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52A -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152A
KR20110011152A KR1020090068670A KR20090068670A KR20110011152A KR 20110011152 A KR20110011152 A KR 20110011152A KR 1020090068670 A KR1020090068670 A KR 1020090068670A KR 20090068670 A KR20090068670 A KR 20090068670A KR 20110011152 A KR20110011152 A KR 2011001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nlight
light collecting
light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섭
Original Assignee
김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섭 filed Critical 김태섭
Priority to KR102009006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152A/ko
Publication of KR2011001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F24S30/42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with only one rotation axis
    • F24S30/425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6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in the form of facade constructions, e.g. wall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30/10Special components
    • F24S2030/13Transmissions
    • F24S2030/131Transmissions in the form of articulated bars
    • F24S2030/132Transmissions in the form of articulated bars in the form of compasses, scissors or parallel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 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열 혹은 집광 판넬(태양전지판)을 포함하고 있는 집광대부(100)와, 상기 집광대부를 지지하며 건축물에 부착하는 지지대부(200), 상기 집광대부의 회전 운동을 저장된 데이터 값과 필요에 따라 제어하는 PC 및 제어부(104), 상기 집광대부의 회전 운동을 기동하는 전동기부(203)와 폴딩암부(202),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계(105) 등을 포함함으로써, 건축물의 외측 벽체나 커튼월 혹은 창문 상부에 남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집광대부(100)를 태양의 고도에 따라 회전 이동시켜 집광 성능을 강화하고 계절별, 시간별 실내에 유입되는 태양광을 적절히 제어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강우 시에 이를 감지, 작동하여 빗물의 실내 유입 우려 없는 자연 환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일정 풍속 이상의 강풍 시 자동적으로 차양을 접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일정한 모듈로 생산되어 주거 및 상업 건축물, 공공건물 등 대부분의 신축 및 기존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고, 사전 제작된 일체형 제품을 현장에서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공사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태양광, 집광대부, 지지대부, 차양

Description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The Awning System for Collection and Control of Solar Energy}
본 발명은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열 혹은 집광 판넬(태양전지판)을 포함하고 있는 집광대부(100)와, 상기 집광대부를 지지하며 건축물에 부착하는 지지대부(200), 상기 집광대부의 회전 운동을 저장된 데이터 값과 필요에 따라 제어하는 PC 및 제어부(104), 상기 집광대부의 회전 운동을 기동하는 전동기부(203)와 폴딩암부(202),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계(105) 등을 포함함으로써, 건축물의 외측 벽체나 커튼월 혹은 창문 상부에 남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집광대부(100)를 태양의 고도에 따라 회전 이동시켜 집광 성능을 강화하고 계절별, 시간별 실내에 유입되는 태양광을 적절히 제어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강우 시에 이를 감지, 작동하여 빗물의 실내 유입 우려 없는 자연 환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일정 풍속 이상의 강풍 시 자동적으로 차양을 접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일정한 모듈로 생산되어 주거 및 상업 건축물, 공공건물 등 대부분의 신축 및 기존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고, 사전 제작된 일체형 제품을 현장에서 간단히 설 치함으로써 공사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석 연료의 고갈에 직면한 인류에게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대체 에너지의 적극적인 활용은 시급한 당면 과제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 중 가장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공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무한 청정에너지인 태양 에너지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건축물에 있어서 기존의 태양 에너지 이용은 집열 혹은 집광 판넬을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이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으며, 사계절 기후 변화가 뚜렷한 우리나라의 특성상 절기에 따른 태양광의 실내 유입을 적절히 조절하고 열에너지를 제어하여 건축물에서 소요되는 냉난방 에너지를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으나,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시 이런 문제에 대한 접근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별도의 태양 에너지 발전 시설을 짓기 위해서는 초기 비용이 많이 들며, 태양열 에너지 발전시설을 지어 전기를 생산하여 얻는 경제적 이익보다 발전시설을 건립하고 유지 보수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바, 건축물 등의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경제적으로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건축물을 이용한 태양 에너지 사용은 지붕 혹은 옥상에 태양열 혹은 태양광 수집 판넬을 설치함으로써 주로 이루어졌으나, 건축물의 용도나 구조에 따른 집열 판 및 집광판 설치의 제약이 많았다.
또한, 공동 주택 등의 건축물 외벽에 태양광 수집 판넬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채광창이 집중 배치되는 남향 벽면을 제외해야 했고, 태양의 고도에 대한 고려 없이 집광 판넬을 수직 설치함으로써 집광 효율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외피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벽면을 최대한 활용하여, 태양의 고도에 따라 회전 이동하는 가변형 집광 판넬을 이용한 태양광의 효과적인 수집과,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에 의한 냉난방 에너지 절감이라는 당면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여 건축물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측 벽면이나 커튼월 혹은 창문 상부에 남향으로 설치되어 태양광 집광대부가 태양의 고도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집광 성능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조절하는 차양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광대부와 지지대부 간에 설치된 전동기와 폴딩암의 구동으로 집광대부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계절별, 시간별 실내에 유입되는 태양광을 조절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절기 등 태양 고도가 높은 계절에 집광대부가 수평에 가깝게 회전 이동하여, 건축물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고, 동절기 등 태양 고도가 낮은 계절에는 집광대부가 태양광의 실내 유입을 방해하지 않는 각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주거 용도의 건축물에서 자연 환기 등을 위해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우적 센서로 감지하여 차양이 적절한 각도로 구동함으로써 빗물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외출시나 취침시 강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된 풍향계로 감지하여 일정 풍속 이상의 강풍 시, 집광대부를 지지대부 방향으로 밀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거 및 상업 건축물, 공공건물 등 대부분의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및 신축 건축물에 공히 설치 가능하고, 일정한 모듈로 생산되므로 건축물 설계시 반영이 용이하고, 사전 제작된 일체형 제품을 현장에서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공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열 혹은 집광 판넬(태양 전지판)을 포함하고 있는 집광대부와, 상기 집광대부를 지지하여 건축물에 부착하는 지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광대부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하며 태양광을 집광시키는 집광판넬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과 연결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광대부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집광대부의 태양광 집광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계절별, 시간별 실내에 유입되는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서 건축물의 냉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부는 상기 집광대부와 힌지로 상호 연결되어 건축물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PC 및 제어부에서 데이터 값을 전송받아 구동되는 전동기부, 상기 전동기부의 모터에 의해 상기 집광대부의 회전 운동을 기동하는 폴딩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C 및 제어부는 상기 집광대부 하단에 위치하여 지역별, 계절별, 시간별 저장된 데이터 값을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동기부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집광대부를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C 및 제어부에 우적 감지 센서가 장착되어, 일정 수량 이상의 강우 시에 PC 및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고 전동기부에 전기 신호를 송출,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집광대부가 적절한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빗물의 실내 유입 없이 창문을 통한 자연 환기를 할 수 있고 외출시나 취침시 예기치 않은 강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C 및 제어부와 연결된 풍향계가 풍속을 측정하여, 설정된 일정 풍속 이상의 강풍 시에는 PC 및 제어부에서 전기 신호를 보내 전동기를 구동하면, 상기 집광대부가 상기 지지대부 쪽으로 밀착하여 강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하는 집광대 부에 홀로그램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에 있어 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인 구동 장치로 집광대부를 단순 회전 운동만이 아니라 상하 혹은 전후좌우로 구동할 수 있게 장치하여 태양의 고도뿐만 아니라 시간대 별 태양의 위치에 따라 집광대부가 이동하여 집광 효율을 증가시키고, 실내에 유입되는 태양광을 보다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측 벽면이나 커튼월 혹은 창문 상부에 남향으로 설치되어 태양광 집광대부가 태양의 고도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집광판넬(태양 전지판)의 집광 성능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차양의 역할을 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주거 용도의 건축물에서 일정 수량 이상의 강우 시에는 PC 및 제어부에 장착된 우적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동기부에 전기 신호를 보내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집광대부가 적절한 각도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빗물의 실내 유입 없이 창문을 통한 자연 환기를 할 수 있고 외출시나 취침시 예기치 않은 강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에 있어서 풍속계부에서 풍속을 측정하여 사전 설정된 일정 풍속 이상일 때는 자동적으로 차양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에 있어서 주거 및 상업 건축물, 공공건물, 등 대부분의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및 신축 건축물에 공히 설치 가능하고 일정한 모듈로 생산되므로 건축물 설계시 반영이 용이하고, 사전 제작된 일체형 제품을 현장에서 간단히 설치함으로서 공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집열 혹은 집광 판넬(태양전지판)을 포함하고 있는 집광대부(100)와, 상기 집광대부와 힌지 및 폴딩암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광대부를 지지하고 건축물에 부착하는 지지대부(200)를 포함함으로써, 건축물의 외측 벽면이나 커튼월 혹은 창문 상부에 남향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는데 집광대부(100)를 회전 이동시켜 집광 성능을 강화하고 태양광의 실내 유입을 제어하여 실내의 온도를 직간접적으로 조절하는 태양광의 수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의 수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집광판넬을 포함하고 있는 집광대부(100)와, 상기 집광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집광대부를 지지하며 건축물에 부착하는 지지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집광대부(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테두리를 형성하는 판넬프레임부(101)와, 상기 판넬프레임부(101)의 내부에 형성하며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광판넬부(102)와, 상기 판넬프레임부(101)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상기 지지대부(200)와 연결되는 힌지(103)와, 상기 판넬프레임부(101)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하며 후술되는 폴딩암을 구동시키는 PC 및 제어부(104)와, 상기 PC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풍향계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판넬프레임부(101)는 상기 집광대부(100)의 외측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스텐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강재,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교차되어 상기 집광판넬부(102)를 지지 및 고정한다.
상기 집광판넬부(102)는 상기 판넬프레임부(101)의 내측에 판넬의 형태로 형성되며,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모아서 열로 변환하거나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 갈륨비소, 황화카드뮴과 같은 소재로 p-형과 n-형의 반도체를 만들고 그 접합면에 태양광을 쬐면 광자를 흡수하여 1쌍의 전자와 양공이 생기며, 이때 전자는 n-형, 양공은 p-형 부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회로를 통해 n-형에서 p-형으로 향하는 전류 발생 원리를 따른다.
상기 힌지(103)는 상기 판넬프레임부(101)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판넬프레임부(10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집광대부(100)와 후술되는 지지대부(200)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재료를 가지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C 및 제어부(104)는 상기 판넬프레임부(101)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하며 후술되는 폴딩암을 구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데 내측에 PC를 내장하여 지역별, 일자별, 시간별로 달라지는 태양 고도의 데이터를 회전펼스 값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전달함으로써 후술되는 폴딩암의 안내에 따라 상기 집광대부(100)가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C 및 제어부의 상측에 우적 센서를 부착하여, 강우 시 상기 집광대부(100)가 적절한 각도로 회전 이동하여 실내 빗물 유입을 방지한다.
상기 풍속계부(105)는 상기 PC 및 제어부(104)의 하측에 형성하며 최대한 돌출되게 형성하여 풍속을 좀 더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일정 풍속 이상의 강풍 시에는 PC 및 제어부(104)에서 이를 감지 하고 전동기부(203)의 모터를 구동하여, 집광대부(100)를 지지대부(200)에 밀착하도록 접어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한편, 상기 우적 센서나 풍속계부(105)를 포함한 PC 및 제어부(204)는, 다수의 본원발명을 건축물에 설치하였을 시에는 각기 별도 배치할 필요 없이 통합하여 일괄 제어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부(200)는 힌지(103)와 폴딩암부(202)로 상기 집광대부(100)와 연결되며, 전동기부(203)의 작동으로 폴딩암부(202)가 구동되면, 이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상기 집광대부(100)를 지지하며 건축물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프레임부(201)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부(201)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강재나 강화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하고, 건축물의 외측 벽체에 앵커, 볼트, 못, 용접 등으로 고정하거나, 건축물 마감재 내측으로 매립하여 미관상 보이지 않게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폴딩암부(202)는 두 개의 폴딩암이 접힐 수 있도록 중앙부가 힌지로 연결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나사잭(screw jack)으로, 힌지를 통해 상기 집열대부(100)와 상기 지지대부(200)를 연결하며, 전동기부(203) 내 모터와 연결된 나사봉(204)이 회전하면서 폴딩암 중앙의 암나사 홈을 따라 왕복하고 이에 따라 폴딩암이 굽어지고 펴지면서 상기 집광대부(100)를 회전 구동시킨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집광대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나사잭(screw jack) 형태의 폴딩암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니버셜 조인트 및 유압프레스, 레크기어 및 피니언 기어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집광대부(1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는 본원발명의 구성인 폴딩암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집광대부(1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PC 및 제어부(104)에서 내장된 컴퓨터에 저장된 지역별, 시간별, 계절별 데이터값을 전송하여 전동기부(203)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폴딩암부(202)의 작동으로 상기 집광대부(1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태양의 고도와 위치를 추적하는 센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리모컨을 이용해서 수동으로 상기 집광대부(100)의 운동을 조정하는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집광대부(100)가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 이동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광대부(100)가 각 시간별 태양의 위치 값에 의해 좌우로 회전 이동하거나 태양광의 실내 유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집광대부의 회전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a 내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측 벽면이나 커튼월 혹은 창 문 상부에 본원 발명인 차양시스템을 남향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대부(200)는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어진다. 또한, 집광대부(100)는 집광대부(100)와 지지대부(200) 간에 형성된 폴딩암부(202)의 구동에 따라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7, 8월에 해당하는 하절기에는 집광대부(100)가 높은 고도의 태양의 직사광과 직각이 되도록 수평에 가깝게 기동하여, 태양에너지를 최대한 많이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태양의 직사광선은 집광대부(100)에 각도상 차단되므로, 태양광으로 인한 실내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냉방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에 의한 전망이나 개방감의 저해 없이 간접 채광으로 인한 쾌적한 실내 조도를 유지할 수 있고, 건축물에 전체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건축물이 받는 총열사량을 저감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증진시킨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 1, 2월에 해당하는 동절기에는 집광대부(100)가 낮은 고도의 태양 직사광과 직각이 되도록 수직에 가깝게 기동하여, 태양에너지를 최대한 많이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이나 실내난방, 온수 공급 등에 사용한다. 이때 태양광은 집광대부(10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대부분 실내에 유입되므로, 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 계절, 날씨, 일자 또는 시간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집광대부(100)를 회전시킴으로서 집광부의 태양광 수집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실내에 유입되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서 실내 냉난방 부하 저감 효과 및 조명효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사시도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집광대부의 회전에 관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광대부 101 : 판넬프레임부
102 : 집광판넬부 103 : 힌지
104 : PC 및 제어부 105 : 풍속계부
200 : 지지대부 201 : 지지프레임부
202 : 폴딩암부 203 : 전동기부
204 : 나사봉

Claims (7)

  1. 집열 혹은 집광 판넬(태양전지판)을 포함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집광대부와, 상기 집광대부를 지지하여 건축물에 부착하는 지지대부와, 상기 집광대부를 회전 구동하는 PC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대부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테두리를 형성하는 판넬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하며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열 혹은 집광 판넬(태양전지 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연결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대부는 태양의 고도와 위치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집광대부의 태양광 집광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간별, 일자별 , 계절별 실내에 유입되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내 냉난방효과 및 조명효과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부는 상기 집광대부와 힌지로 상호 연결되어 건축물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PC 및 제어부에서 데이터 값을 전송받아 구동되는 전동기부, 상기 전동기부의 모터에 의해 상기 집광대부의 회전 운동을 기동하는 폴딩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 및 제어부는 상기 집광대부 하단에 위치하여 저장된 지역별, 일자 별, 시간별 태양의 고도와 위치에 대한 데이터의 회전 펄스값을 전동기부에 전송하여 집광대부를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C 및 제어부에 우적 센서가 장착되어 있어, 일정 수량 이상의 강우 시이를 감지한 PC 및 제어부가 전동기를 구동하면, 상기 집광대부가 적절한 각도로 회전 기동하여 빗물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C 및 제어부에 풍속계가 장착되어 있어, 풍속을 감지하여 설정된 일정 풍속 이상의 강풍 시에는 PC 및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보내 전동기를 구동하면, 상기 집광대부가 상기 지지대부 쪽으로 밀착하여 강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 시스템.
KR1020090068670A 2009-07-28 2009-07-28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KR20110011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670A KR20110011152A (ko) 2009-07-28 2009-07-28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670A KR20110011152A (ko) 2009-07-28 2009-07-28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52A true KR20110011152A (ko) 2011-02-08

Family

ID=437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670A KR20110011152A (ko) 2009-07-28 2009-07-28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15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2608A1 (en) * 2011-02-22 2012-08-29 Green Plus Co. Ltd. Apparatus for tracking and condensing sunlight of wall installation type
ITUD20110124A1 (it) * 2011-08-08 2013-02-09 Duilio Locatelli Struttura di supporto per pannelli solari
EP2626649A1 (en) * 2012-02-13 2013-08-14 Fibernet, d.o.o. Screens with arranged solar modules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intermediate screens
KR101429633B1 (ko)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KR101524589B1 (ko) * 2013-08-23 2015-06-02 주식회사 경동솔라에너지 태양광윈도우
KR101539317B1 (ko) * 2014-12-08 2015-07-24 주식회사 시코 차양막 겸용 출입문
AT516607B1 (de) * 2015-06-01 2016-07-15 Hilber Gmbh Nachführvorrichtung für eine PV-Anlage
WO2018219722A1 (de) * 2017-05-29 2018-12-06 Mounting Systems Gmbh Nachführbare trägervorrichtung mit antriebswelle
CN110185177A (zh) * 2019-06-25 2019-08-30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折叠变化的空腔幕墙
KR102396889B1 (ko) 2021-12-24 2022-05-13 (주)하늘천 건축물의 스마트 차양 기능을 갖춘 태양광패널 발전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2608A1 (en) * 2011-02-22 2012-08-29 Green Plus Co. Ltd. Apparatus for tracking and condensing sunlight of wall installation type
ITUD20110124A1 (it) * 2011-08-08 2013-02-09 Duilio Locatelli Struttura di supporto per pannelli solari
WO2013021263A1 (en) 2011-08-08 2013-02-14 Locatelli Duilio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EP2626649A1 (en) * 2012-02-13 2013-08-14 Fibernet, d.o.o. Screens with arranged solar modules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intermediate screens
KR101524589B1 (ko) * 2013-08-23 2015-06-02 주식회사 경동솔라에너지 태양광윈도우
KR101429633B1 (ko)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KR101539317B1 (ko) * 2014-12-08 2015-07-24 주식회사 시코 차양막 겸용 출입문
AT516607B1 (de) * 2015-06-01 2016-07-15 Hilber Gmbh Nachführvorrichtung für eine PV-Anlage
AT516607A4 (de) * 2015-06-01 2016-07-15 Hilber Gmbh Nachführvorrichtung für eine PV-Anlage
WO2016191779A1 (de) 2015-06-01 2016-12-08 Hilber Gmbh Nachführvorrichtung für eine pv-anlage
WO2018219722A1 (de) * 2017-05-29 2018-12-06 Mounting Systems Gmbh Nachführbare trägervorrichtung mit antriebswelle
CN110185177A (zh) * 2019-06-25 2019-08-30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折叠变化的空腔幕墙
CN110185177B (zh) * 2019-06-25 2024-01-30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折叠变化的空腔幕墙
KR102396889B1 (ko) 2021-12-24 2022-05-13 (주)하늘천 건축물의 스마트 차양 기능을 갖춘 태양광패널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152A (ko)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CN101787849B (zh) 一种太阳能驱动的垂直百叶遮阳装置
CN101360958B (zh) 模块式多功能太阳能装置
KR101001789B1 (ko) 빌딩벽체 설치형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KR20130001577U (ko) 가변형 지붕 루버시스템
KR102051815B1 (ko) 태양열 가변형 루버시스템
KR20130114378A (ko)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유입 제어 기능을 하는 가변식 천창시스템
KR101072536B1 (ko) 태양광의 집광 및 저장,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천창시스템
CN201531210U (zh) 多功能窗罩
US8440950B1 (en) Rooftop solar panel deployment and tracking system
KR20100040283A (ko) 반사를 이용한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과도한 실내유입 방지 기능을 하는 어닝시스템
KR101114259B1 (ko) 벽체 설치형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KR200458057Y1 (ko) 태양광 집광 및 제어를 위한 차양을 포함하는 천창 및 창호 시스템
KR101117972B1 (ko) 건축물의 냉난방 및 공조 기능을 하는 태양광발전 창호시스템
KR101594001B1 (ko)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태양열집열장치
CN203654538U (zh) 多参数控制智能热通道光伏幕墙
CN109586660A (zh) 一种建筑立面用光伏板
CN102080432A (zh) 与建筑一体化外遮阳抛物反射镜追日太阳能集热器
KR20190079755A (ko) 태양광의 실내유입 제어 기능의 가변식 천창시스템
KR100885399B1 (ko) 공동주택용 태양열 집열 시스템
KR20210074822A (ko)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이동식 주택
KR101147329B1 (ko) 난간용 태양광 추미장치
CN204059791U (zh) 一种遮阳篷
KR20130106991A (ko) 태양광 집광 및 반사를 위한 가변형 루버시스템
KR102151544B1 (ko) 풍량에 따라 자동 접힘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