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583A -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583A
KR20100046583A KR1020080105483A KR20080105483A KR20100046583A KR 20100046583 A KR20100046583 A KR 20100046583A KR 1020080105483 A KR1020080105483 A KR 1020080105483A KR 20080105483 A KR20080105483 A KR 20080105483A KR 20100046583 A KR20100046583 A KR 2010004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l
group
command
objects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일
김정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583A/ko
Priority to US12/576,348 priority patent/US20100103452A1/en
Publication of KR2010004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8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printer language recognition, e.g. PDL, PCL, PD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프린터에서 병렬 프로세싱을 통해 신속하게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attribute)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은 해당 그룹의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섹션에 포함되도록 그룹 별로 PDL 섹션들을 생성한 후,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최종적인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ge description language data for parallel processing}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에서 처리하는 페이지 기술 언어(PDL, 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는 제조사 및 인쇄 형식에 따른 다양한 프린팅 데이터를 통해 호스트, 예를 들면 PC, 로부터 출력에 사용할 이미지를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프린팅 데이터는 PDL(Page Description Language)로 표현된다. PDL은 인쇄될 페이지의 이미지를 기술하는 언어로서, 사람이 직접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일러스트레이터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프린터에 맞도록 작성한다. 인쇄 작업의 특성 및 프린터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페이지 기술 언어(PDL)들이 존재하는데, 그 예를 들면, PCL5e, PCL XL, Postscript, PCL-GUI, PCLXL, HPGL, ESC/P2, ESC/PAGE, 및 ESC/PAGE-COLOR 등이 포함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쇄하고자 하는 페이지가 도 1a와 같은 경우, 종래의 PDL 데이터는 도 1b와 같이 표현된다. 도 1b에서, moveto, changeColor는 오브젝트의 속성(attribute)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drawStar, drawCircle, drawHexagon, drawTriangle, drawRectangle, drawEllipse는 오브젝트를 페이지에 그리기 위한 drawing 명령어이다. 여기서, 속성은 font, line width 등 오브젝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drawing 명령어가 수행될 때 참조된다.
도 1b의 PDL 데이터는 프린터에서 Raster Image Processing을 통해 비트맵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명령어 라인에 따라 시작점은 100, 50의 위치로 이동하고, 두번째 명령어 라인에 따라 노란색으로 컬러를 변경하며, 세번째 명령어 라인에 따라 크기가 100인 원이 그려진다. 같은 방식으로, 다음에는 110, 150의 위치에 붉은 색의 원이 그려진 후, 300, 250의 위치에 붉은 색의 6각형이 그려진다.
이와 같이, 기존의 PDL 데이터는 오브젝트들을 표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한 라인씩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생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PDL 데이터에 의하면 멀티 코어/멀티 프로세서를 갖추고 병렬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프린터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 기존의 PDL 데이터에 따르면, 병렬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프린터에서 동시에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오브젝트들도 순차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에서 병렬적으로 오브젝트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린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쇄할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attribute)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은 해당 그룹의 PDL 섹션에 포함되도록 그룹 별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섹션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상기 오브젝트들에 대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와의 의존 관계(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명령어 번호들을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PDL 데이터의 모든 명령어 라인들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프린터의 성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그룹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그룹들 간에 그리기 작업의 순서에 관한 의존 관계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을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프린팅 데이터 생성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에 있어서, 인쇄할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오브젝트분류부;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attribute)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은 해당 그룹의 PDL 섹션에 포함되도록 그룹 별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섹션들을 생성하는 PDL섹션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상기 오브젝트들에 대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PDL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PDL데이터생성부는,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와의 의존 관계(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DL데이터생성부는, 명령어 번호들을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PDL 데이터의 모든 명령어 라인들에 할당하는 번호할당부; 및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를 삽입하는 참조정보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브젝트분류부는, 프린터의 성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그룹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브젝트분류부는, 그룹들 간에 그리기 작업의 순서에 관한 의존 관계 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을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201에서는, 인쇄할 오브젝트들 간의 의존 관계(dependency)를 분석한다. 의존 관계란, 오브젝트들 간에 속성이나 drawing 작업 순서에 있어서의 관련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 별 오브젝트는 원 오브젝트보다 먼저 그려져야 하므로 두 오브젝트들 간에는 dependency가 존재한다. 또한, 원 오브젝트와 6각형 오브젝트는 모두 <RED> 속성을 지니므로 두 오브젝트들 간에는 dependency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는 dependecy를 분석하기 위해 그래프를 작성할 수 있으며, 도 1a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dependency 그래프의 실시예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a에서 원과 6각형, 두 개의 삼각형들은 서로 컬러 속성이 동일하므로 속성 dependency가 존재하며, 또한 각 오브젝트들의 drawing 작업의 순서에 따라 drawing 작업 dependency가 존재하므로, 도 1a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dependency 그래프는 도 3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단계 202에서는,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다.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은, 프린터에서 각 그룹들을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그룹별로 독립된 PDL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때 그룹들의 개수는 프린터의 성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그룹들 간에 그리기 작업의 순서에 관한 의존 관계가 최소화되도록 오브젝트들을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브젝트들을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들을 분류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03에서, 각 그룹별로 독립된 PDL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각 그룹에 대하여 생성된 독립된 PDL 데이터를 PDL 섹션이라 칭하기로 한다. PDL 섹션은 독립적으로, 즉 병렬적으로 처리될 수 있어야 하므로,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은 해당 그룹의 PDL 섹션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204에서,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PDL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PDL 데이터는 프린터에서 모든 오브젝트들을 인쇄할 때 사용되는 최종적인 PDL 데이터이다.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오브젝트들의 drawing 작업에 순서가 있는 경우, PDL 섹션들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면 작업 순서가 지켜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와의 의존 관계(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프린터가 제 1 명령어를 수행하기 전에 제 2 명령어의 수행이 완료되었는지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참조 정보로 사용할 새로운 명령어가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PDL 데이터의 모든 명령어 라인들에 중복되지 않도록 명령어 번호를 할당하고, 제 1 명령어 라인에 제 2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를 삽입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도 4a에는 도 1a의 오브젝트들을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며, 도 4b에는 이러한 경우의 PDL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4b를 도 1b와 비교하면, 우선 모든 명령어 라인에 명령어 번호가 할당되었으며, 그룹 1에 대한 PDL 섹션의 명령어 라인들에는 grp_1, 그룹 2에 대한 PDL 섹션의 명령어 라인들에는 grp_2, 그룹 3에 대한 PDL 섹션의 명령어 라인들에는 grp_3라는 그룹 인덱스가 삽입되었다. 또한, 각 명령어 라인에는 해당 명령어 라인과 의존 관계가 있는 다른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가 참조 정보로서 삽입되었다. 예를 들면, 프린터는 060번의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해 040, 050의 명령어가 수행되었는지를 체크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4b의 PDL 데이터에는 도 1b의 PDL 데이터와 비교하여 065, 115번의 명령어 라인들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명령어 라인들은 그룹들 간의 속성 dependency를 제거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명령어 라인들이 없이 그룹 2의 PDL 섹션이 그룹 1의 PDL 섹션과는 독립적으로 처리된다면, 프린터는 080 명령어에 따라 6각형을 그리기 위해 어떠한 컬러 속성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도 1b에서의 PDL 데이터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b의 PDL 데이터에서는 모든 명령어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080 명령어에서 사용하기 위한 컬러 속성은 050에서 설정된 <RED> 속성을 그대로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PDL 데이터에서는 그룹 2의 PDL 섹션에서 컬러 속성을 초기화하기 위해 065 명령어 라인이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3의 PDL 섹션에서도 컬러 속성을 초기화하기 위해 115 명령어 라인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PDL 데이터를 구성하면, 각 PDL 섹션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병렬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프린터에서는 신속하게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a의 오브젝트들을 도 4a와는 다르게 두 개의 그룹들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분류한 오브젝트들의 PDL 데이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1a의 오브젝트들을 두 개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경우, 도 4a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dependency가 발생한다. 즉, 그룹 1의 6각형은 그룹 2의 아래쪽 삼각형보다 먼저 그려져야 하므로, 서로 다른 두 오브젝트들 간에 drawing 작업에 관한 dependency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룹 2에 대한 PDL 섹션은 그룹 1의 PDL 섹션과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는 없으며, 프린터에서는 아래쪽 삼각형을 처리하기 전에 그룹 1의 6각형이 처리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도 4b의 그룹 2에 대한 PDL 섹션에서, 아래쪽 삼각형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 라인인 160 라인을 참조하면, 프린터가 160 라인을 수행하기 전에 6각형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060 라인이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하도록 하기 위해 참조 정보인 명령어 번호 060이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L 데이터에서는 오브젝트 그룹들 각각에 대한 PDL 섹션을 생성하여 프린터의 인쇄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오브젝트들 간의 dependency에 대한 정보를 PDL 데이터에 삽입함으로써 처리 순서의 역전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정보 생성 장치(600)는 오브젝트 분류부(610), PDL 섹션 생성부(620) 및 PDL 데이터 생성부(630)를 포함한다.
오브젝트 분류부(610)는 프린터(650)에서 인쇄할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들로 분류한다. 그룹들의 수는 프린터(650)의 성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린터(650)의 프로세서 개수에 따라 그룹의 수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그룹들 간에 drawing 작업의 순서에 관한 dependency가 최소화 되도록 오브젝트들을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DL 섹션 생성부(620)는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이 해당 그룹의 PDL 섹션에 포함되도록 그룹 별로 PDL 섹션들을 생성한다.
PDL 데이터 생성부(630)는 PDL 섹션 생성부(620)에 의해 생성된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최종적인 PDL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와의 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를 삽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 정보는 관련 명령어 라인의 명령어 번호가 될 수 있으며, 새로운 명령어를 정의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령어 번호를 참조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L 데이터 생성부(630)는 번호 할당부(631) 및 참조 정보 삽입부(632)를 포함한다. 번호 할당부(631)는 명령어 번호들을 중복되지 않도록 PDL 데이터의 모든 명령어 라인들에 할당한다. 참조 정보 삽입부(632)는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제 1 명령어 라인에 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로서 제 2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를 삽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들의 의존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생성된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의 구조도이다.

Claims (11)

  1. 인쇄할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attribute)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은 해당 그룹의 PDL 섹션에 포함되도록 그룹 별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섹션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상기 오브젝트들에 대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와의 의존 관계(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명령어 번호들을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PDL 데이터의 모든 명령어 라인들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프린터의 성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그룹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그룹들 간에 그리기 작업의 순서에 관한 의존 관계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7. 인쇄할 오브젝트들을 복수 개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오브젝트분류부;
    그룹 내에서 사용될 속성(attribute)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은 해당 그룹의 PDL 섹션에 포함되도록 그룹 별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섹션들을 생성하는 PDL섹션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PDL 섹션들을 조합하여 상기 오브젝트들에 대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PDL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PDL데이터생성부는,
    제 1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1 명령어가 제 2 그룹의 PDL 섹션에 속한 제 2 명령어보다 늦게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와의 의존 관계(dependency)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DL데이터생성부는,
    명령어 번호들을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PDL 데이터의 모든 명령어 라인들에 할당하는 번호할당부; 및
    상기 제 1 명령어 라인에 상기 제 2 명령어의 명령어 번호를 삽입하는 참조정보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분류부는,
    프린터의 성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그룹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분류부는,
    그룹들 간에 그리기 작업의 순서에 관한 의존 관계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오브젝트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데이터 생성 장치.
KR1020080105483A 2008-10-27 2008-10-27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46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83A KR20100046583A (ko) 2008-10-27 2008-10-27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2/576,348 US20100103452A1 (en) 2008-10-27 2009-10-0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page description language data for parallel proce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83A KR20100046583A (ko) 2008-10-27 2008-10-27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83A true KR20100046583A (ko) 2010-05-07

Family

ID=4211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483A KR20100046583A (ko) 2008-10-27 2008-10-27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03452A1 (ko)
KR (1) KR201000465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76977A1 (en) * 2013-12-24 2015-07-09 Canon Kabushiki Kaisha Asynchronous group processing using z-banding
CN114013044A (zh) * 2021-11-01 2022-02-08 深圳拓竹科技有限公司 用于3d打印的方法、计算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5729B2 (en) * 2004-03-26 2008-06-10 Lexmark International, Inc. Optimization techniques during processing of print jo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3452A1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153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625133B2 (en) Print data processing apparatus, print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885904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8830506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utilizing plural parallel processor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tilizing plural parallel processors
EP2713263B1 (en) Conversion time prediction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conversion time prediction method
US83149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inter performance tuning using bayesian analysis
US9519443B2 (en) Print data flattening processing of spot color components with any hidden spot color portion removed
US880414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realizing high-speed rendering processing
US8334989B2 (en)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parallel processing of data
US954212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4015270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merged intermediate representation of a page
US892891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626138B2 (en) Reconstruction of suspended print jobs
KR20100046583A (ko) 병렬 프로세싱을 위한 pdl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90689B2 (en) Need-below processing across z-band boundaries
JP6835271B2 (ja) プリントジョブのためのページ複雑性解析
US201503395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int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print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60196093A1 (en) Processing print jobs in reverse order
CN107015770A (zh) 信息处理设备和打印数据生成方法
US8665457B2 (en) Postscript stream interpreter with integrated pagination
US9613301B2 (en) Print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deforming image elements of a watermark from intermediate print data
JP6376876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120605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4896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6155280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