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54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543A
KR20100046543A KR1020080105421A KR20080105421A KR20100046543A KR 20100046543 A KR20100046543 A KR 20100046543A KR 1020080105421 A KR1020080105421 A KR 1020080105421A KR 20080105421 A KR20080105421 A KR 20080105421A KR 20100046543 A KR20100046543 A KR 2010004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bar
door
base
bar doo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543A/ko
Publication of KR2010004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홈바 도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아도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홈바, 마찰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상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수납박스 등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들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다수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 수납박스 및 바스켓 등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도어를 열지 않고도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홈바 구조가 적용되는 냉장고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홈바는 상기 도어의 전면부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홈바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도어 내측에 제공된 바스켓 등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바 도어는 상기 도어에서 꺼낸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면이 상기 도어와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홈바 도어의 내측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홈바 도어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 저장되는 음료수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런데, 상기 음료수의 용기는 대부분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수 용기가 평평하게 형성된 상기 홈바 도어의 내측면 위에 놓여지면, 마찰력이 약해 쉽게 미끄러지게 된다.
특히, 상기 홈바 도어의 내측면은 상기 냉장실 내부에 노출되므로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물기가 많다. 이 경우, 상기 홈바 도어의 내측면의 마찰력은 더욱 약해지게 되므로, 음료수 용기가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더욱 크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홈바 사용을 위해 상기 도어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음료수 용기의 낙하 또는 용기 파손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될 염려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홈바 도어 내측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부재 등이 상기 홈바 도어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홈바 도어의 내측면은 물기가 많으므로, 상기 마찰을 위한 부재의 접착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질 좋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홈바 도어의 내측면에 음식물을 올려놓아도 미끄러지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음식물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홈바 프레임; 및 상기 홈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홈바 도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홈바 도어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홈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이 올려지도록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고,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홈바 도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아도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 원가의 상승 없이 상기 음식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가 상기 홈바 도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전면이 개구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10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어 음식물이 저온 상태로 냉장 보관되는 냉장실과 냉동 상태로 보관되는 냉동실,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30)와 냉동실 도어(1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20)의 전면에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40)가 제공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전면에는 홈바(200)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홈바(200)는 상기 냉장실 도어(130) 뿐만 아니라, 상기 냉동실 도어(120)에 장착되어 얼음 등을 취출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130)에 제공되어 음료수 등을 취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홈바(200)를 예로 설명하겠다.
상기 홈바(200)는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홈바 도어(250)와, 상기 홈바 도어(250)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냉장실 도어(130)의 배면에 제공되는 홈바 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바 도어(250)는 하단부가 상기 홈바 프레임(220)에 힌지 결합되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홈바 도어(25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홈바 도어(25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홈바 도어 손잡이(25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홈바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홈바(200)는 상기 홈바 도어(250)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배면에 제공되는 바스켓(180)에 저장된 음료수 등을 꺼낼 수 있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250)의 배면에는 상기 바스켓(180)으로부터 꺼낸 음료수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홈바 도어(250)는 양측 하단부에 힌지 축이 형성되어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홈바 도어(250)는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측에서 하방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250)의 내측 상단부에는 상기 홈바 도어(250)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후크(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 후크(252)가 결합되는 후크 고정홈(2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후크(252)는 상기 홈바 도어 손잡이(251)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상기 홈바 도어 손잡이(251)를 젖히면, 상기 체결 후크(252)가 상기 후크 고정홈(224)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250)는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홈바 도어(250)의 내측면이 상기 냉장실 도어(130)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즉, 상기 홈바 도어(250)는 폐쇄된 상태로부터 상기 냉장고(1)의 전방으로 약 90˚회전 된다.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홈바 도어(250)의 회전 각도가 약 90˚에서 멈춰질 수 있도록 멈춤부재(미도시)가 제공된다.
상기 홈바 프레임(220)은 상기 홈바 도어(250)가 개방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바스켓(180)에 저장된 음료수 등을 인출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주변은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홈바 도어(25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홈바 도어(25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180)은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음료수 등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홈바 도어(250)는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홈바 도어 커버(253)와, 상기 홈바 프레임(220)에 끼워지도록 상기 커버(253)의 내측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단열층(255)을 포함하는 홈바 베이스(254)와, 상기 단열층(255)과 상기 베이스(254)의 내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260)를 구비한다.
상세히, 상기 커버(253)는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홈바 도어(25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커버(253)는 상기 홈바 도어(25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 도어(130)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홈바 도어(250)가 개방되면, 상기 커버(253)는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전면과 수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54)는 상기 커버(253)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베 이스(254)는 상기 커버(253)의 중앙 방향으로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홈바 도어(25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베이스(254)가 상기 홈바 프레임(220)의 개구부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254)의 중앙부는 상기 커버(253)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홈바 도어(25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254)의 중앙부도 상기 냉장실 도어(130)의 전면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54)의 중앙부는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홈바 도어(25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바스켓(180)에 저장된 음료수 등을 꺼내어 상기 베이스(254)에 올려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53)와 상기 베이스(254) 사이에는 발포액 등이 충진되는 상기 단열층(2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255)과 상기 베이스(254)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254)의 중앙부에 올려지는 음료수 등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60)가 제공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60)는 상기 베이스(254)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마찰부(2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261)는 상기 베이스(254)에 형성된 구멍(257)을 통해 상기 베이스(254)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60)는 상기 단열층(255)을 형성하는 상기 발포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254)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60)의 접착을 위한 재료비 및 공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60)는 전체가 고무 등 마찰력이 큰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마찰부(261)만 마찰력이 큰 부재로 형성될 수 있 다.
상기와 같은 홈바 도어(250)는 상기 구멍(257)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254)에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260)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254)와 상기 커버(253)를 결합한 후 상기 단열층(255)을 충진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254)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마찰부(261)는, 상기 베이스(254)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에 음식물을 놓더라도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254)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베이스(254)의 중앙부에 상기 마찰부(261)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의 용기가 놓이더라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홈바 도어(250)에 안심하고 음식물의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 도어(250)의 내측면, 즉 상기 베이스(254)의 중앙부에 이슬 등 물기가 생성되더라도, 상기 마찰부(261)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음식물 용기가 상기 홈바 도어(250)의 내측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등의 마찰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비싼 접착제 등을 사용할 필요 없이 더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홈바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측단면도.

Claims (3)

  1.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음식물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홈바 프레임; 및
    상기 홈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홈바 도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홈바 도어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홈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이 올려지도록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고, 일부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105421A 2008-10-27 2008-10-27 냉장고 KR20100046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21A KR20100046543A (ko) 2008-10-27 2008-10-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21A KR20100046543A (ko) 2008-10-27 2008-10-2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43A true KR20100046543A (ko) 2010-05-07

Family

ID=4227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421A KR20100046543A (ko) 2008-10-27 2008-10-2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5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7199B1 (en) Refrigerator
KR101701860B1 (ko) 냉장고
US20060138124A1 (en)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Therewith
KR20050075781A (ko) 텔레비전 겸용 냉장고
CN104296446A (zh) 速冷装置及具有它的冰箱
KR101349999B1 (ko) 냉장고 홈바
KR20140132522A (ko) 냉장고
KR20100046543A (ko) 냉장고
KR20050071221A (ko) 냉장고의 홈바
KR101577281B1 (ko)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US10928122B2 (en) Dual asymmetrical and symmetrical architecture cantilever positioning
CN207622318U (zh) 包括运输固定元件的制冷器具
CN216048592U (zh) 一种内置便携式贮存箱的电冰箱
US20220128292A1 (en) Refrigerator door with built-in pizza pocket
KR101778933B1 (ko)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110083786A (ko) 김치 냉장고용 음식물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20001956A (ko) 냉장고
KR20090049220A (ko) 장식장이 구비된 냉장고
KR101988308B1 (ko) 냉장고
KR20230116492A (ko) 냉장고
KR20130061423A (ko) 홈바가 설치된 냉장고
KR20220129576A (ko) 냉장 기기의 도어를 위한 엔드캡 조립체
KR20140124118A (ko) 냉장고
KR200411325Y1 (ko) 냉장고
WO2009008849A1 (en) Fridges with movable glass or fixed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