환기능 등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부(110)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진동모드로의 전환 또는 후레쉬 점등 등의 기능일 경우는 각 기능을 수행하는 진동부, 후레쉬부 등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 입력에 대한 각각의 기능들이 구현된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터치동작감지단계<S201>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터치스크린은 둘 이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된 둘 이상의 터치입력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에 제공되게 된다.
둘 이상의 터치 입력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는 바, 생략하기로 한다.
2. 터치동작판단단계<S202>
제어부에서는 단계 S201에서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되는 기능이 어떤 기능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3. 제어신호출력단계<S203>
제어부는 단계 S202에서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한 후,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의 기능은 앞서 설명하였는 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터치 앤드 플리킹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여 하나의 터치에 의할 때보다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통한 기능수행이 가능해지고, 또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둘 이상의 터치 앤드 플리킹 방식에 의한 특정 기능들의 구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응용실시예1 - 화면전환방법>
도3에 도시된 예시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달력을 보여준다.
도3(a)는 2008년 9월의 달력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며, 16의 숫자 아래에 밑줄이 표시되어 금일이 16일임을 표시하고 있다.
도3(a)와 같은 9월의 달력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하나의 터치 앤드 플리킹에 의해서는 표시하는 달을 달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한 손가락에 의해 터치하여 좌측으로 플리킹하면 8월의 달력이 디스플레이되고 우측으로 플리킹하면 10월의 달력이 디스플레이되는 등으로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둘 이상의 터치 앤드 플리킹이 적용되면 월 단위 화면 변환 이상의 다양한 화면 변환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3(a)로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에 두 손가락을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을 좌측으로 플리킹하여 움직이면 도3(b)와 같이 현재일인 2008년 9월 16일이 속한 주간의 주간 표시 화면으로의 변환이 구현되는 것이 그것이다.
주간 표시 화면으로 변환된 도3(b)는 한 주간의 일정을 편집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현재일인 16일에는 밑줄표시로 오늘이 표시되고, 가로 방향으로는 일자가, 세로 방향으로는 00시부터 24시까지의 시간이 표시되어, 금주에 관한 일자 및 시간대별 스케쥴이 표시되어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3(b)에서 14일, 18일과 19일을 표시하는 숫자에 표시된 포스트-잇 유사한 모양의 표시는 해당일에 스케쥴이 있음을 표시하고, 해당일의 네모칸에 색칠로 표시된 것은 해당일의 해당 시간에 일정이 있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해당일이나 해당 네모칸에 터치를 하여 스케쥴의 확인 및 편집 등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도3(b)와 같은 주간 표시 모드의 화면에서는 하나의 터치 앤드 플리킹에 의해서 좌측으로 플리킹하는 경우에는 전 주에 관한 스케쥴이 표시되고, 우측으로 플리킹하는 경우에는 다음 주에 관한 스케쥴이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두 손가락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터치되고 좌측으로 플리킹됨에 의해서, 제어부에서는 이와 같은 터치의 움직임이 있을 때 이를 월간 표시 화면에서 주간 표시 화면으로의 화면전환기능임을 판단한 후, 화면전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터치스크린에 전환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물론 두 손가락을 이용하되, 좌측으로의 플리킹이 아닌 다른 움직임에 의해구현될 수도 있으나, 달에 대한 표시나 주에 대한 표시 또는 년에 대한 표시의 경우는 수평으로 나열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사용자의 감각에 익숙하기 때문에 터치 후 좌우로 플리킹하는 것이 사용자의 직관적 감각에 적합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개의 터치 앤드 플리킹에 의해서는 월간 표시 화면에서 월간 화면변환만 가능하던 것에서 두 개의 터치 앤드 플리킹을 활용하는 경우 주간 표시 화면으로 화면의 전환이 되는 것과 같이, 세 개의 터치 앤드 플리킹의 경우에는 년간 표시 화면으로 화면의 전환이 되는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개 또는 셋 이상의 터치 앤드 플리킹이 가능한 경우에는 플리킹의 방식도 한 개의 터치에 비해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하고 편리한 화면전환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응용실시예2 - 화면크기변환방법>
도4에 도시된 예시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진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디스플레이된 달력을 보여준다.
도4(a)와 같이 100% 크기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에 두 손가락을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플리킹하면, 도4(b)와 같이 200% 크기로 확대된 사진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며, 도4(b)의 상태에서 두 손가락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플리킹하면, 도4(c)와 같이 150% 크기로 다시 축소된 사진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두 손가락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터치되고 두 손가락이 멀어지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화면확대기능임을 판단한 후 화면확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터치스크린에 확대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고, 두 손가락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터치되고 두 손가락이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화면축소기능임을 판단한 후 화면축소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터치스크린에 축소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또한 두 손가락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화면이 회전하는 등의 응용도 가능하므로, 한 개의 터치에 의한 입력에 비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두 손가락을 가까이하면 화면이 확대되고, 두 손가락을 멀리하면 화면이 축소되도록 구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앞서의 응용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손가락을 가까이하면 축소되고, 멀리하면 확대되는 것이 보다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즉,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터치 앤드 플리킹에 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기능 명령어를 설정할 수 있어 어렵게 학습하지 않아도 쉽게 학습, 기억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응용실시예3 - 화면모드전환방법>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예시도는 화면모드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며, 도5는 평상시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태이며, 이를 '규격화면 모드'라 한다. 그리고, 도6 및 도7은 평상시에 비해 확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태이며, 이를 '가변화면 모드'라 한다.
가변화면의 크기는 규격화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규격화면의 크기가 240X400 픽셀(Pixel)이라 한다면, 가변화면의 크기는 720X400 픽셀이 제공된다. 그러나, 가변화면 모드라 하더라도 실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한계로 인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5와 같이 규격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두 손가락을 터치한 후, 두 손가락을 좌측으로 플리킹하여 움직이면, 두 손가락에 의한 이 같은 움직임을 제어부에서는 규격화면모드에서 가변화면모드로의 모드전환기능임을 판단한 후,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터치스크린에는 모드가 전환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도5에서 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가변화면모드로 전환되어 디스플이된 화면이 도6 및 도7이다.
도6과 도7은 가변화면모드에서 실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주기 위한는 도면이다. 터치스크린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변화면모드에 의해 화면이 확장되었다 하더라도 실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은 제한적이게 된다. 즉, 도6(a) 및 도7(a)와 같이 가변화면모드로 변환되었어도 디스플레이 영역(D) 부분만이 실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실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각각 보여주는 것인 도6(b) 및 도7(b)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영역(D)은 부드럽게 슬라이딩(Sliding)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여 도6(a) 또는 도7(a)와 같이 이동이 가능하고 원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가변화면 모드에서는 규격화면에 비해 큰 화면을 활용하여 사진을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자주 사용하는 아이콘 등을 원하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배치, 디자인하여 자신만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꾸밀 수가 있다.
물론 두 손가락을 이용하되, 가로 방향으로 플리킹하면 가로로 확대된 가변화면이 제공되고 세로 방향으로 플리킹하면 세로로 확대된 가변화면이 제공되는 등 그 움직임의 방향 및 터치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은 화면전환기능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4는 화면 확대/축소기능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5 내지 도7은 화면모드전환기능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설명>
110 : 터치스크린 120 : 제어부

Claims (12)

  1.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터치동작감지단계;
    상기 터치동작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하는 터치동작판단단계; 및
    상기 터치동작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두 개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화면이 확대되는 화면확대기능으로,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줄어들면 화면이 축소되는 화면축소기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화면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화면모드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전환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크기보다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7.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에서 감지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의 움직임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두 개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제어부는 화면이 확대되는 화면확대기능으로, 상기 두 개의 터치 간의 거리가 줄어들면 제어부는 화면이 축소되는 화면축소기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화면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화면모드전환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전환기능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크기보다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입력에 의한 기능구현장치.
KR1020080107496A 2008-10-31 2008-10-31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KR10102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96A KR101029627B1 (ko) 2008-10-31 2008-10-31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96A KR101029627B1 (ko) 2008-10-31 2008-10-31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75A true KR20100048375A (ko) 2010-05-11
KR101029627B1 KR101029627B1 (ko) 2011-04-15

Family

ID=4227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496A KR101029627B1 (ko) 2008-10-31 2008-10-31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627B1 (ko)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260A1 (en) * 2011-09-09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emantic zoom gestures
CN103019567A (zh) * 2012-12-17 2013-04-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触屏移动终端及其快速启动照明的方法和装置
US8548431B2 (en) 2009-03-30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US8560959B2 (en) 2010-12-23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87023B2 (en) 2011-08-02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Cross-slide gesture to select and rearrange
US8830270B2 (en) 2011-09-10 2014-09-09 Microsoft Corporation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8935631B2 (en) 2011-09-01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WO2015008929A1 (ko) * 2013-07-16 2015-01-22 Jeong Seok Hwan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이동 및 전환 방법
US8970499B2 (en) 2008-10-23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990733B2 (en) 2010-12-20 2015-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9052820B2 (en) 2011-05-27 2015-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28605B2 (en)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9323424B2 (en) 2008-10-23 2016-04-26 Microsoft Corporation Column organization of content
US9329774B2 (en) 2011-05-27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US9450952B2 (en) 2013-05-2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US9451822B2 (en) 2014-04-10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665384B2 (en) 2005-08-30 2017-05-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ion of computing device settings
US9674335B2 (en) 2014-10-30 2017-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configuration input device
US9769293B2 (en) 2014-04-10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9841874B2 (en) 2014-04-04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US9977575B2 (en) 2009-03-30 2018-05-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romeless user interface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WO2006020305A2 (en) * 2004-07-30 2006-02-23 Apple Computer,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2008216991A (ja) 2008-01-29 2008-09-18 Fujitsu Ten Ltd 表示装置

Cited B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5384B2 (en) 2005-08-30 2017-05-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ion of computing device settings
US9606704B2 (en) 2008-10-23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223412B2 (en) 2008-10-23 2015-12-29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Location-based display characteristics in a user interface
US10133453B2 (en) 2008-10-23 2018-11-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323424B2 (en) 2008-10-23 2016-04-26 Microsoft Corporation Column organization of content
US8970499B2 (en) 2008-10-23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548431B2 (en) 2009-03-30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US9977575B2 (en) 2009-03-30 2018-05-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romeless user interface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9696888B2 (en) 2010-12-20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990733B2 (en) 2010-12-20 2015-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9870132B2 (en) 2010-12-23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0969944B2 (en) 2010-12-23 2021-04-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766790B2 (en) 2010-12-23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864494B2 (en) 2010-12-23 2018-0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015606B2 (en) 2010-12-23 2015-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1126333B2 (en) 2010-12-23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29918B2 (en) 2010-12-23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560959B2 (en) 2010-12-23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9213468B2 (en) 2010-12-23 2015-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9535597B2 (en) 2011-05-27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10303325B2 (en) 2011-05-27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329774B2 (en) 2011-05-27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052820B2 (en) 2011-05-27 2015-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11698721B2 (en) 2011-05-27 2023-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11272017B2 (en) 2011-05-27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notifications manifes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8687023B2 (en) 2011-08-02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Cross-slide gesture to select and rearrange
US8935631B2 (en) 2011-09-01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10579250B2 (en) 2011-09-01 2020-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ranging tiles
US10114865B2 (en) 2011-09-09 2018-10-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ile cache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WO2013036260A1 (en) * 2011-09-09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emantic zoom gestures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8830270B2 (en) 2011-09-10 2014-09-09 Microsoft Corporation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0254955B2 (en) 2011-09-10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10191633B2 (en) 2011-12-22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9128605B2 (en)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CN103019567A (zh) * 2012-12-17 2013-04-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触屏移动终端及其快速启动照明的方法和装置
US9450952B2 (en) 2013-05-2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US10110590B2 (en) 2013-05-29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US9807081B2 (en) 2013-05-29 2017-10-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WO2015008929A1 (ko) * 2013-07-16 2015-01-22 Jeong Seok Hwan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이동 및 전환 방법
US10459607B2 (en) 2014-04-04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US9841874B2 (en) 2014-04-04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US9451822B2 (en) 2014-04-10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9769293B2 (en) 2014-04-10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US9674335B2 (en) 2014-10-30 2017-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configuration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627B1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627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구현방법 및 장치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9582903B2 (en) Display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exter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13180454A1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WO2011024461A1 (ja) 入力装置
EP2455850B1 (en) Method for scrolling screen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JP5846129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061563A (ja) 電子機器
WO2014192060A1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その画面操作処理プログラム
CN102947780A (zh) 信息显示装置及屏幕按钮的移动操作方法
US20120120021A1 (en) Input control apparatus
CN108459790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CN108595076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JP2013047968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8595075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344088B1 (ko)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이동 및 전환 방법
JP20141158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と情報処理方法
JP2013114645A (ja) 小型情報機器
CN108563379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KR101678213B1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20320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08089A (ko)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전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