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873A -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873A
KR20100045873A KR1020080105013A KR20080105013A KR20100045873A KR 20100045873 A KR20100045873 A KR 20100045873A KR 1020080105013 A KR1020080105013 A KR 1020080105013A KR 20080105013 A KR20080105013 A KR 20080105013A KR 20100045873 A KR20100045873 A KR 2010004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race
frame
plate
renewable energy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392B1 (ko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이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문 filed Critical 이상문
Priority to KR102008010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가 제공된다. 제공된 공동주택 구조는 가구별 테라스의 식재함의 사방 모서리부위에 수직설치되는 제 1, 제2, 제 3, 제 4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의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된 한 조의 전면창문과,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4프레임 또는 상기 제 2프레임과 제 3프레임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부착된 한 조의 집광창문과, 상기 각 프레임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일단은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에 삽입식으로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부착된 지붕플레이트와, 상기 식재함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솔라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AN APARTMENT HOUSE HAVING A TERRACE}
본 발명은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 또는 풍력과 같은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2층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응접실 등과 분리되는 소정 공간의 베란다가 조성되며, 이러한 베란다의 정확한 위치는 건축물의 일부로서 보통 1~2층의 면적차로 생긴 바닥 중의 일부, 또는 1층 정원에 면한 지붕과 난간이 붙은 바닥 부분이다.
이와 같은 베란다는 옥내의 양지바른 남향에 위치하며, 여름에 시원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테라스 형식과, 위층부분이나 창 앞에 넓게 내밀어 꾸민 바닥으로 위층에서 출입할 수 있는 발코니 형식이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발코니 형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주로 거 주에 필요한 소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경제발전으로 인해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베란다에 화단을 조성하거나 조경용 화초 등을 비치하여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상기 베란다를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하는 방법으로는 다단의 선반을 설치한 후, 그 선반에 화분을 올려놓고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과, 베란다 바닥에 식생토를 깔아 화단으로 조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베란다의 활용은 베란다 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제한된 베란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에서는 베란다의 외벽에 가구별 테라스를 설치하되, 이러한 테라스에는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함을 마련하고, 씽크대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를 상기 식재함에 유입시켜서 생활하수에 의해 식물에 양분과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생활하수의 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는 가구별 테라스의 저면에 태양열 집열패드 또는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패드 또는 풍력발전기의 설치위치가 가구별 테라스의 저면에 한정되어 있어서, 공간활용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에 있어서, 가구별 테라스가 시공되는 공동주택은 베란다를 제외한 측벽부분에 많 은 공간이 형성됨에 불구하고 태양열 집열패드 또는 풍력발전기를 가구별 테라스의 저면에만 국한하여 설치함에 따라 공간활용효율의 저하는 물론 에너지의 생산효율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구별 테라스는 물론 그 밖의 공간에도 솔라셀 모듈 또는 풍력발전기를 설치하여 공간활용효율의 확충과 함께 에너지 생산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에 돌출형성되는 테라스로서, 식재층을 갖는 식재함을 포함하는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식재함의 사방 모서리부위에 수직설치되는 제 1, 제2, 제 3, 제 4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의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된 한 조의 전면창문;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4프레임 또는 상기 제 2프레임과 제 3프레임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부착된 한 조의 집광창문;
상기 각 프레임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일단은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에 삽입식으로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부착된 지붕플레이트;
상기 식재함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솔라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바는 상기 베란다의 외벽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바에 소정간격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지붕플레이트의 타단에는 각도조절봉이 돌출되고, 상기 제 1, 제 2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봉이 삽입되는 각도조절절곡부가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조절봉과 상기 각도조절절곡부에는 다수의 핀고정홀을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지붕플레이트와 상기 집광창문의 사이에는 마감판을 설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붕플레이트와 상기 마감판의 사이에는 방한용 패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에 돌출형성되는 테라스로서, 식재층 갖는 식재함을 포함하되, 상기 테라스는 공동주택의 층과 층 사이에 상호 어긋나게 돌출시공되는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테라스와 테라스의 사이에 마련되는 설치공간 외벽에 고정되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에 제 1, 제 2, 제 3관절부가 연결바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 전동설치부;
상기 제 3관절부에 고정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설치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
상기 식재함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솔라셀 모듈 및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 1관절부와 상기 제 2관절부는 상,하회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3관절부는 상, 하, 좌, 우 회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한 한 조의 보조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이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전개, 수축형태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상기 각 보조플레이트가 수용됨과 아울러 각 보조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수평이동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구별 테라스의 식재함에 솔라셀 모듈이 설치된 집광창문 및 지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각 테라스와 테라스의 사이에 마련된 설치공간상에도 솔라셀 모듈 및 풍력발전기를 설치함으로써 공동주택의 공간활용효율을 확충할 수 있음은 물론 에너지 생산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구별 테라스(1)는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에서와 같이 공동주택의 외벽에 돌출시공되는데, 층과 층 간에 일조권을 방해하지 않도록 층과 층 사이에 어긋나게 돌출시공된다. 이와 같은 가구별 테라스(1)는 그 내부에 식재층(21)을 구비한 식재함(2)이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식재함(2)의 사방 모서리부에 제 1, 제 2, 제 3, 제 4프레임(22,23,24,25)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각 프레임(22,23,24,25)은 금속재, 예컨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을 그 구성재질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프레임(22,23,24,25)의 설치작업은 상기 식재함(2)의 시공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통상의 새시를 시공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프레임(22)과 상기 제 2프레임(23)의 사이에는 한 조의 전면창문(3)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면창문(3)은 그 일단이 각,각 상기 제 1프레임(22)과 상기 제 2프레임(23)에 경첩고정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데, 이러한 전면창문(3)의 구조는 통상적인 형태, 즉 테두리프레임 내에 유리판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폴리카보네이트 패널 또는 아크릴 패널 등)이 설치된 형태가 적용되며, 이러한 전면창문(3)을 관건하기 위한 부재로써 제 1프레임(22)과 제 2프레임(23)의 중앙부에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프레임(22)과 제 4프레임(25) 또는 상기 제 2프레임(23)과 제 3프레임(24) 사이에는 한 조의 집광창문(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집광창문(4)은 그 일단이 각, 각 제 1프레임(22)과 상기 제 2프레임(23)에 경첩고정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데, 이러한 집광창문(4)의 정면에는 솔라셀 모듈(41), 즉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지로서 어레이를 포함하는 솔라셀 모듈(41)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집광창문(4) 자체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테두리프레임내에 솔 라셀 모듈(41)을 고정하거나 테두리프레임내에 베이스플레이트(도면에 미도시됨.)를 두고 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솔라셀 모듈(41)을 부착하는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프레임(22,23,24,25)의 상부면에는 지붕플레이트(5)가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제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 지붕플레이트와 제 1, 2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발췌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붕플레이트(5)는 그 일단이 고정바(51), 즉 상기 베란다(110)의 상부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바(51)에 고정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지붕플레이트(5)가 상기 고정바(51)에 소정간격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붕플레이트(5)의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22)과 상기 제 2프레임(23)에 삽입식으로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붕플레이트(5)의 타단에는 각도조절봉(53)이 돌출되고, 상기 제 1, 제 2프레임(22,23)의 상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봉(53)이 삽입되는 각도조절절곡부(221,231)가 마련되며, 상기 각도조절봉(53)과 상기 각도조절절곡부(221,231)에는 다수의 핀고정홀(221a.231a,531)을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천공된다. 또한, 상기 지붕플레이트(5)의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52)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붕플레이트(5)는 상기 각도조절봉(53)과 각도조절절곡부(221,231)의 핀결합위치를 변경하여 그 설치각도를 소정폭에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붕플레이트(5)는 상기 각 프레임(22,23,24,25)의 상부면에 경 사지게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지붕플레이트(5)와 상기 집광창문(4)의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공간에는 마감판(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감판(6)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붕플레이트(5)와 상기 마감판(6)의 사이에는 방한용 패드(54)가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식재함(21)의 소정부에는 상기 각 솔라셀 모듈(41,52)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26)와,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2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축전지(26)와 전력변환장치(27)는 통상적인 태양광에너지를 전력화하는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기술을 채택한 것으로 그 상세한 구성 및 동작관계는 생략하며, 상기 전력변환장치(27)는 가구별 전력계량기(도면에 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축전기(26)에 저장된 전력을 가구의 사용전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구별 테라스를 갖는 공동주택 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100) 구조는 가구별 테라스(1)의 식재함(2)에 프레임(22,23,24,25)들을 설치하고, 이 프레임(22,23,24,25)들을 통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전면창문(3) 및 집광창문(4)을 설치함으로써 통풍성 및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도 식재함(2)의 식재층(21)에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한 조의 집광창문(4)과, 지붕플레이트(5)에 솔라셀 모듈(41,52)이 설치되어 있어서,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많은 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가구별 테라스(1)의 측면과 상부면에 해당하는 공간에 솔라셀 모듈(41,52)을 포함하는 집광창문(4) 및 지붕플레이트(5)를 두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많은 량의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집광창문(4)이 태양광의 조사각도에 대응하게 각도를 변환할 수 있고, 지붕플레이트(5) 역시 경사지게 구성됨에 따라서 집광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각 가구별로 전력을 수급함에 따라 화석에너지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세금의 절세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자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가구별 테라스(10)는 대한민국 특허 제 858413호에서와 같이 공동주택(100)의 외벽에 돌출 시공되는데, 층과 층 간에 일조권을 방해하지 않도록 층과 층 사이에 어긋나게 돌출시공된다. 이와 같은 가구별 테라스(10)는 그 내부에 식재층(111)을 구비한 식재함(11)이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가구별 테라스(10)가 층과 층사이에 어긋나게 돌출시공됨에 따라 1층의 테라스와 3층의 테라스 사이에 설치공간(20)이 마련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창안한 것인데, 이와 같은 설치공간(20)은 소형 창문, 예컨대 부엌의 통풍을 위한 소형 창문만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20)의 외벽에는 전동설치부(3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전동설치부(30)는 고정플레이트(35)의 일단에 제 1, 제 2, 제 3관절부(31,32,33)가 연결바(34)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데, 이러한 전동설치부(30)는 가구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동모터(도면에 미도시됨.)가 내설되어 통상적은 로봇팔과 같이 각 관절부(31,32,33)의 각도를 조절(가구별 실내에 조작패널을 설치할 수 있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관절부(31)와 상기 제 2관절부(32)는 상,하 회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3관절부(33)는 상, 하, 좌, 우 회동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관절부(33)에는 메인플레이트(40)가 고정되는데,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구성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플레이트(40)는 그 전면에 솔라셀 모듈(40a)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메인플레이트(40a)는 전동설치부(30)에 의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그 형태가 변형됨과 아울러 좌,우각도또한 변형이 가능하게 작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플레이트(40a)는 상기 제 1관절부(31) 및 제 2관절부(32)의 구동에 따라 각도조절되어 태양광을 집광하기 용이한 위치로 경사지게 그 형태가 변형되고, 상기 제 3관절부(33)는 오전, 오후에 따라 변경되는 태양의 위치에 대응하게 메인플레이트(40)를 좌, 우로 위치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메인플레이트(40)에 설치된 솔라셀 모듈(40a)은 태양의 위치에 대응하게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집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구성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플레이트(40a)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플레이트(40a)에 한 조의 보조플레이트(60), 그 전면에 솔라셀 모듈(60a)이 포함된 한 조의 보조플레이트(60)를 설치하되, 이 보조플레이트(6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40)에서 전개, 수축형태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플레이트(40)에는 상기 각 보조플레이트(60)가 수용됨과 아울러 각 보조플레이트(60)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부(40c), 예컨대 랙과 피니언에 의해 수평이동을 구 현하거나 전동 스크류봉에 가이드되어 수평이동을 구현하는 동력부(40c)를 포함하는 수평이동부(40b)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메인플레이트(40)의 다른 실시예구성에서는 한 조의 보조플레이트(60)가 전개, 수축방식으로 메인플레이트(40)에 결합되어 있어서 단위면적당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공동주택(100)의 베란다(110) 외벽에는 풍력발전기(50), 즉 다수의 패들이 수직설치된 회전체와, 발전기를 포함하는 통상의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풍력발전기(50)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구별 테라스(10)의 식재함(11)에는 상기 각 솔라셀 모듈(40a,60a) 및 상기 풍력발전기(5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112)와,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11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축전지(112)와 전력변환장치(113)는 통상적인 태양광에너지를 전력화하는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기술을 채택한 것으로 그 상세한 구성 및 동작관계는 생략하며, 상기 전력변환장치(113)는 가구별 전력계량기(도면에 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축전기(112)에 저장된 전력을 가구의 사용전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100) 구조는 가구별 테라스(10)의 사이에 마련되는 설치공간(20)에 솔라셀 모듈(40a, 60a)을 갖는 메인플레이트(40, 보조플레이트 : 60)를 설치하고, 베란다(110)의 외벽에는 풍력발전기(50)를 두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많은 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태양광과 연계하여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풍력을 이용한 발전을 수행함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가구별 테라스(10)의 사이공간, 즉 설치공간(20)에 솔라셀 모듈(40a,60a)을 포함하는 메인/보조플레이트(40,60)를 두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와 연계되어 풍력발전기(50)를 더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량의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하여 각 가구별로 전력을 수급함에 따라 화석에너지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세금의 절세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솔라셀 모듈과 풍력발전기가 설치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40)에 포함된 솔라셀 모듈(40a)과 풍력발전기(50)를 설치함에 있어서, 이들을 모두 설치공간(20)상에 설치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 1실시예의 식재함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메인플레이트(40)를 2개로 하고 그 사이에 풍력 발전기(50)를 설치하여 상호 간섭없이 작동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8에서는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를 모두 적용한 복합형태가 제공됨에 따라서 보다 많은 태양광의 집광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풍력발전기와 연계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전력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제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 지붕플레이트와 제 1, 2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발췌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자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구성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구성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솔라셀 모듈과 풍력발전기가 설치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가구별 테라스 2,11 : 식재함
3 : 전면창문 4 : 집광창문
5 : 지붕플레이트 6 : 마감판
20 : 설치공간 30 : 전동설치부
40 : 메인플레이트 50 : 풍력발전기
60 : 보조플레이트 100 : 공동주택
110 : 베란다

Claims (10)

  1.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에 돌출형성되는 테라스로서, 식재층을 갖는 식재함을 포함하는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식재함의 사방 모서리부위에 수직설치되는 제 1, 제2, 제 3, 제 4프레임;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의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된 한 조의 전면창문;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4프레임 또는 상기 제 2프레임과 제 3프레임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부착된 한 조의 집광창문;
    상기 각 프레임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일단은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에 삽입식으로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부착된 지붕플레이트;
    상기 식재함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솔라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베란다의 외벽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바에 소정간격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의 타단에는 각도조절봉이 돌출되고, 상기 제 1, 제 2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봉이 삽입되는 각도조절절곡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봉과 상기 각도조절절곡부에는 다수의 핀고정홀을 상호 대응하는 형태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와 상기 집광창문의 사이에는 마감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와 상기 마감판의 사이에는 방한용 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7.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에 돌출형성되는 테라스로서, 식재층 갖는 식재함을 포함하되, 상기 테라스는 공동주택의 층과 층 사이에 상호 어긋나게 돌출시공되는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테라스와 테라스의 사이에 마련되는 설치공간 외벽에 고정되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에 제 1, 제 2, 제 3관절부가 연결바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 전동설치부;
    상기 제 3관절부에 고정되며, 그 전면에는 솔라셀 모듈이 설치된 메인플레이트;
    상기 공동주택의 베란다 외벽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
    상기 식재함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각 솔라셀 모듈 및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력조정기와 직,교류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절부와 상기 제 2관절부는 상,하회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3관절부는 상, 하, 좌, 우 회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한 한 조의 보조플레이트를 설치하되, 이 보조플레이트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에서 전개, 수축형태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에는 상기 각 보조플레이트가 수용됨과 아울러 각 보조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수평이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KR1020080105013A 2008-10-24 2008-10-24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KR10109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013A KR101091392B1 (ko) 2008-10-24 2008-10-24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013A KR101091392B1 (ko) 2008-10-24 2008-10-24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73A true KR20100045873A (ko) 2010-05-04
KR101091392B1 KR101091392B1 (ko) 2011-12-07

Family

ID=4227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013A KR101091392B1 (ko) 2008-10-24 2008-10-24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3725A (zh) * 2012-06-27 2014-01-15 成都易生玄科技有限公司 一种缩聚、传输光线的室内植物培养方法
CN103899101A (zh) * 2014-02-27 2014-07-02 芜湖特源鑫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节能型田边房
CN104863390A (zh) * 2015-05-06 2015-08-26 戚荣生 可自动除雪的太阳能气流发电阳光大棚
CN106613514A (zh) * 2016-10-12 2017-05-10 南通大学 一种基于风光互补技术的植物培养机
KR20200049421A (ko) * 2018-10-31 2020-05-08 (주)비에이에너지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KR20200071913A (ko) * 2018-12-11 2020-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
CN113678661A (zh) * 2021-07-30 2021-11-23 大连理工大学 一种窗外花盆搁置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2605B2 (ja) * 2015-08-11 2019-07-10 株式会社Lixil 床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831B1 (ko) 1998-10-22 2004-12-08 곽상수 태양열흡수변환장치가설치된건물베란다구조
JP2000204735A (ja) * 1999-01-11 2000-07-25 Ys Kenchiku Consultant:Kk 日射遮蔽装置
KR100858413B1 (ko) * 2007-10-17 2008-09-12 이상문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3725A (zh) * 2012-06-27 2014-01-15 成都易生玄科技有限公司 一种缩聚、传输光线的室内植物培养方法
CN103899101A (zh) * 2014-02-27 2014-07-02 芜湖特源鑫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节能型田边房
CN104863390A (zh) * 2015-05-06 2015-08-26 戚荣生 可自动除雪的太阳能气流发电阳光大棚
CN106613514A (zh) * 2016-10-12 2017-05-10 南通大学 一种基于风光互补技术的植物培养机
KR20200049421A (ko) * 2018-10-31 2020-05-08 (주)비에이에너지 재난 임시용 에너지 독립형 가변주택
KR20200071913A (ko) * 2018-12-11 2020-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
CN113678661A (zh) * 2021-07-30 2021-11-23 大连理工大学 一种窗外花盆搁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392B1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392B1 (ko) 친환경공법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Pagliaro et al. BIPV: merging the photovoltaic with the construction industry
CN101444176B (zh) 带太阳能电池组件的光伏温室及发电装置
Gupta et al.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MX2013011512A (es) Sistema de panel solar integrado en techo con microinversores montados a los lados.
CN104025947A (zh) 一种新型自循环温室大棚
CN203884310U (zh) 一种新型自循环温室大棚
CN101455165A (zh) 一种栽培西红柿的太阳能光伏大棚
Aldegheri et al. Building integrated low concentration solar system for a self-sustainable Mediterranean villa: The Astonyshine house
KR20110011152A (ko)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CN102913978A (zh) 可再生能源与建筑一体化综合利用系统
KR101072536B1 (ko) 태양광의 집광 및 저장,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천창시스템
KR101227088B1 (ko) 추적형 비아이피브이 패널
KR20090010754U (ko) 태양광발전 온실
Hagemann Examples of successful architectural integration of PV: Germany
JP4137833B2 (ja) 屋根構造
KR101200844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우수집수시스템이 구축된 디자인 공동건물 구조.
CN106917519A (zh) 西北地区农村节能建筑住宅设计方法
CN108071240A (zh) 太阳能被动式环保生态乡村住宅
CN202902420U (zh) 可再生能源与建筑一体化综合利用系统
US8365500B2 (en) Optimized building integrated hybrid roofing system
Bahaj Solar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in the built environment
Kiss Solar energy in the built environment: powering the sustainable city
CN101684691A (zh) 南坡太阳能发电房屋及动植物水产养植方法
CN208251496U (zh) 一种家用太阳能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