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033A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033A
KR20100047033A KR1020080106115A KR20080106115A KR20100047033A KR 20100047033 A KR20100047033 A KR 20100047033A KR 1020080106115 A KR1020080106115 A KR 1020080106115A KR 20080106115 A KR20080106115 A KR 20080106115A KR 20100047033 A KR20100047033 A KR 20100047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pace
outlet
inlet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193B1 (ko
Inventor
최승도
Original Assignee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초기 우수(雨水)에 혼합된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우수를 배출하여 오염물을 처리 후 다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우수 순환용 구멍들을 구비하는 우수관; 상기 구멍들에 연락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함과 아울러 내부는 다수개의 공간부로 구획 하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우수를 각 공간부를 경유하도록 순환시켜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맨홀형 구조물;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을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게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오염물 포집수단;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각 공간부를 경유하는 우수에 혼합된 침전성 오염물을 침전시켜 처리할 수 있게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오염물 침전수단; 및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유출구를 통해 다시 우수관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게 유동상스크린과 끈상스크린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끈상스크린에 부착된 오염물을 수위 상승에 의해 탈리할 수 있게 자동탈리시설이 설치된 정화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초기우수, 정화처리, 이물질, 오염물, 협잡물, 포집장치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은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는 초기 우수(雨水)에 혼합된 오염물(협잡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 우수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과 상업, 공업, 주택단지 및 도로면의 오물,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 흙, 모래 등을 포함한 상태로 우수관을 통해 호소(湖沼)나 하천 등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고,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 등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음이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초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여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장치들은 초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 처리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분리된 오염물이 축적되어 썩게 됨은 물론, 축적된 오염물에 의해 차후의 초기 우수는 그 처리 효과가 미비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초기 우수를 상기 우수관으로부터 배출하여 오염물을 처리 후 다시 유입시킬 수 있게 하여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공간부들을 형성하여 우수관의 일측으로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해 연락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각 공간부들을 경유되게 한 후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맨홀형 구조물;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유입구측 및 상기 공간부들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포집할 수 있게 하는 오염물 포집망과 상기 공간부들의 어느 하나의 바닥에 설치되어 오염물이 공간부 내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는 바닥부차단망으로 이루어진 오염물 포집수단;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공간부들과 연락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 포집수단을 통과하여 공간부를 경유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침전시킬 수 있게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오염물 침전수단; 및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을 통과하여 공간부로 순환하는 우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게 상기 공간부에는 유동상스크린과 끈상스크린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끈상스크린에 부착된 오염물을 수위 상승에 의해 탈리할 수 있게 자동탈리시설이 설치된 정화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들은 맨홀형 구조물의 내부에 연락공들이 형성된 구획벽을 설치 하여 상하부공간부로 구획하며, 상기 상부공간부에는 월류벽을 설치하여 유입공간부와 유출공간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유입공간부와 유출공간부의 일측벽으로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각각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공간부로 구획 분리하는 구획벽에는 청소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은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구조의 내부관체와 상기 내부관체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벽 상부에는 우수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공들이 형성된 외부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는 각각 차단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초기 우수를 상기 우수관으로부터 배출하여 오염물을 처리한 후 다시 우수관으로 유입되게 하여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우수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우수관(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우수관(110)은 상기 우수를 배출하여 오염물을 처리 후 다시 유입시킬 수 있게 상기 우수관(110)의 일측벽으로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112a,112b)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112a,112b)들의 사이에 배치되게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우수 유도벽(114)이 형성된다.
상기 우수 유도벽(114)은 우수관(110)을 통해 유동되는 초기 우수가 상기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112a,112b)들을 통해 우수관(110)으로부터 배출되어 다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강우 시에는 상기 우수가 월류되게 하는 기능도 갖는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상기 우수관(11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형 구조물(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맨홀형 구조물(120)는 내부공간을 상하부공간부(122,124)로 구획 분리할 수 있게 소정 간격을 두고 제1,제2연락공들이 형성되는 구획벽(121)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공간부(122)에는 월류벽(123)을 설치하여 상부공간부(122)를 유입공간부(122a)와 유출공간부(122b)로 구획 분리한다. 또한, 하부공간부(124)에는 통공을 갖도록 분리벽(128)을 설치함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맨홀형 구조물(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공간부(122))를 분리 구획하여 형성되는 유입공간부(122a)와 유출공간부(122b)의 일측벽으로는 상기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112a,112b)들과 연락되도록 유입구(126a)와 유출구(126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26a)를 통하여 우수관(110)으로부터 유입 되는 우수를 상기 제1,제2연락공들을 통하여 하부공간부(124)를 경유되게 한 후 상기 유출구(126b)로 배출하도록 순환되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상기 맨홀형 구조물(120)의 유입공간부(122a)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포집할 수 있게 하는 오염물 포집수단(130)이 구비하고 있다. 이 오염물 포집수단(130)은 상기 유입구(126a)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관(110)으로부터 유입공간부(122a)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포집할 수 있게 하는 오염물 포집망(132)이 설치되고, 또 상기 유입공간부(122a)의 바닥에 바닥부차단망(134)을 설치하여 오염물이 하부공간부(124)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오염물 침전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오염물 침전수단(140)은 상기 오염물 포집수단(130)의 오염물 포집망(132)과 바닥부차단망(134)을 통과하는 오염물을 침전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140)은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제2연락공들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오염물 침전수단(140)을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오염물 침전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140)은 제1,제2연락공들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구조의 내부관체(142a,142b)와 상기 내부관체(142a,142b)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벽 상부에는 우수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공(146a,146b)들이 형성된 외부관체(144a,144b)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공간부(124)를 경유하여 순한하는 우수가 상기 내부관체(142a,142b)와 외부관체(144a,144b)에 형성되는 유동공(146a,146b)들을 통과하면서 상기 외부관체(144a,144b)의 내부에 침전되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정화처리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정화처리수단(150)은 상기 하부공간부(124)를 경유하여 유출공간부(122b)로 순환하는 우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정화처리수단(150)을 도 6a ~ 도 6b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정화처리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유출공간부(122b)에는 유동상스크린(152)과 끈상스크린(154)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끈상스크린(154)에 부착된 오염물을 수위 상승에 의해 탈리할 수 있게 자동탈리시설(15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정화처리수단(150)은 상기 우수가 통과될 때에는 상기 자동탈리시설(156)이 부력에 의해 도 6b와 같이 상부로 위치되고, 우수가 모두 통과하여 우수가 없게 되면 자중에 의해 도 6a와 같이 하부로 위치되면서 상기 끈상스크린(154)에 부착되는 미생물 등의 오염물을 탈리시킨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상기 맨홀형 구조물(120)의 내부를 상하부공간부(122,124)로 구획 분리하는 구획벽(121)에 청소구(129)를 더 설치하여 상기 맨홀형 구조물(120)에 구비되는 하부공간부(124)의 내 부를 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청수구(129)를 통하여 호스(미도시)를 하부공간부(124)에 위치되게 하여 청소를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상기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들(112a,112b)에 각각 유입부차단망(116)과 유출부차단망(118)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112a,112b)들에 유입부차단망(116)과 유출부차단망(118)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우수 순환용 구멍(112a,112b)들을 통하여 맨홀형 구조물(120)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우수관(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우수가 우수관(110)으로 다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초기 우수 시에 상기 우수관(110)을 통해 유동하는 우수가 우수 순환용 제1구멍(112a)을 통해 우수관(11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맨홀형 구조물(120)에 구비되는 유입구(126a)을 통해 유입공간부(122a)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우수는 유입부차단망(116)에 의해 부피가 큰 오염물이 차단됨과 아울러 상기 오염물 포집수단(130)에 의해 오염물이 포집된다.
또한, 상기 오염물 포집수단(130)을 통과하는 우수는 상기 하부공간부(124)를 경유하여 상기 유출공간부(122b)로 순환되는데, 상기 하부공간부(124)를 경유하는 우수는 상기 오염물 포집수단(130)에 의해 포집되지 못한 오염물을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140)에 의해 침전시킨다. 즉, 상기 유출공간부(122a)로부터 하부공간부(124)로 순환되는 우수는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140)의 내부관체(142a)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외부관체(144a)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유동공(146a)들을 통하여 하부공간부(124)로 이동된다. 따라서, 우수에 섞여 있는 오염물 중 비 중이 큰 오염물이 상기 외부관체(144a)에 침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하부공간부(124)로부터 유출공간부(122b)로 이동하는 우수 역시 상기 외부관체(144b)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유도공(146b)을 통해 외부관체(146b)의 내부로 유입된 후 내부관체(142b)를 통해 유출공간부(122b)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유출공간부(122b)로 순환되어 이동된 우수는 정화처리수단(150)의 유동상스크린(152)과 끈상스크린(154)을 통과하면서 정화 처리되어 상기 우수 순환용 제2구멍(112b)을 통해 우수관(110)으로 다시 유입되는 우수는 정화 처리된 우수만이 다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정화처리수단(150)은 우수가 있고 없음에 따라 상기 자동탈리시설(156)이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끈상스크린(154)에 부착되는 미생물 등의 오염물을 자동 탈리시킨다.
이와 같은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초기 우수를 처리하는 본 발명은, 강우 시에는 상기 우수관(110)에 구비되는 우수 유도벽(114)을 월류하게 된다. 그러나, 강우 시에도 초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우수 순환용 제1,제2구멍(112a,112b)들을 통해 맨홀형 구조물(120)의 각 공간부를 경유하여 순환되면서 초기 우수를 정화 처리함으로써, 초기 우수 이후에 흐르는 우수가 상기 우수 유도벽(114)을 월류하여도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우수에는 오염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맨홀형 구조물(120)의 내부에 각 공간부를 경유하여 순환될 때, 즉 상기 유입공간부(122a)로부터 하부공간부(124)를 경유하여 유출공간부(122b)로 순환되는 우수 보다 많은 양의 우수가 상기 유입공간부(122a)로 유입되면, 상기 우 수유입부(122a)의 우수 일부가 월류벽(123)을 월류하여 유출공간부(122b)를 이동 후 유출구(126b)를 통해 우수관(11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우 시 많은 양의 우수가 흘러도 물의 배수를 원활히 함과 동시에 초기 우수는 확실하게 정화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오염물 침전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정화처리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우수관 120 - 맨홀형 구조물
130 - 오염물 포집수단 140 - 오염물 침전수단
150 - 정화처리수단

Claims (5)

  1.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공간부들을 형성하여 우수관의 일측으로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해 연락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각 공간부들을 경유되게 한 후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맨홀형 구조물;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유입구측 및 상기 공간부들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포집할 수 있게 하는 오염물 포집망과 상기 공간부들의 어느 하나의 바닥에 설치되어 오염물이 공간부 내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는 바닥부차단망으로 이루어진 오염물 포집수단;
    상기 맨홀형 구조물의 공간부들과 연락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 포집수단을 통과하여 공간부를 경유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침전시킬 수 있게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오염물 침전수단; 및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을 통과하여 공간부로 순환하는 우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게 상기 공간부에는 유동상스크린과 끈상스크린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끈상스크린에 부착된 오염물을 수위 상승에 의해 탈리할 수 있게 자동탈리시설이 설치된 정화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들은 맨홀형 구조물의 내부에 연락공들이 형성된 구획벽을 설치하여 상하부공간부로 구획하며, 상기 상부공간부에는 월류벽을 설치하여 유입공간부와 유출공간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유입공간부와 유출공간부 의 일측벽으로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각각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청소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 침전수단은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구조의 내부관체와 상기 내부관체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벽 상부에는 우수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공들이 형성된 외부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는 각각 차단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0080106115A 2008-10-28 2008-10-28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01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115A KR101011193B1 (ko) 2008-10-28 2008-10-28 초기 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115A KR101011193B1 (ko) 2008-10-28 2008-10-28 초기 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033A true KR20100047033A (ko) 2010-05-07
KR101011193B1 KR101011193B1 (ko) 2011-01-26

Family

ID=4227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115A KR101011193B1 (ko) 2008-10-28 2008-10-28 초기 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54B1 (ko) * 2011-03-17 2013-06-17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배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01B1 (ko) * 2012-09-27 2013-01-11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KR102072963B1 (ko) * 2019-10-21 2020-03-02 주식회사 지이테크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19B1 (ko) * 2006-03-10 2007-05-15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752787B1 (ko) * 2007-02-13 2007-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초기우수 처리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54B1 (ko) * 2011-03-17 2013-06-17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배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193B1 (ko)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011193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100726157B1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20070016638A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303849B1 (ko)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용 모듈 및 초기우수 유출수 처리장치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311903B1 (ko) 비점오염원 여과형 처리장치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286279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777586B1 (ko) 관체형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21786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